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12월24일
(11) 등록번호 10-1215092
(24) 등록일자 2012년12월17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46B 5/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6-7026150
(22) 출원일자(국제) 2005년06월13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3월24일
(85) 번역문제출일자 2006년12월12일
(65) 공개번호 10-2007-0019768
(43) 공개일자 2007년02월15일
(86) 국제출원번호 PCT/JP2005/010802
(87) 국제공개번호 WO 2005/122827
국제공개일자 2005년12월29일
(30) 우선권주장
JP-P-2004-00177100 2004년06월15일 일본(JP)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7327737 A
JP2002034659 A
(73) 특허권자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일본국 도쿄토 스미다쿠 혼죠 1쵸메 3반 7고
(72) 발명자
세키노 에이치
일본국 도쿄토 스미다쿠 혼죠 1쵸메 3반 7고 라이
온가부시키가이샤나이
가토 다카오
일본국 도쿄토 스미다쿠 혼죠 1쵸메 3반 7고 라이
온가부시키가이샤나이
(74) 대리인
리앤목특허법인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조호정
(54) 발명의 명칭 칫솔
(57) 요 약
본 발명은 어떠한 방향에서도 파지부를 잡았을 때의 피트성이 우수하고, 파지부의 어떠한 방향에 대해서도 미끄
러짐 방지성이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칫솔은, 칫솔모 다발(1)이 심어진
헤드부(2)와, 목부(3)와, 파지부(4)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4)가 경질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심재부(5)와, 그 심
재부(5)에 접하여 심재부(5)에 피복부착된 연질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피복부(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피복부(6)가 상기 파지부(5) 표면의 70% 이상을 덮고, 상기 피복부(6)의 표면의 마찰 계수가 1이상이다.
대 표 도
등록특허 10-1215092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칫솔모 다발이 심어진 헤드부와, 목부와,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가 경질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심재부와, 그 심재부에 접하여 심재부의 둘레면에 피복부착된 심재부보다 연질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피복부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가 상기 파지부 표면적의 70% 이상을 덮는 동시에, 상기 피복부의 표면의 마찰 계수가 1이상이며,
상기 심재부의 표면측에서, 상품명 표시용의 표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시 돌출부의 표면에 피복되는 피
복부의 두께가, 0.5~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부는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피복부는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되며, 상기 피복부의 고무 경
도는 15~40(JIS K6253, Type A)이고, 상기 피복부의 두께는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상기 목부측 선단 부근의 배면측과, 상기 파지부의 후단측 부근의 식모면부측 및 배면측과, 상기
파지부 중앙의 표면측의 각각에 상기 심재부로부터 바깥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이들 볼록부에서
상기 피복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의 합계 면적이 상기 파지부의 면적의 10%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청구항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부 표면적의 50%이상에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피트성이 우수하며,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구성의 칫솔에 관한 것이다. [0001]
본원은 2004년 6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4-177100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0002]
에 원용한다.
배 경 기 술
통상적으로 칫솔의 핸들부는 경질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잡았을 때 쉽게 미끄러져 피트성이 좋지[0003]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파지(把持)부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진 연질 재료를
피복하여, 잡았을 때의 피트성과 미끄러짐 방지성을 양립시키고자 한 구성을 갖는 칫솔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
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종래의 칫솔의 일례로서 핸들 파지부의 배면측에 좁고 긴 공동과 파지 요소를 가지며, 파[0004]
지 요소의 안쪽에 강성을 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갖는 칫솔로서, 그 파지 요소가 열가소성의 탄성 재
료로 이루어져, 손가락에 의해 변형 가능한 칫솔이 제안되었다(특허 문헌 1 참조).
다른 칫솔의 일례로서, 경질 재료와 연질 재료로 이루어진 칫솔로서, 핸들의 표면측을 경질 재료로 형성하고,[0005]
핸들의 배면과 측면을 연질 재료로 형성하며, 칫솔질할 때 경질 재료부가 잇몸에 닿지 않도록 하여, 잇몸에 상
처를 입히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칫솔이 제안되었다(특허 문헌 2 참조).
다른 칫솔의 일례로서, 경질의 축재(軸材)와 연질의 외장재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구성을 갖는[0006]
등록특허 10-1215092
- 2 -
칫솔(특허 문헌 3 참조), 경질 합성수지제의 1차 핸들의 손잡이부의 외주부에 연질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고,
손잡이부의 전체 둘레면을 연질 합성수지로 피복한 칫솔(특허 문헌 4 참조)이 알려져 있다.
또 다른 칫솔의 일례로서, 투명한 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된 핸들베이스의 폭방향의 양측면에 고무 경[0007]
도가 55~95(JIS K6253, Type A)의 범위인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피복되어 이루어진 핸들부를
가지며, 의장성과 조작성이 향상된 칫솔(특허 문헌 5 참조)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표특허 2000-504609호 공보 [0008]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실용신안 소59-123432호 공보 [0009]
특허 문헌 3: 일본 공개특허 평2-71710호 공보 [0010]
특허 문헌 4: 일본 공개특허 2002-34659호 공보 [0011]
특허 문헌 5: 일본 공개특허 2003-265232호 공보[0012]
발명의 상세한 설명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칫솔은 소프트감은 있으나, 핸들 파지부의 배면측에만 탄성 재료를 설치했기[0013]
때문에, 핸들을 잡았을 때의 피트성과 미끄러짐 방지성이 불충분하며, 특히 핸들 배면측의 반대측면을 잡았을
때의 피트성과 미끄러짐 방지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칫솔은 핸들의 배면측과 측면측을 연질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칫솔질할 때[0014]
경질 수지부가 잇몸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잇몸에 상처를 입히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 연질
재료는 핸들의 피트성이나 미끄러짐 방지성을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칫솔은, 파지부 배면측에만 연질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한 것이기 때문에, 핸들 배면측의[0015]
반대면을 쥘 때의 피트성이 좋지 않고, 미끄러짐 방지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칫솔은 연질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 피복부의 두께가 1mm 전후로 매우 얇기 때문에 피트[0016]
성이 떨어지고, 또 미끄러짐 방지성에 대한 연구의 여지가 많이 있었다.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칫솔은 고무 경도가 55~95(JIS K6253, Type A)로 딱딱하기 때문에 피트성이 낮으며, 또[0017]
파지부의 측면에만 엘라스토머부를 설치했기 때문에 미끄러짐 방지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 일반적으로 칫솔의 브러싱에서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피트성이나 미끄러짐 방지성이 우수한 핸들[0018]
모양의 파지부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핸들 모양의 파지부를 경질 재료의 심재(芯材)와 연질 재료의 피
복재로 구성하고, 연질 재료의 피복재로는 엘라스토머 수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엘라스토머
수지의 마찰 계수가 낮은 경우, 또 파지부에서의 피복 면적이 넓지 않은 경우에 파지부의 미끄러짐 방지성이 떨
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엘라스토머 수지의 경도가 딱딱한 경우, 또 파지부에서의 피복재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칫솔로서의 피트성이 양호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향에서라도 파지부를 잡았을 때의 피트성이 우수하며,[0019]
파지부의 어떠한 방향에 대해서도 미끄러짐 방지성이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
은 피트성 및 미끄러짐 방지성이 우수하면서, 피복부에 먼지가 쉽게 붙지 않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칫솔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0020]
본 발명의 칫솔은, 칫솔모 다발이 심어진 헤드부와, 목부와,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가 경질 수지 재료로[0021]
이루어진 심재부와, 그 심재부에 접하여 심재부의 둘레면에 피복부착된 심재부보다 연질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
진 피복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피복부가 상기 파지부 표면적의 70% 이상을 덮는 동시에, 상기 피복부
의 표면의 마찰 계수가 1이상이며, 상기 심재부의 표면측에서, 상품명 표시용의 표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표시 돌출부의 표면에 피복되는 피복부의 두께가, 0.5~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칫솔은 상기 심재부를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하고, 상기 피복부를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하며, 상기[0022]
피복부의 고무 경도를 15~40(JIS K6253, Type A), 상기 피복부의 두께를 2~5mm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경도"는, 상기 'JIS K6253, Type A'에 의한 경도 즉,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
되어 있는 바와 같이, 「JIS K6253의 Type A에 의해 측정한 경도」를 의미하며, 편의상,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
등록특허 10-1215092
- 3 -
기 'JIS K6253, Type A'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고 단순히 경도의 값만 기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칫솔은 상기 파지부의 상기 목부측 선단 부근의 배면측과, 상기 파지부의 후단측 부근의 식모면부(植[0023]
毛面部)측 및 배면측과, 상기 파지부 중앙의 표면측에, 각각에 상기 심재부로부터 바깥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가 형성되고, 이들 볼록부에서 상기 피복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의 합계 면적이 상기 파지부의 면
적의 10% 이하로 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칫솔은 상기 피복부 표면적의 50%이상에 엠보싱 가공이 행해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4]
본 발명에서는 연질수지 재료의 피복부가 파지부 표면적의 70% 이상을 덮고 있기 때문에, 어떤 방향에서 칫솔을[0025]
파지한 경우라도 양호한 그립성을 가지며, 또 피복부 표면의 마찰 계수가 1이상이기 때문에, 파지한 경우에 쉽
게 미끄러지지 않는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칫솔은 심재부를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이를 닦을 때 전체적으로 적당한 강성을 발휘할[0026]
수 있다. 또 피복부를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파지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 피복부의 고무 경도를 15~40으로 한 경우에는 끈적임감을 더욱 억제하여 먼지가 쉽게 붙지 않도록 할 수 있[0027]
으며, 또한 심재부와의 밀착성을 높여 피트성 및 미끄럼 방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피복부의 두께를 2~5mm로 한 경우에는, 파지부를 잡았을 때, 보다 적당한 탄력감을 얻을 수 있으며, 또 피복[0028]
부의 두께를 지나치게 두껍게 하지 않으므로 너무 굵어지지 않아 더욱 파지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 심재부에 마련한 볼록부에 대해서, 피복부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의 합계 면적을 10%이하로 한 경우에는 심재[0029]
부를 피복부로 충분히 덮을 수 있기 때문에, 파지부를 파지한 경우에 심재부와 손과의 접촉 면적을 충분히 적게
할 수 있어 높은 미끄러짐 방지성을 얻을 수 있으며, 칫솔질할 때 다루기 쉽도록 할 수 있다.
또 피복부 표면의 50%이상에 엠보싱 가공을 한 경우에는, 엘라스토머 수지의 피복부에 특유의 끈적임감을 더욱[0030]
억제할 수 있어, 파지하기 쉬우면서 피트감이 우수한 칫솔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심재부의 표면측과 배면측에 이격되어 피복부의 표면으로 노출되는 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0031]
연질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피복부가 심재부에 대해서 어긋나려고 해도 볼록부가 이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볼
록부가 피복부의 어긋남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이들 볼록부를 심재부 앞뒤면(表裏面)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
마련해 둠으로써 피복부의 효과적인 어긋남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실 시 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0045]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1 실시형태의 칫솔(A)은 칫솔모 다발(1)이[0046]
심어진 헤드부(2)와, 목부(3)와, 파지부(4)를 갖는다. 상기 파지부(4)는 경질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심재부
(5)와, 그 심재부(5)에 접하여 심재부(5)의 거의 전체 둘레에 피복부착된, 연질수지 재료로 형성된 피복부(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복부(6)는 상기 파지부(4)의 표면의 70% 이상을 덮는 동시에, 상기 피복부(6)의 표
면 마찰 계수를 1이상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2)와 목부(3)에 비해서 파지부(4)는, 도 1의 (B)의 측면도와 도 1의 (C)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0047]
같이, 그 두께 방향으로 굵게 형성되고, 도 1의 (A)의 평면도와 도 1의 (D)의 배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
부(4)의 폭방향으로도 굵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파지부(4)에서의 심재부(5)의 주위에 피복부(6)가 피복부착
되어 있음에 기인한다.
또 목부(3)는 그 헤드부(2)측보다 파지부(4)측이 약간 굵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0048]
심재부(5)는 도 2의 (A)의 평면도와 도 2의 (D)의 배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들의 폭방향에서 목부(3)의 가[0049]
장 좁은 부분보다 약간 굵고, 목부(3)의 가장 굵은 부분보다 약간 가는 가로폭을 가지며, 도 2의 (B)의 측면도
와 도 2의 (C)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들의 두께 방향에서 목부(3)의 굵은 부분과 동일한 정도의 두께
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심재부(5)는 도 1의 (C)의 단면도 또는 도 2의 (B)의 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간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휘도록 굽어져 잡기 쉽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심재부(5)의 배면측에서, 목부(3)에 가까운 부분인 선단부측 중앙에, 배면에서 볼 때 타원형의 볼[0050]
록부(5A)가 형성되어 있고, 심재부(5)의 배면측의 후단부측 중앙에도 배면에서 볼 때 타원형의 볼록부(5B)가 형
성되어 있다. 또 상기 심재부(5)의 표면측에서, 그 길이 방향 중앙부측에 평면에서 볼 때 타원형의 볼록부(5C)
등록특허 10-1215092
- 4 -
가 형성되어 있으며, 심재부(5)의 표면측에서, 그 후단부측에, 평면에서 볼 때 타원형의 볼록부(5D)가, 앞의 볼
록부(5B)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심재부(5)의 표면측에서, 볼록부(5C)와 볼록부(5D) 사이의
부분에는 상품명 표시용(로고 릴리프용)의 복수의 표시 돌출부(5E)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심재부(5)의 외부측에는 도 1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재부(5) 주위(4)면의 어떠한[0051]
면에서도 적당한 두께로 심재부(5)를 둘러싼, 연질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피복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복부
(6)는 앞의 심재부(5)의 각 돌출부(5A~5D)의 상면을 덮지 않도록, 이들 각 돌출부(5A~5D)의 둘레면을 덮을 정도
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2)와 목부(3)와 심재부(5)는 열가소성 수지 등의 경질 수지 재료에 의해 1차 금형으로 일체로 성형[0052]
된 것이다. 그 경질 수지 재료로서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강
도, 성형성, 비용면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피복부(6)는 연질수지 재료에 의해, 2차 금형으로, 상기 심재부(5)의 외주부에 일체로 성형된 것이다. 그[0053]
연질수지 재료로서 예를 들면,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엘
라스토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유연성, 미끄러짐 방지성, 심재와의 접착성면에서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독일·크라이부르그사의 상품명 「서모라스트」,[0054]
미츠비시 화학(주)의 상품명 「라바론」, 쿠라레(주)의 상품명 「세프톤」, 리켄 비닐(주)의 상품명 「레오스토
머」, 아사히카세이(주)의 상품명 「터프 테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복부(6)는 그 마찰 계수(JIS K7125에 의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의 금속판에 대한 마찰 계수)가 1이[0055]
상, 더 바람직하게는 2이상일 때 미끄러짐 방지성이 양호한 핸들부로 할 수 있다. 상기 피복부(6)의 마찰 계수
가 1미만인 경우, 칫솔(A)을 사용한 칫솔질할 때 충분한 미끄러짐 방지성을 얻을 수 없다. 한편, 피복부(6)의
마찰 계수가 5를 넘는 경우, 핸들을 잡았을 때의 끈적임감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피복부(6)에 의해 상기 파지부(4)의 표면적의 7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을 피복함으로써 미끄러[0056]
짐 방지성이 양호한 파지부(4)로 만들 수 있다. 피복부(6)의 표면적이 파지부(4)의 표면적의 70% 미만일 때, 파
지부(4)를 손으로 파지했을 때 피복부(6)와 손과의 접촉 면적이 적기 때문에, 칫솔질할 때 충분한 미끄러짐 방
지성을 얻을 수 없다.
상기 피복부(6)는 고무 경도 15~40의 연질수지 재료, 바람직하게는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0057]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파지부(4)는 우수한 피트성을 갖는다. 상기 피복부(6)의 피복재의 고무 경도가
15미만일 경우, 파지부(4)를 잡았을 때 손의 끈적임감이 강하여 먼지가 붙기 쉬운 경향이 있으며, 또한, 피복부
(6)와 심재부(5)의 접착성이 낮아 피복부(6)가 심재부(5)로부터 쉽게 벗겨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피복재
의 고무 경도가 40을 넘는 경우, 파지부(4)를 잡았을 때 피복부(6)가 딱딱하여 피트감이 얻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미끄러짐 방지성도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파지부(4)에서, 우수한 피트성을 얻기 위해서, 피복부(6)의 두께는 2~5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0058]
피복부(6)의 두께가 2mm미만에서는, 파지부(4)를 잡았을 때 피복부(6)가 딱딱하게 느껴져 피트감이 낮아지는 경
향이 있다. 상기 피복부(6)의 두께가 5mm를 넘으면, 파지부가 너무 굵어져 손으로 잡기 어려운 경향이 있다.
상기 칫솔(A)에는 심재부(5)의 표면측과 배면측에, 이격되어 총 4군데에서 피복부의 표면에 노출되는 볼록부[0059]
(5A~5D)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5A~5D)는 심재부(5)의 앞뒤면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군데에 마련되어 있
음에 따라, 연질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피복부(6)가 심재부(5)에 대해서 어긋나려고 해도 이를 억제할 수 있어
피복부(6)의 어긋남 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볼록부(5A~5D)가 상기 피복부(6)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의 합계 면적은 상기 파지부(4)의 표면[0060]
적의 1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복부(6)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의 볼록부(5A~5
D)의 합계 면적을 상기 파지부(4)의 표면적의 10%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파지부(4)의 미끄러짐 방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파지부(4)의 후단부측 부근의 상하면과, 파지부 중앙의 식모면측의 총 3군데에서 심재의 볼록부(5B, 5C,[0061]
5D)가 노출되며, 심재부(5)의 노출 면적을 파지부(4)의 표면적의 10%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높은 파지부의 미끄
러짐 방지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피복부(6)는 상기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 등의 연질수지 재료에 유기 또는 무기 안료를 첨가하고 적절[0062]
등록특허 10-1215092
- 5 -
히 착색하여 성형할 수도 있으며, 또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고 자연색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자연색으로 성형
하는 경우, 심재부(5)의 표시 돌출부(5E)가 피복부(6) 너머로 반투명으로 비쳐 보이는 미관이 우수한 칫솔(A)을
얻을 수 있다.
표시 돌출부(5E)의 표면에 피복되는 피복부(6)의 두께는, 그 내측의 표시 돌출부(5E)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보는[0063]
경우에, 문자 등의 표시 돌출부(5E)의 로고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 표시 돌출
부(5E) 부분 위의 피복부(6)의 두께를 0.5~2.0m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피복부(6)의 두께를
0.5mm미만으로 하면, 금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 금형의 성형 캐비티(금형면과 1차 성형품의 표시 돌출부(5E) 사
이의 간격)에 수지가 들어가지 않고 성형 불량이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표시 돌출부(5E)상의 피복부(6)
의 두께가 2mm이상이 되면, 외부에서 표시 돌출부(5E)를 인식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칫솔(A)의 심재부(5)를 성형하는 경우, 일반적인 사출성형기와 금형을 1차 금형으로서 사용하[0064]
여 성형할 수 있다. 또 2차 금형에 의해 피복부(6)를 성형하는 경우, 일반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성형할 수 있
으나, 금형은 핫 러너·밸브 게이트 방식 또는 핀 게이트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핫 러너·밸브
게이트 방식이 바람직하다.
상기 칫솔(A)의 파지부(4)는 미끄러짐 방지성을 높이기 위해서 피복부(6)의 표면에 요철이나 리브를 설치할 수[0065]
도 있고, 표면에 엠보싱 가공을 할 수도 있다.
피복부(6)의 표면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마찰 계수가 높은 엘라스토머 수지를 피복부(6)의 구성 재료[0066]
로서 사용한 경우의 파지부(4)의 끈적임성을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엠보싱 가공은 피복부(6)의 전체면 또는 피복부(6) 표면의 50% 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부[0067]
(6)의 표면의 50% 미만으로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경우, 엠보싱 가공에 의한 끈적임 방지 효과가 낮다.
피복재의 고무 경도가 15~40인 경우, 끈적임성과 성형성면에서 엠보싱 가공의 조도(粗度)는 Ra=10~200μm의 범
위가 바람직하다. Ra가 10μm미만에서는 끈적임 방지 효과가 낮으며, Ra가 200μm을 넘으면 성형 효율이 저하되
는 경향이 있다.
칫솔(A)에서 칫솔모 다발(1)은 예를 들면, 칫솔모 다발을 구성하는 용모(用毛)로서 합성수지 용모를 사용할 수[0068]
있다. 그 합성수지 용모의 단면적은 직경 0.102mm(4mi1) 이하의 원형 단면 용모의 단면적 상당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용모가 심어지는 식모 구멍은, 그 단면이 직경 1.8mm이상인 원형으로 할 수 있고, 식모 구멍 밀도를[0069]
45% 이상, 용모 충전율을 70~95%로 할 수 있다.
상기 용모는 직경 0.152mm(6mi1)이하의 합성수지 용모가 바람직하며, 특히 직경 0.102~0.127mm(4~5mi1)의 범위[0070]
가 바람직하다. 또 용모는 다른 직경의 용모를 조합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4mi1과 5mi1의 용모를 조합하여
심을 수도 있다.
직경 0.127mm(6mil)보다 굵은 합성수지 용모를 사용하여 칫솔모 다발을 구성하면, 부드러운 치주병 케어용 칫솔[0071]
로는 부적합한 경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틈새의 청소력이 저하된다. 한편, 직경 0.127mm(5mil)이하의 합
성수지 용모를 사용하여 칫솔모 다발을 구성하면, 부드러우면서 닿는 느낌이 좋고, 또 약한 압력으로 칫솔질을
하더라도 구강 내 구석구석까지 높은 프라그 제거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용모 재질은, 종래부터 칫솔에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라면 사용 가능하고,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폴리부[0072]
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
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비용
억제를 위해서는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모를 채용하고, 각 칫솔모 다발은 단일 직경의 용모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칫솔(A)은 우수한 피트성과 미끄러짐 방지성을 가지며, 잡기 쉽고 사용감이 우수하다. [0073]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2 실시형태의 칫솔(B)은 칫솔모 다[0074]
발(1)이 심어진 헤드부(2)와, 목부(3)와, 파지부(4)를 가지며, 상기 파지부(4)는 경질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
심재부(5)와, 그 심재부(5)에 접하여 심재부(5)의 거의 모든 둘레에 피복부착된, 연질수지 재료로 형성된 피복
부(6)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복부(6)는 상기 파지부(4)의 표면의 70% 이상을 덮고, 상기 피복부(6)의 표
면 마찰 계수는 1이상으로서,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의 칫솔(A)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칫솔(A)에서 마련되어 있던 볼록부(5A, 5C)는 칫솔(B)에서 생략되고,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0075]
등록특허 10-1215092
- 6 -
(5A, 5C)가 형성되어 있던 부분은 피복부(6)로 덮여져 있다.
또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칫솔(B)에서, 칫솔(A)에 형성되어 있던 표시 돌출부(5E) 대신에, 상품명 표[0076]
시용의 약간 높은 표시 돌출부(5E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표시 돌출부(5E2)의 선단부는 피복부(6)의 표면측으
로 노출되어 인식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의 칫솔(B)은 상기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칫솔(A)과 동등하기 때문에, 앞[0077]
의 제1 실시형태의 칫솔(A)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0078]
1차 금형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사출을 행하여,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의 헤드부와, 목부와 그것에 연속되는[0079]
파지부의 심재부로 이루어진 1차 성형체를 성형했다. 이어서, 2차 금형에, 1차 금형으로 성형한 1차 성형체를
장전하고, 1차 성형체의 심재부의 외주측에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로 이루어진 피복부를 성형하여 일체화하
여 2색 성형했다. 이어서, 헤드부에 합성수지 필라멘트를 심어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칫솔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0080]
상기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고무 경도 20인 것(독일·크라이부르그(KRAIBURG)사의 상품명 「서모라스[0081]
트 K(THERMOLAST K)」)을 사용했다. 또 이 피복재를 성형하여 이루어진 피복부의 두께를 3mm로 했다. 또 피복부
표면의 마찰 계수를 0.5, 1.0, 및 2.0의 3종류, 파지부 표면적에 대한 피복부 표면적의 비율을 50%, 70%, 및
90%의 3종류로 설정하고,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칫솔 시료를 제조했다.
<시험예 1>[008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시료에 대해서, 실제로 손으로 잡아 본 경우의 미끄러[0083]
짐 방지성에 대해서 시험했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시험 조건, 평가 방법 및 기준은 이하와 같다. [0084]
잡는 방법: 손바닥 그립(palm grip)[0085]
평가 방법: 관능 평가[0086]
평가 기준: A:칫솔질할 때 핸들이 상당히 미끄러지기 어려움[0087]
B:칫솔질할 때 핸들이 미끄러지기 어려움[0088]
C:칫솔질할 때 핸들이 조금 미끄러지기 쉬움[0089]
D:칫솔질할 때 핸들이 미끄러지기 쉬움[0090]
표 1
[009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피복부의 마찰 계수 2.0 1.0 1.0 1.0 0.5 0.5 0.5
표면적 90% 90% 70% 50% 90% 70% 50%
미끄러짐 방지성 A B B C C C D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핸들부가 되는 파지부의 피복부의 마찰 계수가 1이상(JIS K7125에 의한 알루미늄 또[0092]
는 스테인레스의 금속판에 대한 마찰 계수 1에 해당하는 값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이상일 때, 미끄러짐 방지
성이 양호한 핸들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마찰 계수가 1미만인 경우, 칫솔질할 때 미끄러짐 방지성이 충
분히 얻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핸들 파지부의 표면적의 70%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을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로 피복 성형함[0093]
으로써, 미끄러짐 방지성이 양호한 파지부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파지부 표면적에 대한 피복부 표면
적의 비율이 70% 미만인 경우, 파지부를 파지했을 때 피복부와 손과의 접촉 면적이 적기 때문에 칫솔질할 때 미
끄러짐 방지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았다.
이들 시험 결과로부터, 칫솔질할 때 충분한 미끄러짐 방지성을 얻기 위해서, 파지부 표면적의 70%이상에 에스틸[0094]
렌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피복재를 피복하는 것과 그 마찰 계수는 1.0이상이 필요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등록특허 10-1215092
- 7 -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8>[0095]
다음에, 파지부 표면적에 대한 피복부 표면적의 비율을 90%로 하고, 사용하는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고무[0096]
경도를 15, 40, 60의 3종류(쿠라레(주)의 상품명「세푸톤 CJ103」, 「세푸톤 CJ102」, 「세푸톤 CJ002」)로 하
며, 피복부의 두께를 1mm, 2mm, 3mm의 3종류로 하여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8의 칫솔
시료를 제작했다.
<시험예 2>[0097]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5 내지 비교예 8의 시료에 대해서, 실제로 잡아 본 경우의 피트성에 대해서[0098]
시험했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상기 시험 조건, 평가 방법 및 기준은 이하와 같다. [0099]
잡는 방법: 손바닥 그립[0100]
평가 방법: 관능 평가[0101]
평가 기준: A:핸들 파지부가 손에 매우 피트됨[0102]
B:핸들 파지부가 손에 피트됨[0103]
C:핸들 파지부가 손에 그다지 피트되지 않음[0104]
D:핸들 파지부가 손에 전혀 피트되지 않음[0105]
표 2
[0106]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피복재의 고무 경도 15 15 15 40 40 40 60 40
두께 3 2 1 3 2 1 3 6
피트성 A B C B B D D C
표 2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핸들부로서의 파지부의 피트성은 피복재인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고무 경도가[0107]
15~40인 경우에 양호했다. 고무 경도가 15미만에서는, 파지부를 잡았을 때 손의 끈적임감이 강하여 먼지가 붙기
쉬우며, 또한 심재와의 접착성이 낮아 쉽게 벗겨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 고무 경도가 40이상인 경우, 파지부를
잡았을 때 피복부가 딱딱하여 피트감이 얻어지지 않으며, 또한 미끄러짐 방지성도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핸들부로서의 파지부의 피트성은, 피복부의 두께가 2~5mm인 경우에 양호했다. 피복부의 두께가 2mm이하인[0108]
경우는, 파지부를 잡았을 때 피복부가 딱딱하여 피트감이 낮으며, 피복부의 두께가 5mm이상인 경우는, 파지부가
너무 두꺼워져 잡기가 어려웠다.
이들 시험 결과로부터, 상기 피복재의 고무 경도가 15~40의 범위이고, 피복부의 두께가 2~5mm의 범위인 경우에[0109]
파지부의 피트성이 양호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8>[0110]
피복재로서 고무 경도 20의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독일·크라이부르그사의 상품명 「서모라스트K」)를 사용[0111]
하고, 파지부 표면의 약 90%를 평균 두께=3mm로 피복하도록 마찰 계수 2의 피복부를 형성시켜 칫솔 시료를 제작
했다.
<비교예 9>[0112]
피복재로서,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 대신에 고무 경도 60의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미쯔이 화학(주)의 상[0113]
품명 「밀라스토머 6030N」)를 사용하고, 파지부 표면의 약 90%를 평균 두께=1mm로 피복하도록 마찰 계수 0.2의
피복부를 형성시켜 칫솔 시료(일본 공개특허 2000-265232호 공보에 기재 칫솔에 해당함)를 제작했다.
<시험예 3>[0114]
실시예 8 및 비교예 9에서 제조한 칫솔 시료를 사용하여, 실제로 잡아 본 경우의 파지부의 미끄러짐 방지성과[0115]
피트성에 대해서 조사했다. 시험은 패널수(시험에 사용한 시료의 수):n=30으로 2주일간 행하고, 그 결과를 이하
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각각 평가하여 그 평균값을 표 3에 나타냈다.
등록특허 10-1215092
- 8 -
7:매우 좋음[0116]
6:좋음[0117]
5:약간 좋음[0118]
4:좋지도 나쁘지도 않음[0119]
3:약간 좋지 않음[0120]
2:꽤 좋지 않음[0121]
1:매우 좋지 않음[0122]
표 3
조사 항목[0123] 실시예 8 비교예 9
핸들 파지부가 손에 피트되는 느낌 5.8점 4.3점
핸들 파지부가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정도 6.0점 4.4점
표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실시예 8의 칫솔 시료는 비교예 9의 칫솔 시료보다 미끄러짐 방지성 및 피트성이 우[0124]
수하여 사용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4>[0125]
다음에,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피복부 표면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에 따른, 파지부에서의[0126]
끈적임성에 대한 영향에 대해서 평가 시험을 행했다.
평가 시험은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고무 경도가 15, 40, 마찰 계수가 1.0인 것을 사용하고, 평균 두께[0127]
3mm로 하여 피복부를 형성시켜, 그 표면에 엠보싱 가공을 하여 칫솔 시료로 했다. 상기 피복부 표면에 형성된
엠보싱의 평균 조도(Ra)는 10μm미만, 10~200μm의 범위, 또는 200μm을 넘는 크기로 했다.
얻어진 칫솔 시료에 대해서, 각각에 끈적임 상태와 성형성에 대해서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그 결과를[0128]
이하의 표 4에 나타낸다.
끈적임:[0129]
A:파지부를 파지했을 때 끈적임을 전혀 느끼지 않음[0130]
B:파지부를 파지했을 때 끈적임을 거의 느끼지 않음[0131]
C:파지부를 파지했을 때 끈적임을 느낌[0132]
성형성:[0133]
A:성형성이 양호했음[0134]
B:금형으로부터의 이형성면에서 성형성이 양호하지 않았음[0135]
표 4
엠보싱 조도(Ra)[0136]
고무 경도
1O㎛미만 10~200μm 200μm 초과
15 끈적임C
성형성A
끈적임A
성형성A
끈적임A
성형성B
40 끈적임B
성형성A
끈적임A
성형성A
끈적임A
성형성B
표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스틸렌계 엘라스토머 수지로 이루어진 피복재의 고무 경도가 15~40인 경우, 끈적임[0137]
성과 성형성면에서 엠보싱 가공의 조도는 Ra=10~200μm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Ra=10μm미만에서는 끈적임을 느
끼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Ra=2OOμm을 넘는 크기에서는 성형성이 양호하지 않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등록특허 10-1215092
- 9 -
또 상기 엠보싱 가공은 피복부의 전체면, 또는 피복부 표면의 50% 이상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 미만인[0138]
경우, 엠보싱 가공에 의한 끈적임 방지 효과가 낮아진다. 따라서, 피복재의 고무 경도가 15~40이고, 10~200μm
의 범위의 엠보싱 조도로 가공되어 이루어진 피복부를 갖는 칫솔 시료가 끈적임성이 없으며, 성형성도 양호하다
는 것이 판명되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떠한 방향에서라도 파지부를 잡았을 때의 피트성이 우수하며, 파지부의 어떠한 방향에 대[0139]
해서도 미끄러짐 방지성이 우수한 칫솔이 제공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칫솔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동 칫솔의 정면도이고, (B)는 동 칫솔의[0032]
측면도이고, (C)는 동 칫솔의 단면도이고, (D)는 동 칫솔의 배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칫솔의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동 칫솔의 일부의 정면도이고,[0033]
(B)는 동 칫솔의 일부의 측면도이고, (C)는 동 칫솔의 일부의 단면도이고, (D)는 동 칫솔의 일부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칫솔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동 칫솔의 정면도이고, (B)는 동 칫솔의[0034]
측면도이고, (C)는 동 칫솔의 단면도이고, (D)는 동 칫솔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칫솔의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동 칫솔의 일부의 정면도이고,[0035]
(B)는 동 칫솔의 일부의 측면도이고, (C)는 동 칫솔의 일부의 단면도이고, (D)는 동 칫솔의 일부의 배면도이다.
<부호의 설명>[0036]
A 칫솔[0037]
1 칫솔모 다발[0038]
2 헤드부[0039]
3 목부[0040]
4 파지부(핸들부)[0041]
5 심재부[0042]
5A, 5B, 5C, 5D 볼록부[0043]
6 피복부[0044]
등록특허 10-1215092
- 10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215092
- 11 -
도면2
등록특허 10-1215092
- 12 -
도면3
등록특허 10-1215092
- 13 -
도면4
등록특허 10-1215092
- 14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