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9월22일
(11) 등록번호 10-1658857
(24) 등록일자 2016년09월1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47C 19/04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0140604
(22) 출원일자 2014년10월17일
심사청구일자 2014년10월17일
(65) 공개번호 10-2016-0045296
(43) 공개일자 2016년04월2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668721 B1*
KR200363310 Y1*
JP11221134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 이지웰
경기도 김포시 통진읍 가현로4번길 40 ,가()
(72) 발명자
박준혁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양로50번길 30 ,108
동1701호(화서동,블루밍푸른숲아파트)
(74) 대리인
고승호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심유석
(54) 발명의 명칭 확장이 용이한 침대
(57) 요 약
본 발명은 확장이 용이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침대를 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1인용 또는 2
인용으로 사용하거나 평상시에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도록 하여 공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658857
- 1 -
침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사각의 판형으로 입설되어 전후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측판과;
사각 단면을 가진 바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1 측판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측은 수평으로 연장되며,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 공간인 제1 삽입부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가로지지대와;
사각의 판형으로 입설되어 전후로 길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가로지지대의 제1 측판과 연결된
반대측 하단이 고정되는 보조받침대와;
상기 제1 측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측판과;
상기 제1 삽입부에 삽입되는 사각 단면을 가진 바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제2 측판의 상단에 고정되어
타측은 제1 측판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1 가로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
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 공간인 제2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측판과 연결된 반대측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
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2 가로지지대와;
상기 제1 내지 제2 가로지지대가 교차하여 있을 때 가이드홀과 관통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축으로 구성됨
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용이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10-1658857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삭제
청구항 2
침대(1)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사각의 판형으로 입설되어 전후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측판(11)과;
사각 단면을 가진 바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1 측판(11)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측은 수평으로 연장
되며,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 공간인 제1 삽입부(122)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홀(121)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가로지지대(12)와;
사각의 판형으로 입설되어 전후로 길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가로지지대(12)의 제1 측판(1
1)과 연결된 반대측 하단이 고정되는 보조받침대(13)와;
상기 제1 측판(1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측판(14)과;
상기 제1 삽입부(122)에 삽입되는 사각 단면을 가진 바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제2 측판(14)의 상단
에 고정되어 타측은 제1 측판(11)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1 가로지지대(12)가 삽입
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 공간인 제2 삽입부(152)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측판(14)과 연결
된 반대측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51)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2 가로지지대(15)와;
상기 제1 내지 제2 가로지지대(12, 15)가 교차하여 있을 때 가이드홀(121)과 관통홀(151)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축(1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용이한 침대.
청구항 3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확장이 용이한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침대를 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여[0001]
상황에 따라 1인용 또는 2인용으로 사용하거나 평상시에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도록 하여 공간을 보다 효
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확장이 용이한 침대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침대는 이집트의 고왕조(古王朝) 시대의 유구(遺構)가 남아 있으며, 서양에서는 고대 이집트에서 현대에 이르기[0002]
까지 오랜 전통이 계승되어 민족·풍토·생활양식 등의 여러 조건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발전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온돌로 인한 좌식문화가 보급되어 서양의 문화가 전해지면서 침대가 보급되었다고 판단하기 쉬[0003]
우나 고구려에서는 침대에서 생활하였던 모습이 담긴 벽화가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온돌의 보급과 함께 침대가
점차 사라졌던 것으로 보이며, 현대적 침대는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된 매트리스와 함께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침대도 한정된 실내공간에서 침대가 차지하는 넓이가 넓어 효과적인 공간을 활용하는데 많은 지장을 주[0004]
고 있으며, 이에 이층침대는 과거부터 많이 사용되던 것이었으며 최근에는 평상시에는 소파로 활용하고 펼쳐서
침대로 활용할 수 있는 종류의 것과, 다른 침대 또는 가구의 밑에서 꺼내어 침대로 활용할 수 있는 수납식 침대
와, 벽에 세워 수납되었다가 펼쳐 사용하는 폴딩 침대 등 다양한 방식으로 평상시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면
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개발되고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침대 자체의 사이즈 즉 길이와 폭은 싱글, 슈퍼싱글, 더블, 퀸, 킹의 다석가지 사이즈가 일반적으로 적[0005]
등록특허 10-1658857
- 3 -
합한 침대를 구입하였다고 하더라도 아동의 경우 성장에 따라 불편함을 느끼게 되며, 이사를 한 후 침대를 놓을
공간이 마땅치 않아 새로운 침대를 구입하여 교체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또한 집에 손님이 와서 잠을 잘 경우 침대가 좁아서 바닥에서 자는 경우가 있으나 예비용 침대를 구입하는 것은[0006]
낭비라고도 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특허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37154호 (2006년05월03일) [0007]
(특허문헌 0002) (특허 문헌 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96656호 (2006년09월13일)
(특허문헌 0003) (특허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37517-0000호 (2007년11월30일)
(특허문헌 0004) (특허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15838-0000호 (2011년02월11일)
(특허문헌 0005) (특허 문헌 5)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15837-0000호 (2011년02월11일)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침대의 길이가 아닌 폭을 간단한[0008]
구조로 상황에 따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확장이 용이한 침대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침대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사각의 판형으로 입설되어 전후로 길[0009]
게 연장되는 제1 측판과;
사각 단면을 가진 바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1 측판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측은 수평으로 연장되며,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 공간인 제1 삽입부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길이 방향으
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가로지지대와;
사각의 판형으로 입설되어 전후로 길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가로지지대의 제1 측판과 연결
된 반대측 하단이 고정되는 보조받침대와;
상기 제1 측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측판과;
상기 제1 삽입부에 삽입되는 사각 단면을 가진 바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제2 측판의 상단에 고정되
어 타측은 제1 측판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1 가로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 공간인 제2 삽입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측판과 연결된 반대측에 전후 방향으로 관
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제2 가로지지대와;
상기 제1 내지 제2 가로지지대가 교차하여 있을 때 가이드홀과 관통홀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축으로 구성[0010]
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0011]
등록특허 10-1658857
- 4 -
삭제[0012]
삭제[0013]
삭제[0014]
삭제[0015]
삭제[0016]
삭제[0017]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사이에서 제1 가로지지대와 제2 가로지지대가 상호 엇갈려[0018]
교차하여 상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보조받침대에 의하여 제1 측판과 제2 측판의 사이를 벌려도 제1 내지 제2
가로지지대가 지지되도록 하여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침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0019]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0020]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002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
낸 정면도로서, 침대(1)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사각의 판형으로 입설되어 전후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측판(11)과;
사각 단면을 가진 바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상기 제1 측판(11)의 상단에 고정되며 타측은 수평으로 연장[0022]
되며,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 공간인 제1 삽입부(122)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1
가로지지대(12)와;
사각의 판형으로 입설되어 전후로 길게 연장되며, 상면에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가로지지대(12)의 제1 측판(1[0023]
등록특허 10-1658857
- 5 -
1)과 연결된 반대측 하단이 고정되는 보조받침대(13)와;
상기 제1 측판(1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측판(14)과;[0024]
상기 제1 삽입부(122)에 삽입되는 사각 단면을 가진 바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제2 측판(14)의 상단[0025]
에 고정되어 타측은 제1 측판(11)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1 가로지지대(12)가 삽입
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 공간인 제2 삽입부(152)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2 가로지지대
(1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이 용이한 침대를 나타내었다.
본원은 제1 및 제2 측판(11, 14)이 침대(1)의 양측에 위치하고 제1 및 제2 가로지지대(12, 15)가 서로 엇갈려[0026]
교차하도록 하며, 보조받침대(13)가 중간에서 제1 내지 제2 가로지지대(12, 1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도 1과 같이 폭을 최소한으로 한 상태에서는 1인용 또는 2인용 침대로 사용이 가능하며, 보다[0027]
넓게 활용하거나 또는 2인 이상이 침대를 이용할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제2 측판(14)을 제1 측판(11)과 더 멀리
떨어지도록 수평이동하면 침대의 폭이 확장되는 것이며, 매트리스(2)의 경우 도면에서와 같이 접혀 있다가 펼쳐
서 확장된 폭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매트리스를 올려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실내 공간에 따라 침대(1)의 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더 많은 인원이 침대[0028]
(1)를 사용해야할 경우에는 최대한으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가로지지대(12)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이드홀[0029]
(121)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2 가로지지대(15)는 상기 제2 측판(14)과 연결된 반대측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51)을 구비[0030]
하며;
상기 제1 내지 제2 가로지지대(12, 15)가 교차하여 있을 때 가이드홀(121)과 관통홀(151)을 관통하여 삽입되는[0031]
가이드축(16)이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제1 및 제2 가로지지대(12, 15)가 상호 엇갈려 교차하면서 확장하는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0032]
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제1 및 제2 가로지지대(12, 15)가 상호 엇갈려있을 때 그 상면이 균
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상하 높낮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가이드축(16)에 의하여 제2 측판(14)과 함께 제2 가로지지대(15)를 이동하여 확장할 때 그 범위를[0033]
제한하는 것으로 제2 가로지지대(15)가 보조받침대(13)를 벗어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며, 도[0034]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저면사시도이며.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제2 가로지지대(15)의 제1
측판(11)과 인접한 끝단 저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 형상의 스토퍼바(17)가 고정볼트(171)에 의
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에서 스토퍼바(17)는 제1 내지 제2 가로지지대(12, 15)가 엇갈려 교차하도록 결합된 후에 고정하는[0035]
것으로 스토퍼바(17)에 의하여 상호 엇갈려 교차하면서 확장하는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가로지지대(12, 15)가 상호 엇갈려있을 때 그 상면이 균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상하 높낮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원의 스토퍼바(17)에 의하여 제2 측판(14)과 함께 제2 가로지지대(15)를 이동하여 확장할 때 제2 가로지[0036]
지대(15)가 보조받침대(13)를 벗어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부호의 설명
1 : 침대[0037]
등록특허 10-1658857
- 6 -
11 : 제1 측판
12 : 제1 가로지지대
121 : 가이드홀 122 : 제1 삽입부
13 : 보조받침대
14 : 제2 측판
15 : 제2 가로지지대
151 : 관통홀 152 : 제2 삽입부
16 : 가이드축
17 : 스토퍼바
171 : 고정볼트
2 : 매트리스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658857
- 7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658857
- 8 -
도면4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658857
- 9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1658857
- 10 -
도면9
도면10
도면11
등록특허 10-1658857
- 11 -
확장이 용이한 침대(The bed that can easily expand)
2018. 4. 2. 2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