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
C21B 7/06 (2006.01)
C21B 7/00 (2006.0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6년09월28일
10-0629408
2006년09월21일
(21) 출원번호 10-2005-0031548 (65) 공개번호
(22) 출원일자 2005년04월15일 (43) 공개일자
(73) 특허권자 조선내화 주식회사
전남 광양시 태인동 1657-9
(72) 발명자 문동욱
전남 순천시 연향동 부영2차아파트 201동 1208호
김영길
전남 순천시 조례동 1623-2
정종권
전남 광양시 중동 1354 동광2차아파트 503동 808호
(74) 대리인 심창섭
김용인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9176713 A
JP61257406 A
JP57181306 A
KR102003009570 A
*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심사관 : 이한욱
(54) 고로 노벽 보수장치
요약
본 발명은 고로 노벽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량물 운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크레인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다른 구조를 포함시켜 좁은 공간에서도 안정된 조업이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전체 구조의 간단화로 인해 제작비용이 줄어
들도록 하며, 작업과정에서 스프레이부재가 흔들림 없이 안정을 이루어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고로
노벽의 정확한 보수지점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로의 노벽(1) 상부 외측에 고정된 지지부재(101); 상기 지지부재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
부재(102); 상기 회전부재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암(103);
상기 회동암에 전체 길이가 줄어들도록 다단계로 접히면서 고로 외부로 빠져나오거나 전체 길이가 늘어나도록 다단계로
펴지면서 고로 내부로 들어가는 절첩암(104); 상기 회동암(103) 내의 힌지결합부분에 설치되어 와이어(106)가 감겨진 상
태로 드럼을 갖는 원치방치부(105); 상기 절첩암(104)의 끝단에 와이어(106)에 매달린상태로 설치되어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상태에 따라 상,하수직이동하는 걸림고리(107); 상기 걸림고리에 매달린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급경성 부정형 내화
등록특허 10-0629408
- 1 -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108)을 갖는 스프레이부재(109); 지상의 원료압송기로 부터 압송된 급경성 부정형 내화
물을 스프레이부재까지 이송하는 원료이송호스(110); 지상의 펌프로 부터 펌핑되는 물과 전원공급부재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 독립해서 스프레이부재(109)까지 공급하는 유틸리티호스(111); 상기 원료이송호스(110) 및 유틸리티호스
(111)를 회동암(103)과 절첩암(104)에 걸쳐 그 바깥쪽에서 일부분씩 안정된 상태로 지지시켜 주면서 부드럽게 경로를 변
환시켜 주는 복수개의 호스안내롤러(112); 상기 회동암(103)의 힌지결합부 반대쪽부분에 설치되어 원료이송호스(110) 및
유틸리티호스(111)를 특정방향으로 당겨주는 호스 당김수단; 상기 고로 내에서 스프레이부재(109)가 유동되지 않도록 스
프레이부재를 여러방향에서 잡아주는 클램핑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도
도 5d
색인어
고로, 노벽, 노벽 보수, 크레인,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는 종래 고로 노벽 보수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스프레이부재가 고로 내부로 인입되기 전
상태도
도 1b는 종래 노벽 보수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스프레이부재가 고로 내부로 인입된 직후 상태
도
도 1c는 종래 노벽 보수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스프레이부재가 고로 내부로 인입된 직후 노벽
보수지점까지 하강된 상태도
도 2는 도 1c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노벽 보수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Ⅰ-Ⅰ선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 노벽 보수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스프레이부재가 고로 내부로 인입되기 전 상
태도
도 5b는 본 발명 노벽 보수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스프레이부재가 고로 내부로 인입되는 1차
상태도
도 5c는 본 발명 노벽 보수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스프레이부재가 고로 내부로 인입되는 2차
상태도
도 5d는 본 발명 노벽 보수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로서, 스프레이부재가 고로 내부로 인입된 직후
노벽 보수지점까지 하강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노벽 보수장치의 구성요소인 회동암과 절첩암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
도 9는 도 8의 Ⅲ-Ⅲ선 확대 단면도
등록특허 10-0629408
- 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노벽 2. 뚜껑
101. 지지부재 102. 회전부재
103. 회동암 104. 절첩암
105. 원치장치부 106. 와이어
107. 걸림고리 108. 분사노즐
109. 스프레이부재 110. 원료이송호스
111. 유틸리티호스 112. 호스안내롤러
113. 고정판 114. 하부 브라켓
115. 하부 당김롤러 116. 연결체인
117. 종동 체인기어 118. 보조 고정판
119. 모터 120. 구동 체인기어
121. 구동체인 122. 상부 브라켓
123. 상부 당김롤러 124. 장공
125. 이동캡 126. 나사봉
127. 조임구 128. 스프링
129. 클램핑 로프 130. 로프 감김부재
131. 클램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고로 노벽 보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구조를 달리하여 고로 노벽을 보수하기 위해 분사노즐이
설치된 스프레이부재를 상기 고로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고로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시킬 때 그 인입,출작업
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함께 고로 내부로 인입된 스프레이부재를 이용해 고로 노벽을 보수하는 과정에
서는 상기 스프레이부재가 내화물의 분사압력에 의해서도 안정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blast furnace)란 선철(銑鐵)을 제조하기 위해 원료인 철광석을 용융하는 시설물로서, 일명 용광로(鎔鑛
爐)라 부르기도 한다.
상기한 고로는 내부로 철광석과 함께 다른 물질(코크스, 석회석 등)이 투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공간
부를 갖는 노벽(1)과, 상기 노벽의 상단에 개폐가능하게 구비된 뚜껑(2)으로 크게 구성된다.
등록특허 10-0629408
- 3 -
상기 노벽(1)은 중간 중간에 냉각반(1a)을 사이에 두고 내화벽돌(1b)이 적층되어 있고, 상기 내화벽돌은 철피(1c)에 의해
외부가 보호되어 있다.
또한 뚜껑(2)의 적소에는 고로 내부로 노벽(1) 보수를 위한 노벽 보수장치의 요부 구성요소들이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거
나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되도록 맨홀(2a)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고로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노벽(1)의 내부 둘레가 손상 및 마모되고, 이 경우 상기 노벽을 이루는 냉각반(1a)이
노출되어 파손되거나 상기 노벽(1)의 박벽화로 인한 크랙의 발생과 철피(1c)의 적열로 인한 조업 불안정은 물론 심할 경우
가스누설이 발생되는 일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차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고로의 가동율 저하 및 조업도의 저하가 초래되어 결국 생산성이 떨어지는 이차적인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일차적인 문제점 및 이차적인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수시로 고로 노벽(1)의 안쪽 둘레를 보강하여 안
정조업 및 수명연장을 목적으로 상기 노벽의 안쪽 둘레면에 물과 혼합된 상태의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을 분사에 의해 접착
시키는 고로 노벽 보수과정을 실시하고 있고, 상기 고로의 노벽 보수를 위해서는 노벽 보수장치를 필요로 한다.
그럼 먼저 종래 고로 노벽 보수장치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고로의 노벽(1)중 상부 외측에 지지부재(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복수개의 지주대(4)에 의해 지지된 상태
로 고정암(5)이 수평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암에는 모터(6)의 구동력을 받아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암
(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암중 고로쪽 끝단에는 이동암(7)이 고로쪽으로 완전히 이동되어진 상태에서는 이동암
(7)과 역삼각형 구조를 이루도록 두개의 회동암(8)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동암(7)중 고로와 반대되는 쪽
의 끝단에는 내부에 와이어(9)가 감겨진 상태로 세개의 드럼(도시는 생략됨)이 설치되어 있는 윈치장치부(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윈치장치부의 각 드럼에 감겨진 3개의 와이어(9)중 하나의 와이어는 이동암(7)의 끝단부를 통해 직하방으로
노출됨과 함께 나머지 두개의 와이어는 각 회동암(8)의 끝단을 통해 직하방으로 노출되어 있고, 상기 이동암(7)과 회동암
(8)의 결합부분 직하방에는 각 와이어(9)의 외부 끝단에 매달린 상태로 분사노즐(12)을 갖는 스프레이부재(11)가 설치되
어 있다.
상기 이동암(7) 내에는 지면에 있는 원료 압송기(도시는 생략됨)로 부터 압송된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노벽 보수원료)을
스프레이부재(11)까지 이송하기 위한 원료이송호스(13)가 내장되어 있음은 물론 지면의 펌프로 부터 펌핑되는 물과 전원
장치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서로 분리한 상태에서 스프레이부재(11)까지 공급하기 위한 유틸리티호스(14)가 내장되어
있다.
한편 노벽(1)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지지부재(3)에는 이동암(7)의 이동방향에 따라 원료이송호스(13) 및 유틸리티호스
(14)를 특정방향으로 함께 당겨주도록 호스드라이버(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장치에서 고정암(5)에 설치된 이동암(7)이 모터(6)의 구동력을 받아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모
터(6)에는 고정암(5) 내부에서 이동암(7) 상부에 위치되게 피니언(16)이 축결합되어 있고, 상기 이동암(7)의 상부에는 길
이를 따라 피니언(16)과 맞물리게 랙(17)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암(7)은 고정암(5)에 설치된 상태에서 모터(6)의 구동력을 받아 이동할 때 상기 고정암(5)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베어링(18)의 구름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고로 내벽 보수장치를 이용해 고로의 내벽을 보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로의 노벽(1)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고로의 가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로의 뚜껑(2)에 구비되어 있는 맨홀
(2a)을 열어 노벽(1) 내의 공간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선행과정을 거쳐야 한다.
한편 고로의 노벽(1)을 보수하기 전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1a와 같이 고정암(5)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암(7)이 도면상 우측
인 고로와 반대쪽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있는데, 이때 세개의 와이어(9)에 매달려 있는 스프레이부재(11)는 고로 외부로 완
전히 인출되어 있는 상태임은 가능하다.
등록특허 10-0629408
- 4 -
상기 도 1a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암(5)에 설치된 모터(6)가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하여 상기 모터에 축결합된 피니언(16)
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이동암(7)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랙(17)이 상기 피니언(16)과 맞물려 있음을
감안할 때 이동암(7)은 고정암(5)에 설치되어 있는 베어링(18)의 구름력을 받으면서 도면상 좌측으로 원할하게 이동을 하
게 되므로 그 이동되는 어느 순간 상기 이동암(7)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회동암(8)이 고로 뚜껑(2)
의 맨홀(2a)을 통해 상기 고로 내부로 들어감에 따라 결국 스프레이부재(11)가 상기 고로 내부로 도 1b와 같이 인입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두개의 회동암(8)은 힌지점을 중심으로 펼쳐지면서 도 3과 같이 이동암(7)과 역삼각형을 구조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서 이동암(7)이 고로 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암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암(8)이 고로 내부로 들
어갈 때는 원료이송호스(13) 및 유틸리티호스(14)도 함께 따라가야 하므로 이 경우 지지부재(3)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호스드라이버(15)가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원료이송호스(13) 및 유틸리티호스(14)를 상부로 당겨주어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 도 1b와 같은 상태에서 이동암(7)중 고로와 반대되는 쪽 끝단에 설치된 윈치장치부(10)가 작동하여 상기 윈치장치부
내에 있는 세개의 드럼이 풀림방향으로회전하므로 상기 각 드럼에 감겨져 있는 와이어(9)가 풀리게 되고, 이에 따라 각 와
이어에 일체로 매달려 있는 스프레이부재(11)가 도 1c와 같이 와이어(9)의 풀림량에 비례된 만큼 자중에 의해 직하방으로
이동하는데, 이때에도 호스드라이버(15)가 작동하여 원료이송호스(13) 및 유틸리티호스(14)를 계속해서 상부로 당겨준
다.
상기에서 윈치장치부(10)에 의한 각 와이어(9)의 풀림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스프레이부재(11)가 하부로 이동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레이부재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분사노즐(12)이 수평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하지 못하
고 있을 경우 각 와이어(9)의 감김 및 풀림량을 미세 조정하여 상기 분사노즐(12)이 수평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켜 주도
록 하기 위함에 있다.
한편 작업자가 윈치장치부(10)에 의해 세개의 와이어를 풀어줄 때는 스프레이부재(11)가 노벽(1)의 보수지점까지 하부로
이동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상기 스프레이부재(11)가 노벽(1)의 보수지점까지 하부로 이동완료되었을 경우에는 윈치장치부
(10)에 의한 와이어(9)의 풀림을 정지시켜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스프레이부재(11)가 노벽(1)의 보수지점까지 이동 완료되고 나면 도시하지 않은 원료압송기를 작
동시킴에 따라 노벽 보수용 원료인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원료이송호스(13)를 따라 스프레이부재(11)로 이송되고, 이와
동시에 유틸리티호스(14)의 물공급관을 통해 상기 스프레이부재(11)로 물이 공급되므로 스프레이부재 내부에서는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과 물이 서로 혼합되고, 상기 물과 혼합된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은 계속해서 스프레이부재(11)의 분사노즐
(12)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분사되므로 결국 이 분사된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노벽(1)의 안쪽둘레에 접착되면서 보수되
는데, 상기 스프레이부재(11)의 분사노즐(12)은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분사되는 동안 스프레이부재(11) 내부에 있는 유
압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회전을 하게되므로 상기 분사노즐(12)을 통해 분사되는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노벽(1)의 안쪽
둘레에 원을 그리면서 골고루 접착되어 보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노벽(1)의 보수가 완료되고 나면, 상기 고로 내에 위치되어 있는 이동암(7) 및 두개의 회동암(8)이 노벽(1)
의 외측으로 완전히 빠져나오도록 하여 스프레이부재(11)가 고로 외부로 인출 완료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먼저
윈치장치부(10)의 작동에 의해 내부의 드럼이 각 와이어(9)를 감아 스프레이부재(11)를 상부로 완전히 끌어 올린 다음 상
기 이동암(7)을 도면상 우측으로 수평이동시키면 되고, 이후에는 고로의 뚜껑(2)에 구비되어 있는 개방상태의 맨홀(2a)을
닫아 고로가 완전히 폐쇄되도록 한 다음 상기 고로를 이용해 조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그러나 이상에서 살펴본 종래 고로 노벽 보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고정암(5)에 설치된 이동암(7)의 수평이동거리가 지나치게 길어 실제 고로가 차지하는 공간과는 별도로 여분의 주변
공간을 필요로하게 되어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크게 발생된다.
둘째, 고정암(5)에 수평이동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이동암(7)의 일측부분이 노벽(1)의 보수를 위해 고로 내부로 들어간 상
태에서는 상기 이동암(7)에 설치된 두개의 회동암(8)이 이동암(7)과 역삼각형을 이루도록 회동하고, 고로의 보수작업이
완료된 후 고로 외부로 빠져나온 상태에서는 두개의 회동암(8)이 이동암(7)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회동하여야 하므로 구조
적으로 복잡함에 따라 제작비용이 증대됨은 물론 동작의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등록특허 10-0629408
- 5 -
셋째, 원치장치부(10)에 의해 감겨지고 풀리는 세개의 와이어(9)에 의해서만 스프레이부재(11)가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제 상기 스프레이부재의 분사노즐(12)을 통해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분사될 때 그 분사압력으로 인해 스프
레이부재가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흔들리게 됨에 따라 노벽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중력방향으로 떨어져
버려지는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의 량이 증대되면서 원료의 손실이 많아짐은 물론 상기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의 노벽 접촉
지점도 달라지면서 보수상태도 완벽하지 못하게 된다.
넷째, 이동암(7)이 고정암(5) 안쪽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원료이송호스(13) 및 유틸리티호스(14)를 상기
이동암(7) 또는 고정암(5) 외부에 위치되게 설치할 수가 없음에 따라 특히 사용중에 원료이송호스(13)가 이상이 발생되었
을 경우 상기 원료이송호스의 수리 및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호스 내부에 채워져 있던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굳어지면서 호스를 더이상 사용할 수 없게되어 유지관리비용이 증가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중량물 운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크레인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여기에 다른 구조를 포함시켜 좁은 공간에서도 안정된 조업이 가능하도록 함과 함께 전체 구조의 간단화로
인해 제작비용이 줄어들도록 하며, 작업과정에서 스프레이부재가 흔들림 없이 안정을 이루어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의 손
실을 방지하면서 고로 노벽의 정확한 보수지점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료이송호스 및 유틸리티호스를 바깥쪽으로 노출되게 설치하여 필요에 의한 원료이송호스 및 유틸리티호
스의 수리 또는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의 노벽 상부 외측에 고정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암; 상기 회동암에 전
체 길이가 줄어들도록 다단계로 접히면서 고로 외부로 빠져나오거나 전체 길이가 늘어나도록 다단계로 펴지면서 고로 내
부로 들어가는 절첩암; 상기 회동암 내의 힌지결합부분에 설치되어 와이어가 감겨진 상태로 드럼을 갖는 원치방치부; 상기
절첩암의 끝단에 와이어에 매달린상태로 설치되어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상태에 따라 상,하수직이동하는 걸림고리; 상기
걸림고리에 매달린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을 갖는 스프레이부재; 지
상의 원료압송기로 부터 압송된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을 스프레이부재까지 이송하는 원료이송호스; 지상의 펌프로 부터
펌핑되는 물과 전원공급부재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 독립해서 스프레이부재까지 공급하는 유틸리티호스; 상기 원료
이송호스 및 유틸리티호스를 회동암과 절첩암에 걸쳐 그 바깥쪽에서 일부분씩 안정된 상태로 지지시켜 주면서 부드럽게
경로를 변환시켜 주는 복수개의 호스안내롤러; 상기 회동암의 힌지결합부 반대쪽부분에 설치되어 원료이송호스 및 유틸리
티호스를 특정방향으로 당겨주는 호스 당김수단; 상기 고로 내에서 스프레이부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스프레이부재를 여러
방향에서 잡아주는 클램핑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벽 보수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5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 노벽 보수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노벽 보
수장치의 구성요소인 회동암과 절첩암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요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정면
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Ⅱ-Ⅱ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Ⅲ-Ⅲ선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고로의 노벽(1) 상부 외측에 지지부재(101)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수평회전가능하게 회전부재(102)
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에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회동암(103)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암에는 전체 길이가 줄어들도록 다단계로 직선되게 접히거나 펴지면서 고로 내부로 입,출되게 절첩암(104)이 설
치되며, 상기 회동암(103) 내의 힌지결합부 부분에는 와이어가 감겨진 상태로 드럼을 갖는 원치장치부(105)가 설치되고,
상기 절첩암(104)의 끝단에는 와이어(106)에 매달린상태에서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상태에 따라 상,하수직이동되도록 걸
림고리(107)가 설치되며, 상기 걸림고리에는 분사노즐(108)을 갖는 스프레이부재(109)가 걸림상태로 설치되고, 지면에
있는 원료압송기(도시는 생략됨)로 부터 압송된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상기 스프레이부재(109)까지 이송되도록 원료이
송호스(110)가 설치되며, 지면에 있는 펌프로 부터 펌핑되는 물과 전원공급부재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각각 독립적으로
스프레이부재(109)까지 공급되도록 유틸리티호스(111)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암(103)과 절첩암(104)에는 각각 원료이송
호스(110) 및 유틸리티호스(111)의 특정부분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시켜 줌과 함께 경로를 부드럽게 직각상태로 변환시켜
등록특허 10-0629408
- 6 -
주도록 복수개의 호스안내롤러(112)가 설치되며, 상기 회동암(103)에는 원료이송호스(110) 및 유틸리티호스(111)를 특
정방향으로 당겨주도록 호스 당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고로 내부로 스프레이부재(109)가 인입된 후 노벽(1) 보수지점까
지 하강 완료된 상태에서는 유동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클램핑수단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원료이송호스(110) 및 유틸리티호스(111)의 특정부분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시켜 주는 호스안내롤러(112)의 설
치는 회동암(103) 및 절첩암(104)의 바같쪽 전,후면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회동암(103) 및 절첩암(104)의 바깥쪽 전,후
면중 어느 한쪽면에 원료이송호스(110)가 지지되도록 하고, 다른 어느 한쪽면에는 유틸리티호스(111)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원료이송호스(110)가 회동암(103) 및 절첩암(104)의 바같쪽 전면에 설치된 호스안내롤
러(112)에 지지되고, 유틸리티호스(111)가 회동암(103) 및 절첩암(104)의 바깥쪽 후면에 설치된 호스안내롤러(112)에 지
지된다.
본 발명 구성에서 호스 당김수단은 회동암(103)의 바깥쪽 전,후면에 각각 고정된 고정판(113)과, 상기 각 고정판에 고정되
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ㄷ자형의 절곡단면을 갖는 하부 브라켓(114)과, 상기 각 하부 브라켓 내에 회동암(103)의 길이방
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복수개의 하부 당김롤러(115)와, 상기 각 하부 브라켓(114)의 바깥
쪽에 위치되도록 각 하부 당김롤러(115)의 힌지축에 고정되어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체인(116)에 의해 연결된 종동체인기
어(117)와, 상기 회동암(103)의 바깥쪽 전,후면중 고정판(113)의 전방쪽에 각각 고정된 보조 고정판(118)과, 상기 각 보조
고정판에 고정되어 정,역구동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모터(119)와, 상기 각 모터에 축결합되어 모터(119)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체인기어(120)와, 상기 각 구동체인기어의 회전력을 전,후면 종동체인기어(117)중 하나의 종동체인기
어로 전달하는 구동체인(121)과, 상기 각 하부 브라켓(114)의 상부에 그 일단이 결합됨과 함께 다른 일단이 접촉되어 하부
가 개방된 상태로 ㄷ자형의 절곡단면을 갖는 상부 브라켓(122)과, 상기 각 상부 브라켓 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호
스(원료이송호스 및 유틸리티호스)를 사이에 두고 각 하부 당김롤러(115)와 마주보게 위치된 상부 당김롤러(123)와, 상기
각 상부 브라켓(122)에 구비되어 상부 당김롤러(123)의 상,하이동량을 조절함에 따라 호스가 하부 당김롤러(115)와 상부
당김롤러(123) 사이에서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장력조절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하부 당김롤러(115)에는 호스와의 접촉
면적은 줄이면서도 접촉력은 향상시켜 주도록 그 둘레를 따라 축방향으로 복수개의 하부 접촉편(115a)이 형성되고, 상부
당김롤러(123)에는 호스와의 접촉면적은 줄이면서도 접촉력은 향상시켜 주도록 그 둘레를 따라 축방향으로 복수개의 상
부 접촉편(123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호스 당김수단을 구성하는 장력조절부는 각 상부 브라켓(122)에 형성되어 각 상부 당김롤러(123)의 회전축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장공(124)과, 상기 각 상부 브라켓(122)의 상부분을 감싼상태로 수직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 브라켓의 바깥쪽에서 상부 당김롤러(123)의 힌지축 양단을 지지하여 주는 ㄷ자형의 절곡단면을 갖는 이동
캡(125)과, 상기 각 상부 브라켓(122)의 상단에 수직상태로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분은 이동캡(125)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
로 상기 이동캡을 통과하여 그 상단 외측에 위치되는 나사봉(126)과, 상기 각 나사봉에 나사조임상태로 결합된 조임구
(127)와, 상기 나사봉(126)에 끼워진 상태로 조임구(127)과 이동캡(125)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128)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구성에서 클램핑수단은 고로의 뚜껑(2) 외측에 설치되어 클래핑 로프(129)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드럼을
갖는 복수개의 로프 감김부재(130)와, 상기 각 로프 감김부재에 감겨진 클램핑 로프(129)의 끝단에 고정되어 고로 내에서
스프레이부재(109)를 여러방향에서 잡아주는 클램퍼(13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고로의 노벽을 보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데, 고로의 노벽(1)을
보수하기 위해서는 고로의 가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로의 뚜껑(2)에 구비되어 있는 맨홀(2a)을 열어 노벽(1) 내의
공간부가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선행과정을 거쳐야 함은 종래와 동일하다.
한편 고로의 노벽(1)을 보수하기 전 상태에서는 첨부된 도 5a와 같이 지지부재(101)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회동암(103)이
그 힌지축을 기준으로 한 임의의 수평선에 대해 상당히 넓은 각도로 벌어지게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회동암(103)에 다단으로 절첩되게 설치되어 있는 절첩암(104)이 고로의 반대쪽으로 완전히 이동되어 접혀져 있는데,
이때 상기 와이어(106)에 매달려 있는 스프레이부재(109)는 고로의 외부로 완전히 빠져나와 있는 상태로서, 이 경우 상기
와이어(106)의 걸림고리(107)에 걸려있는 스프레이부재(109)는 클램핑수단에 의해 클램핑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도 5a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신호를 부여함에 따라 회동암(103)은 그 힌지축을 기준으로 한 임의의 수평선에 대해 그
각도가 점점더 작아지도록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회동암에 설치된 절첩암(104)이 작동수단(도시
는 생략됨)의 작동력을 부여받아 고로쪽을 향해 단계적으로 빠져나가면서 펴지는데, 이때 스프레이부재(19)가 도 5b와 같
이 고로 뚜껑(2)의 맨홀(2a)로 접근하면 상기 절첩암(104)의 고로쪽 펴짐은 일시 중단되고, 이후 작업자가 지지부재(101)
에 올라간 상태에서 제어신호에 의해 클램핑수단을 구성하는 각 로프 감김부재(130)를 작동시키면 상기 각 로프 감김부재
등록특허 10-0629408
- 7 -
의 드럼이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드럼에 감겨져 있는 클램핑 로프(129)가 풀리면서 노벽(1) 내부 공간부로 느러
지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각 클래핑 로프(129)를 끌어 올린 다음 상기 클램핑 로프의 끝단에 고
정된 클램퍼(131)를 이용해 클램핑 로프(129)를 스프레이부재(109)에 걸어 클램핑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어신호에 의해 절첩암(104)이 이차적으로 펼쳐지면 상기 절첩암의 끝부분이 노벽(1)의 맨홀(2a)을 통해 상
기 노벽(1) 내의 공간부로 도 5c와 같이 들어가게 되고, 이 경우 상기 절첩암(104)의 끝부분에서 와이어(106)의 끝단 걸림
고리(107)에 걸려 있는 스프레이부재(109)도 함께 노벽(1) 내의 공간부로 인입되어 위치된다.
한편 상기 과정에 의해 절첩암(104)이 펼쳐지는 동안 그 펼쳐지는 길이만큼 회동암(103) 및 절첩암(104)의 바깥쪽 전,후
면에서 복수개의 호스안내롤러(112)에 받쳐져 있는 원료이송호스(110)와 유틸리티호스(111)가 함께 따라가야 하는데, 이
는 회동암(103)에 구비되어 상기 원료이송호스(110) 및 유틸리티호스(111)를 특정방향으로 당겨주도록 하는 호스 당김수
단이 작동함에 따라 가능하다.
그럼 여기서 호스 당김수단에 의해 원료이송호스(110)를 특정방향으로 당겨주거나 유틸리티호스(111)를 특정방향으로
당겨주는 과정은 그 당김 대상물의 차이만 빼면 동일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호스 당김수단이 원료이송호스(110)를 당겨
주는 과정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회동암(103)의 바깥쪽 전면에 고정된 보조 고정판(118)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119)가 제어신호를 받아 일방향 구동력을
발생시키면 상기 모터(119)에 축결합되어 있는 구동체인기어(120)가 회전하는데, 이때 회동암(103)의 외측 전면에 고정
판(113)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ㄷ자형의 절곡단면을 갖는 하부 브라켓(114)이 고정되
어 있으며, 상기 각 하부 브라켓 내에는 회동암(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복수개의 하부
당김롤러(115)가 축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하부 당김롤러의 힌지축에는 하부 브라켓(114)의 바깥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연결체인(116)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종동체인기어(117)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체인기어중 하나의 종동체인기
어와 구동체인기어(120)는 구동체인(121)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상기 구동체인기어(120)의 회전력이 구동체
인(121)을 통해 하나의 구동체인기어로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하나의 구동체인기어 회전력은 연결체인(116)을 통해 나머
지 모든 구동체인기어(120)로 전달되므로 결국 모든 하부 당김롤러(115)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료이송호
스(110)에 고로쪽으로의 당김력을 부여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에 의해 원료이송호스(110)에 고로쪽으로의 당김력이 부여되면, 하부 브라켓(114)의 상부에는 그 일단이
결합됨과 함께 다른 일단이 접촉된 상태로 하부가 개방된 ㄷ자형의 절곡단면을 갖는 상부 브라켓(122)이 있고, 상기 상부
브라켓 내에는 원료이송호스(110)를 사이에 두고 각 하부 당김롤러(115)와 마주보게 위치된 상태로 상부 당김롤러(123)
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상부 브라켓(122)에는 상부 당김롤러(123)의 상,하이동량을 조절함에 따
라 원료이송호스(110)가 하부 당김롤러(115)와 상부 당김롤러(123) 사이에서 장력이 조절되도록 장력조절부가 구비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결국 원료이송호스(110)는 하부 당김롤러(115)의 회전에 따른 직접적인 당김력과 상부 당김롤러(123)
의 회전에 따른 간접적인 당김력을 받아 고로 쪽으로 당겨지는 것인데, 상기 하부 당김롤러(115)에는 그 둘레를 따라 축방
향으로 복수개의 하부 접촉편(115a)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부 당김롤러(123)에는 그 둘레를 따라 축방향으로 복수개
의 상부 접촉편(123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하부 및 상부 당김롤러(115)(123)의 회전에 의해 고로 쪽으로 당겨지는
원료이송호스(110)는 실제 하부 접촉편(115a) 및 상부 접촉편(123a)만의 접촉으로 인해 접촉면적은 줄어들지만 그 접촉
면적이 줄어드는 만큼 당김력이 더욱 커질 것임은 이해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원료이송호스(110)의 고로쪽 당김 과정에서 장력조절부에 의한 상부 당김롤러(123)의 이동이 하부 당김롤러
(115)와 가까워지는 쪽으로 이동되느냐 아니면 멀어진 쪽으로 이동되느냐에 따라 상기 원료이송호스(110)의 장력이 조절
되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당김롤러(115)(123)의 회전에 의한 고로쪽 당김력이 달라지게 되는데, 상기 장력조절부에 의한
원료이송호스(110)의 장력조절 과정은 도 8 내지 도 9에 의해 참고적으로 설명한다.
즉, 원료이송호스(110)의 장력이 너무 느슨한 상태에 있을 경우 작업자가 나사봉(126)에 나사조임된 조임구(127)을 조임
방향으로 일정회전수 만큼 회전시켜 조여주면 상부 브라켓(122)의 상부분을 감싼상태로 수직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이동캡(125)이 하부로 이동력을 부여받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상부 당김롤러(123)의 회전축 양단은 상부 브라켓(122)에
수직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124)을 통해 상기 상부 브라켓(122)의 외측에서 이동캡(12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
음에 따라 결국 이동캡(125)과 함께 상부 당김롤러(123)가 조임구(127)의 조임량에 비례된 만큼 하부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 당김롤러의 하부 이동은 원료이송호스(110)를 하부 당김롤러(115)쪽으로 밀어주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원료이송호
스(110)의 장력이 느슨한 상태에서 팽팽한 상태로 바뀌면서 조절되는 것이다.
등록특허 10-0629408
- 8 -
상기 여러 과정을 거쳐 스프레이부재(109)가 고로의 노벽(1) 내 공간부로 들어가 위치되고 나면 곧바로 제어신호에 의해
회동암(103)에 설치된 원치장치부(105)가 작동하여 와이어(106)가 감겨져 있는 내부 드럼을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므
로 상기 와이어가 풀림에 따라 걸림고리(107)에 걸려져 있는 상기 스프레이부재(109)는 와이어(106)의 풀림량에 비례된
만큼 자중에 의해 직하방으로 이동하는데, 이때에도 호스 당김수단이 작동하여 원료이송호스(110) 및 유틸리티호스(111)
를 계속해서 고로쪽으로 당겨준다.
한편 작업자가 윈치장치부(105)에 의해 와이어(106)를 풀어줄 때는 스프레이부재(109)가 노벽(1)의 보수지점까지 하부로
이동되었는가를 확인하여 상기 스프레이부재(109)가 노벽(1)의 보수지점까지 하부로 이동완료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윈치
장치부(105)에 의한 와이어(106)의 풀림을 정지시켜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스프레이부재(109)가 노벽(1)의 보수지점까지 이동 완료되고 나면 제어신호에 의해 고로 뚜껑(2)
바깥쪽에 고정된 상태에서 클램핑수단을 이루는 각 로프 감김부재(130)가 동시에 작동하여 클램핑 로프(129)를 감아 수평
방향으로 당겨주므로 상기 클램핑 로프의 끝단 클램퍼(131)에 클램핑되어 있는 스프레이부재(109)는 여러 수평방향에서
동일한 힘으로 당김력을 받게되어 이후에 상기 스프레이부재(109)의 분사노즐(108)을 통해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분사
될 때 그 분사압력에 의해서도 상기 스프레이부재(109)가 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스프레이부재(109)가 고로 내의 공간부중 특정 지점으로 이동 완료된 이후 도시하지 않은 원료압송기를 작동시키면
노벽 보수 원료인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원료이송호스(110)의 안내를 받아 스프레이부재(109)로 이송됨과 동시에 유틸
리티호스(111)의 물공급관을 통해 상기 스프레이부재(109)로 물이 공급되므로 스프레이부재 내부에서는 원료이송호스
(110)를 통해 이송된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과 물 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물이 서로 혼합되고, 상기 물과 혼합된 급경성 부정
형 내화물은 계속해서 스프레이부재(109)의 분사노즐(108)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분사되므로 결국 이 분사된 급경성 부정
형 내화물이 노벽(1)의 안쪽둘레에 접착되면서 보수되는데, 상기 스프레이부재(109)의 분사노즐(108)은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분사되는 동안 스프레이부재(109) 내부에 있는 유압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회전을 하게되므로 상기 분사노즐
(108)을 통해 분사되는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노벽(1)의 안쪽 둘레에 원을 그리면서 골고루 접착되어 보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노벽(1)의 보수가 완료되고 나면, 상기 고로 내에 들어와 있는 절첩암(104)부분이 노벽(1)의 외측으로 완전
히 빠져나오도록 하여 스프레이부재(109)가 고로 바깥쪽으로 완전히 인출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에는 클램핑수단의
로프 감김부재(130)에 의해 클램핑 로프(129)를 적당히 풀어 상기 클램핑수단에 의한 스프레이부재(109)의 여러방향 당
김력을 일단 해제시키고, 이후 윈치장치부(105)의 작동에 의해 내부의 드럼이 감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어(106)를 감
아 스프레이부재(109)를 일단 상부로 끌어 올린 다음 상기 스프레이부재가 고로의 외부로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 절첩암
(104)를 단계적으로 접으면서 상기 절첨암이 설치되어 있는 회동암(103)을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된다.
한편 상기 절첩암(104)이 접혀질 때 그 접힘은 펴질때와 마찬가지로 스프레이부재(109)가 고로 뚜껑(2)의 맨홀(2a)에 접
근하도록 일차로 접쳐진 다음 다시 이차로 완전히 접혀지는데, 상기 일차로 접혀진 상태에서는 작업자가 클램핑수단을 구
성하는 클램핑 로프(129)의 클램핑을 해제하여 절첩암(104)이 이차로 접혀지는 과정에서 스프레이부재(109)가 클램핑수
단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과정에 의해 절첩암(104)이 완전히 접혀지고 나면 고로의 뚜껑(2)에 구비되어 있는 개방상태의 맨홀(2a)을 닫아 고
로가 완전히 폐쇄되도록 한 다음 상기 고로를 이용해 조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서 고로의 노벽(1) 외측에 고정된 지지부재(1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회전부재
(102)는 제어신호에 의해 수평상태로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인데, 이는 절첩암(104)의 접힘에 의해 스프레이부재(109)가 고
로의 바깥쪽으로 완전히 빠져나온 상태에서 상기 스프레이부재(109)를 지면으로 내리고자 할 때 그 내리려는 지면의 지점
을 고로와 멀리 떨어지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발명의 효과
그러므로 본 발명 고로의 노벽 보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첫째, 스프레이부재(109)를 고로의 노벽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는 절첩암(104)의 이동 스트로크가 짧아 실제 고로
가 차지하는 공간과는 별도로 여분의 공간을 적게 필요로 함에 따라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상당부분 줄어들게 된다.
등록특허 10-0629408
- 9 -
둘째, 스프레이부재(109)를 고로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는 회동암(103) 및 절첩암(104)이 크레인의 원리를 그대
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감소됨은 물론 동작의 안정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
성도 없게된다.
셋째,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의 분사를 위한 스프레이부재(109)를 고로 내부에서 클램핑수단에 의해 여러방향으로 잡아줌
에 따라 실제 상기 스프레이부재의 분사노즐(108)을 통해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분사될 때 그 분사압력으로 인해서도
스프레이부재가 흔들리지 않게 되어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노벽(1)의 보수지점에 정확히 달라붙게 되면서 보수상태가
완벽해진다.
넷째, 원료이송호스(110)와 유틸리티호스(111)가 회동암(103) 및 절첩암(104)에 걸쳐 그 바깥측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
으므로 특히 사용중에 원료이송호스(110)가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 상기 원료이송호스의 수리 및 교체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원료이송호스의 수리 및 교체작업 과정에서 내부에 채워져 있던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굳어지지
않아 호스의 수명이 길어지면서 유지관리비용이 감소된다.
다섯째, 크레인의 원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주기능 외에 고로의 노벽(1) 상부에 고정된 지지부재(101) 위로 지면에 있는
여러 중량물(보수 및 유지를 위한 기구물 등)을 간편하게 올려 놓을 수 있는 부기능도 가지므로 사용의 다양성이 확보된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고로의 노벽 상부 외측에 고정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암;
상기 회동암에 전체 길이가 줄어들도록 다단계로 접히면서 고로 외부로 빠져나오거나 전체 길이가 늘어나도록 다단계로
펴지면서 고로 내부로 들어가는 절첩암;
상기 회동암 내의 힌지결합부분에 설치되어 와이어가 감겨진 상태로 드럼이 설치되어 있는 원치장치부;
상기 절첩암의 끝단에 와이어에 매달린상태로 설치되어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상태에 따라 상,하수직이동하는 걸림고리;
상기 걸림고리에 매달린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을 갖는 스프레이부
재;
지상의 원료압송기로 부터 압송된 급경성 부정형 내화물을 스프레이부재까지 이송하는 원료이송호스;
지상의 펌프로 부터 펌핑되는 물과 전원공급부재로 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각각 독립해서 스프레이부재까지 공급하는 유틸
리티호스;
상기 원료이송호스 및 유틸리티호스를 회동암과 절첩암에 걸쳐 그 바깥쪽에서 일부분씩 안정된 상태로 지지시켜 주면서
부드럽게 경로를 변환시켜 주는 복수개의 호스안내롤러;
상기 회동암의 힌지결합부 반대쪽부분에 설치되어 원료이송호스 및 유틸리티호스를 특정방향으로 당겨주는 호스 당김수
단;
상기 고로 내에서 스프레이부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스프레이부재를 여러방향에서 잡아주는 클램핑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벽 보수장치.
등록특허 10-0629408
- 10 -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호스 당김수단은,
회동암의 바깥쪽 전후면에 각각 고정된 고정판과,
상기 각 고정판에 고정되어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ㄷ자형의 절곡단면을 갖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각 하부 브라켓 내에 회동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면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복수개의 하부 당김롤러
와,
상기 각 하부 브라켓의 바깥쪽에 위치되도록 각 하부 당김롤러의 힌지축에 고정되어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체인에 의해 연
결된 종동체인기어와,
상기 회동암의 외측 전후면중 고정판의 전방쪽에 각각 고정된 보조 고정판과,
상기 각 보조 고정판에 고정되어 정,역구동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각 모터에 축결합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구동체인기어와,
상기 각 구동체인기어의 회전력을 전,후면 종동체인기어중 하나의 종동체인기어로 전달하는 구동체인과,
상기 각 하부 브라켓의 상부에 그 일단이 결합됨과 함께 다른 일단이 접촉되어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ㄷ자형의 절곡단면을
갖는 상부 브라켓과,
상기 각 상부 브라켓 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원료이송호스 또는 유틸리티호스를 사이에 두고 각 하부 당김롤러와
마주보게 위치된 상부 당김롤러와,
상기 각 상부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부 당김롤러의 상하이동량을 조절함에 따라 원료이송호스 또는 유틸리티호스가 하부
당김롤러와 상부 당김롤러 사이에서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장력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벽 보수장
치.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하부 당김롤러에는 원료이송호스 또는 유틸리티호스와의 접촉면적은 줄이면서도 접촉력은 향상시켜 주도록 그 둘레를 따
라 축방향으로 복수개의 하부 접촉편이 형성되고, 상부 당김롤러에는 원료이송호스 또는 유틸리티호스와의 접촉면적은 줄
이면서도 접촉력은 향상시켜 주도록 그 둘레를 따라 축방향으로 복수개의 상부 접촉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벽 보수장치.
청구항 4.
제 2 항에 있어서,
호스 당김수단의 구성요소인 장력조절부는,
등록특허 10-0629408
- 11 -
각 상부 브라켓에 형성되어 상부 당김롤러의 회전축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장공과,
상기 각 상부 브라켓의 상부분을 감싼상태로 수직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 브라켓의 바깥쪽에서 상부 당김롤러의 회전
축 양단을 지지하여 주는 ㄷ자형의 절곡단면을 갖는 이동캡과,
상기 각 상부 브라켓의 상단에 수직상태로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분은 이동캡에 간섭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이동캡을 통과
하여 그 상단 외측에 위치되는 나사봉과,
상기 각 나사봉에 나사조임상태로 결합된 조임구와,
상기 나사봉에 끼워진 상태로 조임구와 이동캡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고로 노벽 보수장치.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클램핑수단은,
고로의 뚜껑 외측에 설치되어 클래핑 로프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드럼을 갖는 복수개의 로프 감김부재와,
상기 각 로프 감김부재에 감겨진 로프의 끝단에 고정되어 고로 내에서 스프레이부재를 여러방향에서 잡아주는 클램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노벽 보수장치.
도면
등록특허 10-0629408
- 12 -
도면1a
등록특허 10-0629408
- 13 -
도면1b
등록특허 10-0629408
- 14 -
도면1c
도면2
등록특허 10-0629408
- 15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0629408
- 16 -
도면5a
등록특허 10-0629408
- 17 -
도면5b
등록특허 10-0629408
- 18 -
도면5c
등록특허 10-0629408
- 19 -
도면5d
등록특허 10-0629408
- 20 -
도면6
등록특허 10-0629408
- 21 -
도면7
등록특허 10-0629408
- 22 -
도면8
등록특허 10-0629408
- 23 -
도면9
등록특허 10-0629408
- 24 -
고로 노벽 보수장치(device for mending inside wall of blast furnace)
2018. 4. 10. 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