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5월12일
(11) 등록번호 10-1619892
(24) 등록일자 2016년05월0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23D 45/26 (2006.01) B23D 45/16 (2006.01)
B23D 47/04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0160291
(22) 출원일자 2014년11월17일
심사청구일자 2014년11월1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20120001746 U*
KR2019970000798 Y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이상분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로 26-3
(72) 발명자
이상분
대구광역시 북구 검단동로 26-3
(74) 대리인
곽덕환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황성만
(54) 발명의 명칭 장척물 절단이 가능한 금속절단기
(57) 요 약
본 발명은 장척물 절단이 가능한 금속 절단기(2)로서, 피절단물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정가능할 뿐만 아니라 피
절단물(P)의 각도에 따라 피절단물(P)과 절삭 작동체(6)와의 수평거리를 조정하여 피절단물(P)을 항상 작업자가
원하는 절단각도로 위치고정 및 절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대(4)가 장척물인 피절단물(P1)을 바이스(26)로
잡은 회전원반(14)이 정지된 상태에서 작동체(6)를 탑재한 작업면판(4a)의 자체가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작업면
판(4a)에 이격봉(50)을 매개로 이격 고정된 선회작동판(4b)과, 선회작동판(4b)에 가상 회전축으로 회전가능케 연
결되며 선회작동판(4b)과의 상대적인 축선회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면상에 다수의 볼베어링(58)들을 갖는 기저
판(4c)을 구비함으로써, 피절단물(P1)이 장척물이라도 그 장척물을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대 자체가 회전
되게 함으로써 그 절단을 쉽게 허락할 수 있는 것이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619892
- 1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작업대(4)상의 일측에 피절단물(P)을 고정 지지하고, 회전날(12)을 구비한 레버형 헤드(8)와 회전날(12)을 고속
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0)를 갖는 절삭 작동체(6)를 작업대(4)상의 타측에 레버축 설치한 금속 절단기에 있어
서,
작업대(4)의 작업면판(4a)의 일측부에는 슬라이더 작동공간을 갖는 개구부(22)가 형성되고 개구부(22)가 있는
작업면판(4a)의 저면에는 슬라이더(18)를 선형이송 안내하는 레일유닛(16)을 설치하며 개구부(22)내의 레일유닛
(16)의 레일봉에는 회전원반(14)이 축설치된 슬라이더(18)가 슬라이딩 가능케 장치되고 회전원반(14) 상에는 장
척물을 포함한 피절단물(P)(P1)의 끼움 고정을 위한 바이스(26)를 구비하며, 슬라이더(18)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원하는 슬라이딩 선형위치에 슬라이더(18)를 고정하기 위한 선형위치고정용 죄임부재(28)를 갖고 회전원반(14)
에는 작업자의 원하는 피절단물(P)의 절단각도를 슬라이더(18) 상에서 고정하기 각도고정용 죄임볼트(29)를 갖
도록 구성하되,
상기 작업대(4)는,
피절단물(P)을 바이스(26)로 잡은 회전원반(14)이 정지된 상태에서 작동체(6)를 탑재한 작업면판(4a)의 자체가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작업면판(4a)에 이격봉(50)을 매개로 이격 고정된 선회작동판(4b)과, 선회작동판(4b)에
가상 회전축으로 회전가능케 연결되며 선회작동판(4b)과의 상대적인 축선회 구름운동이 가능하도록 면상에 다수
의 볼베어링(58)들을 갖는 기저판(4c)을 구비하며,
상기 기저판(4c)에는 작동내륜면(56)을 갖는 원형개구(54)가 형성되고, 선회작동판(4b)의 저부에는 기저판(4c)
의 원형개구(54)의 작동내륜면(56)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레이디얼 베어링(52)들이 동심배열되어 장
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절단이 가능한 금속 절단기.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선회작동판(4b)은 개구부(22)의 중심부에 선회축 중심이 형성되게 레이디얼 베어링(52)을 배열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척물 절단이 가능한 금속절단기.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금속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피절단물을 작업자가 원하는 절단각도로 위치고정 및 절단할 수[0001]
있으며 장척 금속물이라도 그 절단을 쉽게 허락하는 금속 절단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금속 절단기는 작업대에 파이프 및 플레이트와 같은 피절단물을올려 놓은 상태에서 절단날을 고속으[0002]
로 회전시켜 피절단물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도구이다.
금속 절단기는 피절단물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작업대와, 작업대에 레버축 설치되어 작업대에 고정 및 지지[0003]
된 피절단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이 구비된 절단헤드와, 절단날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로 구성
된다.
등록특허 10-1619892
- 2 -
그러나, 이러한 금속 절단기는 피절단물과 절단헤드가 작업대상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고 절단헤드의 레버[0004]
회동으로 피절단물을 절단하므로, 피절단물을 다양한 각도로 절단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의 일예로는 본원 출원인이 등록권자인 등록실용신안 제20-0463185호[0005]
"금속 절단기"가 개시되고 있으며, 피절단물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정가능할 뿐만 아니라 피절단물의 각도에
따라 피절단물과 작동체와의 수평거리를 조정하여 피절단물을 항상 작업자가 원하는 절단각도로 위치고정 및 절
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으로 언급된 종래기술의 금속 절단기는 피절단물이 긴 길이를 가지는 장척물일 경우에는 장[0006]
척물 자체를 선회시켜야만 하므로 절단하기가 힘들고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신안 제20-0463185호 "금속 절단기" [0007]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절단물을 작업자가 원하는 절단각도로 위치고정 및 절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척물[0008]
이라도 그 절단을 쉽게 허락하는 금속 절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작업대(4)상의 일측에 피절단물(P)을 고정 지지하고, 회전날(12)을 구비한 레버[0009]
형 헤드(8)와 회전날(12)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0)를 갖는 절삭 작동체(6)를 작업대(4)상의 타측에 레
버축 설치한 금속 절단기에 있어서, 작업대(4)의 작업면판(4a)의 일측부에는 슬라이더 작동공간을 갖는 개구부
(22)가 형성되고 개구부(22)가 있는 작업면판(4a)의 저면에는 슬라이더(18)를 선형이송 안내하는 레일유닛(16)
을 설치하며 개구부(22)내의 레일유닛(16)의 레일봉에는 회전원반(14)이 축설치된 슬라이더(18)가 슬라이딩 가
능케 장치되고 회전원반(14) 상에는 장척물을 포함한 피절단물(P)(P1)의 끼움 고정을 위한 바이스(26)를 구비하
며, 슬라이더(18)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원하는 슬라이딩 선형위치에 슬라이더(18)를 고정하기 위한 죄임볼트
(48)를 갖고 회전원반(14)에는 작업자의 원하는 피절단물(P)의 절단각도를 슬라이더(18) 상에서 고정하기 각도
고정용 죄임볼트(29)를 갖도록 구성하되,
상기 작업대(4)는,[0010]
피절단물(P)을 바이스(26)로 잡은 회전원반(14)이 정지된 상태에서 작동체(6)를 탑재한 작업면판(4a)의 자체가[0011]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작업면판(4a)과 이격봉(50)을 매개로 작업면판(4a)과 일체 고정된 선회작동판(4b)과, 선
회작동판(4b)에 가상회전축으로 회전가능케 연결되며 선회작동판(4b)과의 상대적인 축선회 구름운동이 가능하도
록 면상에 다수의 볼베어링(58)들을 갖는 기저판(4c)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저판(4c)에는 작동내륜면(56)을 갖는 원형개구(54)가 형성되고, 선회작동판(4b)의 저부에는 기[0012]
저판(4c)의 원형개구(54)의 작동내륜면(56)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레이디얼 베어링(52)들이 동심배
열되어 장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0013]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피절단물의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정가능할 뿐만 아니라 피절단물의 각도에 따라 피절단물과 절삭 작[0014]
동체와의 수평거리를 조정하여 피절단물을 항상 작업자가 원하는 절단각도로 위치고정 및 절단할 수 있음과 아
등록특허 10-1619892
- 3 -
울러, 피절단물이 장척물이라도 그 장척물은 움직이질 않고 대신 작업대가 자체 회전되게 구현함으로써 그 절단
을 쉽게 허락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단기의 사시 구성도,[0015]
도 2는 도 1의 금속 절단기의 분해 사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금속절단기의 주요부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금속 절단기를 이용하여 장척물을 절단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0016]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단기(2)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금속 절단기(2)의 분해 사[0017]
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금속절단기(2)의 주요부의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 절단기(2)는 크게, 피절단물(P)을 고정 지지하기[0018]
위한 작업대(4)와, 작업대(4)에 탑재되며 피절단물(P)을 절단하는 회전날(12)을 구비한 레버형 헤드(8)와 원형
회전날(12)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0)를 갖는 절삭 작동체(6)를 포함한다.
작업대(4)의 일측에는 LM가이드와 같은 레일유닛(16)을 설치하되 회전원반(14)이 축회전가능하게 장치된 슬라이[0019]
더(18)를 레일유닛(16)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고, 회전원반(14)에는 피절단물(P)을 물어 고정할 수
있는 바이스(26)를 장착하여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대(4)는 사각형태의 금속판부재들로 된 작업면판(4a), 선회작동판(4b) 및 기저판[0020]
(4c)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작업대(4)는 피절단물(P)을 잡아주고 또 절삭 작동체(6)로 절삭할 수 있는 작업공
간이 마련된 수단이며, 특히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절단하기 위해 피절단물(도 4의 P1)의 회전시키기가 곤
란한 장척물인 경우에는 작업대(4) 자체가 회전가능하게 구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작업대(4)는 절삭 작동체(6)를 탑재함과 동시에 슬라이더(18) 선형 작동용의 개구부(22)를 갖는[0021]
작업면판(4a)과, 작업면판(4a)의 사각 모서리부 각각에 이격봉(50)을 매개로 이격되고 일체 고정된 선회작동판
(4b)과, 선회작동판(4b)에 가상회전축으로 회전가능케 연결하되 선회작동판(4b)과의 상대적인 축선회 구름운동
이 가능하도록 면상에 다수의 볼베어링(58)들을 갖는 기저판(4c)을 갖는 구성이다.
작업대(4)의 기저판(4c)의 저부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용도의 캐스터(60)가 장착되고, 작업대(4)의 작업면[0022]
판(4a) 상부면 일측에는 절삭 작동체(6)가 설치되며 그 일측을 제외한 나머지 판체부분에는 슬라이더(18) 선형
작동용의 개구부(22)가 형성된다.
또 작업대(4)의 작업면판(4a)에는 절삭작업시 또는 사용후 파킹(parking)시 회전날(12)을 수용하는 회전날 수용[0023]
홈(24)이 길게 형성된다.
작업대(4)의 작업면판(4a)의 일측부에는 슬라이더(18)의 선형 작동공간을 갖는 개구부(22)가 있는 작업면판(4[0024]
a)의 저면에는 슬라이더(18)의 선형이송을 안내하는 LM가이드와 같은 레일유닛(16)이 설치되며, 레일유닛(16)의
레일봉에는 회전원반(14)이 축설치된 슬라이더(18)가 개구부(22)내에서 슬라이딩 가능도록 장치된다.
슬라이더(18)의 회전원반(14) 상에는 도 1이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절단물(P)의 회전각도조절용 눈금이[0025]
형성됨과 아울러 장척물을 포함한 피절단물(P)(P1)의 끼움 고정을 위한 바이스(26)를 구비한다. 바이스(26)는
수동핸들(32)의 회전운동으로 간격조절이 된다.
슬라이더(18)에 축연결된 회전원반(14)은 작업대(4)의 작업면판(4a)의 면높이보다 2~4㎜ 높게 돔움 형성되어서[0026]
회전원반(14)상에 얹혀 고정된 피절단물(P)과 작업면판(4a) 간에 마찰이 없도록 하고 있다.
또 슬라이더(18)의 일측에는 작업자가 원하는 슬라이딩 선형위치에 슬라이더(18)를 작업면판(4a)에 위치 고정하[0027]
기 위한 죄임볼트(48)를 구비하고, 회전원반(14)의 호형장공(30)에는 작업자가 원하는 피절단물(P)의 절단각도
를 슬라이더(18) 상에서 고정하기 각도고정용 죄임볼트(29)가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등록특허 10-1619892
- 4 -
상기와 같은 작업면판(4a)를 이격봉(50)을 매개로 지지하는 선회작동판(4b)과 그 선회작동판(4b)의 하부에 위치[0028]
한 기저판(4c)은 본 발명에 따라 작업대(4) 자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에 캐스터(60)들이 설치된 기저판(4c)에는 작동내륜면(56)을 갖는 원[0029]
형개구(54)가 형성됨과 동시에 원형개구(54)의 외곽 테두리부에는 다수의 볼베어링(58)들이 동심원을 따라 배열
형성된다.
그리고 기저판(4c)상에서 구름운동 가능케 얹히는 선회작동판(4b)은 그 저부에 레이디얼 베어링(52)들을 동심배[0030]
열되게 장착하되, 상기 레이디얼 베어링(52)들은 기저판(4c)의 원형개구(54)의 작동내륜면(56)에 접촉되어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동심배열된다. 이때 선회작동판(4b)의 가상회전축은 장방형태의 개구부(22)의 중심부에 형성
되게 레이디얼 베어링(52)들 및 원형개구(54)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선회작동판(4b)이 하나의 회전축으로 구성되지 않고 원형개구(54)의 작동내륜면(56)과 레이디얼베[0031]
어링(52)들을 이용해 가상회전축으로 구성하는 것은 금속으로된 작업대(4)의 무게 및 작업대(4)상에 얹히는 절
삭 작동체(6)의 무게가 육중한 관계로 하나로 된 회전축대는 부러질 수 있고 또 너무 쉬운 회전으로 인한 작업
상 안전문제의 야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금속 절단기(2)에서는 피절단물(P)을 고정한 회전원반(14)의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0032]
케 함과 동시에 회전원반(14)을 갖는 슬라이더(18)를 작업대(4)상에서 수평이동시켜서 절삭 작동체(6)와 피절단
물(P) 간의 접근이나 떨어뜨림이 가능하고 절삭 작동체(6)의 레버형 헤드(8) 및 그의 회전날(12)이 작업자가 자
르고 싶은 피절단물(P)의 최상단에 위치되게 함과 동시에 작업자가 원하는 절단각도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해준다.
더욱이 도 4에서와 같이 피절단물(P1)이 장척물이라도 그 장척물은 움직이지 않게 하고 대신에 작업대(4) 자체[0033]
가 회전되게 함으로써 그 절단을 쉽게 허락한다.
슬라이더(18)의 일측에는 회전원반(14)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는 죄임볼트(48)가 있는 죄임용 날개부재(28)[0034]
가 형성되고, 회전원반(14)에는 회전원반(14)의 회전운동을 제어하는 죄임볼트(29)가 형성된다. 또 작업대(4)의
선회작동판(4b)에는 선회작동판(4b)의 선회를 구속하기 위한 죄임볼트(62)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죄임용 날개부재(28)에 형성된 안내장공(46)에는 작업면판(4a)에 체결된 죄임볼트(48)가 위치되며, 작업자가 원[0035]
하는 슬라이딩 선형위치에서 좌임볼트(48)를 강하게 죄어줌으로써 슬라이더(18)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회전원반(14)에도 호형장공(29)이 형성되고, 호형장공(29)에는 슬라이더(18)에 고정된 죄임볼트(52)가[0036]
위치된다. 그러므로 작업자에 의해 회전원반(14)의 각도조정이 이루어진 후에는 죄임볼트(52)를 강하게 죄어줌
으로써 절단각 조정된 회전원반(14)을 슬라이더(18)상에 위치 고정한다.
작업대(4)상에 설치된 절삭 작동체(6)에서 구동부(10)와 회전날(12)을 갖는 레버형 헤드(8)는 레버축대를 기준[0037]
으로 양측에 나눠 형성되며, 상기 레버축대도 필요에 따라서 위치 이동이 가능케 설치된다.
레버형 헤드(8)의 회전날(12)은 디스크 형태로서 그 상부에는 보호캡이 씌여진다. 구동부(10)는 구동모터로 구[0038]
성되며, 타이밍벨트와 같은 동력전달부(20)를 매개로 레버형 헤드(8)의 회전날(12)에 동력을 전달한다. 레버형
헤드(8)의 일측에는 절삭작업시 레버회동을 용이케 하는 손잡이대(38)가 장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금속 절단기(2)는 피절단물(P)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쉽게 다룰 수 있을[0039]
만큼 짧은 경우에는 그 피절단물(P)을 바이스(26)에 끼우고 수동핸들(32)을 돌려서 피절단물(P)을 고정한다.
그후에는 회전원반(14)을 회전시켜 절단을 위한 각도를 맞춤과 아울러 슬라이더(18)를 슬라이딩시켜서 회전날[0040]
(12)의 최하단지점이 피절단물(P)의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절단시작점을 잡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더(18) 일측에 있는 죄임용 날개부재(28)의 죄임볼트(48)를 죄이고 회전원반(14)의 죄임볼트(52)를 죄어
줌으로써 회전원반(14)이 고정되게 한다.
그 다음에는 레버형헤드(8)측에 부착된 손잡이대(38)를 이용하여 레버형 헤드(8)를 레버회동시켜 고속회전되는[0041]
회전날(12)로 피절단물(P)을 절단하되 원하는 길이와 각도로 절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금속 절단기(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절단물(P1)이 작업자가 쉽게 다룰 수 없을 만큼[0042]
긴 장척물인 경우에는 그 피절단물(P1)을 바이스(26)에 끼우고 수동핸들(32)을 돌려서 고정한다.
등록특허 10-1619892
- 5 -
그후에는 회전원반(14)의 바이스(26)에 고정된 피절단물(P1)은 그대로 정지시켜놓은 상태에서 작업대(4)의 작업[0043]
면판(4a) 및 선회작동판(4b)을 회전시켜서 절단을 위한 각도를 맞춘다. 그와 아울러 슬라이더(18)를 슬라이딩시
켜서 회전날(12)의 최하단지점이 피절단물(P)의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절단시작점을 잡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더(18) 일측에 있는 죄임용 날개부재(28)의 죄임볼트(48)를 죄이고 회전원반(14)의 죄임볼트
(52)를 죄어줌으로써 회전원반(14)이 슬라이더(18)에 고정되게 한다.
그 다음에는 레버형헤드(8)측에 부착된 손잡이대(38)를 이용하여 레버형 헤드(8)를 레버 회동시켜 고속회전되는[0044]
회전날(12)로 피절단물(P1)을 절단하되 원하는 길이와 각도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0045]
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
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부호의 설명
(2)-- 금속 절단기 (4)-- 작업대[0046]
(4a)--작업면판 (4b)-- 선회작동판
(4c)-- 기저판 (6)-- 절삭 작동체
(8)-- 레버형 헤드 (10)-- 구동부
(12)-- 회전날 (14)-- 회전원반
(16)-- 레일유닛 (18)-- 슬라이더
(22)-- 개구부 (24)-- 회전날 수용홈
(26)-- 바이스 (28)-- 죄임용 날개부재
(29)-- 각도고정용 죄임볼트 (30)-- 호형장공
(32)-- 수동핸들 (50)-- 이격봉
(52)-- 레이디얼 베어링 (54)-- 원형개구
(56)-- 작동내륜면 (58)-- 볼베어링
(60)-- 캐스터 (P)(P1)-- 피절단물
등록특허 10-1619892
- 6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619892
- 7 -
도면2
등록특허 10-1619892
- 8 -
도면3
등록특허 10-1619892
- 9 -
도면4
등록특허 10-1619892
- 10 -
장척물 절단이 가능한 금속절단기(METAL CUTTING MACHINE CAPABLE OF CUTTING LONG ROD)
2018. 4. 2. 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