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8년07월04일
(11) 등록번호 10-0844000
(24) 등록일자 2008년06월30일
(51) Int. Cl.

A63B 5/16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004687
(22) 출원일자 2007년01월16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05월02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US4426076 B
JP2003190320 A
(73) 특허권자
김종선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961 한일아파트 202-503
(72) 발명자
김종선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 961 한일아파트 202-503
(74) 대리인
이장호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심사관 : 민병육
(54) 운동용 에어발판
(57) 요 약
본 발명은 운동용 에어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보강리브를 갖는 몸체로 사출성형함으로써 몸체의 내구성
향상과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조립작업성이 용이하게 이뤄지며, 또 보강리브와 상판과의 사이에 보강판재를 구성
하여 반복되는 착지와 도약운동에 의한 반복충격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10)의 상면에 상판(20)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10)의 하면 모서리에 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완충다리(30)가 구비된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면에 상판(20)이 안착되면서 끼워져 고정
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되고 이 안착부(12)에 몸체(10)의 경량화를 꾀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보강리브(1
1)가 형성된 합성수지재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10)의 한 변에는 상기 몸체(1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14)가 마련될 수 있다.
대표도 - 도2
- 1 -
등록특허 10-0844000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몸체(10)의 상면에 상판(20)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10)의 하면 모서리에 몸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완충다리
(30)가 구비된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면에 상판(20)이 안착되면서 끼워져 고정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되고 이 안착부(12)에 몸체
(10)의 경량화를 꾀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보강리브(11)가 형성된 합성수지재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는 적어도 한 변에 에어발판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4)가 형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보강리브(11)와 상기 상판(20)의 사이에는 몸체(10)의 충분한 강도보강을 위한 보강판재(4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청구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11)의 상단에는 고정돌기(1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판(20)의 하면이나 보강판재(40)에는 상기
고정돌기(15)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끼움홈(20a)(40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면중앙에는 사용자의 반복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보강돌기부(16)가 돌출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에어발판.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도약과 착지를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운동하되, 운동할 때에 발생하는 충격을 에어압력으로 흡수하<13>
여 완충시켜 주는 운동용 에어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를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고 내측에
서로 교차되는 보강리브를 형성하여 강도보강과 경량화를 꾀하며, 상기 보강리브에 완충부재인 상판을 올려놓음
으로써 작업성이 용이하고 상판인 완충부재가 몸체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운동용 에어발판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용 에어발판은 거실이나 방바닥에 놓고 그 위에서 사용자가 제자리 뛰기나 도약과 착지를 반복<14>
적으로 실시하면서 사용되는 운동기구로서, 그 구성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완충부재와, 상
기 몸체의 하부에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몸체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착지시 발생되는 충격소음을 줄
이기 위한 완충부재로 형성된 다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운동용 에어발판과 같이 도약과 착지를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운동기구가 다양하게 안출된 바 있다.<15>
실용신안등록 제20-298847호의 운동용 에어발판은, 판상으로 된 디딤판의 밑면 모서리에 완충부재를 구비하여<16>
- 2 -
등록특허 10-0844000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지지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상측으로 개방되고 상면에 에어유통공이 형성된 본체의
상측에는 플랜지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공기조절부재를 끼워 결합하고 그 상측에 원판 형상의 커버를 부
착시킨 구성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379046호의 운동용 메모리폼 완충발판은, 장방(사각)형으로 형성된 디딤판의 밑면 모서리에<17>
완충장치(부재)를 부착하되, 상기 완충장치는 하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본체(하우징)의 내벽에 코일스프링을
매설하고 외주와 하단에는 요홈 및 에어통공을 뚫어주며 본체의 내부에 스펀지를 채운 것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본체가 압축될 때에 코일스프링과 스펀지가 함께 압축되면서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385431호의 운동용 에어발판은, 장방형(사각형)으로 형성된 디딤판의 밑면 모서리에 완충부<18>
재를 설치(부착)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일체로 형성된 본체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을 매설하거나 또는 별도로 성
형시킨 고정몸체와 가동몸체를 결합하되 그 내부에 코일스프링을 매입시켜서 된 것으로, 운동을 실시하면 본체
와 함께 코일스프링이 압축 및 신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거나 또는 가동몸체가 고정몸체에서 삽탈되면서 코일스
프링을 신축시키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421118호의 에어발판용 완충부재는, 운동용 발판의 밑면에 설치되어 발판에 가해지는 하중을<19>
완충지지하는 에어발판용 완충부재에 있어서, 상기 에어발판용 완충부재는 상부가 개방되고 밑면 중앙에 공기배
출공이 뚫어진 본체의 하측에 쿠션부재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되 쿠션부재는 중앙에 공기배출공과 연통되게 수
직통로를 뚫어주고 밑면에는 수직통로와 연통되도록 다수의 수평통로를 형성한 것인바, 발판에 충격이 가해지면
본체가 압축되면서 내부에 있던 에어가 공기배출공과 수직통로 및 수평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된 것이다.
특허등록 제10-446588호의 운동용 에어발판 및 에어발판용 완충부재는, 에어발판의 밑면 모서리에 볼트부를 형<20>
성하고 완충부재의 상면에는 너트공을 형성하여 이들을 나사 결합하여 설치하되, 완충부재는 밑면이 개방되는
본체의 내부에 개폐부와 차폐부로 된 완충수단을 다층으로 형성하되 차폐부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공을 뚫어 형성
한 것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본체가 압축되면서 내부의 공기를 차폐부의 공기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운동용 에어발판들은, 완충부재의 완충효과에 의해 도약과 착지를 반복적으로 하면서<21>
운동을 하도록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대개의 에어발판을 이루는 몸체가 합판 등의 목재로
이루어져 있고 이 목재합판으로 이루어진 몸체는 수분에 의해 쉽게 변형 내지 파손되기 쉬움은 물론 사용도중에
반복되는 충격을 몸체가 제대로 지탱하지 못하여 몸체가 부러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몸체가 수분에 취약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 외부를 완충부재로 씌우는데, 이 완충부재는 합성수지<22>
재의 고무판재로 형성되어 몸체의 외면이나 완충부재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확실한 접착을 위하여 일정시간동안
가압한 상태로 유지시켜야 하므로 그 부착작업이 너무 어렵고 또 몸체에 완충부재를 접착제로 부착시켰더라도
사용 중에 박리되어 떨어지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운동용 에어발판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상<23>
면에 보강리브를 갖는 몸체로 사출 성형함으로써 몸체의 내구성향상과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
성이 용이하게 이뤄지며, 또 보강리브와 상판과의 사이에 보강판재를 구성하여 반복되는 착지와 도약운동에 의
한 반복충격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상면에 상판을 부분적으로 부착하면서 원터치방식으로 단순이 끼워 조립함으로<24>
써 운동 중에 상판이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의 각 변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보다 간편하게 에어발판을 파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운동용 에어발판을 제
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의 상면에 상판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의 하면 모서리에 몸체를 안정<25>
적으로 지지하는 완충다리가 구비된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면에 상판이 안착되면서 끼워져
고정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이 안착부에 몸체의 경량화를 꾀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보강리브가 형성된
합성수지재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3 -
등록특허 10-0844000
본 발명의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몸체의 한 변에는 에어발판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할 수<26>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보강리브와 상기 상판의 사이에는 몸체의 충분한 강도<27>
보강을 위한 보강판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운동용 에어발판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의 상단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판의 하면이<28>
나 보강판재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은, 상면에 보강리브를 갖는 몸체로 사출 성형<29>
함으로써 몸체의 내구성향상과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성이 용이하게 이뤄지며, 또 보강리브와
상판과의 사이에 보강판재를 구성하여 반복되는 착지와 도약운동에 의한 반복충격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몸체의 각 변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보다 간편하게 에어발판을 파지할 수 있어 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며, 본 명세서 및<30>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
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구성<31>
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요부인 몸체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구성요부인 완충다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구성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동용 에어발판은, 모서리가 라운딩 처리된 사각형의 몸체(10)와, 이 몸<32>
체(10)의 상면에 부착 내지 장착되는 상판(20)과, 상기 몸체(10)의 네모서리 하면에 각각 장착되어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완충다리(3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상면에 상판(20)이 안착되면서 끼워져 고정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되며 이 안착부(12)에는 몸<33>
체(10)의 소재인 합성수지를 절감하고 경량화를 꾀하면서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보강리브(11)가 형성되어 있고
4귀의 모서리인 가장자리에 완충다리(30)를 장착하기 위한 다리결착 홈(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에는 적어도 한 변의 가장자리에 상기 몸체(10)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34>
손잡이(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는 그 재질이 합성수지재에 의해 사출 성형되되 상기 몸체(10)의
보강리브(11), 다리결착 홈(13)은 물론 손잡이(14)를 성형할 때 하나의 사출 금형으로 몸체(10)와 일체로 성형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다리결착 홈(13)은 완충다리(30)와 상응하여 원터치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면 충분하며, 이<35>
는 하면에서 보았을 때 한쪽이 넓은 호형의 니은자형 홈이 동일원주 상에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완충다리(30)는 속이 빈 중공의 주름관형으로 상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단에 호형의 체결돌기(31)가 상<36>
기 몸체(10) 하면의 다리결착 홈(13)과 상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되 상기 체결돌기(31)는 다리결착 홈(13)의 넓은
부분으로 끼운 후 회전시키면 걸리도록 목부를 갖는 기역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다리
(30)의 상단이나 하단에는 이 완충다리(30)가 압축되었다가 신장될 때 그 내부의 에어가 흡입되고 배출되도록
하는 통기구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 통기구에는 소음을 제거하기 위한 다공성의 소음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11)는 상기 몸체(10)의 상면에 서로 교차하여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37>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몸체(10)의 하면에 서로 교차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은, 상기 몸체(10) 상면의 보강리브(11)와 이 보강리브(11)<38>
위에 안착되는 상판(20)의 바닥을 접착제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착하면서 상판(20)의 가장자리가 몸체(10)의 안
착부(12)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단순히 접착제를 이용하여 몸체에 완충발판 전체를 부착하는 것에
비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또한, 사용도중에 상판이 몸체로부터 떨어지는 등의 사례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상면에 서로 교차하여 형성된 보강리브(11)가 형성되어있어 몸체(10)가 충분한 강도를<39>
갖고 재료절감과 경량화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판(20)이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상판(20) 위에서 도
- 4 -
등록특허 10-0844000
약과 착지를 반복할 때 발생되는 반복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 상판(20)은 몸체(10)와
동일소재 또는 어느 정도의 완충이 이뤄지도록 소프트한 소재로 마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10)<40>
상면의 보강리브(11)와 상기 몸체(10)의 안착부(12)에 안착되는 상판(20)과의 사이에는 보강판재(40)를 부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보강판재(40)는 몸체(10) 상면의 보강리브(11)에 스크루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으나 보다 확실하고 견고한 보강판재(40)와 보강리브(11)의 표면을 녹여 붙
인 초음파용착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른 실시 예의 운동용 에어발판은, 몸체(10)와 상판(20) 사이에 보강판재(40)가 부가되어<41>
있어 사용자의 도약과 착지시 발생되는 충격하중이 상기 상판(20)에 전달되나 상기 상판(20)을 완충부재로 마련
하면 상기 상판(20)에 의해 1차로부터 완충된 후 보강리브(11)로 간접 전달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상판
(20)의 충격 및 반복하중이 간접적으로 전달되면서 줄어 보다 확실한 몸체(10)의 보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상기<42>
보강리브(11)의 상단에는 고정돌기(1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판(20)의 하면이나 보강판재(40)에는 상기 고정
돌기(15)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끼움홈(20a)(40a)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판(20) 및 보강판재(40)가 몸체(10)에 견고하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어 착지나 도약을 반복적으<43>
로 진행하는 운동, 즉 점핑동작시에 상기 상판과 보강판재가 유동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에서 몸체의 다른 실시 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여기서는,<44>
상기 몸체(10)의 하면중앙에 사용자가 몸체(10)위에서 도약하였다가 착지할 때의 하중으로 인해 완충다리(30)가
수축되면 닿을 수 있는 정도의 보강돌기부(16)가 더 돌출 형성된 것이다. 상기 보강돌기부(16)는 몸체(10)가 사
출 성형될 때 몸체(10)의 동일재료나 다른 재료에 의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는 하면의 보강돌기부(16)에 의해 보강이 이뤄짐은 물론, 사용자가 상기 몸체(10)의 상면<45>
에 구비된 상판(20) 위에서 도약하였다가 착지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 인한 반복하중에 대해서도 몸체(10)의 내
구성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점프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몸체(10)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충격하중으로 인해 완충다리<46>
(30)가 수축됨과 동시에 몸체(10)가 탄성변형이 이루어질 때 에어발판의 설치바닥과 몸체(10)하면의 보강돌기부
(16)가 지지되며, 이와 같이 몸체(10)의 중앙을 보강돌기부(16)가 지지하면 충격하중을 줄여 결국 몸체의 강도
증강효과로 점프동작에 따른 반복하중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몸체(10)의 내구성과 견고성이 더욱 향
상되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47>
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 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에 의하면, 몸체의 내부에 서로 교차하여 형성된 보강리브가<48>
더 형성되어 있고 또한, 사용자가 도약과 착지를 반복하는 상판이 상기 보강리브에 의해 하부측이 지지됨으로써
반복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이 몸체의 내부측에 끼움방식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운동 도중에 상판이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몸체의 내측에 상판을 단순히 끼워 조립함으로써 운
동 중에 상판이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며, 손잡이에 의해 이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몸체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구성요부인 완충다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 5 -
등록특허 10-084400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5>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용 에어발판의 다른 실시 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6>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7>
10: 몸체 11: 보강리브<8>
12: 안착부 13: 다리결착 홈<9>
14: 손잡이 15: 고정돌기<10>
20: 상판 30: 완충다리<11>
40: 보강판재 20a, 40a: 끼움홈<12>
도면
도면1
- 6 -
등록특허 10-0844000
도면2
도면3
- 7 -
등록특허 10-0844000
도면4
도면5
도면6
- 8 -
등록특허 10-0844000
도면7
도면8
도면9
- 9 -
등록특허 10-08440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