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9월23일
(11) 등록번호 10-1659400
(24) 등록일자 2016년09월1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63J 21/00 (2006.01)
(52) CPC특허분류
A63J 21/00 (2013.01)
(21) 출원번호 10-2015-0061581
(22) 출원일자 2015년04월30일
심사청구일자 2015년04월30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323354 B1
KR101473701 B1
KR1020130033919 A
KR1020110127949 A
(73) 특허권자
로보링크 주식회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로 439 (대치동)
(72) 발명자
홍창표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30길 57 , F동 4208
호(도곡동, 타워팰리스)
이현종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32길 15, 106동 1105
호 (가락동, 가락금호아파트)
(74) 대리인
김동섭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이재환
(54) 발명의 명칭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모니터의 이미지와 실물인 마술 아이템의 이동을 서로 연동하여 다양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으며, 마
술의 전 과정을 무선조정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마술 용구는 단순한 시연으로 인해 금방 싫증이 나며, 하나의 용구로 하나의 마술을 시연하기 때문에 다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4
등록특허 10-1659400
- 1 -
양한 상황을 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는 마술을 위한 아이템
(200)을 이미지(51)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50)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아이템(200)을 외부
로 노출하거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101)의 하측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템(200)을 승강하거나 회전에 의해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로봇암(150)이 각각 결합되되, 상기 디스플레이(5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이미지2(52)를 터치하면 변형이
미지(53)로 전환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0)에서는 컴퓨터(40)를 통해 변형이미지(53)에 대한 정보를 전달
받아, 상기 변형이미지(53)와 연동되도록 로봇암(150)의 회전부재(140)를 회전시켜 해당되는 변형아이템(220)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미지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와 아이템을 자동으로 교체하고 이동시키는 로봇암을 서로 연동
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더욱 다양한 마술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마술의 전 과정을 무선조정과 컴퓨터 프로그램
에 의해 자동으로 구현함으로써 어린이 및 학생들의 과학적 호기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등록특허 10-1659400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전면에는 마술을 위한 아이템(200)을 이미지(51)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50)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내부에 구비
된 복수의 아이템(200)을 외부로 노출하거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부(101)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101)의 하측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템(200)을 승강하거나 회전에
의해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로봇암(150)이 각각 결합되되,
상기 디스플레이(5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이미지2(52)를 터치하면 변형이미지(53)로 전환되고, 상기 마
이크로 컨트롤러(30)에서는 컴퓨터(40)를 통해 변형이미지(53)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변형이미지(53)와
연동되도록 로봇암(150)의 회전부재(140)를 회전시켜 해당되는 변형아이템(220)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0)는 컴퓨터(40)의 제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50)에 표출되는 이미지(51)에 연동되
도록 각 로봇암(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0)는 외부제어장치(10)에서 전달된 제어신호를 통신모듈(20)을 통해 전달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컴퓨터(40)를 통해 디스플레이(50)에 이미지(51)를 표출하며, 상기 이미지(51)에 연동되도록
로봇암(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암(150)은 모터모듈1(110)과 모터모듈2(120)의 작동에 의해 회전바(111)(1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
록 구성된 관절부(113)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상기 모터모듈2(120)에는 회전부재(140)가 결합된 모터모듈3(130)이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재(140)에는 복수의
아이템(200)을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부(141~144)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
청구항 5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마술 로봇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니터의 이미지와 실물인 마술 아이템의 이동을 서[0001]
등록특허 10-1659400
- 3 -
로 연동하여 다양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으며, 마술의 전 과정을 무선조정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디
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마술이라 하면 재빠른 손놀림이나 여러 가지 장치 등을 이용하여 불가사의한 현상을 연출함으로써[0002]
일반인들에게, 특히 어린이들에게 신비함과 즐거움을 제공하여 무한한 상상력과 탐구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행위예술의 하나이며, 이러한 마술은 그 기술의 특성 및 고난도의 숙련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대부분 특정사람에
의해 전수되어 연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술이 정신적 치료, 레크리에이션 등과 같이 다각적인 용도로 보편화되고 있는 최근에는 일[0003]
반인들도 이러한 마술은 배워 연출하고자 하여도 적당한 마술 용구가 없어 마술을 연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
다.
따라서 일반인도 간편하게 마술을 연출하고자 하는 욕구와 함께 그에 따른 마술 용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공[0004]
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19265호에서와 같은 담배나 나무막대 등을 케이스에 넣어 절단하였다가 원상태로 복
원되는 시각적 효과를 갖는 마술 용구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술 용구는 단순한 시연으로 인해 금방 싫증이 나며, 하나의 용구로 하나의 마술을 시연하기 때[0005]
문에 다양한 상황을 연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와 로봇암을 연동하여 다양한 마술을 연출할[0006]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술의 전 과정을 무선조정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0007]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는 전면에는 마술을 위한 아이템을 이미지로 표현하는 디[0008]
스플레이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아이템을 외부로 노출하거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복
수의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의 하측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아이템을 승강하
거나 회전에 의해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로봇암이 각각 결합되되, 상기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이미지2를 터치하면 변형이미지로 전환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는 컴퓨터를 통해 변형이미지
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변형이미지와 연동되도록 로봇암의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해당되는 변형아이템을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에 의하면, 이미지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와 아이템을 자[0009]
동으로 교체하고 이동시키는 로봇암을 서로 연동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더욱 다양한 마술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마술의 전 과정을 무선조정과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구현함으로써 어린이 및 학생들의 과학적[0010]
호기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마술 로봇장치를 나타낸 사시도,[0011]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마술 로봇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로봇암(150)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마술 로봇장치의 시연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마술 로봇장치의 제1 시연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등록특허 10-1659400
- 4 -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술 로봇장치의 제2 시연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마술 로봇장치의 제3 시연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0012]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에 디스플레이(50)가 구비되[0013]
고, 상측에는 내측과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부(101)가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술 로봇장치(100)의 내측에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면에 복수의 로봇암(150)이 간격을 이루며[0014]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로봇암(150)은 관통부(101)와 대응하는 숫자로 관통부(101)의 하측 부분에 결합되어 있
다.
상기 로봇암(150)은 마술 로봇장치(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마술 아이템(200)가 되는 공, 과일 등의 복수의 아[0015]
이템(200)을 관통부(101)를 통해 배출하거나, 삽입시키는 동작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추후에 설명할 본 발명의
작용설명에서 다양한 마술을 시연하게 된다.
상기 로봇암(150)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술 로봇장치(100)의 내부 상측 면에 결합되[0016]
는 모터모듈1(110)이 구비되고, 상기 모터모듈1(110)의 양쪽 회전축에는 한 쌍의 회전바(111)가 대향하게 결합
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모듈1(110)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바(111)와 간격을 이루며 한 쌍의 지지바(112)가 회전할 수 있도록[0017]
대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바(111) 및 지지바(112)의 끝단에는 관절부(113)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
되어 있다.
상기 관절부(113)의 양측에는 또 다른 회전바(121) 및 지지바(122)가 하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0018]
있으며, 상기 회전바(121) 및 지지바(122)의 끝단에는 모터모듈2(1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바(121)는 모터모듈2(120)의 양쪽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모터모듈2(120)의 일측에는 모터[0019]
모듈3(130)이 고정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터모듈3(130)의 회전축에는 회전부재(1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140)에는 복수의 결합부(141~144)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141~144)의 외측[0020]
면에는 다양한 마술을 위한 복수의 아이템(200)이 결합수단에 의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아이템의 특성에 따라 벨크로 테이프, 밴드, 고정나사, 체인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0021]
다. ,
이와 같이 구성된 로봇암(150)은 모터모듈1(110) 및 모터모듈2(120)의 작동에 의해 관절부(113)가 상하로 이동[0022]
하면서 상기 회전부재(140)를 승강하게 되며, 상기 회전부재(140)는 모터모듈3(13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함으로
써 결합부(141~144)에 결합된 아이템(20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로봇암(150)의 작동에 의해 복수의 아이템(200)을 복수의 관통부(101)를 통해 배출하거나 삽입함으로써[0023]
마술을 시연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계적 장치와 디스플레이(50)를 연동함으로써 더욱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술 로봇장치(100)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0)에서 컴퓨터(40)의 제[0024]
어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50)에 표출되는 이미지(51)에 연동되도록 각 로봇암(15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0)는 외부제어장치(10)에서 전달된 제어신호를 통신모듈(20)을 통해 전달받고,[0025]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컴퓨터(40)를 통해 디스플레이(50)에 이미지(51)를 표출하며, 상기 이미지(51)에 연동되
도록 로봇암(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외부제어장치(10)는 리모컨, 무선키보드,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수단으로 마술 로봇장치(100)를[0026]
원격제어하는 방식이므로, 사람이 직접 아이템(200)을 이동시키는 기존의 마술을 대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부제어장치(10)를 통해 마술 로봇장치(10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통신모듈(20)에서는 위 제[0027]
어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3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0)에서는 컴퓨터(40)를 통해 디스플레이(50)를 통해 이미지(51)를 표출함과 동[0028]
등록특허 10-1659400
- 5 -
시에, 디스플레이(50)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마술 로봇장치(100)의 모터모듈1 내지 3(110∼130))을 각각 구분
하여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50)에서 나타나는 동작에 연동하여 마술 로봇장치(100)의 로봇암(150)이 개별적으로 동작함[0029]
으로써 마치 디스플레이(50)에 표출된 이미지(51)가 실물로 돌출되는 마술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0)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여[0030]
시연할 수도 있는데, 사용자가 좌측 하단에 위치한 이미지(51)를 화살표 방향(우측 상단)으로 이동시키면, 우측
상단에 위치한 로봇암(150)이 작동하여 아이템(200)을 관통부(101)로 배출한다.
이와는 반대 방향으로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우측 하단에 위치한 이미지(51)를 화살표 방향(좌측[0031]
상단)으로 이동시키면, 좌측 상단에 위치한 로봇함이 작동하여 아이템(200)을 관통부(101)로 배출한다.
따라서 마술 로봇장치(100)에서 이미지(51)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해 아이템(200)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으며,[0032]
이미지(51)의 색상을 다양하게 연출하고 회전부재(140)를 회전시킴으로써 다른 아이템(200)이 노출되도록 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50)에서는 사과형상의 이미지2(52)를[0033]
표현하고, 우측과 좌측의 로봇암(150)에는 각각 사과 형상의 아이템2(210)와 변형아이템(220)을 결합부
(141~144)에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을 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50)는 사용자가 이미지2(52)를
터치하면 변형이미지(53)로 전환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30)에서는 컴퓨터(40)를 통해 변형이미지(53)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변형이미지(53)와 연동되도록 로봇암(150)의 회전부재(140)를 회전시켜 해당되는
변형아이템(220)을 승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미지(51)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50)와 아이템(200)을 자동으로 교체하고 이동시키는[0034]
로봇암(150)을 서로 연동하여 작동시킴으로써 더욱 다양한 마술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마술의 전 과정을 무선조정과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구현함으로써 어린이 및 학생들의 과학적[0035]
호기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0036]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외부제어장치 20 : 통신모듈[0037]
30 : 마이크로 컨트롤러 40 : 컴퓨터
50 : 디스플레이 51 : 이미지
52 : 이미지2 53 : 변형이미지
100 : 마술 로봇장치 101 : 관통부
110 : 모터모듈1 111,121 : 회전바
112,122 : 지지바 113 : 관절부
120 : 모터모듈2 130 : 모터모듈3
140 : 회전부재 141~144 : 결합부
150 : 로봇암
200 : 아이템 210 : 아이템2
220 : 변형아이템
등록특허 10-1659400
- 6 -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659400
- 7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659400
- 8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659400
- 9 -
도면7
등록특허 10-1659400
- 10 -
디스플레이와 연동되는 마술 로봇장치(Magic robot system works with display)
2018. 4. 2. 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