(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5월19일
(11) 등록번호 10-1622679
(24) 등록일자 2016년05월1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4G 19/00 (2006.01) E04G 21/14 (2006.01)
(52) CPC특허분류
E04G 19/003 (2013.01)
E04G 21/14 (2013.01)
(21) 출원번호 10-2015-0108788
(22) 출원일자 2015년07월31일
심사청구일자 2015년07월3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US6557817 B2
KR1020090021254 A
KR1020110083186 A
KR101321464 B1
(73) 특허권자
손영진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53길 13 ,323-1003(상
도동,래미안상도3차아파트)
(72) 발명자
손영진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53길 13 ,323-1003(상
도동,래미안상도3차아파트)
(74) 대리인
고영회
전체 청구항 수 : 총 7 항 심사관 : 서정일
(54) 발명의 명칭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
(57) 요 약
본 발명은 상부로 가면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밍폼의 폴-박스(Pawl-Box)
시스템에서, 폴-박스 시스템은 클라이밍폼에 이용되는 거푸집프레임의 상승 또는 하강시 레일빔의 스토퍼에 물려
지지점을 형성시키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작동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무선모듈부로 구성되되, 지지부는 양단이 레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622679
- 1 -
일빔에 안착된 채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면 일부에 개구된 단면을 갖는 하우징 형태의 몸체부와 몸체부 내
부에 위치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양단이 레일빔 스토퍼의 상단 또는 하단에 걸리도록 형성된 멈춤부와 멈춤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멈춤부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레버부와 레버부와 멈춤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핀부재인
체결부 및, 체결부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승·하강 운동을 통해 레버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한 쌍의 실린더부로
구성되고, 무선모듈부는 클라이밍폼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거푸집프레임의 변위와 이동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하는 측량표시부 및, 측량표시부에
나타난 정보를 통해 지지부에 결합된 실린더부의 승·하강 운동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한 쌍
의 실린더부는 무선모듈부의 제어부를 통해 전달된 무선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과제고유번호 20131520100750
부처명 한국통상산업자원부
연구관리전문기관 에너지기술평가원
연구사업명 산업기술혁신사업(에너지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원전수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원자로 외벽 1단 4m이상 높이의 콘크리트 거푸집 및 저발열
콘크리트 통합시스템 개발
기 여 율 1/1
주관기관 (주)콘스텍
연구기간 2013.12.01 ~ 2016.09.30
등록특허 10-1622679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상부로 가면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밍폼(C)의 폴-박스(Pawl-Box) 시스템에서,
상기 폴-박스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밍폼(C)에 이용되는 거푸집프레임(F)의 상승 또는 하강시 레일빔(R)의 스토
퍼(S)에 물려 지지점을 형성시키는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의 작동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무선모듈부
(200)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100)는 양단이 레일빔(R)에 안착된 채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면 일부에 개구된 단면을 갖는
하우징 형태의 몸체부(120)와 상기 몸체부(120) 내부에 위치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양단이 상기 레일빔(R) 스토
퍼(S)의 상단 또는 하단에 걸리도록 형성된 멈춤부(140)와 상기 멈춤부(14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멈춤부
(140)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레버부(160)와 상기 레버부(160)와 멈춤부(140)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핀부
재인 체결부(180) 및, 상기 체결부(18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승·하강 운동을 통해 상기 레버부(160)의 위
치를 조절하는 한 쌍의 실린더부(190)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모듈부(200)는 상기 클라이밍폼(C)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거푸집프레임(F)의 변위와 이동 가속도를 측
정할 수 있는 센서부(220)와 상기 센서부(220)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하는
측량표시부(240) 및, 상기 측량표시부(240)에 나타난 정보를 통해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된 실린더부(190)의
승·하강 운동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60)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190)는 상기 무선모듈부(200)의 제어부(260)를 통해 전달된 무선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
청구항 2
제1항에서,
상기 멈춤부(140)는 후면에 소정 단면의 관통홀(142)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160)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상기 몸체부(120)의 관통홀(142)과 대응되는 홈부(162a)
가 형성된 결속체(162)와 상기 결속체(162)를 육면체의 일면에 결합된 스프링에 결합시키는 받침체(164)로 구성
되며,
상기 체결부(180)는 상기 멈춤부(140)의 관통홀(142)과 상기 레버부(160)의 결속체(162) 홈부(162a)에 동시에
관통하고 양단이 상기 몸체부(120)의 양측 판에 형성된 개구부(122)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122)를
통과한 체결부(180)의 양단이 상기 실린더부(190)의 일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
-박스 시스템.
청구항 3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100)의 몸체부(120)는 후면 상·하에 상기 멈춤부(140)가 소정의 각도 이내에서 뒤로 젖혀지지 않
도록 막아주는 한 쌍의 스토퍼플레이트(124)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
청구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지지부(100)와 제어부(260)는 현장에 배치된 다수 개의 클라이밍폼(C)에 설치되어 거푸집프레임(F)의 승·
하강시 무선으로 상기 지지부(100)의 멈춤부(140) 방향을 개별적 또는 일괄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
등록특허 10-1622679
- 3 -
청구항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지지부(100)는 몸체부(120)의 하부판에 결합되는 안전장치부(300)가 추가로 설치되되,
상기 안전장치부(300)는 상기 몸체부(120)의 하부판 아래에 맞대어 결합되는 판 상의 걸림부(320)와 상기 걸림
부(320) 후면에 결합되는 스프링 재질의 탄성부(340)와 상기 걸림부(320)의 상부면에 수직되게 삽입되는 막대형
상의 결속부(360) 및, 상기 걸림부(320) 하부면을 지지한 채 막아주는 플레이트부(380)로 구성되고,
상기 결속부(360)가 상부로 이동되고 탄성부(340)의 탄성에 따라 걸림부(320)가 전진됨으로써 거푸집프레임(F)
의 승·하강시 상기 걸림부(320)가 레일빔(R)의 스토퍼(S)에 걸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
한 폴-박스 시스템.
청구항 6
제5항에서,
상기 안전장치부(300)의 결속부(36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거나 전기신호에 의해 상기 몸체부(120)의 하부판 상
부에 결합된 전자석부(400)에 결합됨으로써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
청구항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센서부(220)는 온도 및 습도, 풍속 및 풍향, 콘크리트 적산온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측정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클라이밍폼의 레일빔에 결합되는 폴-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직접 조[0001]
작할 필요 없이 무선으로 레일빔의 스토퍼에 폴(Pawl)이 결착되는 동시에 안전장치가 작동되고 다수의 거푸집프
레임이 동기화(同期化)되도록 제어가 됨으로써 거푸집프레임의 승·하강을 지지할 수 있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고층건축물 및 토목구조물의 콘크리트 벽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공기단축을 목적으로 콘크리트 타설[0002]
과 함께 타설층의 하층 벽체에 형성된 거푸집 연결자국, 콘크리트 타설시 붙은 찌꺼기, 홈 및 돌출부분 등을 마
감 처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시공되는 콘크리트 벽체 표면을 평평하고 매끈하게 하는 외부작업을 병행할 수 있
는 클라이밍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러한 클라이밍 시스템 중 하나인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RCS, Rail Climbing System)폼은 벽체 거푸집용 작업[0003]
발판으로서 거푸집 설치를 위한 작업발판, 비계틀 및 콘크리트 타설 후 마감용 비계를 일체로 제작한 레일 일체
형 시스템이다. 이 중에 레일빔과 폴(Pawl, 일명 'Shoe'라고도 칭함.)이 맞물려 크레인 없이 유압을 이용하여
자립으로 인상작업과 탈형 및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오토클라이밍 시스템이라(ACS, Auto Climbing System)한
다.
여기서 폴은 레일빔에 결합되어 거푸집프레임이 승·하강할 때 유압에 의한 상승작용의 고정 지점으로 사용되는[0004]
데, 후면에 결합된 레버에 의해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레일빔 또는 거푸집프레임의 상승을 도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폴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레버가 작업자들이 직접 손으로 조정했기에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0005]
것은 물론, 고층 이상의 발판 위에서 작업함으로써 안전상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한 수동조작의 경우 Human Error에 의해 폴의 방향이 정상적으로 매칭(matching) 되지 않은 경[0006]
우에는 승·하강의 방향이 바뀌어 거푸집프레임 등이 낙하 될 위험의 여지가 있었으며, 그에 따라 이에 대한 안
등록특허 10-1622679
- 4 -
전장치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으로, 클라이밍폼의 레일빔에[0007]
결합되는 폴-박스 시스템에서 거푸집프레임의 승·하강에 따라 멈춤부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레버부가 무선으로
제어되는 실린더부에 의해 위치가 조절됨으로써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는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 개의 거푸집프레임에 결합된 폴-박스 시스템이 무선에 의해 일괄적으로 제어됨으로써 작업[0008]
속도가 크게 개선되고 개별 거푸집프레임 간의 승강 운동시 속도 및 변위를 일괄적으로 제어하여 동기화하는 것
은 물론, 오작동 등에 의해 낙하되는 거푸집프레임을 안전하게 받칠 수 있는 장치를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안전
사고 예방에 효율적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로 가면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라[0009]
이밍폼의 폴-박스(Pawl-Box) 시스템에서, 폴-박스 시스템은 클라이밍폼에 이용되는 거푸집프레임의 상승 또는
하강시 레일빔의 스토퍼에 물려 지지점을 형성시키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작동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무선모듈부
로 구성되되, 지지부는 양단이 레일빔에 안착된 채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면 일부에 개구된 단면을 갖는
하우징 형태의 몸체부와 몸체부 내부에 위치되고 회전방향에 따라 양단이 레일빔 스토퍼의 상단 또는 하단에 걸
리도록 형성된 멈춤부(폴,Pawl)와 멈춤부의 후방에 결합되어 멈춤부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레버부와 레버부와 멈
춤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핀부재인 체결부 및, 체결부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승·하강 운동을 통해
레버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한 쌍의 실린더부로 구성되고, 무선모듈부는 클라이밍폼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거푸집
프레임의 변위와 이동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하는 측량표시부 및, 측량표시부에 나타난 정보를 통해 지지부에 결합된 실린더부의 승·하강 운동
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한 쌍의 실린더부는 무선모듈부의 제어부를 통해 전달된 무선의 신호
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와 제어부가 현장에 배치된 다수 개의 클라이밍폼에 설치되어 거푸집프레임의 승·하강시[0010]
무선으로 지지부의 멈춤부 방향을 개별적 또는 일괄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0011]
첫째, 거푸집프레임 또는 레일빔의 상승시 변환되는 멈춤부의 방향이 무선으로 제어됨으로써 시공성 및 안전성[0012]
이 향상된다.
다시 말해서, 멈춤부는 후면에 결합된 레버부에 의해 그 방향이 전환되는데 이러한 레버부의 일단이 무선에 의[0013]
해 제어되는 실린더부에 결합되고, 실린더부는 중앙에서 제어하는 무선모듈부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
지게 되는 것이다.
둘째, 현장에 배치된 다수 개의 클라이밍폼에 결합된 거푸집프레임이 무선 제어에 의해 일괄적으로 승·하강됨[0014]
으로써 공사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종래에 작업자들이 직접 작업발판에 올라가서 각 거푸집프레임의 승·하강에 따라 폴의 방향을 전환시켰던[0015]
수동조작을 무선 제어로 대체하였기 때문이다.
셋째, 오작동 등에 의한 거푸집프레임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에[0016]
방지할 수 있다.
넷째, 클라이밍폼에 결합된 센서부에 의해 온도, 습도, 변위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한 후 현장에 대처시킴으[0017]
로써 계획된 설계에 따라 품질이 보장된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622679
- 5 -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의 순서도 및 개념도이다.[0018]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에서 지지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에서 지지부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에서 지지부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에서 지지부의 또 다른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에서 안전장치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0019]
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의 순서도 및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0020]
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에서 지지부(100)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에서 지지부(100)의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에서 지지부(100)의 측단면도를 나[0021]
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에서 지지부(100)의 또 다른 평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에서 안전장치부(300)의 작동을 나타
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제어가 가능한 폴-박스 시스템은 크게 지지부(100)와 무선모듈부[0022]
(20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부로 가면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밍폼(C)의 폴-박스(Pawl-[0023]
Box)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폴-박스 시스템은 상기 클라이밍폼(C)에 이용되는 거푸집프레임(F)의 상승 또
는 하강시 레일빔(R)의 스토퍼(S)에 물려 지지점을 형성시키는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의 작동을 무선
으로 제어하는 무선모듈부(200)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100)는 양단이 레일빔(R)에 안착된 채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면 일부에 개구된 단면을 갖는 하우징 형태의 몸체부(120)와 상기 몸체부(120) 내부에 위치되고 회
전방향에 따라 양단이 상기 레일빔(R) 스토퍼(S)의 상단 또는 하단에 걸리도록 형성된 멈춤부(140)와 상기 멈춤
부(140)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멈춤부(140)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레버부(160)와 상기 레버부(160)와 멈춤부
(140)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핀부재인 체결부(180) 및, 상기 체결부(18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승·
하강 운동을 통해 상기 레버부(160)의 위치를 조절하는 한 쌍의 실린더부(190)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모듈부
(200)는 상기 클라이밍폼(C)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거푸집프레임(F)의 변위와 이동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
서부(220)와 상기 센서부(220)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하는 측량표시부(240)
및, 상기 측량표시부(240)에 나타난 정보를 통해 상기 지지부(100)에 결합된 실린더부(190)의 승·하강 운동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60)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실린더부(190)는 상기 무선모듈부(200)의 제어부
(260)를 통해 전달된 무선의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100)는 클라이밍폼(C)의 거푸집프레임(F)에 결합되는 부재로, 레일빔(R)에 양단이 안착되게 결합되는데[0024]
거푸집프레임(F)의 상승 또는 하강시 레일빔(R)의 스토퍼(S)에 물려 지지점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지지부(100)는 작업발판 하부로 한 쌍이 이격된 채 고정되는데, 인접한 지지부(100) 사이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
는 잭(jack)이나 실린더 등의 유압부재가 결합됨으로써 거푸집프레임(F)의 승·하강 운동을 도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지지부(100)는 몸체부(120), 레버부(160), 체결부(180) 및, 실린더부(190)로 구성된다.[0025]
몸체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판과 측면판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하우징형태를 이루고[0026]
있는데, 전면은 양단이 레일빔(R)에 걸린채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개구된 단면을 갖게 된다. 또한 몸체부(120)는
이와 같이 개구된 단면의 보강을 위해 기둥역할을 하는 수직부재가 전면에 한 쌍 결합될 수 있다.
등록특허 10-1622679
- 6 -
멈춤부(140)는 몸체부(120) 내부에 위치되는 부채꼴 형태의 부재로서, 레일빔(R)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0027]
다 형성된 스토퍼(S)에 상·하면 중 일면이 고정되어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특히 멈춤부(140)는 상·하면이
여러번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육면체로 이루어진 레일빔(R)의 스토퍼(S)에 안정적으로 걸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멈춤부(140)는 후술할 레버부(160)의 움직임에 의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상·하로
방향이 선회하게 되는데, 이때 뒤로 젖혀지지 않도록 몸체부(120) 후면 상·하에 한 쌍의 스토퍼플레이트(124)
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스토퍼플레이트(124)는 멈춤부(140)의 회전반경을 구속하여 과도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레버부(160)는 멈춤부(140)의 후단에 결합되는 부재로, 상·하로 움직이면서 멈춤부(14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0028]
수행한다. 즉 멈춤부(140)의 방향 전환은 레버부(160)가 위·아래로 선회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레
버부(160)는 멈춤부(140)와 핀부재로 이루어진 체결부(180)에 의해 함께 고정되는데, 멈춤부(140)와 레버부
(160)에 일정한 홈이 형성됨으로써 그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멈춤부(140)는 후면에 소정 단
면의 관통홀(142)이 형성되고, 레버부(160)는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몸체부(120)의 관통홀(142)과
대응되는 홈부(162a)가 형성된 결속체(162)와 결속체(162)를 육면체의 일면에 결합된 스프링에 결합시키는 받침
체(164)로 구성되며 체결부(180)는 멈춤부(140)의 관통홀(142)과 레버부(160)의 결속체(162) 홈부(162a)에 동시
에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180)는 양단이 몸체부(120)의 양측 판에 형성된 개구부(122)를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체결부(180)의 양단이 각각 후술할 실린더부(190)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부(190)는 후술할 무선모듈부(200)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부재로, 무선으로[0029]
전달된 신호에 따라 유압이나 전기에 의해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실린더부(1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
(180)의 일단에 결합하게 되는데, 무선 신호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체결부(180)의 높이에 변화를 줌으로써
레버부(16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는 도 4(a)와 (b)를 통하여 알 수 있는데, 각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도 4(a)는 거푸집프레임(F)이 상승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무선 신호에 의해 실린더부(190)의 헤드가 하강[0030]
하면 레버부(160)의 위치도 함께 아래로 내려오게 되고, 이로써 멈춤부(140)가 위로 젖혀지게 됨으로써 멈춤부
(140)의 하부면이 레일빔(R)의 스토퍼(S) 상단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4(b)는 레일빔(R)이 상승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무선 신호에 의해 실린더부(190)의 헤드가 상승하게 되[0031]
면 레버부(160)의 위치도 함께 위로 올라가게 되고, 이로써 도 4(a)와 반대로 멈춤부(140)가 아래로 젖혀지게
된다. 그리하여 멈춤부(140)의 상부면에 레일빔(R)의 스토퍼(S) 하단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어느 경우든지 한 쌍의 지지부(100) 사이에 연결된 유압부재의 승·하강 운동에 따라 거푸집프레임(F) 또는 레[0032]
일빔(R)이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상황에 맞게 어느 한 지지부(100)는 고정하고 다른 한 지지부(100)는 비(非)
고정 해야한다. 즉 멈춤부(140)의 상·하부면 중 하나가 레일빔(R)의 스토퍼(S)에 결착되고, 이에 의해 지지부
(100)는 그 작동 상태에서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레일빔(R)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
하로 배치된 지지부(100) 사이에 결합된 유압부재의 인출에 의하여 거푸집프레임(F) 또는 레일빔(R)의 상승이
이루어진다.
무선모듈부(200)는 클라이밍폼(C)의 거푸집프레임(F)으로부터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실린더부(190)를[0033]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모듈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220), 측량표시부(240), 제어부(260)로 구성되고, 각 구성요소들은 컴퓨터 내에서 구
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모듈부(200)는 거푸집프레임(F)의 어느 한 부분에 결합된 센서부(220)를 통해 그 변위와 가속도[0034]
를 수신하여 측량표시부(240)로 전달한다.
측량표시부(240)에서는 센서부(220)로부터 전달된 거푸집프레임(F)의 변위 및 가속도 데이터를 통하여 파악된[0035]
정보를 현재 진행하고자 하는 클라이밍폼(C)의 움직임과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제어 데이터
를 제어부(260)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260)에서는 측량표시부(240)로부터 얻은 데이터에 따라, 무선으로 실린더부(190)에 작동 신호를 발하여[0036]
실린더부(190)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제어부(260)는 감시실과 같은 컴퓨터 제어장치가 구비된 공간에서 실현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무선으로 연결되어 간단한 장치를 통하여 현장에서 관리자가 스위치나 버튼을 통하여 실린
더부(190)를 작동시키도록 실현될 수도 있다.
등록특허 10-1622679
- 7 -
예를 들어, 거푸집프레임(F) 또는 레일빔(R)이 상승함에 따라 측정되는 변위와 가속도를 센서부(220)가 수신하[0037]
고, 이를 측량표시부(240)로 전달하며 미리 저장된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움직임이 올바른지 판단한 후, 제어부
(260)로 전송하여 실린더부(190)의 작동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무선모듈부(200)는 전체 과정을 자동으
로 이루어지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고, 표시된 정보를 파악한 후 관리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100)와 제어부(2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에 배치된 다수 개의 클라이밍폼(C)에 설치되[0038]
어 거푸집프레임(F)의 승·하강시 무선으로 지지부(100)의 멈춤부(140) 방향을 일괄적으로 조절시킬 수 있다.
이는 현장의 모든 클라이밍폼(C)의 거푸집프레임(F)을 무선으로 동시에 조절하는 것으로, 작업속도 및 안전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거푸집프레임(F)의 변위와 이동가속도를 무선으로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0039]
로 실린더부(190)를 원격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멈춤부(140)가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안전하고
신속하게 거푸집프레임(F)의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무선모듈부(200)의 센서부(220)는 상술한 변위와 가속도 외에도 온도 및 습도, 풍속 및 풍향, 콘크리트 적[0040]
산온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측정하여 시공되는 수직구조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 4(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프레임(F)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 몸체부(120)의[0041]
하부판에 안전장치부(300)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장치부(300)는 몸체부(120)의 하부판 아래에 맞대어 결합되는 판 상의 걸림부(320)와 걸림부(320)[0042]
후면에 결합되는 스프링 재질의 탄성부(340)와 걸림부(320)의 상부면에 수직되게 삽입되는 막대형상의 결속부
(360) 및, 걸림부(320) 하부면을 지지한 채 막아주는 플레이트부(38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b)에서 도
4(c)로의 과정을 살펴보면, 걸림부(320)의 전진을 막아주는 결속부(360)가 상부로 이동되면 탄성부(340)의 탄성
에 따라 걸림부(320)가 전진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320)가 레일빔(R)의 스토퍼(S)에 걸리게
된다. 즉 안전장치부(300)는 장치 고장이나 멈춤부(140)의 오작동으로 인하여 거푸집프레임(F)이 낙하될 때, 그
낙하를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방향전환된 멈춤부(140)가 레일빔(R)의 스토퍼(S)에 지지
됨으로써 거푸집프레임(F)이 아래로 추락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추락 방지는 오작동의
경우 또는 그 밖의 비정상적인 사건들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결국 그러한 경우에는 레일빔(R)의 스토퍼
(S)에 연직되게 걸리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부(300)에 의해 추락이 방지된다.
그리고 결속부(360)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신호에 의해 몸체부(120)의 하부[0043]
판 상부에 결합된 전자석부(400)에 결합됨으로써 작동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안전장치부(300)의 작동 개념을 볼 수 있는데, 결속부(360)가 전자석 등에 의해 걸림부(320)에 대한[0044]
고정이 해제되면 압축스프링 같은 탄성부(340)에 의해 걸림부(320)가 전면으로 밀려 몸체부(120)의 전면에 있는
개구된 부분을 막아 레일빔(R)의 스토퍼(S)에 걸림으로써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간단히 말해서, 본 발명은 종래에 클라이밍폼(C)의 폴(pawl)의 레버를 수동조작 및 개별조절방식으로 수행하던[0045]
것을 무선으로 동시제어가 가능하게 실현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교각, 원자로, 타워와 같은 고소작업에
인력의 접근을 최소화시키고, CPU를 활용하여 현장에 대한 여러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빠르고 안전하게 구조물을
완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0046]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0047]
부호의 설명
C: 클라이밍폼 F: 거푸집프레임[0048]
R: 레일빔 S: 스토퍼
100: 지지부 120: 몸체부
등록특허 10-1622679
- 8 -
122: 개구부 124: 스토퍼플레이트
140: 멈춤부 142: 관통홀
160: 레버부 162: 결속체
162a: 홈부 164: 받침체
180: 체결부 190: 실린더부
200: 무선모듈부 220: 센서부
240: 측량표시부 260: 제어부
300: 안전장치부 320: 걸림부
340: 탄성부 360: 결속부
380: 플레이트부 400: 전자석부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622679
- 9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622679
- 10 -
도면4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622679
- 11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