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10월18일
(11) 등록번호 10-1074961
(24) 등록일자 2011년10월12일
(51) Int. Cl.

H02B 1/01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127674
(22) 출원일자 2009년12월21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12월21일
(65) 공개번호 10-2011-0071184
(43) 공개일자 2011년06월29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629901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김미숙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205-1 신호윌더하임아
파트 112동 703호
(72) 발명자
김미숙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 205-1 신호윌더하임아
파트 112동 703호
(74) 대리인
김용대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이은혁
(54)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해상판넬, 배제어반과 같이 통상 소형으로 제작되는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
은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는 프로파일(20), 측판(30), 후판(40) 및 도어(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프로파일(2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외면(22), 제 2 외면(24) 및 내면(26)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 1 외
면(22), 제 2 외면(24) 및 내면(26)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채널(23, 25, 27)이 각각
형성되며, 제 1 외면(22)과 제 2 외면(24)이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에서 전후 방향으로 정
해진 간격을 갖도록 육면체의 변을 이룬다. 측판(30)은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턱(32)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양단의 걸림턱(32)이 프로파일(20)의 길이 방향으로 제 1 외면(22)
의 채널(23)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상하 및 좌우의 측면을 구성한다. 후판(40)은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
는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턱(42)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양단의 걸림턱(42)이 프로파일(20)
의 길이 방향으로 제 2 외면(24)의 채널(25)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후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어(60)는
일측에 프로파일(20)의 제 2 외면(24)의 채널(25)에 삽입되는 너트(72)에 결합되는 힌지 블록(70)이 설치되어 프
로파일(20)에 대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전면을 이룬다. 이와 같은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 따르
면, 프로파일(20)을 사용하여 육면체의 변을 형성하고, 측판(30), 후판(40) 및 도어(60)가 프로파일(20)의 외면
(22, 24)에 형성되는 채널(23, 25)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이
편리하고, 종래기술에 비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로파일(20)의 내면(26)에 형성
되는 채널(27)을 사용하여 제어반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및 전자 기기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중간 플레이트를
필요한 크기와 형태로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 및 전자 기기들의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
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는 해상판넬, 배제어반과 같이 통상 소형으로 제작
되는 제어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판재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어반 조립작업을 편리
하게 한다.
대 표 도
등록특허 10-1074961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외면(22), 제 2 외면(24) 및 내면(26)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외면(22),
제 2 외면(24) 및 내면(26)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채널(23, 25, 27)이 각각 형성되
며, 상기 제 1 외면(22)과 제 2 외면(24)이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에서 전후 방향으로 정
해진 간격을 갖도록 육면체의 변을 이루는 프로파일(20)과;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턱(32)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단
의 걸림턱(32)이 상기 프로파일(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외면(22)의 채널(23)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상하 및 좌우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판(30)과;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턱(42)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단
의 걸림턱(42)이 상기 프로파일(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외면(24)의 채널(25)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후면을 구성하는 후판(40) 및;
일측에 상기 프로파일(20)의 제 2 외면(24)의 채널(25)에 삽입되는 너트(72)에 결합되는 힌지 블록(70)이 설치
되어 상기 프로파일(20)에 대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전면을 이루는 도어(60)를 포함하되;
상기 측판(30)은 길이 방향의 양단에 내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34)를 더 구비
하여, 상기 프로파일(20)이 이루는 육면체의 모서리에서 서로 접하게 되는 다른 측판과 외측 방향에서 직교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직교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34)에 결합되는 체결 블록(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체결 블록(50)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34)에 수직되게 밀착되어 스크류에 의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34)에 고정되
는 수직면이 형성되는 몸체(52) 및,
상기 몸체(52)에 결합되어 스크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청구항 3
삭제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해상판넬, 배제어반과 같이 통상 소[0001]
형으로 제작되는 제어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판재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어반 조립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배전반, 제어판넬 등으로 불리는 제어반은 설비, 기계 등의 제어에 필요한 계기류 및 스위치 등을 종합적으로[0002]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어반은 일반적으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각종 전기 및 전자 기기들
을 설치하도록 하는데, 제어반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장치는 통상 판재를 절곡하고 용접하여 이루어지고
등록특허 10-1074961
- 2 -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판재의 용접작업을 통해 제어반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방법에 따르면, 작업자에 따라 다양한[0003]
불량요인을 발생시키고, 외관적으로도 미려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박, 해상용 제어반의 경우 용접
부위는 장기적으로 부식의 우려가 높고, 지속적인 동적 하중으로 인한 파손의 원인이 된다. 예컨대, 용접작업
에 의한 제어반의 제작은 용접할 때 각 도면의 치수를 일일이 줄자, 각도계 및 간이형의 측정 기구로 측정하여
도면의 치수에 맞게 판재에 마킹한 후, 용접하게 되므로, 기준이 명확하지 않는 상태로 작업자에 따라서 위치가
조금씩 차이가 날수밖에 없어 작업 자체가 불편하고, 다양한 불량의 원인이 됨과 동시에 작업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9-0065112호 "수·배전반 구조"는 전[0004]
면의 중심과 양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볼트 또는 스크류의 나사부가 삽입될 정도의 폭으로 개방되고 내측으
로 이 개방된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너트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너트 홈과, 정면에 위치한 상기 너트 홈 전방
으로 형성된 단턱과, 정면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T’자형으로 돌출된 돌기와, 후면에 길이방향으로 중심이 개
방된 구조의 슬롯이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이 메인프레임을 사각 틀 형태로 고정시켜 주는 체결부재와; 상기 메
인프레임이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 2개의 사각 틀을 박스 형태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L’자형의 단면을 갖고
양면에 각각 사각으로 관통된 체결공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구조로 이 체결공을 통해 볼트로 메인 프레임의 너
트공에 끼워진 너트에 고정되는 연결프레임과; 철판의 양단이 각각 ‘ㄷ’자 모양으로 벤딩된 형태로 양측에 소
정 간격으로 고정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 고정공을 통하여 볼트로 메인 프레임의 너트공에 끼워진 너트에 고정
되어 측면 및 천정을 마감하는 패널과; 박스 형태의 골조 전면에 개폐되도록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도어 패널
로 구성되는 프레임 장치를 제안하여, 일정한 규격으로 대량생산 및 분해 조립이 가능하며 부품의 상태로 운송
하여 현장에서 직접 설치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과 물류비의 절감을 기대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18851호 "배전반'은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기대와 공동으로 역 T 자를[0005]
구성하는 1 쌍의 종부재를 기대의 좌ㆍ우측 가장자리에 설치하고, 이 종부재의 절곡편에 단면이 L 자형 및 コ자
형인 횡부재를 부착하여 구성되는 프레임 장치를 제안하여, 부품수가 적고 간단한 구성으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을 기대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40204호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엠씨씨반)"은 소정의 캐비닛 내부에 설[0006]
치되어 메인 차단기와 다수의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스바시스템과, 직교하는 부스바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부스바커넥터와,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분기 부스바에 직교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분기 부스바와 배전용 차단기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시키는 착탈식 어댑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부스바를 절단, 절곡하거나 홀 가공하지 않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모듈 조립형 저압 동력반(MCC
반)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통상 수전반 또는 배전반으로 불리는 대형 제어반의 용접방식을 배제하기 위해 프로파[0007]
일(profile)을 적용하여 프레임 장치와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또는 전자기기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 플레이
트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프레임 장치의 외측 둘레면을 이루는 판재들을 프로파일에 결합시키기 위해 여[0008]
전히 대량의 스크류(screw; 나사, 볼트)를 사용해야 하므로, 역시 작업시간의 증가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외부 통제가 이루어지는 대형 수·배전반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통제가 어려운
장소에 주로 설치되는 소형 배전반의 경우 스크류 결합에 의한 프레임 장치의 경우 무모한 분해로 인한 안전사
고의 위험이 내재되는 문제점이 있고, 수많은 스크류들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 미관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
는 것이다.
등록특허 10-1074961
- 3 -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해상판넬, 배제어반과 같이[0009]
통상 소형으로 제작되는 제어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판재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어
반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기술들과 같이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외측 둘레면을 이루는 판재들을 결합시키도록 하므로[0010]
써, 용접방식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되, 판재들을 프로파일에 직접 맞춤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대량의 스크류를 사용하므로써 발생되는 조립 작업과 외관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써, 소형 제어반
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외관이 미려한 새로운 형태의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 해결수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외면(22), 제[0011]
2 외면(24) 및 내면(26)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외면(22), 제 2 외면(24) 및 내면(26)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채널(23, 25, 27)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외면(22)과 제 2 외면(24)이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에서 전후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갖도록 육면체의 변을 이루는
프로파일(20)과;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턱(32)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
성되고, 상기 양단의 걸림턱(32)이 상기 프로파일(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외면(22)의 채널(23)에 삽입
되어 결합되므로써, 상하 및 좌우의 측면을 구성하는 측판(30)과;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양단에서 내측으
로 절곡되는 걸림턱(42)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양단의 걸림턱(42)이 상기 프로파일(2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2 외면(24)의 채널(25)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후면을 구성하는 후판(40) 및; 일측에 상기
프로파일(20)의 제 2 외면(24)의 채널(25)에 삽입되는 너트(72)에 결합되는 힌지 블록(70)이 설치되어 상기 프
로파일(20)에 대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전면을 이루는 도어(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서 상기 측판(30)은 길이 방향의 양단에 내측 방향으로[0012]
수직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34)를 더 구비하여, 상기 프로파일(20)이 이루는 육면체의 모서리에
서 서로 접하게 되는 다른 측판과 외측 방향에서 직교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직교되는 공간에 삽입
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34)에 결합되는 체결 블록(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서 체결 블록(50)은 상기 고정 플레이트(34)에 수직되게[0013]
밀착되어 스크류에 의해 상기 고정 플레이트(34)에 고정되는 수직면이 형성되는 몸체(52) 및, 상기 몸체(52)에
결합되어 스크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54)를 구비할 수 있다.
효 과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에 따르면, 프로파일(20)을 사용하여 육면체의 변을 형성하고, 측판[0014]
(30), 후판(40) 및 도어(60)가 프로파일(20)의 외면(22, 24)에 형성되는 채널(23, 25)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
므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이 편리하고, 종래기술에 비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
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로파일(20)의 내면(26)에 형성되는 채널(27)을 사용하여 제어반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및 전자 기기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중간 플레이트를 필요한 크기와 형태로 편리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 및 전자 기기들의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는 해상판넬, 배제어반과 같이 통상 소형으로 제작되는 제어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판재
등록특허 10-1074961
- 4 -
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어반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e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0015]
5e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서 밝힌 종래기술들,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재와 관련된 기술들 및 다양한
소재들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는 기술 등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
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
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0016]
2는 도 1에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라인 B-B'을 따라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의 주요 구
성을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특별하게 구[0017]
성되는 프로파일(20), 측판(30), 후판(40) 및 도어(60)를 구비하여, 내부에 각종 전기 및 전자 기기들을 설치하
도록 제어반의 골격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프로파일(20)을 사용하여 육면체의 변을 형성하[0018]
고, 측판(30), 후판(40) 및 도어(60)가 프로파일(20)의 외면(22, 24)에 형성되는 채널(23, 25)에 결합되는 구조
를 가지므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이 편리하고, 종래기술에 비해 미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0019]
으로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60)는 필요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일측이 힌지 블록(70)
에 의해 결합되며, 임의로 열고 닫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 블록(70)의 반대측에 열쇠(66)가 설치된다. 그
리고, 양측면에는 걸쇠(38)가 설치되어 벽면 등에 못 등으로 걸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외관의 미려함을 유지하고, 조립의 편의성을 제공하[0020]
며, 프로파일(20)의 맞춤 결합을 위해 육면체의 모서리에 체결 블록(50)이 설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체결
블록(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20) 자체로 맞춤되는 구조에 비해 더욱 안정적인 고정 구조를 제공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의 각 면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에서 프로파일(20)은 길이[002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외면(22), 제 2 외면(24) 및 내면(26)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 1 외면(22), 제 2 외면
(24) 및 내면(26)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채널(23, 25, 27)이 각각 형성되며, 제 1
외면(22)과 제 2 외면(24)이 외측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하 및 좌우 방향에서 전후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갖
도록 육면체의 변을 이룬다.
이와 같은 프로파일(20)은 압출성형을 통해 바 형태로 형성한 다음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0022]
이다. 이때, 프로파일(20)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성 외에도 그 강도를 높이거나 조립에 필요한 추가적인 단
등록특허 10-1074961
- 5 -
면구조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20)에는 모서리에 설치되는 체결
블록(50)과 스크류로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여기서, 길이 방향은 프로파일(20)의 압출성형 방향이고, 측
판(30) 및 후판(40)이 결합되는 방향이다}으로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프로
파일(20)은 하나의 단면 구조를 6개의 변에 모두 적용하므로써, 서로 다른 단면구조의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경
우보다 제작비용의 절감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프로파일(20)은 동일한 단면을 갖는 한 종류가 적용되고, 제 1 외면(22)과 제 2 외면(24)이 제어반의
외측면{즉, 좌우측면과 전후면}을 이루도록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프로파일(20)의 각면에 형성되
는 채널(23, 25, 27)은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면으로부터의 입구에 턱이
형성되도록 하여 측판(30) 및 후판(40)의 걸림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채널(23,
25, 27)의 설계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60)는 일측에 프로파일(20)의 제 2 외면(24)의 채널(25)에 삽입되는 너[0023]
트(72)에 결합되는 힌지 블록(70)이 설치되어 프로파일(20)에 대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전면을 이룬
다. 이와 같은 도어(60)는 판재(61)가 전면을 덮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임의로 열고 닫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힌지 블록(70)의 반대측에 열쇠(66)가 설치되는데, 이 열쇠(66)는 도어(60)의 내측에서 결합되어
프로파일(20)의 내면(26)의 채널(27)에 걸리어 잠금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내측에 도어(60)의 열림을 어느 정도 제어하기 위한[0024]
걸림쇠(76)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걸림쇠(76)는 도어(60)의 판재(61) 내측에 결합되는 브라켓(74)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프로파일(20) 내면(26)의 채널(27)에 삽입되는 너트(78)에 볼트를 채워 결합된다. 이때, 걸
림쇠(76)에는 일정한 길이의 슬롯(77)과 걸림턱(77')이 형성되어 열림을 제한하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걸
림쇠(76)의 슬롯(77)의 길이와 걸림턱(77')의 위치는 설계자 및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
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에서 측판(30)은 길이 방[0025]
향에 대해 수직되는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턱(32)이 길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양단의 걸림턱
(32)이 프로파일(20)의 길이 방향으로 제 1 외면(22)의 채널(23)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상하 및 좌우의 측
면을 구성한다. 그리고, 후판(40)은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양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걸림턱(42)이 길
이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양단의 걸림턱(42)이 프로파일(20)의 길이 방향으로 제 2 외면(24)의 채널(25)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후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에서 측판(30)과 후판(40)은 각각 평편한 판재(31,[0026]
41)의 양단에 걸림턱(32, 42)을 형성하여 프로파일(20)의 제 1 외면(22) 및 제 2 외면(24)에 형성되는 채널(23,
25)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므로써, 프레임을 위한 측면과 후면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서 측판(30)은 길이 방향의 양단에 내측 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34)를 갖는다.
이와 같은 고정 플레이트(34)는,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20)이 이루는 육면체의 모서리에서 서로
접하게 되는 다른 측판과 외측 방향에서 직교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직교되는 공간에는 체결 블록
(50)이 결합되어 고정 플레이트(34)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므로써, 전체적으로 박스 형태의 강성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체결 블록(50)은,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34)에 수직되게 밀착되어 스크류에[0027]
의해 고정 플레이트(34)에 고정되는 수직면이 형성되는 몸체(52)와, 이 몸체(52)에 결합되어 스크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54)로 이루어져 육면체의 네 모서리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커버(54)는 몸체(52)에
스냅 구조 등을 적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해상판넬, 배제어반과 같이 통상 소[0028]
등록특허 10-1074961
- 6 -
형으로 제작되는 제어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고, 판재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제어반 조립
작업을 편리하게 한다.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보[0029]
여주는 사시도들이다. 이때, 도 5a는 전술한 도 4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준비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및 전후로
배치되는 프로파일(20)에 측판(30)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b는 측판(30)이 결합된 좌우면의 구
성에 후판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c는 도 5b와 같이 후판(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측판(30)이 결
합된 상하면의 구성을 서로 맞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d는 도 5c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 블록(50)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e는 중간 플레이트(90)와 도어(60)를 결합시키는 상태를 보
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의 조립과정을[0030]
보면, 도 4와 같이 모든 구성요소들이 준비된 상태에서, 도 5a와 같이 상하좌우 및 전후로 프로파일(20)을 배치
하면서 측판(30)을 결합시키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이와 같은 과
정에서 스크류를 전혀 사용할 필요없이, 측판(30)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턱(32)이 프로파일(20)의 채널(23)에 길
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측판(30)과 프로파일(2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판(30)이 결합된 좌우면의 구성에 후판(40)을 결합시켜 도 5c와 같은 상태가 되게
한다. 물론, 이와 같은 후판(40)의 조립도 전술한 측판(30)의 결합과 같이 스크류를 전혀 사용할 필요없이, 후
판(40)을 길이 방향으로 프로파일(20)에 결합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어반의 측면과 후면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0031]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판(30)들이 만나는 모서리에 체결 블록(50)을 결합시키고, 스크류로 체결 블록(50)의
몸체(52)와 측판(30)의 고정 플레이트(34)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체결 블록(50)의 커버(54)를 몸체(52)에
결합시켜 스크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5e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10)는 프로파일(20)의 내면(2[0032]
6)에 형성되는 채널(27)을 사용하여 제어반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기 및 전자 기기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중간 플
레이트(90)를 결합시켜 전기 및 전자 기기들의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중간
플레이트(90)는 내부에 설치되는 기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0033]
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0034]
도 2는 도 1에서 라인 A-A'을 따라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0035]
도 3은 도 2에서 라인 B-B'을 따라 절취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0036]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보여주는[0037]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보[0038]
여주는 사시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039]
등록특허 10-1074961
- 7 -
10 :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0040]
20 : 프로파일(profile) 22 : 제 1 외면[0041]
23, 25, 27 : 채널(channel) 24 : 제 2 외면[0042]
26 : 내면 30 : 측판[0043]
32, 42 : 걸림턱 34 : 고정 플레이트[0044]
40 : 후판 50 : 체결 블록[0045]
52 : 몸체 54 : 커버[0046]
60 : 도어 70 : 힌지 블록[0047]
72 : 너트[0048]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074961
- 8 -
도면2
등록특허 10-1074961
- 9 -
도면3
등록특허 10-1074961
- 10 -
도면4
등록특허 10-1074961
- 11 -
도면5a
등록특허 10-1074961
- 12 -
도면5b
등록특허 10-1074961
- 13 -
도면5c
등록특허 10-1074961
- 14 -
도면5d
도면5e
등록특허 10-1074961
- 15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