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05월31일
(11) 등록번호 10-1150518
(24) 등록일자 2012년05월2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42B 3/08 (2006.01) A42B 3/04 (2006.01)
A42B 3/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78519
(22) 출원일자 2010년08월13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8월13일
(65) 공개번호 10-2012-0015955
(43) 공개일자 2012년02월22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20100008245 U
US7043772 B2
US7707695 B2
US20100095438 A1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에스탑
부산광역시 수영구 구락로111번길 16 (망미동)
(72) 발명자
이정수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천로 233, 109동 1105호
(거제동, 거제동월드메르디앙아파트)
(74) 대리인
김영옥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박성호
(54) 발명의 명칭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안전모(1)의 머리받침밴드(3)와 조임 조절장치(4)가 착용자의 두부 전체에 밀착되도록 구성하여 안
전성과 착용감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모(1)용 머리받침밴드(3) 조임 조절장치(4)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안전모(1)의 머리받침밴드(3) 양단부가 후두부(H)에 접하는 밀착커버(5)와 밀착커버(5)에 결합
된 조절편(6) 사이에서 조절편(6)에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조절손잡이(7)로 조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통상의 안전모(1)용 머리받침밴드(3) 조임 조절장치(4)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밀착커버(5)의 가운데 상하로
각각 한 쌍의 결합돌기(51)를 외향되게 형성하며, 밀착커버(5)의 양측에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텐션을 가지며
세로로 수개의 골(91)이 형성된 날개부(9)를 구성하며, 상기 조절편(6)의 가운데 상하 내측으로 밀착커버(5)의
결합돌기(51)와 대응되도록 각각 한 쌍의 결합홈(61)을 내향되게 형성하여 머리받침밴드(3)를 두부에 밀착되도
록 조절 시 밀착커버(5)의 양측 날개부(9)가 후두부(H)에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머리
받침밴드(3)와 조임 조절장치(4)의 밀착커버(5)가 두부에서 완전하게 밀착되어 안전모(1)를 견고히 착용할 수
있어서 안전성과 착용감을 월등하게 향상시켜서 그 착용률을 배가시키면서도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것이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150518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안전모(1)의 머리받침밴드(3) 양단부가 후두부(H)에 접하는 밀착커버(5)와 밀착커버(5)에 결합된 조절편(6)
사이에서 조절편(6)에 자유 회전되게 설치된 조절손잡이(7)로 조임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통상의 안전
모(1)용 머리받침밴드(3) 조임 조절장치(4)에 있어서;
상기 밀착커버(5)는 가운데 상하로 각각 한 쌍의 결합돌기(51)가 외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조절편(6)은 가운데 상하 내측으로 밀착커버(5)의 결합돌기(51)와 대응되도록 각각 한 쌍의 결합홈(61)
이 내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밀착커버(5)의 양측으로는 조절편(6)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텐션
을 갖는 날개부(9)가 구성되어 조절손잡이(7)로 머리받침밴드(3)를 두부에 밀착되도록 조절 시 밀착커버(5)의
양측 날개부(9)가 머리받침밴드(3)에 의해서 후두부(H)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머
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착커버(5)의 양측 날개부(9) 전면에는 세로로 수개의 골(9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안전모의 머리[0001]
받침밴드와 조임 조절장치가 착용자의 두부 전체에 밀착되도록 구성하여 안전모가 잘 벗겨지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한 안전성과 함께 착용감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를 제공
코자 하는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서 낙하물로부터 작업자의 두부(頭部)를 보호하기 위해서 착용하는 안전모에 있어[0002]
서, 상기 안전모는 고강도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에 내접하게 스티로폼 등의 쿠션을 고정
구성하고, 본체 내측으로 작업자의 두부 상부와 둘레에 접하는 머리받침밴드를 설치하여 충격이 발생하였을
시 본체가 두부에 직접적으로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하면서 안전모 내부에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안전모에서 후두부(後頭部)가 위치하는 머리받침밴드의 후방 하측으로는 상기 머리받침밴드를 조절하여
머리받침밴드가 작업자의 두부에 밀착되게 조절하는 조임 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안전모를 두부에 보다 견고하
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조임 조절장치는 머리받침밴드의 양단부에 대향되게 래크(rack)를 형성
하여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후두부에 접하는 밀착커버와 밀착커버의 후측으로 결합되는 조절편 사이에 내입
되도록 구성하며, 이때 밀착커버의 좌우 양측 상하부에 각각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조절편의 좌우 양측 상하부
내측으로 밀착커버의 결합돌기가 결합 고정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밀착커버와 조절편의 양단부에 래크가 내
입되는 내입공을 빼고는 전체적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조절편의 후측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조절손잡이의 회동축을 자유 회전되게 결합 구성하며, 상기 회동축에 조임 조절장치의 내부에서 머리받침밴드
양측의 래크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을 고정되게 구성하여 조절손잡이를 회동 조작하면 피니언이 회전되어 양
측 래크를 밀착커버와 조절편 사이에서 모아지거나 벌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두부에 머리받침밴드가 밀착되
게 조이거나 느슨하게 풀어지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100)는 도 4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모를[0003]
등록특허 10-1150518
- 2 -
착용하고 조절손잡이(7)를 회동 조작하여 머리받침밴드(3)가 두부에 맞게 조절하더라도 밀착커버(101) 전체가
조절편(102)에 결합되어 있어서 작업자의 후두부(H) 형상에 따라서 밀착커버(101) 전체가 후두부(H)에 밀착되
지 못하고 밀착커버(101)의 양측이 도 4의 A부와 같이 후두부(H)와 이격되어 머리받침밴드(3)의 일부도 후두
부(H)에서 뜨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전모가 외력에 의해서 쉽게 벗겨지거나 돌아가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는 작업자의 두부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하는 안전모의 목적에서 벗어나서 안전상에 상당
한 문제가 되었으며, 머리받침밴드(3) 및 조임 조절장치(100)의 밀착커버(101)가 후두부(H)에서 이격되므로
안전모의 착용감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종래 머리받침[0004]
밴드 조임 조절장치에서 밀착커버 전체가 조절편에 결합되던 것에 반하여 본 발명의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는 밀착커버의 양측이 조절편과 결합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밀착커버의 양측 날개부가 탄력을 갖
도록 간단한 구조로 구성하며, 조절손잡이의 회동 조작으로 머리받침밴드를 두부 전체에 밀착되게 할 시 밀착
커버의 날개부가 휘어지면서 후두부에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머리받침밴드와 조임 조절장치의 밀착커
버가 두부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모를 보다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 안전성을 극대화시키
고, 이와 더불어서 착용감도 월등하게 향상되도록 한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
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후두부에 접하는 밀착커버와, 조절손[0005]
잡이의 회동축이 자유 회전되게 설치되도록 밀착커버에 결합 구성되는 조절편와, 상기 밀착커버와 조절편 사
이에서 회동축에 고정되어 머리받침밴드의 양단부에 대향되게 형성된 래크와, 상기 래크에 치차 결합되도록
구성된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착커버는 가운데
상하로 각각 한 쌍의 결합돌기가 외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조절편은 가운데 상하 내측으로 밀착커버의 결합돌
기와 대응되도록 각각 한 쌍의 결합홈이 내향되게 형성되며, 밀착커버의 양측으로는 조절편과 결합이 이루어
지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휘어지도록 텐션을 가지며 전면에 세로로 수개의 골을 형성한 날개부가 일
체로 구성되어 조절편의 양측과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조절손잡이를 회동 조작
하여 머리받침밴드를 두부에 밀착되도록 할 시 밀착커버의 양측 날개부가 머리받침밴드의 조이는 힘에 의해서
조절편 양측에서 분리되어 후두부에 이격되지 않고 밀착이 이루어진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임 조절장치의 밀착커버 양측에[0006]
조절편과 결합되지 않는 날개부가 후두부에 밀착되게 텐션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조임 조절장치에서
밀착커버 전체가 조절편에 결합되어 밀착커버 양측이 후두부에서 이격되던 것에 반하여 조절손잡이의 회동 조
작으로 머리받침밴드를 두부 전체에 밀착되게 할 시 밀착커버의 날개부가 휘어지면서 후두부에 완전하게 밀착
되어 머리받침밴드와 조임 조절장치의 밀착커버가 두부에서 이격되지 않아서 안전모를 보다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전모가 두부에서 쉽게 벗겨지거나 돌아가지 않으므로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
며, 이에 더불어 후두부에 밀착커버가 완전하게 밀착되어 배기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시켜서 안전모의 착용감
을 월등하게 향상시켜 산업현장에서 안전모의 착용률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종래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조
임 조절장치와 비교하여 구성적으로 복잡하거나 제작이 번거롭지 않으므로 제조원가 등을 앙등시키지 않고서
도 기능적으로 월등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등록특허 10-1150518
- 3 -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안전모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0007]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밀착커버와 조절편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이 후두부에 밀착되기 전과 후의 작용을 보인 예
시도
도 4는 종래 기술에서 밀착커버와 조절편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밀착커버와 조절편이 적용된 조임 조절장치의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상기한 도면들과 함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0008]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종 산업현장에서 낙하물로부터 작업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착용[0009]
하는 안전모(1)에서 최외측에 위치하는 고강도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2) 내측으로 작업자의 두부
상부와 둘레에 접하여 충격이 두부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차단하고, 안전모(1)의 내부에서 통풍이 이루
어지도록 설치한 머리받침밴드(3)를 착용자의 후두부(H)가 위치하는 머리받침밴드(3)의 후방 하측에서 조절하
여 착용자의 두부에 머리받침밴드(3)가 밀착되도록 조절하는 조임 조절장치(4)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전모(1)용 머리받침밴드(3) 조임 조절장치(4)에서 머리받침밴드(3)의 양단부가 후두부(H)에 접하는 밀[0010]
착커버(5)와 밀착커버(5)의 후측으로 결합되는 조절편(6) 사이로 내입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조절편(6)의 후
측에 형성된 관통공(6a)으로 조절손잡이(7)의 회동축(8)을 자유 회전되게 결합 구성하며, 상기 회동축(8)에
조임 조절장치(4)의 내부에서 머리받침밴드(3)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래크와 치차 결합되는 피니언을 고정
되게 구성하여 조절손잡이(7)를 회동 조작하면 피니언이 회전되어 양측 래크를 밀착커버(5)와 조절편(6) 사이
에서 모아지거나 벌어지도록 하여 작업자의 두부에 머리받침밴드(3)가 밀착되게 조이거나 느슨하게 풀어지도
록 한 것으로 이상의 구성은 통상적인 안전모(1)에 두루 적용된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머리받침밴드(3) 조임 조절장치(4)를 구성함에 있어서, 후두부(H)에 접하는 밀착커버(5)[0011]
와 조절손잡이(7)가 설치되어 밀착커버(5)에 결합 설치되는 조절편(6)의 구성을 적극 개량한 것으로서,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임 조절장치(4)의 밀착커버(5)가 갖는 구성은 평면상으로 볼 때 호형으로 형성되어 가
운데 상하로 각각 한 쌍의 결합돌기(51)가 외향되게 형성되며, 조임 조절장치(4)의 조절편(6)이 갖는 구성은
밀착커버(5)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평면상으로 볼 때 호형으로 형성되어 가운데 상하 내측으로 밀착커버
(5)의 결합돌기(51)가 강제 끼움되어 결합 고정되도록 결합돌기(51)에 대응되는 결합홈(61)이 내향되게 형성
되며, 이때 상기 밀착커버(5)의 양측으로는 조절편(6)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밀착커버(5)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조절편(6)의 양측과 분리가 이루어져 안전모(1)의 본체(2) 내부로 휘어지게 텐션을 갖는 날개부(9)가 각각 일
체로 구성되며, 도 3에서와 같이 조절편(6)에 설치되는 조절손잡이(7)를 회동 조작하여 머리받침밴드(3)를 두
부에 밀착되도록 할 시 머리받침밴드(3)가 조이면서 양측의 날개부(9)를 조절편(6)에서 분리되어 전방으로 휘
어지도록 하여 도 3의 하부도면에서와 같이 밀착커버(5) 전면 전체가 후두부(H)에 완전하게 밀착되며, 반대로
조임 조절장치(4)의 조절편(6)에 설치된 조절손잡이(7)를 반대로 회동 조작하여 머리받침밴드(3)가 두부에서
느슨하게 풀어지도록 하면 밀착커버(5)가 갖는 재질상의 텐션에 의해서 양측의 날개부(9)가 조절편(6) 쪽으로
펴지면서 도 3의 상부도면에서와 같이 밀착커버(5)의 날개부(9)가 후두부(H)에서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밀착커버(5)의 양측 날개부(9)의 전면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각각 세로로 수개의 골(91)이 형성되[0012]
어 조절편(6)에 설치된 조절손잡이(7)의 회동 조작에 의해서 머리받침밴드(3)를 두부에 밀착되게 할 시 양측
날개부(9)가 전면으로 보다 원활하게 휘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골(91)의 단면형상은 반원형, 삼각형 및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전방이 개방되고 세로로 길게 형성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도
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부호의 설명
1:안전모 2:본체[0013]
3:머리받침밴드 4:조임 조절장치
5:밀착커버 51:결합돌기
등록특허 10-1150518
- 4 -
6:조절편 61:결합홈
6a:관통공 7:조절손잡이
8:회동축 9:날개부
91:골 H:후두부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150518
- 5 -
도면2
등록특허 10-1150518
- 6 -
도면3
등록특허 10-1150518
- 7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150518
- 8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