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5년11월05일
(11) 등록번호 10-1565778
(24) 등록일자 2015년10월2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C11D 13/00 (2006.01) C11D 9/6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3-0150802
(22) 출원일자 2013년12월05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12월05일
(65) 공개번호 10-2015-0065452
(43) 공개일자 2015년06월1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124782 B1
KR1020130120925 A
JP2000191490 A
(73) 특허권자
(주)나노미래생활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덕금로 145-11 ()
(72) 발명자
강종원
경기 성남시 분당구 불정로 361, 508동 802호 (서
현동, 효자촌삼환아파트)
김희준
경북 안동시 포도2길 38, (운안동)
(74) 대리인
최영민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전은재
(54) 발명의 명칭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
(57) 요 약
본 발명은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 피부 세포에 함유된 아연 성분의 활동을 자
극하고, 산화아연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항균력에 의해 바이러스 및 곰팡이 균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항균 비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565778
- 1 -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각 원료를 혼합기에서 혼합하는 단계, 분쇄기에서 비누 칩과 각
원료를 분쇄하는 단계, 진공처리기에서 수분 및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 히터로 가열하여 비누 바(Bar)를 제조하
는 단계, 금형으로 비누 바를 프레싱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원료는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팜유(Palm Oil)가 83 ~ 86%, 낙화생유가 7 ~8%, 산화아연이 2 ~ 4%,
캐모마일(Chamomile)꽃 추출물이 0.2 ~ 0.4%, 한방 추출물이 0.3 ~ 0.5%, 알로에베라(Aloe Vera) 추출물이 0.3
~ 0.5%, 아르기닌(Arginine)이 0.2 ~ 0.4%, 프로폴리스(Propolis) 추출물이 0.05 ~ 0.15%, 포도씨 오일이 0.2 ~
0.4%, 티트리 오일(Tea Tree Oil)이 0.05 ~ 0.15%, 물이 0.5 ~ 1.5%, 시어버터(Shea Butter)가 0.5 ~ 1.5%, 토
코페롤(Tocopherol)이 0.05 ~ 0.15%, 향료가 0.5 ~ 1.5%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 10-1565778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각 원료를 혼합기에서 혼합하는 단계, 분쇄기에서 비누 칩과 각 원료를 분쇄하는 단계,
진공처리기에서 수분 및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 히터로 가열하여 비누 바(Bar)를 제조하는 단계, 금형으로 비누
바를 프레싱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원료는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팜유(Palm Oil)가 83 ~ 86%, 낙화생유가 7 ~8%, 나노 산화아연이 2 ~
4%, 캐모마일(Chamomile)꽃 추출물이 0.2 ~ 0.4%, 감초, 치자, 녹차, 쑥, 고삼, 상백피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이 0.3 ~ 0.5%, 알로에베라(Aloe Vera) 추출물이 0.3 ~ 0.5%, 아르기닌(Arginine)이 0.2 ~ 0.4%, 프로폴리스
(Propolis) 추출물이 0.05 ~ 0.15%, 포도씨 오일이 0.2 ~ 0.4%, 티트리 오일(Tea Tree Oil)이 0.05 ~ 0.15%,
물이 0.5 ~ 1.5%, 시어버터(Shea Butter)가 0.5 ~ 1.5%, 토코페롤(Tocopherol)이 0.05 ~ 0.15%, 향료가 0.5 ~
1.5%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산화아연은, 직접 탈산법에 의해 제조된 입자상태의 산화아연을 제트 밀(Jet Mill)에 의해 300nm ~ 1
㎛의 크기로 분쇄하여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산화아연은, 비표면적이 60㎡/g, 비중이 5.7, PH가 7인 포도형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청구항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
된 항균 비누.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 비누에 관한 것으로서, 더[0001]
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필수적인 아연 성분을 나노기술로 가공한 나노사이즈 산화아연을 식물성 천연성분 및 한
방 추출물과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인체 피부 세포에 함유된 아연 성분의 활동을 자극하고, 산화아연
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항균력에 의해 바이러스 및 곰팡이 균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최근 미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름답고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비누 제품이 출시되고[0002]
있다.
이러한 비누에는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피부 보호제가 첨가되어 있다. [0003]
그런데 종래의 비누는, 세안 과정에서 노폐물과 더불어 피부에 유익한 성분까지 닦아내어 피부를 거칠게 하고[0004]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메이크업 후 화장을 제거하거나 피부의 먼지와 분비물을 제거할 목적으로 클렌징 크림을 사용하기도[0005]
등록특허 10-1565778
- 3 -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클렌징 크림은 주로 식물성 기름을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이러한 식물성 기름은 기름때는[0006]
잘 녹이지만, 사용 후에 그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을 경우 오히려 피부가 거칠어지게 된다.
또한 인체를 세정하는 세정제에는 천연성분이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세균[0007]
의 침투를 유인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인체에 유해한 세균을 유인하게 되어, 몸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세정제가[0008]
오히려 세균의 온상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품에 항균성능을 가진 화학물질을 첨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항균성 화학물질[0009]
은 단기간 내에 용출되어 항균력이 오래 지속되지 않고, 인체에는 유해한 독성물질만 남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
다.
또한 유기항균제의 대부분이 독성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시 인체에 유해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0010]
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33228호(2013. 4. 3. 공개) [0011]
(특허문헌 0002)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29442호(2005. 3. 28. 공개)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한하는 것으로서, 인체 피부 세포에 함유된 아연 성분[0012]
의 활동을 자극하고, 산화아연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항균력에 의해 바이러스 및 곰팡이 균으로 인한 피부 트러
블 및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항균 비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노폐물의 세정은 물론 모공 속의 더러운 먼지나 화장 찌꺼기도 제거할 수 있는 비[0013]
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아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고, 온천수로 목욕하는 것과 같[0014]
은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비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에 탄력 및 유연성을 부여하고,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의 수축 현상을 개선함으로써[0015]
잔주름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세포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자생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뻣뻣이[0016]
굳은 피부나 햇볕에 그을린 피부, 거친 피부, 각질이 일어난 피부를 맑고 깨끗한 피부로 환원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풍부한 크림타입의 거품이 깨끗하게 피부를 닦아 주도록 하여 피부에 보습 및 영양[0017]
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성 지방산을 사용함으로써 건조한 장소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갈라지지 않고, 녹[0018]
거나 분해되는 성향이 적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는,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각 원료를 혼합기에서 혼합하[0019]
는 단계, 분쇄기에서 비누 칩과 각 원료를 분쇄하는 단계, 진공처리기에서 수분 및 공기를 제거하는 단계, 히터
로 가열하여 비누 바(Bar)를 제조하는 단계, 금형으로 비누 바를 프레싱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원료는 중량비를 기준으로, 팜유(Palm Oil)가 83 ~ 86%, 낙화생유
등록특허 10-1565778
- 4 -
가 7 ~8%, 산화아연이 2 ~ 4%, 캐모마일(Chamomile)꽃 추출물이 0.2 ~ 0.4%, 한방 추출물이 0.3 ~ 0.5%, 알로
에베라(Aloe Vera) 추출물이 0.3 ~ 0.5%, 아르기닌(Arginine)이 0.2 ~ 0.4%, 프로폴리스(Propolis) 추출물이
0.05 ~ 0.15%, 포도씨 오일이 0.2 ~ 0.4%, 티트리 오일(Tea Tree Oil)이 0.05 ~ 0.15%, 물이 0.5 ~ 1.5%, 시어
버터(Shea Butter)가 0.5 ~ 1.5%, 토코페롤(Tocopherol)이 0.05 ~ 0.15%, 향료가 0.5 ~ 1.5% 첨가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산화아연은, 직접 탈산법에 의해 제조된 입자상태의 산화아연을 제트 밀(Jet Mill)에 의해 300nm ~[0020]
1㎛의 크기로 분쇄하여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화아연은, 비표면적이 60㎡/g, 비중이 5.7, PH가 7인 포도형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1]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에 의하면, 인체 피부 세포에 함유된 아연 성분의 활동을 자극하고, 산화아연이 가지[0022]
고 있는 고유한 항균력에 의해 바이러스 및 곰팡이 균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및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 및 치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종 노폐물의 세정은 물론 모공 속의 더러운 먼지나 화장 찌꺼기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0023]
또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므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고, 온천수로 목욕하는 것과 같은 시원함을 느낄[0024]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에 탄력 및 유연성을 부여하고, 영양을 공급하여 피부의 수축 현상을 개선함으로써 잔주름의 방지에[0025]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세포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자생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하는 한방추출물이 함유되어 있으므로,[0026]
화장독이나 항히스타민제 연고 남용으로 뻣뻣이 굳은 피부나 햇볕에 그을린 피부, 거친 피부, 각질이 일어난 피
부를 맑고 깨끗한 피부로 환원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풍부한 크림타입의 거품이 깨끗하게 피부를 닦아 주므로, 피부 보습 및 영양 공급이 양호해지는 효과가[0027]
있다.
또한 식물성 지방산을 사용함으로써 건조한 장소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갈라짐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녹거나 분[0028]
해되는 성향이 적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0029]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0030]
먼저, 아연 및 산화아연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어서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비누의 제조방법에 대[0031]
하여 설명한다.
아연은 철, 알루미늄, 구리 다음으로 널리 사용되는 금속으로, 철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금재료, 황[0032]
동 등의 합금 제조, 전지 전극 등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또한 아연은 여러 효소의 작용에 관여하는 생명체의 필수 원소로서, 단백질의 구조를 안정화시키고 유전자 발현[0033]
을 조절하는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생리적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아연은, 면역기능을 발휘하는 세포의 생성에 기여함으로써 인체를 보호하고, 표피에 존재하는 황색 포도상[0034]
구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표피의 세포분열 및 재생을 촉진하여 상처 및
화상의 빠른 치유를 돕는다.
또한 아연은, 비타민 A의 흡수율을 높여주고 혈중 비타민 E의 농도를 유지시키며, 결합조직은 콜라겐 및 뼈의[0035]
형성에 도움을 준다.
또한 아연은, RNA 및 DNA의 형성과 단백질 합성에 필요하고, 탄수화물의 에너지 대사에 깊이 관여하며, 생식기[0036]
관의 정상적인 기능 발휘 및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SOD(Superoxide Dismutase)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록특허 10-1565778
- 5 -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연은, 인체의 피부와 골격발달, 모발유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0037]
이러한 아연은 식물성 식품 중에는 땅콩, 콩, 곡류 등에 함유되어 있는데, 곡류에 포함되어 있는 아연은 주로[0038]
껍질에 존재하기 때문에 도정시에 거의 손실이 된다.
이 밖에도 아연은 여러 동물성 식품에 널이 분포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동물성 식품에 포함되어 있는 아연이[0039]
식물성 식품 내의 아연보다 더 잘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글루콘산아연, 산화아연, 염화아연, 초산아연, 탄산아연, 황산아연 등을 첨가한 아연 보충용 식품도 아연[0040]
의 좋은 급원식품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아연을 부족하게 섭취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농약, 화학비료 등의 과다한 사용으로 토양에[0041]
미네랄이 부족해지고, 미네랄이 부족한 고칼로리 식단 및 패스트 푸드의 섭취량이 늘어난 것이 주된 요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변색을 막고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 식품에 첨가되는 피틴산은 아연의 흡수를 어렵게 한다. [0042]
건강 보호를 위한 아연의 적정 복용량은 1일에 15 ~ 20㎎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연을 보충할 필요가 있는 경우,[0043]
남자의 복용 범위는 30 ~ 60㎎, 여자의 경우는 30 ~ 45㎎이 적당하다.
인체에서 아연의 결핍증이 보고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1960년대 초반에 중동 아시아 지역의 청소년[0044]
들에게서 성장부진, 왜소증, 생식기의 부전증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현상이 아연 결핍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
혀진 바 있다.
인체에 아연이 부족하면, 입 주위의 습진 및 탈모, 손톱의 기형, 미각장해, 남성불임, 면역부전 등의 증상이 나[0045]
타날 수 있다.
또한, 아연이 부족하면 자연 치유능력이 감소되고, 위장관, 폐조직 내막의 손상, 식욕감퇴, 성장지연 등이 나타[0046]
날 수도있다.
그러나 아연을 과다하게 섭취하게 되면, 다른 무기질, 즉 철분이나 구리의 흡수가 저해되고, 면역능력이 오히려[0047]
손상될 수 있다.
아연의 과다섭취는 HDL을 낮춘다는 보고로 미루어 볼 때, HDL은 혈관내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여 심[0048]
장병 발병율을 낮추는 바람직한 물질이므로, 아연을 과잉 섭취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연의 독성 효과는 하루 150㎎보다 많은 수치의 아연을 지속적으로 흡수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0049]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 조성물의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0050]
<산화아연>[0051]
아연의 산화물인 산화아연(ZnO)은 B.C. 2000년부터 부스럼이나 뾰루지 치료용 연고의 성분으로 사용되어 왔고,[0052]
전통적으로 백색 안료와 고무 첨가제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1906년 가황용 유기 촉진제가 개발되면서 주로 백색도료였던 산화아연은 활성제로 새롭게 각광을 받게 되었고,[0053]
오늘날 고무 공업은 대량의 산화아연을 소비하고 있다.
1700년대에 독일에서 아연금속의 산화에 의한 분말제조법이 개발된 이후, 19세기 이후에는 산화아연이 대규모로[0054]
제조되고 있다.
금속아연으로부터 생산되는 산화아연의 50~60%는 고무 공업에 사용되며, 이중 약 절반 정도는 타이어 공업에서[0055]
소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업적으로 산화아연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건식 야금방법(간접공정, 직접공정, 분무열분해)과 습[0056]
식 야금방법(부산물 회수공정, 수소 홍아연광 분해공정)이 있다,
또한 소량으로 산화아연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아연염 수용액에서의 침전, 질산아연의 용매추출 및 열분해,[0057]
박막 침착, 기체상 합성, 열수공정, 용매열 방법, 음향화학적 합성, 기계화학적 공정, 복합수산화물 매개 공정
등이 있다.
등록특허 10-1565778
- 6 -
이러한 산화아연은 안정화된 산화물 형태의 무기물로서, 백색안료, 자외선 차단제, 복사기 유리 및 세라믹 제품[0058]
에도 적용되고 있으며, 미국 FDA에서는 산화아연을 아기 기저귀 발진 완화제로 허가하기도 하였다.
상기한 산화아연은, 은, 구리에 이어 뛰어난 살균력을 지니고 있고, 고온 가공과정에서도 항균제로서 탁월한 성[0059]
능을 나타낸다.
또한, 산화아연은 무기물에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인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다. [0060]
산화아연은 물에는 거의 녹지 않지만 묽은 산 및 진한 알칼리에 녹고, 가열하면 황색이 되나 식히면 원래의 빛[0061]
깔인 흰색이 된다.
일반적으로 산화아연은 독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산화아연 입자는 피부각질층을 투과하지 않고 피부 외[0062]
층에 남는다고 보고되어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나노입자 형태의 산화아연이, UV 복사선 차단용 햇빛 화상 방지제 조성물로도 사용되고 있[0063]
다.
본 발명에서 산화아연을 배합하는 목적은, 피부를 보호하는 항균효능에 의해 피부를 안정화시키고 유해 세균으[0064]
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피부 트러블, 가려움증을 예방하여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산화아연은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2 ~ 4%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아연이 2% 이하이[0065]
면 산화아연의 효능을 제대로 얻을 수가 없고, 4% 이상이 되면 다른 성분들과의 안정적인 배합이 곤란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크기가 300nm ~ 1㎛인 나노 사이즈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066]
크기가 300nm ~ 1㎛인 나노 산화아연을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2 ~ 4% 첨가하게 되면, 산화아연이 비누의 베[0067]
이스가 되는 식물성 천연지방산과 안정적이고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원하는 효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 비누에 사용되는 나노사이즈 산화아연은, 직접 탈산법(Direct-DehydroChlorination[0068]
Method)에 의해 제조된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나노사이즈 산화아연은, 제조 후 보관과정에서 입자들끼리 다시 응집하여 대략 3 ~ 5㎛의 크기가[0069]
된다.
이렇게 응집된 산화아연을 제트밀(Jet Mill) 분쇄기를 통해 300nm ~ 1㎛ 수준(입도 평균 650nm 정도)의 나노사[0070]
이즈로 재가공을 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제트 밀은, 분쇄할 입자를 고속 제트기류에 빨아들여 충분히 가속한 뒤 입자끼리 충돌시키거나 또는 충[0071]
격 판에 충돌시켜 아주 곱게 부수는 분쇄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비누에 사용되는 나노사이즈 산화아연은, 비표면적이 60㎡/g, 비중 5.76, PH 7~8 수준[0072]
의 구형(포도형) 나노사이즈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나노사이즈 산화아연은 팜유에 다량 함유된 라우릭산, 미스트릭산 등 식물성 천연지방산과 결합하여 탁[0073]
월한 보습력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으며, 항균 및 노화방지의 작용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에 함유된 나노 사이즈 산화아연은, 일반 제품에 사용되는 유기항균제인 트리클[0074]
로산(Triclosan), 트리클로카본(Triclocarbon) 또는 파라클로로메타자일레놀(PCMX:Parachlorometaxylenol)과는
다른 부류의 제품이다.
즉, 상기한 일반 유기항균제가 용출을 통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나노사이즈 산화아[0075]
연은 비누 베이스에 함침되어 있는 상태에서 비누의 사용과 함께 서서히 노출되어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또한 유기항균제의 대부분이 독성 화학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데 비해, 나노 사이즈 산화아연은 인체에 무해한[0076]
무기 금속류에서 추출되었고, 과거 수 천년 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인체의 필수 영양소인 아연을 기반으로 한
제품이기 때문에 안정성 측면에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나노사이즈 산화아연은, 중금속 및 유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한 순도 99.9%의 제품만을[0077]
사용하고, 제조공정상 유해물질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제조되므로 매우 안전하다.
등록특허 10-1565778
- 7 -
<팜유>[0078]
팜유(Palm Oil)는, 기름 야자의 열매로 만든 식물성 기름으로서, 피부 컨디셔닝제, 세정제의 원료로 사용된다.[0079]
본 발명에서는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83 ~ 86%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4.5%로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0080]
직하다.
<낙화생유>[0081]
낙화생유(Arachis oil)는 땅콩을 압착하여 만든 불건성유(不乾性油)로서, 그 자체로 공기 중의 산소와 산화되어[0082]
건조되지 않고 액상으로서의 성질을 잃지 않는 기름이다.
상기한 낙화생유는 유아 및 성인의 아토피 피부염, 건선피부, 노인성 소양증에 대한 보습 보조제로서 첨가하며,[0083]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7 ~ 8% 첨가한다.
상기한 낙화생유는, 미국, 영국, 유럽 약전 및 Merck Index 등의 공정서에 등재되어 있는 검증된 성분이다. [0084]
낙화생유의 첨가목적은, 항염증 효능과 면역 억제 기능을 통해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가려움증 및 피부 트러[0085]
블 등을 예방하며 피부에 탄력을 유지하는 보습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함이다.
낙화생유는 그 기름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에 의해 염증 유도용 '사이토카인'
생산을 억제하여 염증을 유도하는[0086]
물질의 생산을 억제하고, 면역조절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천연성분의 작용으로 가려움증을 유도하는 물질의 생산을 억제하며, 피부에서의 수분손실을 최소화하는 기[0087]
능을 한다.
기존 보습제는 일반 건조성 피부에만 사용하지만, 본 발명의 항균 비누는 아토피성 피부와 건조성 피부에 모두[0088]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는, 일반 비누와 달리 세정 후 피부에 수분과 유분을 적절히 유지시킴으로써, 사용[0089]
후 피부의 건조감이나 당김 증상이 거의 없으므로, 남녀 노소의 아토피성, 건성, 소양성 피부에 모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캐모마일꽃 추출물>[0090]
캐모마일(Chamomile)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풀로서, 카모밀, 카모마일, 카밀레 등으로 불리기[0091]
도 한다.
꽃에 포함된 카마줄렌 성분은, 피부염증을 완화시키고 피부 재생기능을 강화하며 알레르기 반응을 경감시켜 면[0092]
역력을 높여주어, 아토피 및 여드름과 알레르기성 피부염에 효능이 있다.
상기한 캐모마일 꽃 추출물은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0.2 ~ 0.4%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093]
<한방 추출물>[0094]
한방 추출물로서, 감초,치자,녹차,쑥, 고삼, 상백피 추출물 등을 0.3 ~ 0.5% 첨가한다.[0095]
상기한 한방 추출물은 피부컨디셔닝제로 첨가하는 것으로, 주로 항염증 및 부어오른 피부에 대한 진정 효과 기[0096]
능을 수행한다.
<알로에베라 추출물>[0097]
알로에베라(Aloe Vera) 추출물은 'Arboresscens' 잎을 압착하여 얻은 무색의 맑은 액체로서, 항균작용을 하여[0098]
건성, 지성 피부를 중화시켜 주고 피부 보습제의 기능을 한다.
상기한 알로에베라 추출물은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0.3 ~ 0.5%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99]
알로에베라 추출물은, 피부와 내면의 근육을 수축시킴으로써 피부를 곱고 탄력있게 유지하며 잔주름을 없애 주[0100]
며, 소염제로서 피부에 생긴 염증을 치유하고 회복시키는 작용을 한다.
<아르기닌>[0101]
아르기닌(Arginine)은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얻는 아미노산으로서,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0.2 ~ 0.4% 첨가한[0102]
다.
등록특허 10-1565778
- 8 -
상기한 아르기닌은 핵산과 결합하고 있는 단백질인 프로타민과 히스톤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0103]
<프로폴리스 추출물>[0104]
프로폴리스(Propolis)는 꿀벌이 나무의 싹이나 수액과 같은 식물로부터 수집하는 수지질(樹脂質)의 혼합물이다.[0105]
꿀벌들은 이 프로폴리스를 벌집의 작은 틈을 메꾸는 데 사용하며, 이렇게 하여 유해한 미생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한다.
프로폴리스는 꿀벌로부터 채취할 수 있는 다른 물질인 벌꿀이나 로열 젤리와는 달리 채취할 수 있는 양이 매우[0106]
적고, 인위적으로는 증량 또는 합성할 수 없으며, 예로부터 민간 약품이나 강장제로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꿀벌이 꽃가루를 수집하여 어금니에서 분비한 파로핀과 타액을 섞은 것으로, 전체 중량비[0107]
를 기준으로 0.05 ~ 0.15% 첨가한다.
상기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필수아미노산을 비롯한 비타민과 무기질이 균형있게 함유되어 있어, 신체의 생육작[0108]
용, 조혈작용, 정혈작용에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도씨 오일>[0109]
포도씨 오일(Vitis Vinifera Seed Oil)은 포도씨에서 얻은 지방유(脂肪油)로서, 성상(性狀)은 무색이며, 엷은[0110]
황색의 맑은 기름으로 냄새도 없다.
상기 포도씨 오일은 피부컨디셔닝 기능을 하도록 첨가하는 것인데,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0.2 ~ 0.4% 첨가하[0111]
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도씨 오일은, 피부에 막을 형성하여 보습성을 유지함과 아울러 피부 트러블의 진정 효과도 발휘한다.[0112]
<티트리 오일>[0113]
티트리 오일(Tea Tree Oil)은 항박테리아, 항진균 작용이 우수하여 주로 항산화제의 원료로 사용되는데, 전체[0114]
중량비를 기준으로 0.05 ~ 0.15%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티트리 오일은 피지분비를 조절하고 피부 투과력이 우수한 효능이 있다.[0115]
<물>[0116]
물은 각 성분의 결합 및 스킨컨디셔닝제의 역할을 하며,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0.5 ~ 1.5% 첨가한다.[0117]
<시어버터>[0118]
시어버터(Shea Butter)는 노란 색상의 지방산 추출물로, 아프리카에서 자라는 시어트리의 열매에서 추출된다.[0119]
상기 시어버터는, 가격이 고가이나 적은 양으로도 뛰어난 보습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그대로 건조한 피부[0120]
에 발라도 좋다.
상기 시어버터는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0.5 ~ 1.5%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121]
<토코페롤>[0122]
토코페롤(Tocopherol)은 비타민 E 활동성을 가지는 유기 화합물로서, 항산화 기능을 발휘하도록 전체 중량비를[0123]
기준으로 0.5 ~ 1.5% 첨가한다.
상기 토코페롤 원료의 성상은 무색, 황색의 맑은 점성액으로, 비누의 산화방지 및 피부의 노화방지 기능을[0124]
한다.
<향료>[0125]
비누 제품에 향을 부여하기 위하여 전체 중량비를 기준으로 향료를 0.5 ~ 1.5% 첨가한다. [0126]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0127]
먼저 직접 탈산법에 의해 제조된 입자상태의 산화아연을 제트 밀(Jet Mill)에 의해 300nm ~ 1㎛의 크기로 분쇄[0128]
하여, 나노사이즈의 산화아연을 제조한다(S10).
이때 상기 산화아연을, 비표면적이 60㎡/g, 비중이 5.7, PH가 7인 포도형 분말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한다.[0129]
등록특허 10-1565778
- 9 -
이어서 혼합기에서 각 원료를 약 5 ~ 7 분간 충분히 혼합한다(S20). [0130]
상기 각 원료는 중량비를 기준으로, 팜유(Palm Oil)가 83 ~ 86%, 낙화생유가 7 ~8%, 산화아연이 2 ~ 4%, 캐모마[0131]
일(Chamomile)꽃 추출물이 0.2 ~ 0.4%, 한방 추출물이 0.3 ~ 0.5%, 알로에베라(Aloe Vera) 추출물이 0.3 ~
0.5%, 아르기닌(Arginine)이 0.2 ~ 0.4%, 프로폴리스(Propolis) 추출물이 0.05 ~ 0.15%, 포도씨 오일이 0.2 ~
0.4%, 티트리 오일(Tea Tree Oil)이 0.05 ~ 0.15%, 물이 0.5 ~ 1.5%, 시어버터(Shea Butter)가 0.5 ~ 1.5%, 토
코페롤(Tocopherol)이 0.05 ~ 0.15%, 향료가 0.5 ~ 1.5% 첨가된다.
이어서 분쇄기에서 비누 칩(Soap Chip)과 각 원료를 분쇄한다(S30). 상기 분쇄기에서는 비누 칩과 원료를 곱고[0132]
부드럽게 분쇄하기 위해 4차에 걸쳐 분쇄한다.
그리고 곱고 부드럽게 분쇄된 원료를 진공처리기에 투입하여 수분과 공기를 제거한다(S40).[0133]
이어서 히터로 가열하여 금형에 알맞은 바 형태의 비누를 제조한다(S50).[0134]
마지막으로 비누 바를 금형에 넣고 프레싱하면 비누의 제조가 완료된다(S60). 이때 금형의 형상을 달리하면 다[0135]
양한 크기와 형상의 비누를 제조할 수가 있다.
한편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다른 항균 비누와 일반 비누의 라우릭산과 미리스틱산의 함량 차이를 나타낸[0136]
것이다.
표 1
<일반 비누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의 라우릭산 및 미리스틱산의 함량> [0137]
구 분 LAURIC ACID(C12) MYRISTRIC ACID(C14)
일반비누 14.6% 5.5%
본 발명의 항균비누 46% 19%
일반비누는 동물성 소지를 사용하고 있어 산패(酸敗)의 우려가 높고 건조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가 있다.[0138]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항균비누는, 식물성 지방산 라우릭 소지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자극이 거의[0139]
없고, 비누 거품의 양과 질도 우수하다.
또한, 일반 비누는 긴 카본 체인으로 구성되어 포화 지방산의 경향을 갖게 되나,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는[0140]
짧은 카본 체인으로 구성되어 불포화도가 최소화되고, 산패의 가능성이 없다.
또한, 일반 비누는 물에 접촉시 쉽게 물러지고 강도가 약해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는 지방산 구성상[0141]
PALMITATE 와 STEARATE가 낮게 함유되어 있어, 물에 접촉시 잘 물러지지 않고 수분에 강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일반 비누는 세안 후 푸석한 느낌이 있는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는 PH가 낮아 피부 유연성에[0142]
도움을 주고, 부드럽고 매끄러운 피부를 만들어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는 마지막까지 갈라짐 현
상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는 식약청에서 의약외품으로 인증을 받은 바 있다(제품명: 나티렐 진,[0143]
분류번호:욕제 2680, 화장품심사과 제416호).
또한, 본 발명에 따는 항균 비누를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에 의뢰하여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을 시험한[0144]
결과,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FITI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녹농균에 대한 항균
력을 시험한 결과, 각각 99.9%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시험전문 기관에 의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의 인체적용 시험을 실시한 바 있다.[0145]
피험자는 20대에서 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비누를 사용 전, 사용 직후로 구[0146]
분하여 Follicular Biopsy를 이용한 피부모공 청결도를 평가하였다.
미세면포의 계수 결과, 항균비누의 사용 전 평균 미세면포는 평균 13.95(ea) 였으나, 사용 직후에는 2.90으로[0147]
감소되었다.
또한, 항균 비누의 사용 전/사용 직후의 미세면포 감소율을 계산한 결과, 미세면포의 수가 79.21% 감소된 것으[0148]
로 나타났다.
등록특허 10-1565778
- 10 -
아래의 [표 2]는 Follicular Biopsy를 이용한 미세면포의 개수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표 3] 내지 [표 22]는[0149]
인체적용 시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인체적용 시험시의 미세면포 개수(ea)>[0150]
피험자 번호 사용 전 사용직후
1 9 4
2 28 1
3 16 12
4 12 1
5 3 0
6 20 2
7 12 1
8 8 2
9 10 7
10 18 2
11 10 2
12 7 2
13 12 1
14 15 3
15 25 7
16 24 7
17 26 3
18 10 1
19 12 0
20 12 0
평균 13.95 2.90
표준편차 6.23 3.09
표 3
<피험자 번호 1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 [0151]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4
등록특허 10-1565778
- 11 -
<피험자 번호 2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52]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5
<피험자 번호 3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53]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6
<피험자 번호 4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54]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7
등록특허 10-1565778
- 12 -
<피험자 번호 5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55]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8
<피험자 번호 6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56]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9
<피험자 번호 7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57]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10
등록특허 10-1565778
- 13 -
<피험자 번호 8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58]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11
<피험자 번호 9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59]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12
<피험자 번호 10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60]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13
등록특허 10-1565778
- 14 -
<피험자 번호 11 인체적용 시험 사진>[0161]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14
<피험자 번호 12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62]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15
<피험자 번호 13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63]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16
등록특허 10-1565778
- 15 -
<피험자 번호 14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64]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17
<피험자 번호 15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65]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18
<피험자 번호 16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66]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19
등록특허 10-1565778
- 16 -
<피험자 번호 17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67]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20
<피험자 번호 18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68]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21
<피험자 번호 19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69]
사용 전 사용 직후
표 22
등록특허 10-1565778
- 17 -
<피험자 번호 20의 인체적용 시험 사진>[0170]
사용 전 사용 직후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 예[0171]
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
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565778
- 18 -
나노 산화아연이 함유된 항균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비누(Manufacturing Method of Antibiosis Soap Containing Xinc Oxide of Nano Size and Antibiosis Soap Thereof)
2018. 4. 2. 2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