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특허 10-0380026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A61F 13/15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3년04월18일
10-0380026
2003년04월01일
(21) 출원번호 10-2000-0085411 (65) 공개번호 특2002-0056107
(22) 출원일자 2000년12월29일 (43) 공개일자 2002년07월10일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0
(72) 발명자 김상경
대전광역시중구유천2동하나아파트1110호
정대붕
충청북도청주시흥덕구봉명동1604엘지화학사원아파트C-708호
(74) 대리인 신영무
최승민
조인제
심사관 : 최승삼
(54) 일회용 흡수제품
요약
본 발명은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가 제2고착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일정 깊이 및 일정 크기로 엠보싱 가공하여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한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8),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상기
상부시트(8)와 배면시트(4)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1)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제1허리영역(19)과 제2허리영역(20)
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1허리영역(19)에 흡수제품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1고착부재(15)를 포함하는 기계적 고착
수단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배면시트(4)가 제2고착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시트(4)와 제1고착부재(15) 사이의 벗김강도는 100 내지 600g/25㎜이고, 옆으로 당겼을 때의 힘인 쉬어강
도가 500 내지 3,000g/25㎜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 1 -
등록특허 10-0380026
대표도
도 1
색인어
배면시트, 후크캐리어, 제1고착부재, 핑거탭, 엠보싱 가공, 랜딩부재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제품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제품의 펼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제품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제품의 배면시트 제조시 엠보싱 가공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제품의 배면시트를 부분확대하여 엠보싱 형상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제품의 배면시트를 부분절개하여 확대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제품의 배면시트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흡수체 2 : 부직포
3 : 방수필름 4 : 배면시트
5 : 응가밴드 6 : 솜털펄프
7 : 고흡수성 수지 8 : 상부시트
9 : 응가밴드 탄성체 10 : 티슈
11 : 다리밴드 12 : 앞허리밴드
13 : 뒤허리밴드 14 : 후크캐리어
15 : 제1고착부재 16 : 핑거탭
17 : 종가장자리 18 : 제1허리영역 말단가장자리
19 : 제1허리영역 20 : 제2허리영역
21 : 제2허리영역 말단가장자리
- 2 -
등록특허 10-0380026
22 : 가열엠보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일회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별도의 제2고착부재, 즉 랜딩부재(landing member)를 포함하지 않고, 액체 불투
과성의 배면시트가 제2고착부재의 기능을 하도록 고안된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가 제2고착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일정 깊이 및 일정 크기로 엠보싱 가공하여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한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흡수제품은 사람이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하는 체액을 흡수하는 제품, 즉 오줌, 대변을 흡수하는
제품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아가 사용하는 기저귀(baby diaper), 실금자가 사용하는 기저귀(adult diaper), 및 여
성용 생리대(sanitary napkin) 등이 있다.
이중 여성용 생리대를 제외한 일회용 흡수제품들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8), 이들 사이
에 개재되어 착용자의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체(1)와, 착용자의 허벅지 부분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배설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최종적으로 막아주며, 외관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응가밴드(5)(barrier cuff), 옆샘을 방지하기 위해 다리
밴드(11)(leg band)도 포함할 수 있다. 응가밴드(5)는 통상 종가장자리(17)를 따라 형성된다. 허리부분의 착용감의
향상을 위한 허리밴드(waist band) 및 체결수단(closure system)을 포함한다. 또한, 허리밴드는 통상 앞허리밴드(1
2)와 뒤허리밴드(13)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흡수체(1)는 통상적으로 솜털펄프(6)(fluff pulp), 고흡수성 수지(7)(SAP ; super absorbent polymer) 및 티
슈(10)(tissue) 등으로 이루어지며,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8)를 통과하는 배설물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고, 흡수된 배
설물이 다시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된 배설물을 보유하는 기능을 한다.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8)는 체액이 흡수체(1)로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합성 부직포(2) 또는 구멍이 형성된 필름
이 사용된다. 합성 부직포(2)로는 흡수체(1)에 흡수될 체액을 빨리 전달하기 위해 통상 소수성 섬유에 친수성 처리를
한 것이 사용된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의해 흡수된 체액이 흡수체(1) 밑으로 새어나와 착용자의 의복이나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폴리에틸렌 필름을 주로 사용하고, 폴리에틸렌 필름에 부직포(2)를
접착시켜 소재의 부드러움성을 향상시킨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8)와 흡수체(1)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로 이루어지는 흡수제품에는 이를 신체에
착용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게 된다. 또한, 각 소재들은 고온 용융 접착제, 열융착 또는 다른 접착
방법에 의해 접착, 고정시킨다.
일회용 흡수제품 즉, 아기 기저귀, 실금자용 기저귀 및 여성용 생리대를 포함하는 이러한 일회용 흡수제품의 기술은 생
리적 작용에 의해 분사되는 체액을 흡수하는 속도 및 흡수력의 관점에서의 기본 성능에 관해서 사용자의 불편함이 없도
록 조절이 가능하다.
일회용 흡수제품은 기본 성능 충족을 위해 착용 편이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기술발전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흡수체(1)를 보다 얇게 만든 초박형의 일회용 흡수제품이 개발되게 되었다. 초박형 일회용 흡수제품
을 만들 수 있는 용이한 방법의 하나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솜털펄프(6)의 양을 적게 사용하고, 고흡수성 수지(7)를
많이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 3 -
등록특허 10-0380026
이러한 초박형 일회용 흡수제품에서 사용자들이 가장 불만을 느끼는 사항은 샘 발생, 짓무름 발생 및 고착시스템(접착
시스템)의 불안 등이다.
샘 발생은 초박형 일회용 흡수제품에서 솜털펄프(6)와 고흡수성 수지(7)의 혼합 함량의 비율이 적절하지 못할 경우 일
회용 흡수제품을 착용하여 장시간 사용하거나, 착용자의 활동이나 움직임이 심할 경우 일회용 흡수제품의 일회용 흡수
제품의 초기 착용상태 보다 밑으로 처지게 되며, 또 흡수체(1)는 폭이 감소하고, 흡수체(1)의 형태가 변형되어 뭉치거
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변형된 흡수체(1)는 흡수기능이 불완전하게 되어 사용성이 저하되
며, 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 사용중 변형되는 흡수체(1)는 흡수면적이 감소되어 특히 착용자의 움직임이 심하여 흡수제품이 착용자에 밀착되지
않는 경우, 옆으로 누운 자세 등에서 배뇰을 할 경우 샘 발생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되며, 아울러 액체 투과성 상부시
트(8)는 친수성으로 되어 있지만 반복되는 배뇨에 의해 친수성 표면이 소수성으로 변하여 배뇨시 흡수체(1)로의 전달
이 지연되므로 변형된 흡수체(1)에서는 샘 발생 가능성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사용자가 일회용 흡수제품을 사용함에 있어 위와 같은 흡수력의 기본 품질 외에 가장 불편하게 느끼는 것은 고착시스템
이다. 고착시스템은 일회용 흡수제품 사용시 일회용 흡수제품이 착용자에게 그대로 적용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고착수
단을 제공한다.
기계적 고착시스템은 기존의 접착성 테이프 고착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제안되었다. 접착성 테이프 고착시스템은
후크캐리어(14) 상에 위치한 접착제와 접촉하는 오일 및 분말에 의해 쉽게 오염되어 접착제가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
하고 쉽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흡수제품이 더럽혀졌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나 접착시 알맞은 위치를 찾지 못해
몇번 반복하여 접착 및 탈착시킬 때, 그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2고착시스템에 고착되지 않고 그 외부
즉,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에 접착되었을 경우, 배면시트(4)를 떨어지게 하거나 찢어지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배면시트(4)에 구멍이 생기게 할 수 있고, 일회용 흡수제품을 사용불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재고착 시키기에 보다 간편하고, 흡수제품 또는 고착시스템을 일단 떼어낸 후에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
착시스템을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기계적 고착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오일 및 분말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으며, 접착성 테이프 고착시스템에 비해 재고착
시키기에 보다 간편한 고착시스템을 제공하지만, 제1고착시스템과 그와 맞물릴 수 있는 제2고착시스템이 존재해야 한
다.
전형적으로 제1고착시스템인 후크는 제1허리영역(19) 말단 부위에 위치하며, 제2고착부재는 일회요 흡수제품의 제2
허리영역(20) 말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흡수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ㅔ1고착부재를 제2고착부재에 반드시 고착시켜
야만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제2고착부재 외의 지역에 부착되었을 경우, 즉,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에 부착되었을
때 배면시트(4)가 찢어지거나 심한 보푸라기 발생으로 후크에 배면시트(4)로부터 분리된 화이버(fibre)가 엉겨 붙는
다든지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회용 흡수제품인 경우 사용자가 아닌 제3자에 의해 고착이 이루어지는데 사용자의 심
한 움직임으로 제3자가 정확하게 제1고착부재(15)를 제2고착부재에 고착시키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1고착부재(15)와 제2고착부재의 접착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액체 불투
과성 배면시트(4)가 제2고착부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후크고착재가 흡수제품의 노출면, 특히 배면시트(4)에 고
정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제2고착부재 역할을 하게 되는 배면시트(4)는 랜딩부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부직포
(2)가 강한 화이버 결합력과 알맞은 깊이와 크기의 엠보싱을 가지고 있도록 한다.
- 4 -
등록특허 10-0380026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고착시스템을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가 제2고착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일정 깊이 및 일정 크기로 엠
보싱 가공하여 엠보싱이 형성되도록 한 일회용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제품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제1허리영역과 제2허리영역이 형성되어 있으
며, 또한 제1허리영역에 흡수제품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1고착부재를 포함하는 기계적 고착수단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
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배면시트가 제2고착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시트와 제1고착부
재 사이의 벗김강도는 100 내지 600g/25㎜이고, 옆으로 당겼을 때의 힘인 쉬어강도가 500 내지 3,000g/25㎜이 되도
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착부재는 상기 제1허리영역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허리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1고착부재는 부직포와 방수필름으로 적층되어 있는 후크캐리어 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배면시트는 통기성 필름과 부직포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제품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8),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상기 상부시트(8)와 배면
시트(4)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1)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제1허리영역(19)과 제2허리영역(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1허리영역(19)에 흡수제품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1고착부재(15)를 포함하는 기계적 고착수단을 포함하는 일회
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배면시트(4)가 제2고착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시트(4)
와 제1고착부재(15) 사이의 벗김강도는 100 내지 600g/25㎜이고, 옆으로 당겼을 때의 힘인 쉬어강도가 500 내지 3,
000g/25㎜이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평면도이다. 일회용 흡수제품은 제2허리영역(20)과 가랑이 부분, 그리고 제1고착
부재(15)가 설치되는 제1허리영역(19)으로 구분된 모래시계형 형태의 외형을 가지고 있다. 일회용 흡수제품의 외형은
꼭 좌우와 전후가 대칭구조로 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좌우 대칭구조를 갖는다.
도 1에서 제1허리영역(19)에 제1고착부재(1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의 가랑이 부분에서 I-I'선으로 절단한 단면 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쪽을 보여주고 있는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흡
수제품의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는 엠보싱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부직포(2)와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착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통상의 일회용 흡수제품에서 볼 수 있
는 제2고착부재 즉 랜딩부재가 없고, 제1고착부재(15)를 배면시트(4)에 직접 부착시킨 것이 나타나 있다.
- 5 -
등록특허 10-0380026
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사용되는 배면시트(4)의 제조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엠보싱 가공을 위해 가열엠
보롤(22)(heating embo roll)로 배면시트(4) 표면에 엠보싱을 형성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배면시트(4)의 엠보싱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엠보싱의 형상은 다이아몬드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일정 모
양과 일정 간격 및 일정 깊이를 유지하고 있다. 물론 상기 엠보싱의 형상은 다이아몬드 형태 이외의 형태로의 형성도 가
능함은 당연하다.
도 7에는 배면시트(4)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엠보싱의 형상을 측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부직포(2)를 형성하는 고분자 물질로부터 시작하여 스펀레이트(spunlaid) 형성에서부터 필름과의 합지과정 및
엠보싱 가공 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8) 사이에 흡수체(1)를 삽입시켜 고온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며, 흡수체(1) 외측의 좌우측에 샘 방지 수단으로 응가밴드(5)를 형성시켜 흡수체(1)로부터 이탈되
는 체액을 일차적으로 가두는 포켓(pocket)을 형성토록 한다.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는 일반적으로 부직포
(2)와 방수필름(3)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수체(1) 및 응가밴드(5)를 이탈한 체액은 여전히 상기 응가밴드(5)와 흡수
체(1) 등으로 형성되는 포켓으로부터 새어나올 수 있는 샘 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리밴
드(11)에 의한 이차적인 포켓을 형성토록 하여, 일회용 흡수제품을 착용한 사용자의 체형에 보다 더 밀착시켜 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응가밴드(5)에는 보통 응가밴드 탄성체(9)가 사용된다.
일회용 흡수제품은 사용자의 몸에 착용시킨 후 착용시킨 흡수제품이 사용자 몸에서 일정 형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체결
수단을 적용하고 일회용 흡수제품의 기능을 강화시키거나 부가적 효과를 내기 위해 허리밴드를 적용한다.
허리밴드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1허리영역(19) 말단가장자리(18)와 제2허리영역(20) 말단가장자리(21)에 탄성체
를 접착하여 형성하며, 길이(종방향 중심선에 평행)는 두 부분이 같을 수도 있고, 기능의 특성상 제1허리영역(19) 부
분이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일반적으로 허리밴드는 주로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폴리우레탄 필름(po
lyurethane film) 또는 폴리에틸렌 필름(polyethylene film)으로 구성되어지며, 또한 폴리우레탄 탄성체 또는 탄성실
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탄성실로는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natural rubber)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기계적 고착시스템은 일회용 흡수제품에 적용시 유용하면서도 효과적이다. 통상의 체결수단은 주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2허리영역(20)의 흡수제품 앞부분에 랜딩부재를 형성하며, 흡수제품이 옆부분에서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은 이 랜딩부재를 형성시키지 않고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시트(4)가 제1고착부재(15)
와 맞물릴 수 있도록 그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제1고착부재(15)는 상기 제1허리영역
(19)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착부재(15)는 스스로 지지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후크캐리어(14)에
지탱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후크캐리어(14)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고분자 화이버(polymer fiber)로 구성된
부직포(2)로 되어 있는 재질 표면에 폴리프로필렌 혹은 폴리에틸렌으로 적층(laminate)시킨 재료를 사용한다. 또는 폴
리프로필렌 만으로 이루어진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감이 약간 저하되기는 하지만 공정상 단순화
또는 원재료비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1허리영역(19)에 위치하는 상기 제1고착부재(15)는 부직포(2)
와 방수필름(3)으로 적층되어 있는 후크캐리어(14) 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착부재(15)는 기계적 고착시스템(mechanical closure system), 즉 후크(hook)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후
크는 국내,외 유수의 제조업자들이 상용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통상의 흡수제품은 상기 제1고
- 6 -
등록특허 10-0380026
착부재(15)와 맞물릴 수 있는 제2고착부재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 제2고착부재는 고분자 화이버로 직조된 방식(knit
ted method) 혹은 고분자 성형방식(polymer extrusion) 방식으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고분자는 폴리에스터(pol
yester),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나일론(nylon) 등이 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제2고착부재는 랜딩부재를 따로 부착시키지 않고,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가 제2고착부재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는 액체를 통과시키지 않으며, 얇은 고분자 통기성의
방수필름(3)과 고분자로 이루어진 부직포(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분자 통기성의 방수필름(3)으로는 폴리에틸렌이
주로 사용되며, 부직포(2)로는 폴리프로필렌의 스펀본드(spun bond), 써멀본드(thermal bond) 등의 부직포(2)가 사
용될 수 있다. 상기 배면시트(4)는 흡수체(1)에 흡수되고, 함유된 분비물이 일회용 흡수제품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밀폐된 일회용 흡수제품 착용상태에서 흡수제품 내부와 흡수제품 외부의 공기 흐름이 원활하도
록 하여 악취(odor)와 피부 짓무름(skin rash)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배면시트(4)는 제2고착부재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통기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최근의 일회용 흡
수제품은 비통기성 필름을 사용하다가 사용자의 피부 짓무름 등에 관한 사항이 중요시 되면서 통기성 방수필름(3) 사
용이 보편화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면시트(4) 역시 통기성 방수필름(3)과 부직포(2)의 적층방식으로 제조되며,
방수필름(3)이 통기에 관한 기능을 담당하고, 부직포(2)가 제1고착부재(15)와의 결합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도록 한
다. 배면시트(4)의 통기성은 방수필름(3)과 부직포(2)의 압축성형을 통한 롤(roll) 성형 기술에서 탄산칼슘(CaCO3)
의 첨가에 의한 미세한 구멍의 형성에 의해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방수필름(3)과 부직포(2)의 압축 성형 과정에서
탄산칼슘을 첨가한 후 생성된 롤을 양축, 즉 횡단 혹은 종단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대 탄산칼슘 입자들은 고분자들과 같
이 늘어날 수 없기 때문에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특징은 위와 같은 배면시트(4) 기능 중 통기성을 부여하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 체결시스
템으로의 기능 확대가 그 특징이므로 랜딩부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배면시트(4)에 엠보싱을 형성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배면시트(4)는 통상의 랜딩부재 만큼의 화이버 결합 강도(defiberation energy)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일
정 깊이와 일정 간격 및 일정 크기의 엠보싱을 가지고 있는 배면시트(4)를 적용한다. 도 5에서는 엠보싱 처리를 위해
방수필름(3)과 부직포(2)의 결합 롤을 엠보싱 가공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엠보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가열엠보
롤(22)(heating embo roll)의 온도와 롤 사이의 간극, 가해지는 힘(hydraulic press)의 설정이 중요하다. 또한 엠보
싱의 깊이에 따라 결합력이 좌우되며, 이 엠보싱의 깊이는 설비 속도와 부직포(2)/방수필름(3)의 재질에 의해 결정된
다고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엠보싱 패턴을 나타내고 있는데, 마름모 모양 혹은 다이아몬드 모양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7은 엠보싱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는 부분단면도이다.
배면시트(4)는 제1고착부재(15)와 결합을 해야 하며, 사용자가 체결하였을 때 90˚벗김강도(peel strength)와 옆으
로 당겼을 때의 힘인 쉬어강도(shear strength)가 공지의 후크와 랜딩부재가 기능상으로 가지고 있는 규격 이상이어
야 한다. 벗김강도는 100 내지 600g/25㎜이고, 쉬어강도는 500 내지 3,000g/25㎜이 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벗김강
도가 100g/25㎜ 미만으로 너무 적게 되면 사용중에 제1고착부재(15)와 제2고착부재가 분리될 수 있고, 반대로 600g
/25㎜를 초과하게 되면 사용자가 탈착시키는 데 불편을 느끼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쉬어강도 역시 상기 벗김강도와
유사한 문제로 상기 범위 이내가 되어야 한다. 위의 범위의 벗김강도 및 쉬어강도를 가지고 있으면서 상기 제1고착부재
(15)를 상기 배면시트(4)에 부착시키고 다시 탈착시킬 때 화이버의 강도가 약해서 부직포(2) 밖으로 빠져 나오는 일
이 없어야 한다. 즉 보푸라기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그 기능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후크가 잘 결합할 수 있도록 다시 말
하면 후크가 화이버들의 사이사이에 잘 걸릴 수 있도록 화이버와 화이버 사이의 공간 또한 적절해야 한다. 이는 부직포
(2)의 결합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경험칙으로부터 용이하게 이를 결정할 수 있
다.
- 7 -
등록특허 10-0380026
도 3에서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배면시트(4)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에서는 제1고착부재(15)를 배면시트(4)
에 사용자가 부착한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제1고착부재(15)를 기존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앞면에 부착되어 있던 랜
딩부재에 부착하지 않고 배면시트(4)의 어느 부위에도 부착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의 특징이다. 따
라서,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은 사용자가 사용한 후 폐기시에도 흡수제품을 말은 상태에서 배면시트(4)에 부착하
게 되므로 말았던 흡수제품이 다시 풀리지 않아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비교예와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8),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흡수체(1), 기계적 체결수단 및 허리 탄성체 부위를 포함하는
통상의 일회용 흡수제품인 기저귀에 있어서, 제1허리영역(19)의 말단가장자리에 제1고착부재(15)를 설치하였다. 이
제1고착부재(15)는 후크캐리어(14) 위에 부착되어 있으며, 후크캐리어(14)는 부직포(2)와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적
층되어 있는 재질로 제1고착부재(15)가 고온 용융 접착제로 부착되어 있으며, 핑거탭(16) 부분이 형성되도록 한다.
핑거탭(16)은 일반적인 테이프 제조회사로부터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형태 유지를 위한 안정성
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배면시트(4)는 부직포(2)와 방수필름(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배면시트(4)가 상기 제1고착부재(1
5)와 결합하여 체결시스템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면시트(4)는 제1고착부재(15)와의 상호간 물성의 상용성(com
patibility)이 있어야 하며, 접착과 재접착, 탈착이 용이해야 한다. 또한 배면시트(4)는 일정 간격과 일정 깊이 및 일정
모양의 엠보싱으로 처리되어 있다. 제1고착부재(15)와 배면시트(4) 사이의 벗김강도는 100g/25㎜ 이상이어야 하고,
쉬어강도는 500g/25㎜인 것을 실시예로 하였다.
비교예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8),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흡수체(1), 체결수단 및 착용감을 주기 위한 탄성체 부위를 포
함하는 통상의 일회용 흡수제품인 기저귀에 있어서, 제1허리영역(19)과 제2허리영역(20)에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이
루어진 허리밴드를 설치한다. 그리고, 체결수단으로는 제1허리영역(19)에 제1고착부재(15)가 설치되어 있고, 제2허
리영역(20)에 제2고착부재인 랜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비교예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로 제조된 일회용 기저귀의 실제 착용 만족도 조사는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소비자 실사
용 평가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소비자 실사용 평가에서 평가방법은 소비자들이 체중 10 내지 15kg인 아기에게 실제 사용해 보고 일회용 기저귀의 체
결시 편이성에 대한 정도를 3점평가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 8 -
등록특허 10-0380026
[표 1]
구 분 착용만족도 판정
± -
비교예 72 17 11 보통
실시예 91 6 3 아주 우수
* ( ) ;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해 보니 착용하기가 매우 좋다 (±) ;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해 보니 착용하기가 좋다 (-) ;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해 보니 착용하기가 매우 좋지 않다 * 아주 우수 ; ( )가 90% 이상인 경우 우 수 ; ( )가 80% 이상인 경우 보 통 ; ( )가 70% 이상인
경우
상기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제품과 통상적인 공지의 일회용 기저귀인 비교예에 대하여 소비자
테스프를 실시한 결과 실시예 제품에 대한 착용 편이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명의 효과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흡수제품은 사용자가 불안정한 자세나 엎드려 있는 상태가 되도 제3자가 사용자에게 흡
수제품을 체결시킬 때 보다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외관 및 기능상 개선에 더욱더 효과적이고 실제 유용 효과는 매
우 크다고 할 수 있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제1허리영역과 제2허리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제1허리영역에 흡수제품을 폐쇄시키기 위한 제1고착부재를
포함하는 기계적 고착수단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배면시트가 제2고착부재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고, 배면시트와 제1고착부재 사이의 벗김강도
는 100 내지 600g/25㎜이고, 옆으로 당겼을 때의 힘인 쉬어강도가 500 내지 3,000g/25㎜이 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
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착부재는 상기 제1허리영역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회용 흡수제품.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허리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1고착부재는 부직포와 방수필름으로 적층되어 있는 후크캐리어 상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회용 흡수제품.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시트가 통기성 필름과 부직포로 적층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일회용 흡수제품.
- 9 -
등록특허 10-0380026
도면
도면 1
도면 2
- 10 -
등록특허 10-0380026
도면 3
도면 4
도면 5
- 11 -
등록특허 10-0380026
도면 6
도면 7
도면 8
- 12 -
일회용 흡수제품(Disposable diaper)
2018. 6. 2. 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