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9년05월27일
(11) 등록번호 10-0899524
(24) 등록일자 2009년05월19일
(51) Int. Cl.

A47L 9/04 (2006.01) A47L 9/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048033
(22) 출원일자 2008년05월23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05월23일
(65) 공개번호 10-2008-0063727
(43) 공개일자 2008년07월07일
(30) 우선권주장
1020070050035 2007년05월23일 대한민국(KR)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19930000280 U*
JP01223917 A*
JP2002078651 A
KR100750724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채병태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580 금호어울림아파트
107-1002
채연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580 금호어울림아파트
107-1002
(72) 발명자
채병태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580 금호어울림아파트
107-1002
채연지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580 금호어울림아파트
107-1002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김은래
(54)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57) 요 약
본 발명은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드럼에 의해 상승된 타격편이 탄성적으로 침구류(예컨대, 침대 매트리
스, 이불 등)라든지 카페트 또는 의류와 같은 청소대상물을 두드려 그 조직내에 흡착된 먼지(및/또는 오물, 진드
기와 같은 세균 등)를 털어서 진공흡착할 수 있는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헤드에는 진공청소기의 흡기관에 연결되면서 상부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케
이스의 타격공을 통해 청소대상물을 타격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의 타격을 위한 회전력을 형성하는 전동모터와, 그 전동모터에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는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청소대상물의 타격을 위한 탄성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타격편걸림턱이 형성된
회전드럼, 그 회전드럼의 상기 타격편걸림턱에 의해 선단이 가세(加勢)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격편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타격편모듈은 그 일단이 상기 하부케이스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선단을 형성하는 그 타단
은 상기 전동모터에 연동하는 상기 회전드럼의 타격편걸림턱에 의한 탄성력으로 가세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
격하는 다수의 타격편본체로 이루어지게 된다.
대 표 도 - 도5
- 1 -
등록특허 10-0899524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진공청소기의 흡기관에 연결되면서 상부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의 타격공을 통해 청소대상물을 타격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의 타격을 위한 회전력을 형성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는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청소대상물의 타격을 위한
탄성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타격편걸림턱이 형성된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상기 타격편걸림턱에 의해 선단이 가세(加勢)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격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타격편모듈은 그 일단이 상기 하부케이스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타격편모듈의 선단을 형성하는 타단은 상기
전동모터에 연동하는 상기 회전드럼의 타격편걸림턱에 의한 탄성력으로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는 다수의 타
격편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편본체는 상기 회전드럼의 타격편걸림턱에 의해 각 타단이 개별적으로 들어올려지는
구조와, 복수개의 타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들어올려지는 구조 및, 전체의 타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들어올려지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이고,
상기 타격편본체에는 탄력보강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별적으로 들어올려지는 상기 타격편본체의 타단은 구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기 기능이 부
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타격편걸림턱은 그 회전드럼의 외주면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단일구조의
형태와, 상호 불연속적이고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구조의 형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청구항 7
진공청소기의 흡기관에 연결되면서 상부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의 타격공을 통해 청소대상물을 타격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회전력을 형성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그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청소대상물의 타격을 위한 탄성력으로 변환해주기
위한 타격편걸림턱을 갖춘 회전드럼,
상기 하부케이스의 양 측벽에 일단 양측에 형성된 회전돌기가 회동지지되고 그 타단에 형성된 선단이 상기 회전
드럼의 타격편걸림턱에 의해 가세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격편모듈,
상기 타격편모듈의 일단 양측에 형성된 회전돌기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양 측벽 상측에 설치되는
- 2 -
등록특허 10-0899524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타격편모듈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타격편모듈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청구항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타격편모듈의 승강작용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한 길이
로 복수의 타격편모듈승강안내로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고,
상기 타격편모듈의 후방 소정위치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타격편모듈승강안내로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내
로드장착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청구항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편모듈은 일단이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타격편본체로 분기되고,
상기 타격편본체는 각 타단이 상기 회전드럼의 타격편걸림턱에 의해 개별적으로 들어올려지는 구조와, 복수개의
타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들어올려지는 구조 및, 전체의 타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들어올려지는 구조 중 어느 하
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청구항 10
(삭제)
청구항 11
(삭제)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대상물(예컨대, 침<1>
대 매트리스, 이불, 카페트, 의류 등)에 탄성적인 타력을 가해서 그 청소대상물에 침투된 먼지(및/또는 오물,
진드기와 같은 세균 등)를 털어내도록 된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종래부터, 주거공간이라든지 사무공간 또는 다중이용업소의 정해진 공간의 바닥에서 진공흡입력으로 먼지라든지<2>
오물(즉, 쓰레기)을 흡입하여 청소하는 진공청소기가 널리 보급되어 청소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한 진공청소기는 바닥이라든지 예컨대 창틀의 틈새 등에서 먼지 또는 오물을 흡입하여 청소하는 작용은 상<3>
당한 효과를 보이는 반면, 침대 매트리스라든지 이불과 같은 침구류나 카페트 또는 의류에서 먼지라든지 오물을
흡입하여 청소하는 작용은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즉, 침대 매트리스라든지 이불과 같은 침구류나 카페트 또는 의류의 경우에는 그 직조된 조직 내에 먼지라든지<4>
오물 등이 침투되기 쉽고, 그 상태에서 진공흡입력만으로 그 조직 내에 침투된 먼지를 흡착해내기란 상당히 어
렵다.
더구나, 개라든지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실내에서 사육하는 가정의 경우에는 그 애완동물에서 떨어지는 털<5>
이나 비듬과 같은 오물이 침구류나 카페트 또는 의류의 조직 내에 침투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는 바, 그
애완동물의 털이나 비듬과 같은 오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은 침구류나 카페트를 사용하거나 의류를 착용하면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피부질환이라든지 비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지만, 그러한 애완동
물의 털이나 비듬과 같은 오물이 직조된 조직 내에 침투된 경우에는 진공청소기의 진공흡입력만으로 흡착제거하
기란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다.
또, 특히 침대 매트리스의 경우에는 그 섬유 조직 내에 진디물(특히, 집 진드기)이 서식하여 인체에 피부질환이<6>
- 3 -
등록특허 10-0899524
나 호흡기질환을 유발하게 되는 바, 그러한 진디물(집 진드기)의 경우에도 단지 진공흡입력만으로는 흡착해내기
가 어렵다.
그리고, 대기 중에서 황사라든지 차량 배기가스에 의해 미세먼지농도가 높은 상태에서는 외출 시에 의류의 섬유<7>
조직 내에 미세먼지가 흡착되기 쉽지만, 그러한 미세먼지라든지 예컨대 흡연에 의한 냄새는 진공흡입력에 의해
서만 충분하게 제거되지 않게 된다.
그 점을 고려해서, 최근에는 침구류라든지 카페트 등의 청소대상물에서 먼지라든지 오물을 흡착해내기 위해 진<8>
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내부에 전자식 솔레노이드 또는 전자석을 설치해서 그 솔레노이드 또는 전자석의 진동에
의해 침구류 또는 카페트를 청소하는 구조가 제안된 상태이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또는 전자석에 의해 상하방향의 진동력을 발생해서 침구류라든지 카페트 등의 청소대상물<9>
을 청소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그 청소대상물의 조직 내에 침입된 먼지라든지 오물에 진동력을 전달해서 진공흡
착하기 때문에 단지 진공흡착의 경우에 비해 다소 유리할 수는 있지만, 솔레노이드의 상하 진동은 실제 청소대
상물을 두드려서 털어주는 형태이기보다는 그 표면을 반복적으로 눌러주는 형태로 접촉되기 때문에 그 청소대
상물의 조직 내에 침입된 먼지라든지 오물, 냄새 및/또는 진드기 등을 충분히 털어내어 흡착하지는 못하게 된
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드럼에 의<10>
해 타격편의 선단이 탄성적으로 가세(加勢)되어 침구류(예컨대, 침대 매트리스, 이불 등)라든지 카페트 또는
의류와 같은 청소대상물을 탄성적으로 타격하여 그 조직 내에 흡착된 먼지(및/또는 오물, 냄새, 진드기 등의
세균)를 털어서 진공흡착할 수 있도록 된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가 제공된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진공청소기의 흡기관에 연결되면서 상부<11>
케이스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의 타격공을 통해 청소대상물을 타격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
드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의 타격을 위한 회전력을 형성하는 전동모터와,
그 전동모터에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청소대상물의 타격을 위한 탄성
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타격편걸림턱이 형성된 회전드럼, 그 회전드럼의 상기 타격편걸림턱에 의해 선단이 가세
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격편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타격편모듈은 그 일단이 상기 하부케이스에 고
정설치되고 상기 선단을 형성하는 그 타단은 상기 전동모터에 연동하는 상기 회전드럼의 타격편걸림턱에 의한
탄성력으로 가세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는 다수의 타격편본체로 이루어진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
기의 흡입헤드가 제공된다.
상기 타격편본체는 상기 회전드럼의 타격편걸림턱에 의해 각 선단이 들어올려지는 구조와, 복수개의 선단이 일<13>
체로 형성되어 들어올려지는 구조 및, 전체의 선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들어올려지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형태
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격편에는 탄력보강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별적으로 들어올려지는 타격편본체의 선단은<14>
구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회전드럼의 상기 타격편걸림턱은 그 회전드럼의 외주면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단일구조로 형성된 형태<15>
와, 상호 불연속적이고 다른 위치에 형성된 복수구조의 형태에서 선택된다.
삭제<17>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청소기의 흡기관에 연결되면서 상부케이스<18>
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의 타격공을 통해 청소대상물을 타격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는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상에 설치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회전력을 형성하는 전동모터와, 그
전동모터의 축에 결합되어 그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청소대상물의 타격을 위한 탄성력으로 변환해주기 위한
타격편걸림턱을 갖춘 회전드럼, 상기 하부케이스의 양 측벽에 일단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돌기가 회동지지되고
- 4 -
등록특허 10-0899524
타단에 형성된 선단이 상기 회전드럼의 탄성력에 의해 가세되어 상기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는 타격편모듈, 그 타
격편모듈의 일단 양측의 회전돌기의 회동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의 양 측벽 상측에 설치되는 커버부
재, 그 커버부재와 상기 타격편모듈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타격편모듈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가 제공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회전드럼에 의한 상기 타격편모듈의 승강작용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한<19>
길이로 복수의 타격편모듈승강안내로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고, 상기 타격편모듈의 후방 소정위
치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타격편모듈승강안내로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내로드장착구가 형성된다.
상기 타격편모듈은 일단이 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타격편본체로 분기되고, 상기 타격편모듈의 상기 선단을 형성<20>
하는 상기 타격편본체의 각 타단은 상기 회전드럼의 상기 타격편걸림턱에 의해 개별적으로 들어올려지는
구조와, 복수개가 일체형성되어 들어올려지는 구조 및,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들어올려지는 구조 중 어느 하
나의 형태이다.
삭제<22>
효 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의하면, 전동모터에 연동하는<23>
회전드럼의 타격편걸림턱에 대해 타격편모듈의 선단이 걸림/해제되는 작용이 반복되면서 그 타격편모듈이 예컨
대 침구류라든지 카페트 및/또는 의류와 같은 청소대상물을 탄성적으로 타격하여 그 청소대상물에 깊숙히 침투
된 먼지라든지 이물질을 털어서 흡입하여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한 진공흡입청소나 솔레노이드 또는 전
자석의 진동에 의한 방식에 비해 침구류라든지 카페트 및/또는 의류에 대한 먼지(및/또는 오물, 진디물 등)의
청소효과가 훨씬 양호해지게 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24>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외관구조를 설명하기<25>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먼지털기 기능의 진공흡입헤드(10)의 본체 케이스(12)에는 통상적인 진공청소기에 착탈되는 연결관<26>
(14)이 구비되고, 그 본체 케이스(12)의 표면에는 전원ON/OFF와 털기 기능의 강/중/약을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
소자(16)와 그 스위치소자(16)에 의해 전원ON기능이 설정되는 경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예컨대 발광표
시소자(즉, LED소자)에 의한 전원ON표시소자(16a)가 설치됨과 더불어 전용의 AC/DC변환기(즉, 전원어댑터)(20)
의 전원플러그(22)의 플러그단자(22a)가 착탈되는 플러그접속잭(18)도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소자(16)는 전원ON/OFF스위치소자와, 청소대상물의 털기기능의 강/중/약을 설정하기 위한<27>
강도설정스위치소자를 별개로 구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전원어댑터(20)는 별개로 구성하지 않고 상기 본체 케이스(12)의 내부에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28>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29>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 케이스(12)는 상부케이스(12a)와 하부케이스(12b)로 구성되고, 그 상부케이스(12<30>
a)와 하부케이스(12b)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상기 상부케이스(12a)의 4-모서리 근방에는 나사체결
리브(24b)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2b)의 상면에도 상기 상부케이스(12a)의 나사체결리브(24b)에 대응하
는 위치에 나사(24a)가 체결되는 나사체결공(24)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2b)에는 그 전방측과 후방 양측에는 바퀴노출구(26)가 형성되고, 그 바퀴노출구(26)에 대응하<31>
여 해당하는 진공흡입헤드의 전/후방향 이동을 위한 바퀴(28)가 배치된다.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구성되는 바퀴의 일예를 나타낸 도<32>
면이다.
상기 하부케이스(12b)의 각 바퀴노출구(26)의 양측 주변에는 바퀴회동받침구(32)가 형성되고, 그 바퀴회동받침<33>
- 5 -
등록특허 10-0899524
구(32)의 중앙에는 상기 바퀴(28)의 양축(28a)에 설치되어 해당하는 바퀴(28)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동베어링
(36)의 하부 절반이 안착되는 베어링안착반구(34)가 형성되며, 그 베어링안착반구(34)의 양측에는 베어링고정나
사공(32a)이 형성된다.
상기 바퀴회동받침구(32)에 대응하여 바퀴베어링고정구(38)가 제공되는 바, 그 바퀴베어링고정구(38)의 중앙은<34>
상기 회동베어링(36)의 상부 절반이 수용되는 베어링지지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기 베어링고정
나사공(32a)에 대응하여 체결나사(40)가 관통되는 나사체결공(38a)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퀴(28)가 상기 바퀴노출구(26)를 통해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는 상기한 바로<35>
한정되지는 않고, 또 상기 바퀴(28)는 상기 바퀴노출구(26)를 통해 노출되도록 하지 않는 대신에 상기 본체 케
이스(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해도 된다.
또,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케이스(12b)의 대체로 전방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전드럼브라켓(42)이 형성<36>
되고, 그 하부케이스(12b)의 대체로 후방에는 일정한 높이의 타격편고정브라켓(46)이 형성되며, 그 회전드럼브
라켓(42)과 상기 타격편고정브라켓(46)의 사이에는 후술하는 타격편모듈이 청소대상물(예컨대, 침구류, 카페트,
의류 등)을 탄성적으로 타격하여 털어줌과 더불어 그 털기작용에 의해 청소대상물에서 털어내어진 먼지라든지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타격흡기공(50)이 형성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요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삭제<37>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드럼브라켓(42)의 사이에는 회전드럼(56)의 양축(56a,56b)이 대응적으로 설치되는<38>
바, 그 회전드럼브라켓(42)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드럼(56)의 각 축(56a,56b)에 끼워져서 해당하는 회전드럼(5
6)의 원활한 회동을 지원하기 위한 회전드럼베어링(54)이 제공된다.
또, 상기 회전드럼(56)의 일측단에는 도 2에 도시된 상기 전동모터(16)의 회전에 연동하기 위한 예컨대 베벨기<39>
어에 의한 종동기어(58)가 설치되고, 그 회전드럼(56)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각도마다 타격편걸림턱(60)이 형성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드럼(56)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전동모터(16)의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로 한정되지는 않고<40>
상기 회전드럼(56)을 구동한다는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달성하기 위한 어떠한 위치에 설치되어도 되고, 상기 전
동모터(16)와 상기 회전드럼(56)은 무한벨트에 의해 연결되도록 해도 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2b)에 형성된 상기 타격편고정브라켓(46)에는 타격편모듈(62)의 일단이 고정적으로 설치되는<41>
바, 그 타격편모듈(62)은 다수의 타격편본체(62a)로 이루어지고, 각 타격편본체(62a)의 선단(62b)은 상향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모터(16)는 모터고정브라켓(66)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리브(66a)에 형성된 브라켓고정공에 나<42>
사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스(12b)에 고정되고, 그 모터축(64a)에는 상기 회전드럼(56)의 축(56b)에 설치
된 상기 종동기어(58)가 치합되어 그 전동모터(16)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69)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는 상기 하부케이스(12b)에 바퀴(28)와 상기 전동<43>
모터(16), 상기 회전드럼(56) 및 상기 타격편모듈(62)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소자(16)에 의해 전원ON
됨과 더불어 먼지털기 기능의 강/중/약 중 어느하나의 레벨이 선택되면 상기 전동모터(16)가 설정된 레벨로 회
전되작동하게 된다.
상기 전동모터(16)의 회전력은 그 모터축(64a)에 결합된 구동기어(69)를 통해 상기 종동기어(58)에 전달되고,<44>
그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56)이 회전하게 되는 바, 그 회전드럼(56)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타격편본체(62a)의 선
단(62b)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타격편본체(62a)에 탄성력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62b)이 상기 회전드럼(56)의
타격편걸림턱(60)을 벗어나면 상기 타격편본체(62a)가 탄성에 의해 청소대상물(침구류, 카페트, 의류 등)을 타
격하여 먼지(및/또는 오물, 진드기 등)를 털어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흡입헤드가 연결된
진공청소기 본체에 갖추어진 진공흡입모터(도시는 생략)에 의해 흡입되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타격편모듈(62)의 타격편본체(62a)의 상기 선단(62b)이 상기 회전드럼(56)의 외주면에 형성된 타격편<45>
걸림턱(60)에 걸리지 않은 상태(즉, 도 6a 참조)에서, 상기 회전드럼(56)이 회전하면 상기 타격편본체(62a)의
선단(62b)이 상기 회전드럼(56)의 상기 타격편걸림턱(60)에 걸려진 상태로 상승하게 되고(도 6b 참조), 상기 회
- 6 -
등록특허 10-0899524
전드럼(56)의 타격편걸림턱(60)이 임계회전각 범위를 지나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타격편걸림턱(60)으로부터 상
기 타격편본체(62a)의 선단(62b)이 이탈되면서 탄성적으로 하강하여 상기 대응하는 타격흡기공(50)을 통해 청소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타격하여 털어주게 된다(도 6c 참조).
따라서, 상기 타격편본체(62a)의 반복적인 타격작용에 의해 침구류라든지 카페트, 의류와 같은 청소대상물에 침<46>
투된 먼지(및/또는 오물, 진드기 등)를 털어서 진공흡입하여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7>
즉, 도 5에 도시된 상기 회전드럼(56)의 외주면에는 최소한 하나 또는 상호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는 다수의 타<48>
격편걸림턱(60)이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타격편모듈(62)의 타격편(62a)이 동시에 청소대상물을 타격하여 털
어주는 작용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회전드럼(56)의 외주면에는 상호 일정한 거
리를 유지하면서 상호 다른 위치에 타격편걸림턱(60a)이 형성되는 바, 그 타격편걸림턱(60a)의 수는 상기 타격
편모듈(62)의 타격편(62a)의 수에 대응하게 된다.
그러한 구성에서는 상기 회전드럼(56)의 회전시 상기 상호 다른 위치에 형성된 타격편걸림턱(60a)에 의해 상기<49>
타격편모듈(62)의 타격편본체(62a)가 상호 시차를 갖고서 청소대상물을 연속해서 타격하여 털어주는 효과를 나
타내게 된다.
그에 대해, 도 8에 도시된 상기 회전드럼(56)의 또다른 예에 따르면 회전축(56a,56b)을 중심으로 일측이 편심되<50>
도록 형성되어 그 편심부분이 상기 타격편본체(62a)의 선단(62b)이 걸려지는 타격편걸림턱(60b)으로 기능하게
된다.
또, 상기 도 5에 도시된 상기 회전드럼(56)의 외주면에 형성된 타격편걸림턱(60)의 형상과 위치는 상기 전동모<51>
터(16)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타격편본체(62)의 탄성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이면 그 회전드럼(56)의
외주면을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도록 해도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서 타격편본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52>
다.
즉, 상기한 타격편모듈(62)의 타격편본체(62a)의 경우는 대체로 선형으로 형성되면서 그 선단(62b)이 상향적으<53>
로 형성되지만, 도 9에 도시된 타격편본체(62a)의 경우는 그 소정 위치에 탄력보강 절곡부(62c)가 형성되어 보
다 강화된 탄성력으로 청소대상물을 타격하여 털어줄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타격편본체(62a)의 선단(62d)은 구형상으로 가공되거나 별도로 구형상 부재가 결합<54>
되면, 청소대상물의 타력시 그 청소대상물의 표면에 흠집을 초래할 가능성이 배제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갖추어지는 상기 타격편모듈의 다른 예<55>
를 나타낸다.
즉, 도 10에 도시된 타격편모듈(70)의 경우는 다수의 타격편본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면서 선단<56>
이 일체로 연설된 구조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청소대상물을 타격하기 위한 탄성작용이 더욱 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설명에서는 상기 타격편모듈이 상기 전동모터(16)에 연동하는 상기 회전드럼(56)의 연속적인 회<57>
전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력에 의해 청소대상물을 타격하게 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드럼(56)의 양측
에 타격편본체가 직접 형성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전동모터(16)는 정/역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전동모
터(16)의 정/역회전에 연동하는 상기 회전드럼(56)의 정/역회전에 의해 그 회전드럼(56)의 양측에 형성된 타격
편본체가 교대로 청소대상물을 타격하도록 해도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요부 구조를 설<58>
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케이스(12b)에 대응하는 하부케이스(80)의 바닥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타격편모듈<59>
(86)이 청소대상물을 타격함과 더불어 흡기가 이루어지는 다수의 타격흡기공(82)이 형성된다.
또, 상기 하부케이스(80)의 후방 양측에 직립된 측벽에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타격편모듈(86)의 회동을 지지하기<60>
위한 베어링(84a)이 장착되는 베어링안착홈(84)이 형성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하부케이스(8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타격편모듈(86)의 승강작용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한<61>
- 7 -
등록특허 10-0899524
길이로 복수의 타격편모듈승강안내로드(84b)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다.
상기 타격편모듈(86)에 따르면,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타격편모듈(62,70)과는 달리 그 후단과 전단이 일체로 형<62>
성되면서 그 후단과 전단의 사이에 다수의 타격편본체(86b)가 분기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에 대해, 상기 타격편모듈(86)은 일단은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타격편본체로 이루어지고, 그 타격편본체의<63>
타단(즉, 상기 타격편모듈(86)의 선단)은 후술하는 회전드럼에 의해 개별적으로 들어올려지는 구조(도 7에 도시
된 구조 참조) 또는 복수개의 선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들어올려지는 구조(도 10에 도시된 구조 참조)의 적용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타격편모듈(86)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하부케이스(80)의 후방 양측에 배치된 상기 베어링(84a)에 수용되는<64>
회전돌기(88)가 형성되고, 그 타격편모듈(86)의 후방 소정위치에는 상기 하부케이스(80)의 후방에 형성된 상기
타격편모듈승강안내로드(84b)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내로드장착구(90)가 형성됨과 더불어, 해당하는 타격편모듈
(86)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98)의 하단이 지지되는 스프링지지돌기(92)가 형성된다.
또,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케이스(80)의 후방 양 측벽과 후벽의 상측에는 커버부재(96)가 결합되는 바, 그<65>
커버부재(96)는 양측면에 상기 베어링안착홈(84)을 통해 상기 베어링(84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베어링지지
편(96a)이 형성되면서 그 저면에는 상기 타격편모듈(86)상의 스프링지지돌기(92)와의 사이에 상기 탄성스프링
(98)이 개재된다.
상기 하부케이스(80)의 전방에는 전동모터(100)가 설치되고, 그 전동모터(100)의 모터축(100a)에는 그 전동모터<66>
(100)의 회전력을 상기 타격편모듈(86)에 가세되는 탄성력으로 변환해주기 위한 회전드럼(102)의 축수공(102a)
이 결합되는 바, 그 회전드럼(102)의 양측에는 상기 타격편모듈(86)의 선단(94)을 들어올려주기 위한 회전날개
형상의 타격편걸림턱(102b)이 복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드럼(102)에 대해서는 상기 타격편모듈(86)의 형태(즉, 그 타격편모듈을 형성하는 타격편본체<67>
의 형태)에 따라 도 5나 도 7 또는 도 8에 예시된 형태로 적용해도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모터(100)가 회전<68>
작동하게 되면 그 축(100a)에 결합된 회전드럼(102)이 연동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
(102)의 상기 타격편걸림턱(102b)이 회전하면서 상기 타격편모듈(86)의 선단(94)을 들어올려 탄성력이 축적되도
록 하게 된다.
상기 타격편모듈(86)은 그 선단(94)이 상기 타격편걸림턱(102b)으로부터 해제되면 그 축적된 탄성력으로 상기<69>
하부케이스(80)의 타격흡기공(82)을 통해 청소대상물로서의 침구류라든지 카페트 또는 의류를 두드려 먼지(및/
또는 오물, 진드기 등)를 털어주게 된다.
상기한 타격편모듈(86)의 일련의 털기작용과정에서 상기 회전드럼(102)의 타격편걸림턱(102b)에 의해 상기 타격<70>
편모듈(86)의 선단(94)이 들어올려지는 경우에 그 타격편모듈(86)의 후방 양측에 형성된 상기 회전돌기(88)는
상기 하부케이스(80)의 후방 양 측벽에 설치된 상기 베어링(84a)에 의해 회동이 지지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타격편모듈(86)은 그 선단(94)이 상기 회전드럼(102)의 타격편걸림턱(102b)에 의해 들어올려<71>
지는 상태로부터 상기 회전드럼(102)의 타격편걸림턱(102b)으로부터 이탈되어 청소대상물에 타격을 가하여 털어
주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부재(96)와의 사이에 개재된 상기 탄성스프링(98)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전동모터(100)에 연동하는 상기 회전드럼(102)에 의해 상기 타격편모듈(86)이 상기 탄성스프링<72>
(98)의 지지하에 반복적으로 청소대상물을 탄성적으로 타격하여 줌으로써 먼지(및/또는 오물, 진디물 등)의 청
소가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가 착탈식으로 진공청소기의 흡기<73>
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면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200)에는 진공흡입모터를 포함하는 청소대상물의 청소를 위한 구조가 갖추어지<74>
는 바, 그 진공청소기(200)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대표적으로 도 1
의 12 참조)를 착탈식으로 적용하면 털기 기능에 의한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그에 대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 기의 흡입헤드가 진공청소기의 흡기<75>
관에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8 -
등록특허 10-0899524
도면에 도시된 진공청소기(300)는 소위 '핸디형'으로 그 진공청소기의 전방 또는 전방 하측에 본 발명에 따른<76>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대표적으로 도 1의 12 참조)를 착탈식으로 적용하거나 일체형으로
적용하면 털기 기능에 의한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는 상기 전동모터를 동작시키지 않는 상태에<77>
서 상기 진공청소기(200 또는 300)를 작동시키면 통상적인 진공청소 흡입헤드와 동일한 흡입에 의한 청소가 가
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적용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78>
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서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에 의해<79>
상기 타격편모듈 또는 타격편본체가 청소대상물을 탄성적으로 타격하여 청소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면 어떠한 방
식을 적용해도 된다.
또, 상기 타격편모듈 또는 타격편본체의 선단이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들어올려져 탄성력을 얻는 구조에<80>
대해서는 그 타격편모듈 또는 타격편본체의 후단을 들어올려서 탄성력을 얻는 구조로 변경해도 되고, 상기 타격
편모듈 또는 타격편본체의 선단 상측에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이 전달되어 들어올려지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회전드럼에는 타격편본체의 선단을 들어 올리기 위한 타격편걸림턱이 형성된 구조이지만, 그 회전드럼<81>
의 양측에 타격편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전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그 회전드럼이 정/역회전되면서 청소대
상물을 탄성적으로 타격하도록 해도 된다.
그에 대해, 상기 회전드럼의 외주면에는 예컨대 유연성 재질(합성수지) 또는 섬유소재의 타격로프 또는 탄성스<82>
프링의 탄성을 이용하는 타격부재를 형성하여 그 회전드럼의 회전에 연동하여 360°회전하면서 청소대상물을 타
격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전단이나 후단 또는 저면에 자외선 살균<83>
램프가 조립된 살균유니트를 풀러그에 의한 착탈식으로 적용하거나 일체식으로 적용하면 더욱 유리하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외관구조를 설명하기<84>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85>
도면,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구성되는 바퀴의 일예를 나타낸 도<86>
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요부를 설명하는 도면,<87>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의한 청소대상물에 대한 털기<88>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89>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90>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구성되는 타격편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낸<91>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에 갖추어지는 타격편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92>
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의 요부 구조를 설<93>
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가 착탈식으로 진공청소기에 연결된 상태를<94>
나타낸 도면,
- 9 -
등록특허 10-0899524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털기 기능이 부가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가 진공청소기에 연결된 다른 상태<95>
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96>
10: 흡입헤드, 12: 본체케이스,<97>
12a: 상부케이스, 12b: 하부케이스,<98>
16: 전동모터, 28: 바퀴,<99>
50: 타격흡기공, 58: 종동기어,<100>
56: 회전드럼, 60,60a: 타격편걸림턱,<101>
62: 타격편모듈 62a: 타격편본체,<102>
62c: 탄력보강 절곡부, 69: 구동기어,
70: 타격편모듈, 80: 하부케이스,<103>
86: 타격편모듈, 84b: 타격편모듈승강안내로드,<104>
90: 안내로드장착구, 98: 탄성스프링,<105>
100: 전동모터, 102: 회전드럼.<106>
도면
도면1
- 10 -
등록특허 10-0899524
도면2
도면3
- 11 -
등록특허 10-0899524
도면4
도면5
- 12 -
등록특허 10-0899524
도면6a
도면6b
도면6c
- 13 -
등록특허 10-0899524
도면7
도면8
- 14 -
등록특허 10-0899524
도면9
도면10
- 15 -
등록특허 10-0899524
도면11
- 16 -
등록특허 10-0899524
도면12
도면13
- 17 -
등록특허 10-08995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