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6월14일
(11) 등록번호 10-1041266
(24) 등록일자 2011년06월07일
(51) Int. Cl.
G07F 19/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067477
(22) 출원일자 2009년07월23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07월23일
(65) 공개번호 10-2011-0009993
(43) 공개일자 2011년01월3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70037026 A
(73) 특허권자
엘지엔시스(주)
서울 마포구 공덕동 275
(72) 발명자
조우성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2동 지방재정회관빌딩 11
층 LG엔시스
(74) 대리인
허용록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김태영
(54) 매체 간격 유지장치 및 간격 유지 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매체 자동 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이송되는 매체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확보하고자 한다. 본 발명
에 의하면 픽업부(10)의 픽업롤러(16)는 매체(M)를 한 장씩 픽업하여 부분 이송 경로부(20)로 이송시킨다. 매체
는 제1롤러 쌍(22), 제2롤러 쌍(24), 그리고 제3롤러 쌍(26)을 통하여 이송되어 전체 이송 경로부(30)의 롤러 쌍
(32)로 이송된다. 매체의 간격이 설정 값보다 작다고 센서(S)에 의하여 판단되면, 롤러 쌍(32)가 매체를 당길
때, 그 전의 롤러 쌍(22,24,26)은 구동을 정지한다. 이 때 롤러 쌍(26)의 구동롤러(26a)에는 원웨이베어링이 내
장되어 있어서, 매체는 이송 가능하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매체 간의 간격이 확보되면 다시 전체 롤
러 쌍이 동작하여 매체를 이송시키게 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041266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적재된 복수 매의 매체를 한 장씩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적재된 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함과 같이
상기 픽업롤러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1구동원을 포함하는 픽업부;
상기 픽업롤러에서 이송되는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롤러
쌍과,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쌍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함과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쌍을 정지시
키는 것이 가능한 제2구동원, 그리고 매체의 길이 및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부분 이송경로부; 그리
고
상기 부분 이송경로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매체를 받아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전체 이송경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체 이송경로부의 이송수단에 의하여 매체가 당겨질 때, 매체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 이송경로부의 롤러
쌍에 원웨이베어링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간격 유지장치.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송경로부의 롤러 쌍은, 픽업롤러에서 매체를 공급받는 제1롤러 쌍과, 전체 이
송경로부로 매체를 이송하는 제3롤러 쌍, 그리고 상기 제1롤러 쌍과 상기 제3롤러 쌍 사이에 설치되는 제2롤러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는 제2롤러 쌍과 제3롤러 쌍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간격 유지
장치.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쌍은 각각, 제1구동원 또는 제2구동원으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
동롤러와, 상기 롤러에 접촉하면서 그 사이에서 매체가 이송되는 종동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제3롤러 쌍의 종
동롤러에는 원웨이베어링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간격 유지장치.
청구항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롤러 쌍 사이에는 매체를 가이드하는 패스 가이드
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간격 유지장치.
청구항 5
적재된 매체를 구동원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 의하여 픽업된 매체를 이송
시키기 위하여,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롤러 쌍을 구비하는 매체 간격 유지
방법으로:
픽업롤러에서 연속적으로 픽업되어 이송되는 매체의 길이 및 간격을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감지된 매체 간격이 설정된 간격보다 좁을 때, 선행하는 매체가 최하류 측 롤러 쌍에 의하여 당겨질 때, 그 상
류측의 롤러 쌍 및 픽업롤러를 정지하는 제 2 단계; 그리고
선행하는 매체와 후행하는 매체의 간격이 확보되면, 다시 픽업롤러 및 롤러 쌍의 구동을 시작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매체 간격 유지방법.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선행하는 매체가 최하류 측 롤러 쌍에 의하여 당겨질 때, 그 상류 측
의 롤러 쌍 중에서 선행하는 매체가 물려 있는 롤러 쌍의 구동롤러에는 원웨이베어링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매체 간격 유지방법.
등록특허 10-1041266
- 2 -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현급 지급기와 같은 매체 자동 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 자동 지급기 내의 입출[0001]
금 모듈 내에서 이송되는 매체가 항상 일정한 간격을 가질 수 있도록 유지하는 매체 간격 유지장치 및 매체 간
격 유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매체 자동 지급기는 내부에 집적되어 있는 매체를 원하는 매 수만큼 외부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가 요[0002]
구하는 신뢰도를 보장하면서 외부로 인출되기 위하여 이송되는 매체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송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집적되어 있는 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내부의 이송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
게 되는데, 여기서 집적된 복수 매의 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는 경우, 부분적으로 고무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 롤
러를 이용하고 있다.
즉, 매체를 주기적으로 픽업함으로써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롤러의 일부분에만 고무 등[0003]
이 부착된 부분 롤러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부분롤러는 DC모터로 제어되고 있다. DC모터에 의하여 구동되
는 부분 롤러를 이용하게 되면, 매체가 픽업되는 부분에서 전체 이송경로로 이동시키는 부분이 항상 일정한 속
도로 지속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매체 간의 거리가 짧거나 매체가 연결되어 인입되면 그 처리가 불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매체가 연결되어 이송되거나 매체가 연결되어 공급되는
경우, 이러한 매체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매체를 리젝트하는 처리 성능이 저
하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되어 이송되는 매체의 일부를 리젝트 처리한다고 하더
라도 인접한 매체의 영향으로 집적시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점도 지적되고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 자동 지급기에서 이송되는 매체가 항상 설정된 간[0004]
격을 가지고 한 장씩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매체간격 유지장치 및 매체 간격 유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실질적으로 매체 자동지급기에서의 매체의 인출 등에서 지급기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0005]
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매체간격 유지장치는, 적재된 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0006]
롤러와, 상기 픽업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함과 같이 상기 픽업롤러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1구동원을 포함하는 픽업부; 상기 픽업롤러에서 이송되는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롤러 쌍과, 상
기 복수 개의 롤러 쌍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함과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롤러 쌍을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2구동원, 그리고 매체의 길이 및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부분 이송경로부; 그리고 상기 부
분 이송경로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매체를 받아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을 구비하는 전체 이송경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체 이송경로부의 이송수단에 의하여 매체가 당겨질 때, 매체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 이송경로
부의 롤러 쌍에 원웨이베어링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선행하는 매체와 후행하는 매체의 간격이 설정 간격보다 좁은 경우에는, 선행하는 매체는 지속적으로[0007]
이송되는 동안에 후행하는 매체는 일시적으로 정지한 후, 다시 전체적으로 매체의 이송이 계속된다. 이러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매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할 것이다.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부분 이송경로부의 롤러 쌍은, 픽업롤러에서 매체를 공급받는 제1롤러 쌍과, 전[0008]
체 이송경로부로 매체를 이송하는 제3롤러 쌍, 그리고 상기 제1롤러 쌍과 제2롤러 쌍 사이에 설치되는 제2롤러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는 제2롤러 쌍과 제3롤러 쌍 사이에 설치된다.
등록특허 10-1041266
- 3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롤러 쌍은 각각, 제1구동원 또는 제2구동원으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0009]
아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롤러에 접촉하면서 그 사이에서 매체가 이송되는 종동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제3롤러 쌍의 종동롤러에는 원웨이베어링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롤러 사이에는 매체를 가이드하는 패스 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0]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된 매체를 구동원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픽업하는 픽업롤러와; 상기 픽업롤러에[0011]
의하여 픽업된 매체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롤러 쌍
을 구비하는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 간격 유지방법으로: 픽업롤러에서 연속적으로 픽업되어 이송되는 매체의
길이 및 간격을 감지하는 제 1 단계와; 감지된 매체 간격이 설정 간격 보다 좁을 때, 선행하는 매체가 최하류
측 롤러 쌍에 의하여 당겨질 때, 그 상류 측의 롤러 쌍 및 픽업롤러는 정지하는 제 2 단계; 그리고 선행하는
매체와 후행하는 매체의 간격이 확보되면, 다시 픽업롤러 및 롤러 쌍의 구동을 시작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선행하는 매체가 최하류 측 롤러 쌍에 의하여 당겨질 때, 그 이전의 롤러 쌍 중에[0012]
서 선행하는 매체가 물려 있는 롤러 쌍의 구동롤러에는 원웨이베어링이 내장되어 있다.
효 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픽업롤러에서 픽업되어 한 장씩 공급되는 매체는 모두 일정한[0013]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실질적으로 매체 자동 지급기의 신뢰도를 높임
과 동시에 매체의 이상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0014]
먼저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매체 자동 지급기의 매체 간격 유지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0015]
본 발명의 매체 간격 유지장치는, 집적되어 있는 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부(10)와, 상기 픽업부(10)에서[0016]
픽업되어 이송되는 매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부분 이송경로부(20), 그리고 상기 부분 이송경로부(20)에서
이송되는 매체를 매체 자동 지급기의 전체 이송경로로 보내기 시작하는 부분인 전체 이송경로부(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픽업부(10)는 집적부에 집적되어 있는 복수의 매체(M)를 한 장씩 인출하는 부분이다. 매체(M)는 집적부에[0017]
다수 매 집적되어 있는데, 매체의 인출을 위하여 푸셔(14)가 상기 매체(M)를 픽업롤러(16)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매체(M)의 상단부측에는 픽업롤러(16)가 장착되어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0018]
픽업롤러(16)는, 롤러의 전체 외주연에 고무 등과 같이 마찰력이 높아서 매체를 한 장씩 인출할 수 있는 재질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픽업롤러(16)의 전체 외주연이 고무로 덮혀 있어서, 어느 부분에서도 매체와 접촉하
여 매체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픽업롤러는 부분적으로 고무가 부착되어 있음
에 반하여, 본 발명의 픽업롤러는 외주연 전체에 고무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픽업롤러(16)는 구동원 즉 스텝모터(18)에 의하여 구동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텝모터(18)를[0019]
구동원으로 하여, 벨트 구동장치를 통하여 상기 픽업롤러(16)를 구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픽업롤러
(16)가 스텝모터(18)를 구동원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매체를 픽업하는 과정에서, 픽업롤러(16)의 정지가 필요
한 순간에는 이를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순간 구동을 정지할 수 있는 스텝모
터를 이용함으로써, 매체를 픽업하기 위하여 구동되는 픽업롤러(16)의 구동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
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픽업부(10)를 통하여 한장씩 픽업된 매체는 부분 이송경로부(20)로 이송된다. 부분 이송경로부[0020]
(20)는 전체 이송경로부(30)로 매체를 전달하기 위한 경로로써, 실질적으로 매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정상적
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부분 이송경로부(20)에는 여러 쌍의 롤러(22,24,2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쌍의 롤러[0021]
(22,24,26)는 픽업부(10)에서 공급되는 매체를 순차적으로 통과시키면서 전체 이송경로부(30)로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부분 이송경로부(20)는, 연속하여 이송되는 매체를 각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
등록특허 10-1041266
- 4 -
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부분 이송경로부(20)의 롤러는, 상기 픽업롤러(16)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픽업롤러(16)에서 매체를 전달받는 제1[0022]
롤러 쌍(22:22a,22b)과, 상기 제1롤러 쌍(22)으로부터 전달되는 매체를 받아서 이송시키는 제2롤러 쌍
(24:24a,24b), 그리고 상기 제2롤러 쌍(24)으로 부터 전달되는 매체를 받아서 이송시키는 제3롤러 쌍
(26:26a,26b)으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롤러 쌍은, 상류측에서 매체를 전달받아 하류측에 설치된[0023]
롤러 쌍로 이송시킬 수 있는 간격을 가지도록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롤러 쌍 중에서, 일측의 롤러
(22a,24a,26a)는 스텝모터(28)로부터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롤러이고, 다른 측의 롤러(22b,24b,26b)는 상기 롤
러(22a,24a,26a)로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그 사이에서 매체를 이송시키는 종동롤러이다.
그리고 상술한 롤러 및 후술하는 전체 이송경로부(30)의 롤러(32) 사이에는 이송되는 매체를 가이드하기 위한[0024]
패스가이드(Pg)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패스가이드(Pg)는, 도시된 복수개의 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매체의 정확한 이송경로를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패스가이드(Pg)는 얇은 판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그 사이
에 매체가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롤러 쌍(24)는 제1롤러 쌍(22)에서 이송되어 오는 매체를 받아서, 제3롤러 쌍(26)으로 이송시킬[0025]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롤러 쌍(22,24,26)은 서로 근접한 상태로 설치되어 그 사이를 통
하여 매체를 받아서 이송시킬 수 있게 설치되어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부분 이송경로부(20)의 구동원은 스텝모터(28)이다. 즉, 상기 스텝모터(28)는, 부분 이송경로부(2[0026]
0)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롤러 쌍(22,24,26) 중에서 어느 일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서는, 상기 스텝모터(28)는, 각각의 롤러 쌍(22,24,26) 중에서 근접한 롤러(22a,24a,26a)에 벨트를 통하여 동력
을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부분 이송경로부(20)에서도 구동원은 회전 및 정지에 대한 제어
가 가능한 스텝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부분 이송경로부(20)에는 매체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S;Sa,S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센[0027]
서(S)는 매체의 길이 및 매체 간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부분 이송경로부(20)의 내부에서 각각의 롤
러를 통하여 이송되는 매체의 길이와 매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센서(S)를 사용하는 것
도 가능할 것이고, 예를 들면 적외선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구성예로써, 상기 센서(S)는 발광부(Sa)와
수광부(Sb)로 구성할 수 있고, 발광부(Sa)에서의 광량에 대한 수광부(Sb)에서의 광의 수신여부 또는 광량에 따
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매체의 길이 및 매체 사이의 간격 등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부분 이송경로부(20)의 가장 하류측에 있는 롤러(26a)는 원웨이베어링이 내장되어 있는 롤러이다.[0028]
따라서 상기 롤러(26a)상기 스텝모터(28)에 의하여 구동되고 있다가, 상기 스텝모터(28)에서의 동력전달이 차단
된다고 하더라도 외력에 의하여 상기 롤러(26a)는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부분 이송경로부(20)의 하류측에는 전체 이송경로부(30)가 마련된다. 전체 이송경로부(30)는, 집적되어[0029]
있는 매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전체경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매체 간격 유지장치를 통과한
후, 전체 이송경로로 들어가는 입구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전체 이송경로부(30)에는 상기 부분 이송경로부(20)의 최종 롤러 쌍(26)를 통하여 이송되는 매체를 받아서[0030]
이송시킬 수 있는 롤러 쌍(32:32a,32b)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원인 모터(38)의 구동력은 벨트를 통하여
그 일측의 롤러(32a)로 전달된다. 상기 롤러(32a)에 전달된 회전력은 대응하는 롤러(32b)를 같이
회전시키면서, 그 사이로 매체를 통과시키면서 이후의 이송경로로 매체를 이송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체 이송
경로부(30)에서 사용되는 모터는 일반적이고 저렴한 DC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매체 간격 유지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0031]
도 2는 매체가 연속하여 이송되는 경우, 즉 필요한 간격 보다 좁은 간격으로 이송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고,[0032]
도 3은 이렇게 연속하여 이송되는 이송되는 매체를 정상적인 간격으로 조정한 후 이송하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
다.
먼저 정상적인 상태의 매체의 흐름을 살펴본다. 매체 자동 지급기의 동작이 시작되면, 픽업롤러(16)는 스텝모[0033]
터(18)에서의 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시키게 된다. 픽업롤러(16)에서 픽업되
어 이송되는 매체는, 부분 이송경로부(20)의 첫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제1롤러 쌍(22) 사이를 통하여 이송되면
서, 제2롤러 쌍(24) 및 제3롤러 쌍(26)을 통하여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부분 이송경로부(20)의 마지막 롤러
등록특허 10-1041266
- 5 -
쌍(26)을 통과한 매체는 전체 이송경로부(30)의 처음에 설치된 롤러 쌍(32) 사이를 통하여 이송되면서, 매체 자
동지급기의 전체 경로를 통하여 배출될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기치 못한 사정에 의하여, 매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지 못하고 연속하여[0034]
픽업되어 이송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행하는 매체(Ma)는 픽업롤러(16)에 의하여 픽업된
후, 부분 이송경로부(20)의 롤러 쌍(22,24,26)을 경유하면서 이송된다. 그리고 이렇게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술
한 센서(S)는 매체의 길이 및 매체간의 간격을 측정하고 있는 상태이다.
선행하는 매체(Ma)의 후단부가 센서(S)를 통과하고 난 후, 후행하는 매체(Mb)가 상기 센서(S)의 감지영역으로[0035]
들어오게 되면, 상기 센서(S)의 감지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매체(Ma,Mb) 사이의 간격이 원하는 설정값 보다 작아
서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매체가 이송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후행하는 매체(Mb)를 일정 시간
지연시켜서, 매체간의 간격을 정상적인 간격으로 조정하여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하는 매체가, 부분 이송경로부(20)의 제3롤러 쌍(26)을 통과하여, 그 선단부가 전체 이송경로[0036]
부(32)의 롤러 쌍(32)에 물리게 되면, 상기 부분이송경로부(20) 및 픽업부(10)의 동력전달을 차단한다. 즉, 상
기 센서(S)에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도시 생략)가, 스텝모터(18,28)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선행하는 매체(Ma)의 위치는, 선단부는 전체 이송경로부(30)의 롤러 쌍(32)에 물려 있는 상태이고,[0037]
후단부는 부분 이송경로부(20)의 마지막 롤러, 즉 제3롤러(26)에 물려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선행하는 매체
(Ma)는 제2롤러 쌍(24)에서는 이미 빠져 나온 상태이다. 만일 롤러의 배치가 도시한 바와 상이하게 되어, 선행
하는 매체(Ma)의 선단부가 롤러상(32)에 물린 상태에서, 후단부가 제2롤러 쌍(24)에 아직도 물리게 된다면, 상
기 제2롤러 쌍(24)의 구동 롤러(24a)도 원웨이베어링을 내장하는 롤러를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선행하는 매체(Ma)가 스텝모터(38)에 의하여 회전하는 롤러(32a)에 물리게 되면, 상기 롤러(32a)의 회전력에 의[0038]
하여 매체(Ma)는 계속하여 이송된다. 이 때 상기 매체(Ma)의 후단부가 물려 있는 롤러(24a)는 원웨이베어링이
내장되어 있어서 외력에 의한 일 방향 회전이 자유스럽기 때문에 상기 롤러(32a)에 의하여 이송되는 매체(Ma)는
지속적으로 이송된다. 이때 후행하는 매체(Mb)는, 부분 이송경로부(20)의 스텝모터(28)가 정지된 상태이기 때
문에 더 이상의 이송이 없는 정지상태로 대기하고 있다. 또한 이때 상기 픽업부(10)의 스텝모터(18)도 정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픽업롤러(16)에 의한 픽업도 일어나지 않고 대기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행하는 매체(Ma) 만이 이송되고 있는 상태가 시작되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픽업부[0039]
(10)의 스텝모터(18) 및 부분 이송경로부(20)의 스텝모터(28)가 다시 동작을 재개하게 된다. 상기 스텝모터
(18,28)의 가동 재개는, 센서(S)에서 감지된 매체 사이의 간격과 선행하는 매체(Ma)의 이송속도를 고려하여, 매
체 사이의 간격이 원하는 정도가 되었을 때 수행되며 이러한 것은 제어부(도시 없음)의 제어하에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선행 매체(Ma)는 부분 이송경로부(20)에서 전체 이송경로부(30)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후행 매체(Mb)[0040]
는 일정 시간 정지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되는 매체(Ma,Mb) 사이의 간격이 원
하는 정도까지 이격되어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이송되는 매체의 간격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픽업되어 이송되는 매체의 간격을 일정하게[0041]
유지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
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지 다른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자명하고, 본 발명
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그 보호범위가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 자동 지급기의 요부를 보인 개략도.[0042]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 자동 지급기에서 매체가 간격 없이 이송되는 예를 보인 예시도.[0043]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 자동 지급기에서 간격 없이 이송되던 매체의 간격을 확보한 상태의 예시도.[0044]
등록특허 10-1041266
- 6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041266
- 7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041266
- 8 -
매체 간격 유지장치 및 간격 유지 방법(Device for maintaining media intervals and method for maintaining intervals between media)
2018. 6. 2. 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