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03월05일
(11) 등록번호 10-1115562
(24) 등록일자 2012년02월0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F21V 17/00 (2006.01) F21V 7/04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03295
(22) 출원일자 2010년01월14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1월14일
(65) 공개번호 10-2011-0037809
(43) 공개일자 2011년04월13일
(30) 우선권주장
1020090094426 2009년10월06일 대한민국(KR)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237488 Y1
KR1020060036039 A
KR1020090050394 A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필룩스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적로 235-48
(72) 발명자
노시청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적로 235-48
(74) 대리인
특허법인 아주양헌
전체 청구항 수 : 총 9 항 심사관 : 송현채
(54) 발명의 명칭 조명장치
(57) 요 약
조명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반사부와; 반사부 측으
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원이 구비되는 장착부와; 반사부의 개구부 반대측에 배치되어 광원을 구동시키는 회
로부; 및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회로부에 공급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이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후 외부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광이 사람에
게 직접 조사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조사되도록 하므로, 눈부심 발생이 적으며, 반사부와, 광원과, 회로부 및 전
원연결부가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콤팩트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115562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반사부;
상기 반사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구비되는 장착부;
상기 반사부의 상기 개구부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을 구동시키는 회로부; 및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회로부에 공급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부의 외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록 배
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반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장착부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청구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는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청구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는 복수개의 레트로 반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청구항 9
등록특허 10-1115562
- 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에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키는 벌집 형상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조명장치.
청구항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측에 배치되는 확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청구항 11
삭제
청구항 12
삭제
청구항 13
삭제
청구항 14
삭제
청구항 15
삭제
청구항 16
삭제
청구항 17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장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청구항 18
삭제
청구항 19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부 및 상기 회로부는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을 조사하여 조명을 구현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0001]
이다.
등록특허 10-1115562
- 3 -
배 경 기 술
조명장치는 단순히 물체를 식별하는 것 외에 실내장식이나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조[0002]
명장치는 백열등이나 형광등이 일반적이다.
백열등은 점등에 따른 부속장치가 간단하고, 다른 조명기구와의 조합이 용이하여 형광등의 보급에도 불구하고[0003]
여전히 수요 비중이 크다. 형광등은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백열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긴 장
점이 있어 백열등과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조명등으로 할로겐 사이클을 이용한 요오드 전구, 고효율 헬라이드등, 양광램프 등이 개발되어 실용화[0004]
되고 있다. 결정발광체인 EL램프는 면광원으로 차세대 광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광전자 소자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엘이디'라 함)가 조명장치의 광원으[0005]
로 사용되고 있다. 엘이디는 옥외용 대형 전광판이나 교통신호등, 자동차 계기판, 의료장비, 경고등과 같이 다
양한 곳에 적용되고 있고,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낮은 전력소모와 반영구적인 수명, 환경 친화적인 특성 등
을 가짐에 따라 조명장치의 광원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0006]
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상기와 같은 조명장치에 따르면,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조명장치를 지나는 사람[0007]
에게 눈부심을 일으키게 될 뿐 아니라, 광원과, 반사경 및 회로부가 별물로 제공되어 설치되므로 설치가 번거롭
고 외관이 콤팩트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눈부심 발생이 적고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0008]
콤팩트한 외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관통되게 형성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반사부와; 상기 반사부 측으로 광을 조사하[0009]
는 광원과; 상기 광원이 구비되는 장착부와; 상기 반사부의 상기 개구부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을 구동시
키는 회로부; 및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상기 회로부에 공급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반사부의 상기 개구부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0]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개구부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부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1]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개구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부의 외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도[0012]
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반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3]
또한, 상기 광원은 상기 장착부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4]
또한, 상기 반사부에는 상기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산하는 방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5]
또한, 상기 반사부에는 복수개의 레트로 반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6]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구부 측에 배치되는 확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7]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반사부로부터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8]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회로부로부터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9]
등록특허 10-1115562
- 4 -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사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020]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21]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22]
또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는 보조반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23]
또한, 상기 장착부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장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되는[0024]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부 및 상기 회로부는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0025]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 따르면,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이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후 외부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0026]
광이 사람에게 직접 조사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조사되므로, 눈부심 발생이 적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사부와, 광원과, 회로부 및 전원연결부가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0027]
라, 콤팩트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이 엘이디 모듈 또는 오엘이디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의 광원을 구비[0028]
하고, 디밍 제어를 통해 광원의 점등이나 조도, 색 온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조도와 색 온도로 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조립 작업만으로 광원을 반사부 상에 설치할 수 있어 제조가 용이하고 유지보수가 용이[0029]
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이 장착홈의 내부에 삽입되어 장착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외부 압력에 의한 광[0030]
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반사부에 방열부가 구비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과열로 인한 광원의 열화가 방
지되어 기구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장착부 또는 하우징부를 승강시켜 광원과 반사부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조명[0031]
위치, 조도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장착부에 복수개의 광원이 구비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넓은 영역에 대[0032]
해 밝은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0033]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등록특허 10-1115562
- 5 -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0034]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단면도이[0035]
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는 반사부(110)와, 광원(120)과, 장착부[0036]
(130)와, 회로부(140) 및 전원연결부(150)를 포함한다.
반사부(110)는 후술할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光)을 반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부(110)는 상부의[0037]
지름이 하부의 지름보다 작은 종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반사부(110)는 개구부(112)를 구
비한다. 개구부(112)는 반사부(110)의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반사부(110)는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광원(120)으로[0038]
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시키면서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일례로서,
반사부(110)는 구리,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광원(120)은 반사부(110) 측으로 광을 조사한다. 일례로서, 광원(120)은 엘이디(LED) 모듈 또는 오엘이디(OLED)[0039]
모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120)은 하나의 색상을 갖는 광을 조
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이 조합된 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광원(120)은 장착부(130)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130)는 반사부(110)의 개구부[0040]
(112)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장착부(130)는 반사부(110)의 하단부로부터 개구부(112)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다.
다른 예로서, 장착부(130)는 개구부(112)의 상부, 즉 반사부(110)의 내벽에 배치되어 반사부(110)의 내벽으로부[0041]
터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부(130)는 반사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130)는 반사부(110)가 절곡되어[0042]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장착부(130)가 반사부(11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반사부(110)와 광원
(120)은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광원(120)은 장착부(130)에 구비되되, 반사부(1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광원(120)은 반사부[0043]
(110)의 내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며, 이처럼 조사된 광은 반사부(110)의 내측에서 반사된 후 외부로 방출된다.
회로부(140)는 반사부(110)의 개구부(112) 반대측에 배치되어 광원(120)을 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0044]
로부(140)는 후술할 전원연결부(150)로부터 공급된 입력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켜 광원(120)에 공급함으
로써, 광원(120)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회로부(140)는 디밍 제어를 통해 광원(120)의 점등이
나 조도, 색 온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조도와 색 온도로 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회로부(140)는 반사부(110)의 상부에 배치되되, 반사부(110)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0045]
반사부(110)와 회로부(14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는 반사부(110)와, 광원(120) 및
회로부(140)가 일체형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게 되어 콤팩트한 외관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전원연결부(1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회로부(140)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원연결부(150)는[0046]
외부로부터 공급된 교류 성분의 입력 전원을 공급받아 회로부(140)에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연결부(150)는 외부
등록특허 10-1115562
- 6 -
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성분의 입력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는,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광이 반사부(110)에 의해 반사된 후[0047]
외부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광이 사람에게 직접 조사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조사되도록 하므로, 눈부심 발생이
적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는 반사부(110)와, 광원(120)과, 회로부(140) 및 전원연결부(150)가 일체형의[0048]
모듈로 구성되어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콤팩트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0049]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인용하였으며,[0050]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200)는 개구부(112) 측에 배치되는 확산부(260)[0051]
를 포함한다. 확산부(260)는 반사부(110)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개구부(112)를 폐쇄하며, 반사부(110)에서 반사
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확산부(26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
로 예시된다.
상기와 같은 확산부(260)는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확산부(260)가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됨[0052]
에 따라,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광은 확산부(260)가 갖는 색상과 혼색되어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연출할 수
있다. 확산부(260)는 반사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확산부(260)의 길이는 반
사부(110) 및 장착부(130)의 돌출 영역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장착부(230a)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0053]
도 4를 참조하면, 장착부(230a)는 반사부(210a)의 하단부로부터 개구부(212a)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반사[0054]
부(210a)가 절곡된 형태가 아닌 반사부(210a)와 별물로 구비되어 반사부(210a)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형태로 형
성된다.
상기와 같은 장착부(230a)는 반사부(210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장착부(230a)의 착탈 가능한 구성[0055]
은 장착부(230a)에 광원(120)이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부(230a) 전체가 반사부(210a)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반사부(210a)가 장착부(230a)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반사부(210a)와 장착부(230a)의 결합 구조에 따르면, 장착부(230a)를 형성하기 위한 절곡 작업 대[0056]
신 간단한 조립 작업만으로 반사부(210a) 상에 장착부(230a)를 형성할 수 있어 반사부(210a)의 제조가 단순화될
뿐 아니라, 필요시 장착부(230a)를 탈부착할 수 있어 광원부(120) 교체 등과 같은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한 이점
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한 반사부(110,210a)의 형상은 종 형상뿐 아니라, Ω형상, T형[0057]
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사부(210b)는 Ω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Ω형상은 중간 부위가 볼록[0058]
하게 형성되고, 하단부가 개구부(212b)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의미한다. 여기서 개구부(212b)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수평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끝부분이 상측이나 하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반사부(210b)의 개구부(212b) 측에 배치되는 장착부(230b)는, 개구부(212b)의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0059]
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장착부(230b)에 구비되는 광원(120)은, 반사부(210b)의 외측에 배치되어 반사부
(210b)의 외측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이처럼 조사된 광은 반사부(210b)의 외측에서 확산부(260) 측으로 반사되
며, 확산부(260)를 통과하여 확산되면서 외부로 방출된다.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사부(210c)는 T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T형상은 세로 방향으로[0060]
배치되는 기둥부(212c)의 상단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덮개부(214c)가 배치되는 형상을 의미하며, 기둥부
(212c)나 덮개부(214c)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기울어지거나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형상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반사부(210c)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장착부(230c)는, 반사부(210c)의 하단부 외측으로 연장되게[0061]
등록특허 10-1115562
- 7 -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장착부(230c)에 구비되는 광원(120)은, 덮개부(214c)의 하부를 향해 광을 조사
한다. 이처럼 조사된 광은 덮개부(214c)의 하부에서 확산부(260) 측으로 반사되며, 확산부(260)를 통과하여 확
산되면서 외부로 방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단면도이[0062]
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300)는 프레임부(37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0063]
(370)는 반사부(310)의 개구부(312) 측에 구비되어 반사부(310)와 확산부(26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프레임
부(370)는 반사부(310)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반사부(310)의 하단부를 부분적으로 폐
쇄한다. 즉, 프레임부(370)에 의해 반사부(310) 하단부의 측벽 주변 부분은 폐쇄되고, 반사부(310) 하단부의 중
앙 부분은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120)은 프레임부(370)에 구비되되, 반사부(3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광원[0064]
(120)은 반사부(310)의 내측을 향해 광을 조사하며, 이처럼 조사된 광은 반사부(310)의 내측에서 반사된 후 프
레임부(370)의 중앙 부분을 통해 확산부(260)를 통과하며 확산되어 외부로 방출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300)는 간단한 조립 작업만으로 광원(120)을 반사부(310) 상에 설치할 수 있[0065]
어 제조가 용이하고 필요시 프레임부(370)를 탈부착할 수 있어 광원(120) 교체 등과 같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
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0066]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400)는 장착부(430)를 포함한다. 장착부(430)는 반사부[0067]
(410)의 개구부(412) 측에 배치되며, 반사부(410)의 하단부로부터 개구부(412)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러
한 장착부(430)에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반사부(410)의 내측을 향해 개방되는 장착홈(43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120)은 장착부(430)에 설치되되, 장착홈(432)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0068]
는 광원(120)은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게 되므로, 외부 압력에 의한 파손이 방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0069]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500)는 방열부(515)가 구비되는 반사부(510)를 포함한[0070]
다. 방열부(515)는 반사부(5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광원(12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발산한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부(515)는 반사부(510)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으로 예시된다.
광원(120)이 점등되어 광을 조사하면, 반사부(510)는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한 열과 광원(120) 자체에[0071]
서 발열되는 열을 전달받는다. 이처럼 반사부(510)에 전달된 열은 반사부(51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데, 방열
부(515)는 외부의 공기와 접촉되는 반사부(510) 외측면의 표면적을 넓혀 반사부(510)의 방열 효과가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반사부(510)의 방열 효과가 상승되는 조명장치(500)는, 과열로 인한 광원(120)의 열화가 방
지되어 기구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방열부(515)가 반사부(51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0072]
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사부(5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대신 홈 형상으
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반사부(510)가 관통되게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0073]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600)는 벌집 형상부(615)가 구비되는 반사부[0074]
(610)를 포함한다. 벌집 형상부(615)는 반사부(610)의 내측면에 벌집 형상으로 형성되어 광원(120)으로부터 조
사되는 광을 난반사시킨다. 여기서, 벌집 형상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벌집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
한다.
등록특허 10-1115562
- 8 -
상기와 같은 벌집 형상부(615)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600)는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난반[0075]
사시켜 반사율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반사부(610)의 표면적이 넓어져 방열 효과가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벌집 형상부(615)가 벌집 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0076]
되는 것은 아니며 광을 난반사시키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2에는 반사부(610a)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0077]
도 12를 참조하면, 반사부(610a)에는 복수개의 레트로 반사부(615a)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레트로 반사부[0078]
(615a)는 복수개가 인접 또는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레트로 반사부(615a)는 반사부(610a)의 내측면에 반구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여기서, 레트로 반사부(615a)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레트로
반사부(615a)의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레트로 반사부(615a)는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난반사시켜 반사율을 향상시키고, 반사부(610a)의 표면적을 넓혀 반사부(610a)의 방열 효과를 향
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작동[0079]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700)는 반사부(710)로부터 거리 조절이 가능[0080]
하게 설치되는 장착부(7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730)는 반사부(710) 내측벽의 내부에 형성된 삽
입홈(부호생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부(735)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슬라이딩부(735)
는 삽입홈의 형상에 따라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슬라
이딩부(735)의 내측에는 광을 반사하는 보조반사부(미도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착부(73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700)는, 필요에 따라 장착부(730)와 반사부(710) 간의 거[0081]
리, 즉 광원(120)과 반사부(710)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조명 위치, 조도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단면[0082]
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800)는 반사부(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0083]
징부(88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880)는 천정 등에 매설되며, 전원연결부(850)와 결합되는 몸체부(882)와, 하우
징부(880)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몸체부(882)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88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부(880)의 몸체부(882)에는 결합홈(885)이 형성되며, 전원연결부(850)는 결합홈[0084]
(885)에 삽입되어 몸체부(88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전원연결부(850)와 몸체부(882)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통해, 일체형의 모듈로 이루어진 반사부(110)와 광원(120)과 회로부(140) 및 전원연결부(850)는 하우징
부(88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원연결부(850)는 그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홈(885)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몸체부(882)에[0085]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나사 결합을 통해 하우징부(88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원연결부
(850)는, 하우징부(880)와의 결합력이 향상되며, 결합시 회전 정도에 따라 반사부(110)와 광원(120)과 회로부
(140) 및 전원연결부(850)로 이루어진 모듈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부(88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800)는 하우징부(880)를 이용하여 반사부(110)와[0086]
광원(120)과 회로부(140) 및 전원연결부(850)로 이루어진 모듈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함으로써, 기구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부(880)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800)가 천정에 매설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이[0087]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하우징부(880)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장치(800)는 벽면, 바닥면에 매설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작동[0088]
등록특허 10-1115562
- 9 -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900)는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부[0089]
(98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930)는 하우징부(980)에 구비되며, 이러한 장착부(930)는 하우
징부(98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부(930)는 하우징부(9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부(980)는 하우징부(9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985)를 구비한다. 슬라[0090]
이딩부(985)는 하우징부(980)의 연장부(984) 내부에 형성된 삽입홈(부호생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장착부(930)는 이러한 슬라이딩부(985)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슬라이딩부(985)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복수의 돌기(부호생략)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돌기는[0091]
삽입홈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와 맞물린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돌기가 서로 맞물린 슬라이딩부(985)는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소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부(980)의 내측,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부(985)의 내측에는 보조반사부(986)가 더 구비된다. 보[0092]
조반사부(986)는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반사부(9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재
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장착부(930)를 반사부(910)에서 하강시켜 광원(120)이 반사부(910)의 외측
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광원(120)에서 조사되는 광의 일부는 반사부(910)에 의해 반사되고, 일부는 보조반사부
(986)에 의해 반사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900)는, 필요에 따라 장착부(930)를 승강시켜 광원(120)과 반사[0093]
부(910) 및 보조반사부(986) 간의 거리를 조절하여 조명 위치, 조도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조
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0094]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000)는 반사부(1010)와 장착부(1030)를 포함한다.[0095]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부(1010)는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며, 반사부(1010)의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0096]
되는 개구부(1012)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반사부(1010)의 개구부(1012) 측에 배치되는 장착부(1030)는, 반사부(10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0097]
측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며, 반사부(1010)의 하단부로부터 개구부(1012) 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광원(120)은 장착부(10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된다. 각각의 광원(120)은 장착부(1030)의[0098]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반사부(1010)의 내측에 배치되어 반사부(1010)의 내측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0)는 넓은 영역에 대해 밝은 조명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0099]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0100]
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200,300,400,500,600,700,800,900,1000 : 조명장치[0101]
110,310,410,510,610,710,910,1010 : 반사부
120 : 광원
130,230,430,730,930,1030 : 장착부
140 : 회로부
등록특허 10-1115562
- 10 -
150,850,950 : 전원연결부
260 : 확산부
370 : 프레임부
515 : 방열부
735 : 슬라이딩부
880,980 : 하우징부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115562
- 11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115562
- 12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115562
- 13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115562
- 14 -
도면8
도면9
등록특허 10-1115562
- 15 -
도면10
도면11
등록특허 10-1115562
- 16 -
도면12
도면13
등록특허 10-1115562
- 17 -
도면14
도면15
등록특허 10-1115562
- 18 -
도면16
등록특허 10-1115562
- 19 -
도면17
등록특허 10-1115562
- 20 -
도면18
등록특허 10-1115562
- 21 -
도면19
등록특허 10-1115562
- 22 -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2018. 6. 2. 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