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3월30일
(11) 등록번호 10-1025700
(24) 등록일자 2011년03월22일
(51) Int. Cl.
H02G 7/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081648
(22) 출원일자 2009년08월31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08월31일
(65) 공개번호 10-2011-0023638
(43) 공개일자 2011년03월08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148836 Y1
KR200179978 Y1
KR200182488 Y1
(73) 특허권자
이득광
부산 서구 암남동 595 송도풍림아이원아파트
103-2201
(72) 발명자
이득광
부산 서구 암남동 595 송도풍림아이원아파트
103-2201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윤용희
(54) 전주커버
(57) 요 약
본 발명은 도로나 주택가 또는 도심지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주의 상단부에 설치된 완금 주위에 각종
조류(鳥類)가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주버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선이 지
나가는 전주의 완금에는 까치 등 각종 조류들이 둥지를 틀게 되어 정전이나 감전 등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주의 완금상부에 전주커버를 설치하므로써 각종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주(27)의 상단부에 설치된 완금(28)에 결합하기 위한 전주커버(10)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상의 외부
판(11)을 구성하되, 상기 외부판(11)의 일측에는 대향으로 조립편(15)이 형성된 외부판절개부(12)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수개의 외부판조립돌기(13)와 외부판조립홈(14)을 교호로 형성하며, 외부판조립돌기(13)의 저면측에는
고정홈(18)을 형성하여 내부판(19)의 회전조립시 고정역할을 할 수 있게 구성하고, 연질로 된 내부판(19)의 중앙
내측에는 원형의 전주조립부(23)를 확보하되, 일측에는 외부판(11)의 외부판절개부(12)와 부합되게 내부판절개부
(20)를 형성하고, 외부판(11)의 중앙내부에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내부판조립홈(21)과 내부판조립돌기(22)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내부판조립돌기(22)의 상면에는 고정홈(18)에 대응하는 고정돌기(26)를 형성하여 상호 조립홈
(14,21)과 조립돌기(13,22)를 끼운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고정홈(18)과 고정돌기(26)에 의해 상호 조립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내부판(19)의 중앙에 형성된 전주조립부(23)의 중앙 가장자리측 전체에는 커팅부(25)에 의
해 다수개의 협지편(24)을 내향(內向)으로 형성하며, 상기 외부판(11)의 조립편(15)에 결합될 수 있는 조립구
(16)는 공(工)자 형상으로 좌우에 조립홈(17)을 형성하여 상기 조립편(15)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전주
커버(10)를 전주(27)에 감싼 상태에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025700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본 발명은 전주(27)의 상단부에 설치된 완금(28)에 결합하기 위한 전주커버(10)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상의 외부판(11)을 구성하되, 상기 외부판(11)의 일측에는 대향으로 조립편(15)이 형성된 외부판절개부(12)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수개의 외부판조립돌기(13)와 외부판조립홈(14)을 교호로 형성하며, 외부판조립돌기(13)의
저면측에는 고정홈(18)을 형성하여 내부판(19)의 회전조립시 고정역할을 할 수 있게 구성하고,
연질로 된 내부판(19)의 중앙 내측에는 원형의 전주조립부(23)를 확보하되, 일측에는 외부판(11)의 외부판절개
부(12)와 부합되게 내부판절개부(20)를 형성하고, 외부판(11)의 중앙내부에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내부판조립홈
(21)과 내부판조립돌기(22)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내부판조립돌기(22)의 상면에는 고정홈(18)에 대응하는 고정
돌기(26)를 형성하여 상호 조립홈(14,21)과 조립돌기(13,22)를 끼운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고정홈(18)과 고정
돌기(26)에 의해 상호 조립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내부판(19)의 중앙에 형성된 전주조립부(23)의 중앙 가장
자리측 전체에는 커팅부(25)에 의해 다수개의 협지편(24)을 내향(內向)으로 형성하며,
상기 외부판(11)의 조립편(15)에 결합될 수 있는 조립구(16)는 공(工)자 형상으로 좌우에 조립홈(17)을 형성하
여 상기 조립편(15)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전주커버(10)를 전주(27)에 감싼 상태에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커버.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도로나 주택가 또는 도심지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주의 상단부에 설치된 완금 주위에 까치[0001]
등 각종 조류(鳥類)가 둥지를 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주버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
압선이 지나가는 전주의 완금에는 각종 조류들이 둥지를 틀게 되어 정전이나 감전 등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주의 완금상부에 전주커버를 설치하므로써 각종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
게 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통상 도로나 주택가 또는 도심지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주의 상단부에는 고압선 등의 전선이 지나가기[0002]
위해 완금(이하 홀완금과 겹완금을 포함한다)이 설치된다.
전주의 상단부에 단계별로 완금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완금을 지지하기 위한 밴드를 사용하게 되는 바, 이 밴드[0003]
의 설치시 틈새가 발생하여 까치 등 각종 조류들이 나뭇가지 등의 지지물을 이용하여 완금 사이에 걸친상태에서
둥지를 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주의 상단부에 설치된 완금자체가 튼튼한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까치 등 조류는 비교적 높[0004]
고 안전한 전주의 상단부에 설치된 완금을 지지한 상태에서 나뭇가지 등을 이용하여 둥지를 틀게 되어 바람 등
외력(外力)에 의해 고압선에 손상을 입히게 되어 쇼트가 발생하여 감전 또는 정전 등의 전기 안전사고를 당하게
된다.
종래에도 이러한 까치 등의 조류가 전주의 완금에 둥지를 트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본인이 선출원[0005]
한 조류둥지 방지용 완금커버(20-1999-0027780호)와 조류둥지 방지용 완금커버(20-1999-0027781호) 및 조류둥지
방지용 보호커버(20-1995-0003084호)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공히 전주의 굵기에 따라 용이하게 설치하기가 어렵고, 또한 다단으로 설치하기 위해서[0006]
는 반드시 완금이 있는 장소에만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 즉 완금의 사이에 두고 끼움 형식으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가 비교적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으로는 종래 완금커버는 외관미가 극히 저조할 뿐만 아니라 둥지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커버의 안쪽에 형[0007]
등록특허 10-1025700
- 2 -
성되는 공간부에 둥지를 트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따랐다.
특히, 설치시에 별도의 설치용 공구를 이용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도 따랐고, 설치후 커버의 자체적인 탄성력[0008]
에 의존하여 전주의 완금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우천시나 비바람이 몰아치는 악천후시에는 자칫 커버가 이탈되어
지상으로 떨어져 안전사고를 당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 완금커버의 경우는 접지선 등이 하부로 내려오는 부위에는 설치가 용이하지 못해 간섭현상이 발생하[0009]
고, 기타 시설물 때문에 설치가 곤란한 경우가 발생하며, 전주의 둥근 부위를 긴밀하게 지지하지 못해 완금과
전주와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이 틈새로 나뭇가지 등을 밀어넣어 둥지를 트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주의 상단부에 단계별로 설치된 완[0010]
금(물론 완금이 단계별로 설치되지 않고 단일의 완금으로만 된 경우도 있는 바, 이는 어떠한 경우라도 모두 포
함한다)의 상부에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후에는 외관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완금을 지지하기 위한 밴드의 간
섭현상에도 불구하고 내측의 커팅부에 의해 형성된 협지편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전
주의 직경에 대한 크기와 상관없이 협지편에 의해 긴밀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설치시에는 둥근형태의 전주커버(결합된 상태의 외주판과 내부판)의 일측에 형성된 각 절개부에 의해 엇[0011]
갈리게 젖혀서 개방한 다음, 각 절개부를 통해 확보된 공간을 이용하여 전주에 결합하게 되면 중앙에 형성된 전
주조립부에 전주가 결합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 절개부를 원래대로 평평하게 원위치하여 조립한 후에는 절
개부의 가장자리 양측에 형성된 조립편을 통해 조립구의 조립홈을 일치시켜 슬라이드식으로 밀어주게 되면 견고
한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우천시나 악천후시와 같이 외력이 가해질 경우라도 전주커버가 전주로부터 분리되는[0012]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내부판은 연질의 재질로 구성하고 외부판은 경질의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내부판의 안쪽에 형성된 조[0013]
립부의 가장자리측의 협지편은 안쪽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체적인 신축성이 부가되어 전주의 완
금이 설치된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양호한 지지력을 발휘하며, 이러한 기능은 전주의 특성상 위가 가늘고 아래가
굵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완금이 설치된 위치에 따른 호환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도 있다.
과제 해결수단
본 발명은 전주(27)의 상단부에 설치된 완금(28)에 결합하기 위한 전주커버(10)를 구성함에 있어서, [0014]
판상의 외부판(11)을 구성하되, 상기 외부판(11)의 일측에는 대향으로 조립편(15)이 형성된 외부판절개부(12)를[0015]
두어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중앙에는 수개의 외부판조립돌기(13)와 외부판조립홈(14)을 교호로 형성
하며, 외부판조립돌기(13)의 저면측에는 고정홈(18)을 형성하여 내부판(19)의 회전조립시 고정역할을 할 수 있
게 한다.
연질로 된 내부판(19)의 중앙 내측에는 원형의 전주조립부(23)를 확보하되, 일측에는 외부판(11)의 외부판절개[0016]
부(12)와 부합되게 내부판절개부(20)를 형성하고, 외부판(11)의 중앙내부에 상호 결합될 수 있는 내부판조립홈
(21)과 내부판조립돌기(22)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내부판조립돌기(22)의 상면에는 고정홈(18)에 대응하는 고정
돌기(26)를 형성하여 상호 조립홈(14,21)과 조립돌기(13,22)를 끼운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고정홈(18)과 고정
돌기(26)에 의해 상호 조립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내부판(19)의 중앙에 형성된 전주조립부(23)의 중앙 가장자리측 전체에는 커팅부(25)에 의해 다수개의 협[0017]
지편(24)을 내향(內向)으로 형성하여 전주(27)이 대한 협지력을 증대한다.
상기 외부판(11)의 조립편(15)에 결합될 수 있는 조립구(16)는 공(工)자 형상으로 좌우에 조립홈(17)을 형성하[0018]
여 상기 조립편(15)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전주커버(10)를 전주(27)에 감싼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등록특허 10-1025700
- 3 -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판(11)의 형상은 원형이나 기타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고,[0019]
커팅부(25)에 의해 형성되는 협지편(24)의 수량 등은 임의로 가감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효 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주(27)의 상단부에 단계별로 설치된 완금(28)의 상부에 설치가 가능하고,[0020]
설치후에는 외관미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완금(28)을 지지하기 위한 밴드의 간섭현상에도 불구하고 내부판
(19) 자체가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측의 커팅부(25)에 의해 형성된 협지편(24)의 자체 탄성력에 의
해 전주(27)의 필요한 위치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전주(27)의 직경에 대한 크기와 상관없이 연질의 협지
편(24)에 의해 긴밀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따른다.
또한, 설치시에는 외부판(11)과 내부판(19)을 각각 조립한 다음 일측에 형성된 외부판절개부(12)와 내부판절개[0021]
부(20)에 의해 엇갈리게 젖혀서 개방한 다음, 각 절개부(12,20)를 통해 확보된 공간을 이용하여 전주(27)에 결
합하게 되면 내부판(19)의 중앙에 형성된 전주조립부(23)에 전주(27)가 결합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 절개
부(12,20)를 원래대로 평평하게 원위치하여 조립이 이루어진 후에는 외부판절개부(12)의 가장자리 양측에 형성
된 조립편(15)을 통해 공(工)자 형상으로 형성된 조립구(16)의 조립홈(17)을 상호 끼움으로 결합한 다음 슬라이
드식으로 밀어넣게 되면 견고한 상태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면 우천시나 악천후시와 같이 외력이 가해질 경우라도 전주커버(10)가 전주(27)로부터[0022]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특히, 전주커버(10)의 내부판(19) 내부에 형성된 전주조립부(23)의 가장자리측의 협지편(24)은 안쪽으로 갈수록[0023]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체적인 신축성이 부가되어 전주(27)의 완금(28)이 설치된 위치가 상이하더라도 양호
한 지지력을 발휘하며, 이러한 기능은 전주(27)의 특성상 위가 가늘고 아래가 굵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완금(2
8)이 설치된 위치에 따른 호환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주(27)에 설치할 경우 외관미를 전혀 해치지 않으면서도 전주(27)의 완금(28)에 까치[0024]
등 조류가 둥지를 트는 현상을 방지하여 각종 감전이나 정전 등의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일단 설
치후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도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고, 또한 제거할 경우도 공(工)자 형상의 조립구
(16)을 조립편(15)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조립되어 있는 각 절개부(12,20)를 비틀어서 분리하면 되므로 재사용이
가능한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은 전주(27)의 상단부에 고압선 등의 전선이 지나갈 수 있도록 설치된[0025]
완금(28)의 상부에 결합하여 까치 등의 조류가 둥지를 트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주커버(10)를 제공코져 하
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사용방법과 작용 등을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0026]
먼저 본 발명의 외부판(11)과 내부판(19)을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0027]
외부판(11)의 외부판조립돌기(13)외 외부판조립홈(14)을 통해 연질로 된 내부판(19)의 내부판조립홈(21)과 내부
판조립돌기(22)를 상호 엇갈리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결합한 다음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각 조립홈(14,21)과 조
립돌기(13,22)가 각각 회전을 하면서 상호간에 지지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판(11)과 내부판(19)의 각 조립돌기(13,22)의 상하에는 대응하는 고정홈(18)과 고정돌기(26)에[0028]
의해 각각 걸리게 되어 원하는 조립상태가 되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어 외부판(11)과 내부판(19)이 임의로
분리되는 폐단이 방지되고, 이를 재활용하거나 강제로 분리할 경우는 힘을 주어 반대로 돌리게 되면 각 조립홈
(14,21)과 조립돌기(13,22)를 각각 일치시킨 상태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전주커버(10)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먼저 전주(27)의 완금(28)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서 외부판(11)[0029]
과 내부판(19)의 일측에 형성된 각 절개부(12,20)의 양단을 잡고 엇갈리게 벌리게 되면 상기 각 절개부(12,20)
를 통해 큰 공간이 형성되므로 연질의 재질로 된 내부판(19)의 전주조립부(23)를 통해 전주(27)의 외측 가장자
리에 결합이 완료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각 절개부(12,20)를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평평한 상태로 설치가 이
등록특허 10-1025700
- 4 -
루어진다.
위와 같이 일단 전주(27)의 완금(28)이 설치된 위치에 본 발명의 전주커버(10)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도 2 내지[0030]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절개부(12,20)의 양측 가장자리에 대향으로 형성된 조립편(15)을 통해 공(工)자
형상으로 된 조립구(16)의 조립홈(17)을 상호 결합한 다음 슬리이드식으로 밀어넣게 되면 조립이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구(16)는 공(工)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양단에 조립홈(17)이 대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판(11)의[0031]
외부판절개부(12)에 형성된 조립편(15)을 통해 조립구(16)의 조립홈(17)을 결합한 상태에서 슬라이드식으로 밀
어넣으면 정확하게 일치되어 원터치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설치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별도의 설치용 공구가 필요없이 원터치식으로 설치가[0032]
이루어지게 되어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설치가 가능한 등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설치후에도 외관미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완금(28)을 설치하기 위한 밴드가 있더라도 연질의 재질로[0033]
된 내부판(19)의 내부에 형성된 전주조립부(23)의 가장자리측에 다수 형성된 협지편(24)이 전주(27)의 가장자리
를 긴밀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외관미를 해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며, 특히 완금(28)의 설치위치가 어느 곳이
라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즉, 전주(27)는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해 직경이 작으므로 완금(28)의 설치위치에 따라 전주조립부(23)의 직경은[0034]
정해져 있더라도 전주조립부(23)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된 커팅부(25)의 협지편(24)이 안쪽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
되어 있으므로 전주(27)의 가장자리측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여러가지의 사이즈(size)별로 제작하지
않고도 단일의 규격으로 된 전주커버(10)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전주(27)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면에서
도 매우 합리적인 효과가 따른다.
특히, 본 발명은 설치후 외부판절개부(12)의 양단에 대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조립편(15)을 통해 조립구(16)의[0035]
조립홈(17)을 슬라이드식으로 밀어넣으면 조립이 완료되므로 우천시나 악천후시 등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전주
(27)나 완금(28)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주(27)를 이동하거나 전주커버(10)가 필요없을 경우는 앞서 설명한 바와 반대로 외부판절개[0036]
부(12)의 조립편(15)에 슬라이드식으로 조립된 조립구(16)를 외부로 당겨내면 조립편(15)에 결합된 조립홈(17)
에 슬립현상이 발생하여 간단히 분리가 이루어지고, 각 절개부(12,20)를 상호 엇갈리게 밀어내면 큰 공간이 확
보되어 전주(27)로부터 분리해 낼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설치가 용이하여 귀중한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인 면에서도 매우 합리[0037]
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설치와 분리와 관련하여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이동이나 설치시 원터치로 작업이
가능한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주(27)의 완금(28)에 까치 등의 조류가 둥지를 트는 현상을 방지할 수[0038]
있을 뿐만아니라 이로 인해 정전이나 감전 등 각종 전기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외관미를 전
혀 해치지 않으면서도 설치 및 분리 등의 작업을 매우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각종 조류 둥지를 방지하기 위한
전주커버(10)로서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판(11)과 내부판(19)의 재질을 상호 달리하여 원하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0039]
것으로, 즉 외부판(11)은 경질의 재질로 구성하고, 내부판(19)은 연질의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전주(27)에 설치
시 견고성을 보장하면서도 전주(27)를 감싸는 부분은 연질로 되어 있으면서 커팅부(25)에 의해 형성되는 협지편
(24)이 안쪽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주(27)에 대한 밀착력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이종(異種)의 재질을 사용하면서 원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재활용시 상호 분리하여 별도 재활용이[0040]
가능하므로 귀중한 자원의 낭비되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부가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전체 분해 사시도.[0041]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를 분리한 요부확대 분해 사시도[0042]
도 3는 본 발명의 전체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0043]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사시도[0044]
등록특허 10-1025700
- 5 -
도 5는 본 발명의 전주커버를 직경이 작은 전주에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0045]
도 6은 본 발명의 전주커버를 직경이 큰 전주에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0046]
도 7은 본 발명의 전주커버를 전주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0047]
도 8은 본 발명의 전주커버의 평면도[0048]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0049]
10 : 전주커버 11 : 외부판[0050]
12 : 외부판절개부 13 : 외부판조립돌기[0051]
14 : 외부판조립홈 15 : 조립편[0052]
16 : 조립구 17 : 조립홈[0053]
18 : 고정홈 19 : 내부판[0054]
20 : 내부판절개부 21 : 내부판조립홈[0055]
22 : 내부판조립돌기 23 : 전주조립부[0056]
24 : 협지편 25 : 커팅부[0057]
26 : 고정돌기 27 : 전주[0058]
28 : 완금[0059]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025700
- 6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025700
- 7 -
도면4
등록특허 10-1025700
- 8 -
도면5
등록특허 10-1025700
- 9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025700
- 10 -
도면8
등록특허 10-1025700
- 11 -
전주커버(electric pole cover)
2018. 6. 2. 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