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04월02일
(11) 등록번호 10-1132039
(24) 등록일자 2012년03월2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4B 1/38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26338
(22) 출원일자 2010년03월24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3월24일
(65) 공개번호 10-2010-0115299
(43) 공개일자 2010년10월27일
(30) 우선권주장
JP-P-2009-101280 2009년04월17일 일본(JP)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20079694 A*
KR200258153 Y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일본국 가나가와켄 가와사키시 나카하라꾸 가미고
다나카 4초메 1-1
(72) 발명자
야마구치 신고
일본국 가나가와켄 가와사키시 나카하라꾸 가미고
다나카 4초메 1-1 후지쯔 어드밴스트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나이
와타나베 사토시
일본국 가나가와켄 가와사키시 나카하라꾸 가미고
다나카 4초메 1-1 후지쯔 어드밴스트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나이
(74) 대리인
신정건, 김태홍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남기영
(54) 발명의 명칭 케이싱
(57) 요 약
본 발명은 패킹의 시일 부분에의 부착 시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밀봉성이 우수하고, 또한, 홈에 시일 부재를
삽입할 때에도 숙련을 요하지 않으며 작업성이 좋은 케이싱의 방진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측 케이스(1)와 하측 케이스(2)를, 그 공간부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끼워 맞춤으로써 구성되는 케이싱에
있어서, 하측 케이스(2)의 방진 방수 영역의 주위에 단면이 반원형인 연속된 홈(6)을 형성하고, 상측 케이스(1)
의 홈(6)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2개의 케이스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홈(6) 내에 삽입되는 연속된 돌출부(4)를 형
성하며, 홈(6) 내에는 홈폭과 동일한 직경을 구비한 구(球) 형상 시일 부재(7)를 간극 없이 연속해서 배열하고,
돌출부(4)의 폭을 홈(6)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며, 2개의 케이스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압축된 구 형상 시일 부재
(7)가 돌출부(4)와 홈(6) 사이의 간극으로 빠져 나가도록 한 방진 방수 구조를 편입시킨 케이싱이다. 홈(6)의 바
닥면 형상은 반실린더 형상 또는 반구 형상의 오목부의 연속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132039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한쪽 및 다른쪽의 케이스 부재를 끼워 맞춤으로써 형성된 케이싱에 있어서,
한쪽의 케이스 부재의 방진 방수 영역의 주위에 연속해서 형성된 홈과,
상기 한쪽 및 다른쪽의 케이스 부재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상기 홈 내에 삽입되는 위치에, 홈폭보다 좁은 폭으
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홈폭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홈 내에 연속해서 간극 없이 배열된 구(球) 형상 탄성체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홈의 단면 형상은 상기 홈에 삽입되는 구 형상 탄성체와 동일
한 반경의 반(半)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구 형상 탄성체와 동일한 반경의 반구 형상의 오목
부가 연속해서 형성되고, 상기 홈의 측면에는, 상기 반구 형상의 오목부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원통 형상의 벽면
이 연속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청구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 형상의 오목부의 인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돌기, 및 상기 원통 형상의 벽면의 인접
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돌기의 정점 부분이 깎여 필릿(fillet)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청구항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개의 케이스 부재의 끼워맞춤부가 3차원 형상이며, 상기 홈에 수직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케이싱으로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구 형상 탄성체의 반경 이상의 곡률로, 매끄럽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출원은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케이싱의 끼워맞춤 부분의 내측에 진애나 수분이 침입하지 않도[0001]
록 시일하는 방진 방수 구조를 갖는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종래, 내부에 공간을 갖는 케이싱을 2개로 나누고, 한쪽 및 다른쪽의 2개의 케이싱의 끼워맞춤면을 시일하여 케[0002]
이싱의 내부에 진애나 물방울이 침입하지 않도록 한 케이싱의 방진 방수 구조에는 다양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
컨대, 휴대 전화기 등의 전자 기기의 2개의 케이스의 맞춤면을 시일하는 구조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고,
또한, 옥외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케이싱의 방수 구조가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의 (a)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기 케이스의 방수 구조를 도시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폴더식 휴대[0003]
전화기(20)의 본체측 케이스의 방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a)에는, 폴더식 휴대 전화기(20)를 구성하
며 조작키 구멍(25)을 구비한 전면 케이스(21)와 후면 케이스(22)가 도시되어 있고, 양자의 접합면에 고무제의
O링 등의 방수 패킹(P)이 끼워지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전면 케이스(21)의, 후면 케이스(22)와의 끼워맞춤부
등록특허 10-1132039
- 2 -
(23)에는, 부분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26)이 형성되어 있고, 방수 패킹(P)은 이 홈(26)에 끼워진다.
한편, 후면 케이스(22)의, 전면 케이스(21)와의 끼워맞춤부(23)에는 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 케이스
(21)와 후면 케이스(22)가 끼워 맞춰질 때에는, 돌출부(24)가 홈(26) 내에 삽입되어, 홈(26) 내에 끼워져 있는
방수 패킹(P)을 압축함으로써 방수 구조가 실현된다.
도 1의 (b)는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케이싱(31)의 방수 구조를 도시하는 것이다. 케이싱(31)은 케이싱 커버(3[0004]
2)와, 이 케이싱 커버(32)에 의해 폐색되는 케이싱 본체(33)에 의해 구성되고, 케이싱 본체(33)의 상단부에는
케이싱 본체(33)의 내주면에 연속하는 소정 높이의 벽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 커버(32)의 내주면이 이
벽부(34)의 외주면에 끼워 맞춰진다. 케이싱 커버(32)와 케이싱 본체(33) 사이에 끼워지는 탄성 패킹(35)의 전
체 길이는 벽부(34)의 전체 둘레보다 짧고, 부착된 상태에서는 탄성 패킹(35)은 신장된 상태가 된다. 또한, 케
이싱 커버(32)의 둘레 가장자리부 내측에는 오목부가 있고, 케이싱 커버(32)와 케이싱 본체(33)가 나사(36)를
이용하여 끼워 맞춰졌을 때에는, 탄성 패킹(35)이 오목부 내에서 압축됨으로써 방수 구조가 실현된다.
또한, 방수 패킹이나 탄성 패킹을 이용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수 구조 외에도, 2개의 케이싱의 접합면의 한쪽[0005]
에 루프 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이 홈 내에 시일제를 유입해 상대측 케이스의 접합면과 접착함으로써 밀봉하여
방수한 구조도 있다. 또, 시일제를 홈 내에 유입한 후, 시일제가 굳어진 후에 상대측 케이스의 접합면으로 압축
하여 밀봉하는 구조도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8-92096호 공보(도 2~도 4) [0006]
(특허문헌 0002)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1246호 공보(도 1~도 6)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그러나, 루프 형상의 패킹을 사용한 특허 문헌 1, 2에 개시된 방수 구조에서는, 패킹을 케이싱의 조립 시에 홈[0007]
에 끼워 넣거나, 신장시켜 벽면에 부착해야 하여, 부착 공정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홈이 사행(蛇行)하는 경우
나, 부착 부위가 3차원(입체적)인 경우에는, 패킹을 홈의 형상에 맞춰 부착해야 하여, 부착 작업자에게 숙련도
나 깊은 주의가 요구되고, 작업성이 나빴다. 또한, 패킹이 비틀려 부착되면, 밀봉성이 손상된다는 과제가 있었
다.
한편, 시일제를 이용한 방수 구조에서는, 시일제가 경화될 때까지 시일 효과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조립 효[0008]
율이 좋지 않다. 또한, 시일제가 경화된 후에는, 상대면과 강고하게 접착되기 때문에, 보수 점검이나 수리 등으
로 케이싱을 분할할 때에 시일 부분을 파괴해야 하여, 수리나 리사이클에 적합하지 않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홈에 주입한 시일제가 완전히 경화된 후에 상대 케이스와 접합하는 구조에서는, 시일제는 경화될 때까지
탄성 변형되는 경우가 있고, 변형되면 치수 어긋남이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여 밀봉성이 손상된다는 과제가 있
었다.
그래서, 본 출원의 목적은, 시일 부재를 홈의 형상에 맞출 필요가 없고, 또한, 시일 부분에 시일 부재를 부착할[0009]
때에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밀봉성이 우수하며, 또한, 홈에 시일 부재를 삽입할 때에도 숙련을 요하지 않는
작업성이 좋은 방진 방수 구조를 갖는 케이싱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출원의 케이싱은, 한쪽 및 다른쪽의 케이스 부재를 끼워 맞춤으로써 형성된 케이싱으[0010]
로서, 한쪽의 케이스 부재의 방진 방수 영역의 주위에 연속해서 형성된 홈과, 한쪽 및 다른쪽의 케이스 부재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홈 내에 삽입되는 위치에, 홈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돌출부와, 홈폭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홈 내에 연속해서 간극 없이 배열된 구(球) 형상 탄성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홈 내에는 홈폭의 70%~100%의 직경을 구비한 구 형상 탄성체를 간극 없이 연속해서 배열할 수도 있다. 이[0011]
경우에는, 돌출부의 폭을, 구 형상 탄성체의 직경이 홈폭의 70%인 경우에도, 구 형상 탄성체의 정점을 돌출부에
등록특허 10-1132039
- 3 -
의해 가압할 수 있는 폭으로 하면, 케이스를 끼워 맞출 때에, 돌출부에 의해 압축된 구 형상 탄성체의 홈 내의
변형에 치우침이 없어진다.
발명의 효과
본 출원에 따르면, 시일 부재가 구 형상 탄성체이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0012]
(1) 시일 부재를 홈의 형상에 맞출 필요 없이 홈에 삽입할 수 있어, 홈이 사행하는 경우나 입체적인 3차원 형상[0013]
이라도 대응할 수 있다.
(2) 시일 부분에의 부착 시에 기울어짐이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아 밀봉성이 우수하다.[0014]
(3) 홈에 시일 부재를 삽입할 때에도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숙련을 요하지 않고 작업성 좋게 케이싱의 방진 방[0015]
수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4) 시일제와 같이 경화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작업 효율이 좋다.[0016]
(5) 케이싱을 분해할 때에도 케이싱이나 시일부를 파괴하지 않고서, 용이하게 케이싱을 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0017]
보수성, 리사이클성이 우수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의 (a)는 종래의 폴더식 휴대 전화의 본체 부분의 전면 케이스와 후면 케이스의 끼워맞춤부에 부착되는 방[0018]
수 패킹을 도시하는 휴대 전화의 조립 사시도, (b)는 케이싱 커버, 케이싱 본체 및 탄성 패킹을 구비한 종래의
케이싱의 방수 구조를 도시하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측 케이스와 상측 케이스의 3차원의 끼워맞춤부에 구 형상 시일 부재가 편입되어 구성되는 본 출원의
케이싱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하측 케이스의 홈부에 구 형상 시일 부재가 편입되고, 이것에 상측 케이스가 끼워 맞춰지
는 상태를 도시하는 조립 사시도, 및 그 일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의 (a)는 제1 실시예의 상측 케이스의 평면도, (b)는 제1 실시예의 하측 케이스의 홈부에 구 형상 시일 부
재가 편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c)는 제1 실시예의 하측 케이스에 상측 케이스가 끼워 맞춰지기 직전의
부분 확대 단면도, (d)는 (c)에 도시한 단면도의 D-D선을 따른 단면도, (e)는 제1 실시예의 하측 케이스에 상측
케이스가 끼워 맞춰진 상태의 부분 확대 단면도, (f)는 (e)에 도시한 단면도의 F-F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제1 실시예의 하측 케이스에 형성되는 홈폭, 구 형상 시일 부재의 직경, 및 상측 케이스에 형성되
는 돌기의 폭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b)는 (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c)는 도 5의 (b)의 B-B선을 따른 단
면도이다.
도 6의 (a)는 제1 실시예의 하측 케이스 단체(單體)의 평면도, (b)는 (a)에 도시한 하측 케이스의 측면도, (c)
는 (a) 및 (b)에 도시한 하측 케이스의 사시도, (d)는 (a) 내지 (c)에 도시한 하측 케이스에서의 파선으로 둘러
싸인 부분의 종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 (e)는 (a) 내지 (c)에 도시한 하측 케이스에서의 파선
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본 출원에 따른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의 하측 케이스에 형성하는 홈 형상의 일례의 부분 확대 사시도, (b)는 (a)
의 홈의 바닥면 부분의 부분 확대 단면도, (c)는 (b)의 홈에 구 형상 시일 부재가 편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의 하측 케이스에 형성하는 홈 형상의 변형예의 부분 확대 사시도, (b)는
(a)의 홈의 바닥면 부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도 8의 (b)의 홈에 구 형상 시일 부재가 편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b)는 (a)의
홈에 돌기가 삽입되었을 때의 구 형상 시일 부재의 돌기에 의한 압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의 (a)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의 하측 케이스에 구 형상 시일 부재가 편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b)는 (a)의 A1-A1선을 따른 단면도, (c)는 (a)의 B1 부분의 부분 확대도, (d)는 (b)의 C1 부분의 부분 확대도
이다.
도 11의 (a)는 본 출원의 케이싱을 구비한 폴더식 휴대 전화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b)는 (a)의 폴더식 전
등록특허 10-1132039
- 4 -
화의 가동부의 이면측 케이스를 열어 본 출원의 구 형상 시일 부재의 부착 위치를 도시하는 조립 사시도, 및 부
분 확대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1의 (b)에 도시한 폴더식 전화의 가동부의 표면측 케이스에 있는 홈에, 구 형상 시일 부재를
편입시키기 위한 지그를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조립 사시도, (b)는 (a)의 지그를 폴더식 전화의 가동부의
표면측 케이스에 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c)는 (b)에 도시한 지그를 사용하여 폴더식 전화의 가동부의 표
면측 케이스의 홈에 구 형상 시일 부재가 편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b)에 도시한 폴더식 전화의 가동부의 표면측 케이스에 있는 홈에, 다른 지그를 사용하여 구
형상 시일 부재를 편입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의 (a)는 본 출원의 케이싱을 구비한 노트북형 컴퓨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b)는 (a)의 노트북형
컴퓨터의 본체측의 이면 케이스를 열어 본 출원의 구 형상 시일 부재의 부착 위치를 도시하는 조립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본 출원의 실시형태를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19]
도 2는 본 출원의 방진 방수 구조를 구비한 케이싱의 제1 실시예를 채용한 방진 방수 케이스(10)의 구성을 도시[0020]
하는 것이다. 방진 방수 케이스(10)는 상측 케이스(1)와 하측 케이스(2), 및 구 형상의 시일 부재(7)로 구성된
다. 이 실시예의 방진 방수 케이스(10)에 있어서, 상측 케이스(1)와 하측 케이스(2)의 접합면은 평면이 아니라,
3차원 형상을 하고 있다. 하측 케이스(2)에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벽부(9)가 있고, 벽부(9)의 단부면이
하측 케이스(2)의 끼워맞춤면(5)이 된다. 끼워맞춤면(5)에는 루프 형상의 홈(6)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
(1)에도,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벽부(8)가 있고, 벽부(8)의 단부면이 상측 케이스(1)의 끼워맞춤면(3)이
된다. 끼워맞춤면(3)에는, 하측 케이스(2)의 루프 형상의 홈(6) 속에 삽입되는 루프 형상의 돌출부(4)가 형성되
어 있다. 구 형상의 시일 부재(7)는 고체 겔형 재료(예컨대, 실리콘계를 주성분으로 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구
형상 탄성체이며, 홈(6) 속에 연속해서 간극 없이 편입된다.
도 3은, 방진 방수 케이스(10)의 하측 케이스(2)의 홈(6)에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편입되고, 이것에 상측 케[0021]
이스(1)가 끼워 맞춰지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하측 케이스(2)의 홈(6)에는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연속해서 간극 없이 편입된다. 여기서, 홈(6)의 폭
을 W로 한 경우,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은 홈폭(W)과 동일한 크기로 한다. 이것은, 홈폭(W)을 구 형상 시
일 부재(7)의 직경보다 크게 하면, 홈(6)에 편입된 후의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중심 위치를 연결하는 선이 홈
(6)의 중심선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있어, 홈(6)의 중심선에 따른 밀폐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
다.
도 4의 (a)는 루프 형상의 돌출부(4)가 형성된 상측 케이스(1)를 평면에서 본 것이고, 도 4의 (b)는 하측 케이[0022]
스(2)의 루프 형상의 홈(6)에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편입된 상태를 평면에서 본 것이다. 돌출부(4)의 중심선
(CL1)은 홈(6)의 중심선(CL2), 즉 홈(6)에 편입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중심을 연결한 선(CL2)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결과, 상측 케이스(1)를 하측 케이스(2)에 중첩시키면, 돌출부(4)의 중심선(CL1)이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중심을 연결한 선(CL2)에 중첩되고,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홈(6)에 침입한 돌출부(4)에 의해
압축된다.
또, 홈(6)의 중심선(CL2)의 전체 길이를 TL,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을 2R로 한 경우, (TL÷2R)의 값은 정[0023]
수가 되도록, 홈(6)의 중심선(CL2)의 전체 길이(TL)와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2R), 및 홈폭을 설정한다.
이것은, (TL÷2R)의 값이 정수가 되지 않으면, 홈(6)에 편입된 구 형상 시일 부재(7)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거나, 홈(6)으로부터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비어져 나와, 밀봉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 4의 (c)는 하측 케이스(2)에 상측 케이스(1)가 끼워 맞춰지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4의 (d)는[0024]
도 4의 (c)에 도시한 단면도의 D-D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홈(6)의 깊이는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보다 깊고, 홈(6)에 편입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정점과, 하측 케이스(2)의 끼워맞춤면
(5)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여기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반경을 R이라고 하면, 이 실시예의 홈(6)의 바
닥면(6B)의 형상은 그 단면이 반경(R)의 반원 형상이다. 또한, 돌출부(4)의 폭은 홈(6)의 폭(W)보다 작아,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돌출부(4)로 압축했을 때에,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변형되어 홈(6)과 돌출부(4) 사이의
간극으로 빠져 나갈 수 있다. 또한, 돌출부(4)의 높이는 홈(6)의 깊이보다 작고, 예컨대 홈(6)의 깊이보다 구
등록특허 10-1132039
- 5 -
형상 시일 부재(7)의 반경(R)만큼 작다.
도 4의 (e)는 하측 케이스(2)에 상측 케이스(1)가 끼워 맞춰진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4의 (f)는 도 4의[0025]
(e)에 도시한 단면도의 F-F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하측 케이스(2)에 상측 케이스(1)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돌출부(4)에 의해 압축되기 때문에, 압축된 구 형상 시일 부재(7)는 돌출
부(4)의 정상면과 홈(6)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있는 간극을 메우도록 변형되어, 도 4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홈(6)과 돌출부(4) 사이의 간극으로 들어간다. 이 결과, 도 4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압축 변형에 의해 홈 방향으로는 간극이 거의 없어진다.
도 5의 (a)와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케이스(2)에 상측 케이스(1)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는, 돌출부[0026]
(4)의 중심선(CL1)과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선(CL2)은 겹쳐지기 때문에, 압축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변형 부분은 도 4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6)과 돌출부(4) 사이의 간극으로 균등하게
들어간다. 여기서,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L)의
부분에 대해 생각한다. 여기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압축량을, 그 반경(R)과 동일한 양(압축률 50%)으로 하
면, 돌출부(4)에 의해 압축되는 탄성체의 단면적(A1)(망점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2개의 구 형상 시일 부재(7)
사이의 간극 면적(A2)보다 크다. 이 때문에, 압축률 50%일 때에는, 2개의 구 형상 시일 부재(7) 사이의 간극 면
적(A2)은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변형에 의해 메울 수 있다. 이것은 홈(6) 내의 다른 부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 결과, 2개의 구 형상 시일 부재(7) 사이의 간극은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변형에 의해 메울
수 있기 때문에, 밀봉 효과가 얻어진다.
도 6의 (a) 내지 (e)는 제1 실시예에서의 하측 케이스(2)의 홈(6)의 바닥면(6B)의 절곡 부분의 형상을 설명하기[0027]
위한 것이다. 제1 실시예에서는, 도 6의 (a) 내지 (c)의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AX)이 나타내는 부분에 있어서,
홈(6)이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절곡되어 있다. 이 절곡부(AX)에 있어서, 도 6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
이, 홈(6)의 바닥면(6B)을 직선적으로 절곡하여 엣지부(6BC)를 형성해 버리면, 이 엣지부(6BC)와 홈(6) 내에 편
입된 구 형상 시일 부재(7)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해 버린다. 이 경우,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압축되어 변형
되어 이 간극이 메워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밀봉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이 실시예에서는, 절곡부(AX)의 바닥면(6B)을, 도 6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구 형상[0028]
시일 부재(7)의 반경(R) 이상의 큰 반경(RX)의 곡률로 만곡시켜 만곡부(6BB)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면, 홈(6)의
바닥면 반경(RX)≥구 형상 시일 부재(7)의 반경(R)이기 때문에, 홈(6) 내에 편입된 구 형상 시일 부재(7)와 홈
(6)의 바닥면(6B)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 밀봉성이 확보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는, 하측 케이스(2)의 끼워맞춤면(5)에 형성된 홈(6)에 있어서, 그 바닥면(6B)은 홈[0029]
(6)의 연장 방향의 단면이 반원 형상이었으나, 홈(6)의 측면은 평행한 평면이었다. 한편, 본 출원의 제2 실시예
는 하측 케이스(2)의 끼워맞춤면(5)에 형성하는 홈(6)의 형상만이 상이하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6)의 바닥면(6B)이 반구 형상이고, 반구 형상의 바닥면(6B)에 접속하는 홈(6)의 측면이
실린더 형상의 만곡면을 구비한다. 도 7의 (b)는 도 7의 (a)의 홈(6)의 바닥면(6B)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
는 단면도이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바닥면(6B)에는 점(CP)을 중심으로 한 반경(R)의 반구 형상의
홈(6BC)이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홈(6)의 바닥면(6B)에 반경(R)의 반구 형상의 홈(6BC)이 배열되어 있으면, 홈(6)에 구 형상 시일 부[0030]
재(7)를 편입시켰을 때에는,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의 홈(6BC)의 중심(CP)과 구 형상 시
일 부재(7)의 중심점(C7)이 일치하여, 홈(6) 내에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간극 없이 배열된다. 또한, 이 상태
에서는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하측에는 간극이 없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는, 홈(6)에 편입된 구 형상 시
일 부재(7)의 상측의 간극(AS)만을 상측 케이스(1)의 돌출부(4)에 의해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압축하여 메우
면 된다.
이 때문에, 제1 실시예에서는 상측 케이스(1)의 돌출부(4)에 의해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압축률 50%로 압축하[0031]
였으나, 제2 실시예에서는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압축률을 50%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측 케이스(1)에
형성하는 돌출부(4)의 높이를 제1 실시예보다 낮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간극(AS)을 메우기
위해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정점을 돌출부(4)에 의해 위치(HL)까지 압축하면, 간극(AS)을 메울 수 있다.
도 8의 (a)는 도 7의 (a)에 도시한 하측 케이스(2)에 형성하는 홈(6)에 있어서, 바닥면(6B)에 인접하는 반구 형[0032]
상의 홈(6BC)의 경계부의 돌기(61), 및 반구 형상의 홈(6BC)에 접속하는 실린더 형상의 만곡면을 구비한 측면의
경계부의 돌기(62)를 깎아 필릿(fillet)(60)을 형성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필릿(60)에 의해, 반구 형
등록특허 10-1132039
- 6 -
상의 홈(6BC)은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끄럽게 접속되지만, 이 경우에는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하측에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간극(AB)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변형예의 경우에는, 상측 케이스(1)의 돌출부(4)에 의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압축률을, 도 7의[0033]
(a)~(c)에 도시한 형상의 경우에 비하여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상측 케이스(1)를 하측 케이스(2)에
접합했을 때의 돌출부(4)가 도달하는 위치를,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7의 (c)에 도시한 위치(H
L)보다 낮은 위치(HM)로 하였다. 이 결과,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4)의 선단부가 위치(HM)까
지 도달했을 때에 압축되는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상측의 부분(70)에 의해 간극(AB)과 간극(AS)이 메워진다.
상세한 계산은 생략하지만, 돌출부(4)에 의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압축률을 30%로 하면, 돌출부(4)에 의해[0034]
압축되는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체적으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상측 부분과 돌출부(4) 사이의
간극(AS)과,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하측 부분과 필릿(60) 사이의 간극(AB)이 메워진다. 돌출부(4)에 의해 압
축되는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체적으로, 간극(AS)과 간극(AB)을 메우고 남은 체적은, 도 4의 (f)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돌출부(4)의 측면과 홈(6)의 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다.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상하 간극
(AS, AB)을 완전히 메우기 위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압축률은 구 형상 시일 부재(7), 홈(6)의 각 치수를 입
력하면, 2차원 CAD나 3차원 CAD의 기본 성능에 의해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도 10의 (a)는 도 8의 (a)에 도시한 필릿(60)을 갖는 형상을 구비한 하측 케이스(2)의 홈(6)에 구 형상 시일 부[0035]
재(7)가 편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A1-A1선을 따른 단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또한, 도 10의 (c)는 도 10의 (a)의 B1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의 (d)는 도 10의 (b)의 C1 부
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 실시예의 변형예의 홈(6)을 하측 케이스(2)의 끼
워맞춤면(5)에 형성하면,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홈(6)에의 편입 상태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어, 구 형상 시
일 부재(7)의 편입 부족을 없앨 수 있다. 그리고, 구 형상 시일 부재(7)와 홈(6) 사이의 간극도 적어지기 때문
에, 제1 실시예의 홈(6)보다 더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본 출원의 케이싱을 구비한 폴더식 휴대 전화(40)의 일례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예의[0036]
폴더식 휴대 전화(40)에는, 표시기(43)를 구비한 가동부(41)와, 조작키(44)를 구비한 본체부(42)가 있다. 도 11
의 (b)는 도 11의 (a)에 도시한 폴더식 휴대 전화의 가동부(41)의 이면측 케이스(45)를 연 상태를 도시하고 있
다. 가동부(41)의 표면측 케이스(46)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루프 형상으로 홈
(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6) 속에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간극 없이 편입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이면측 케이스(45)의 구 형상 시일 부재(7)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이면측 케이스(45)가 표면측 케이스
(46)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압축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홈(6), 구 형상 시일
부재(7) 및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방진 방수 구조는 본체부(42)에도 형성되어 있다.
도 12의 (a)는 도 11의 (b)에 도시한 폴더식 전화(40)의 가동부(41)의 표면측 케이스(46)의 홈(6)에 구 형상 시[0037]
일 부재를 편입시키기 위한 지그(50)를 도시하는 것이다. 지그(50)는 홈(6)의 내주부를 따른 외측 가장자리부
(51)를 구비한 덮개 형상을 갖고, 외측 가장자리부(51)에 인접하는 부분은 사면(斜面)(52)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그(50)의 상부에는 손잡이(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그(50)를 이용하여 가동부(41)의 표면측 케이스(46)의
홈(6)에 구 형상 시일 부재를 편입시키는 경우에는, 손잡이(53)를 잡아 지그(50)의 외측 가장자리부(51)를 표면
측 케이스(46)의 홈(6)의 내주부에 맞춰 표면측 케이스(46) 위에 둔다. 이 상태가 도 12의 (b)에 도시하는 상태
이며, 이 상태에서, 지그(50)의 상방으로부터 다수의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떨어뜨리면, 구 형상 시일 부재
(7)는 지그(50)의 사면(52)을 따라 이동하여, 표면측 케이스(46)의 홈(6) 내에 편입된다.
도 12의 (c)는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표면측 케이스(46)의 홈(6) 내에 편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지[0038]
그(50)를 사용하면,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표면측 케이스(46)의 홈(6)의 안쪽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고, 간단
히 홈(6) 속에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간극 없이 편입시킬 수 있다.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표면측 케이스
(46)의 홈(6)에 편입된 후에는, 손잡이(53)를 잡아 지그(50)를 표면측 케이스(46)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이 외에도,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 파이프를 표면측 케이스(46)의 홈(6)에 맞추[0039]
고, 한쪽의 개구부로부터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삽입하여, 굴리는 요령으로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배열해
가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의 (b)에 도시한 폴더식 휴대 전화(40)의 가동부(41)의 표면측 케이스(46)에 있는 홈(6)에, 구 형[0040]
상 시일 부재(7)를 편입시키기 위한 다른 지그(80)와, 이 지그(80)를 이용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편입 방법
을 도시하는 것이다. 지그(80)는 그 본체(81)의 하면에 복수 개의 흡착 노즐(82)을 구비하고 있다. 흡착 노즐
등록특허 10-1132039
- 7 -
(82)의 직경은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 이하이며, 그 길이는 모두 동일하다. 그리고, 흡착 노즐(82)은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편입되는 홈(6)의 형상에 맞춰 본체(81)의 하면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흡착 노즐(82)은
본체(81)의 내부에서 진공 흡인 장치에 접속되고, 진공 흡인 장치를 작동시키면 흡착 노즐(82)의 개구부로부터
공기가 흡인된다.
이 지그(80)를 이용하여 폴더식 휴대 전화의 가동부의 표면측 케이스(46)의 홈(6)에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편[0041]
입시키는 경우에는, 다수의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모아둔 구 형상 시일 부재 저장소로 지그(80)를 가지고 가
서, 본체(81)의 내부의 진공 흡인 장치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구 형상 시일 부재 저장소에 있는 구 형상 시일
부재(7)는 흡착 노즐(82)에 흡인되어 흡착 노즐(82)의 선단부에 빠짐 없이 흡착된다. 흡착 노즐(82)의 직경은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과 동일하기 때문에, 구 형상 시일 부재(7)는 인접 상태로 모든 흡착 노즐(82)의
선단부에 흡착된다. 이 상태가 도 13에 도시된다.
다음으로, 흡착 노즐(82)의 선단부에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흡착된 상태의 지그(80)를 폴더식 휴대 전화의 가[0042]
동부의 표면측 케이스(46) 위로 가지고 간다. 그리고, 지그(80)를 내려, 흡착 노즐(82)과 홈(6)의 위치를 맞춰,
흡착 노즐(82)의 선단부에 흡착된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근접 상태로 홈(6)에 대향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본체(81)의 내부의 진공 흡인 장치의 작동을 멈추면, 구 형상 시일 부재(7)는 자중에 의해 흡착 노즐(82)로부터
낙하하여, 도 13의 아래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6) 내에 편입된다. 이 지그(80)를 사용하면, 홈(6) 내에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과부족 없이 정확하게 편입시킬 수 있다.
또, 실제로는, 지그(80)는 3차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액츄에이터의 선단부에 부착하여, 홈(6)을 구비한 폴더[0043]
식 휴대 전화의 가동부의 표면측 케이스(46)와 구 형상 시일 부재 저장소 사이를, 자동 제어에 의해 이동시키도
록 하면 된다. 또한, 모든 흡착 노즐(82)에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흡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예컨
대 흡착 시의 공기 누설 검지)를 본체(81) 내에 설치하면,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부족을 사전에 검사할 수 있
다.
도 14의 (a)는 본 출원의 케이싱을 구비한 노트북형 컴퓨터(90)의 일례의 외관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예의 노[0044]
트북형 컴퓨터(90)에는, 액정 디스플레이(93)를 구비한 가동부(91)와, 키보드(94)를 구비한 본체부(92)가 있다.
도 14의 (b)는 도 14의 (a)에 도시한 노트북형 컴퓨터(90)의 본체부(92)의 이면측 케이스(95)로부터 표면측 케
이스(96)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체부(92)의 이면측 케이스(95)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루프 형상으
로 홈(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6) 속에,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 형상 시일 부재(7)가 간극 없이 편
입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으나, 표면측 케이스(96)의 구 형상 시일 부재(7)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표면측 케이
스(96)가 이면측 케이스(95)에 끼워 맞춰졌을 때에,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압축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홈(6), 구 형상 시일 부재(7) 및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방진 방수 구조는 가동부(91)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상, 본 출원의 방진 방수 구조를 갖는 케이싱의 구체적인 예로서, 폴더형 휴대 전화(40)의 케이싱과 노트북형[0045]
컴퓨터(90)의 케이싱을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의 방진 방수 구조를 갖는 케이싱은 전자 기기에 한정되지 않고
진애나 수분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고 싶은 케이싱일 수도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홈(6)의 폭(W)에 대하여,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2R)이 홈폭(W)과 동일[0046]
한 치수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2R)의 직경이 홈폭(W)보다 다소 작아도 본 출원의
방진 방수 구조를 구비한 케이싱을 실현할 수 있다. 실험 결과, 홈폭(W)의 70%~100%의 직경을 구비한 구 형상
시일 부재(7)를 홈(6) 내에 간극 없이 연속해서 배열한 경우에도, 방진 방수 성능을 갖는 케이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돌출부(4)의 폭은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정점을 압축할 수 있는 폭으로 한다. 즉, 구 형상 시일[0047]
부재(7)의 직경이 최소값인 홈폭(W)의 70%인 경우라도, 홈(6)의 내부에 배열된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정점을
돌출부(4)에 의해 압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홈(6)의 내부에 배열되는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정점이 압
축되지 않으면,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홈(6) 내에서의 변형에 치우침이 발생하게 되어, 밀봉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홈(6)의 바닥면 형상이 반(半)실린더 형상, 반(半)구면 형상인 것으로 설명하[0048]
였으나, 평면으로 해도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케이싱의 방진 방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홈(6)의 깊이도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보다 크게 하고 있으나, 홈(6)의
깊이를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보다 작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상황에서는 구 형상 시일 부재(7)의
직경은 2 ㎜~3 ㎜로 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132039
- 8 -
이상, 본 출원을 특별히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출원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0049]
본 출원의 구체적인 형태를 이하에 부기한다.
(부기 1)[0050]
한쪽 및 다른쪽의 케이스 부재를 끼워 맞춤으로써 형성된 케이싱으로서,[0051]
한쪽의 케이스 부재의 방진 방수 영역의 주위에 연속해서 형성된 홈과,[0052]
상기 한쪽 및 다른쪽의 케이스 부재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상기 홈 내에 삽입되는 위치에, 홈폭보다 좁은 폭으[0053]
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홈폭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홈 내에 간극 없이 연속해서 배열된 구(球) 형상 탄성체[0054]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0055]
(부기 2)[0056]
상기 홈에 직교하는 방향의 상기 홈의 단면 형상이, 상기 홈에 삽입되는 구 형상 탄성체와 동일한 반경의[0057]
반(半)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케이싱.
(부기 3)[0058]
상기 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구 형상 탄성체와 동일한 반경의 반구 형상의 오목부가 연속해서 형[0059]
성되고, 상기 홈의 측면에는, 상기 반구 형상의 오목부에 매끄럽게 연속하는 원통 형상의 벽면이 연속해서 설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된 케이싱.
(부기 4)[0060]
상기 반구 형상의 오목부의 인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돌기, 및 상기 원통 형상의 벽면의 인접하는 부위에 위치[0061]
하는 돌기의 정점 부분이 깎여 필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된 케이싱.
(부기 5)[0062]
2개의 케이스 부재의 끼워맞춤부가 3차원 형상이며, 상기 홈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가[0063]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케이싱으로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홈에 삽입되는 구 형상 탄성체의 반경 이상의 곡율로, 매끄럽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0064]
는 부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
(부기 6)[0065]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2개의 케이스 부재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구 형상 탄성체[0066]
의 반경에 상당하는 깊이를 남기는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에 기재된 케이싱.
(부기 7)[0067]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2개의 케이스 부재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구 형상 탄성체를 압축했을 때에, 상[0068]
기 돌출부의 정상면과 상기 구 형상 탄성체 사이의 간극을 압축된 구 형상 탄성체의 변형 부분으로 메울 수 있
는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된 케이싱.
(부기 8)[0069]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2개의 케이스 부재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기 구 형상 탄성체를 압축했을 때에, 상[0070]
기 돌출부의 정상면과 상기 구 형상 탄성체의 상측 부분과의 사이의 간극, 및 상기 필릿과 상기 구 형상 탄성체
의 하측 부분과의 사이의 간극을, 압축된 구 형상 탄성체의 변형 부분으로 메울 수 있는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된 케이싱.
(부기 9)[0071]
상기 홈의 중심선과 상기 돌출부의 중심선은, 상기 2개의 케이스 부재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평면에서 보아 겹쳐[0072]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
(부기 10)[0073]
등록특허 10-1132039
- 9 -
상기 홈의 전체 길이는 상기 구 형상 탄성체의 직경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2에 기재된 케[0074]
이싱.
(부기 11)[0075]
한쪽 및 다른쪽의 케이스 부재를 끼워 맞춤으로써 형성된 케이싱으로서,[0076]
한쪽의 케이스 부재의 방진 방수 영역의 주위에 연속해서 형성된 홈과,[0077]
상기 한쪽 및 다른쪽의 케이스 부재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상기 홈 내에 삽입되는 위치에, 홈폭보다 좁은 폭으[0078]
로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홈폭의 70%~100%의 직경을 갖고, 상기 홈 내에 간극 없이 연속해서 배열된 구 형상 탄성체[0079]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0080]
(부기 12)[0081]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기 구 형상 탄성체의 직경이 상기 홈폭의 70%인 경우에도, 상기 구 형상 탄성체의 정점[0082]
을 상기 돌출부에 의해 가압할 수 있는 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된 케이싱.
(부기 13)[0083]
상기 구 형상 탄성체는 고체 겔형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0084]
재된 케이싱.
(부기 14)[0085]
부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케이싱을 구비한 전자 기기.[0086]
(부기 15)[0087]
상기 전자 기기가 노트북형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에 기재된 전자 기기. [0088]
부호의 설명
1: 상측 케이스 2: 하측 케이스[0089]
3, 5: 끼워맞춤면 4: 돌출부
6: 홈 7: 구 형상 시일 부재
10: 방진 방수 케이스 40: 폴더식 휴대 전화
45: 이면측 케이스 50: 지그
60: 필릿 80: 지그
82: 흡착 노즐 90: 노트북형 컴퓨터
95: 이면측 케이스
등록특허 10-1132039
- 10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132039
- 11 -
도면2
등록특허 10-1132039
- 12 -
도면3
등록특허 10-1132039
- 13 -
도면4
등록특허 10-1132039
- 14 -
도면5
등록특허 10-1132039
- 15 -
도면6
등록특허 10-1132039
- 16 -
도면7
등록특허 10-1132039
- 17 -
도면8
등록특허 10-1132039
- 18 -
도면9
등록특허 10-1132039
- 19 -
도면10
등록특허 10-1132039
- 20 -
도면11
등록특허 10-1132039
- 21 -
도면12
등록특허 10-1132039
- 22 -
도면13
등록특허 10-1132039
- 23 -
도면14
등록특허 10-1132039
- 24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