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07월31일
(11) 등록번호 10-1292474
(24) 등록일자 2013년07월2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62C 2/06 (2006.01) E06B 9/08 (2006.01)
E06B 5/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110872
(22) 출원일자 2010년11월09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11월09일
(65) 공개번호 10-2012-0049558
(43) 공개일자 2012년05월1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70109037 A*
KR200366078 Y1*
KR1020080109160 A
KR1020090090714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장종복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서로1길 30-6 (개봉동)
(72) 발명자
장종복
서울특별시 구로구 경서로1길 30-6 (개봉동)
(74) 대리인
이만재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정선웅
(54) 발명의 명칭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
(57) 요 약
본 발명은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 전후로 간격을 유지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킨 차열시트(20)와, 상기 차열시트(20)의 내부공간에 충진하는 차열체(10)와, 상기 차열체(10)가 충진된
차열시트(20)에 개구부를 형성하되 개구부의 절단면에 걸림겹침턱(121)을 형성한 탈출구(110)와, 상기 탈출구
(110)의 상부에 결합하여 끼워지게 형성하는 비상탈출문(120)과, 상기 차열체(10)가 충진된 차열시트(20)의 하단
에 결합하는 하부바(130), 및 상기 하부바(130)에 결합하여 비상탈출문(120)을 지지하는 안전블록(140)으로 구성
하므로, 스크린 타입의 차열방화셔터를 제공하되 비상탈출문의 개폐를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결합상태를 중첩시
켜 완벽하게 차단상태를 유지하므로 화염이나 고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292474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전후로 간격을 유지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킨 차열시트(20)와, 상기 차열시트(20)의 내부공간에 충진하는 차
열체(10)와, 상기 차열체(10)가 충진된 차열시트(20)에 개구부를 형성한 탈출구(110), 및 상기 탈출구(110)의
상부에 결합하여 끼워지게 형성하는 비상탈출문(120)으로 형성한 차열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110)의 절단면과 비상탈출문(120)의 테두리에 상호 일치하는 경사겹침면(112,122)으로 형성되어 자
유 상태에서 비상탈출문(120)을 탈출구(110)로 정확하게 유도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사겹침면
(112,122)에 상호 대향되는 걸림겹침턱(111,121)을 각각 형성하여 중첩되어 겹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체(10)가 충진된 차열시트(20)의 하단에는 하부바(130)를 결합하고 하부바(130)에 비상탈출문(120)을
지지하는 안전블록(140)을 구비하되, 안전블록(140)은 하부바(130)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지지프레임(145)을 형
성하고 지지프레임(145)에 안전프레임(143)을 핀축으로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며 안전프레임(143)의 내면에 스프
링으로 탄력설치한 안전편(141)을 바이메탈(142)로 자제시키되, 지지프레임(145)과 안전프레임(143)은 상하로
대응되는 지지공(146)과 걸림돌기(144)를 각각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
린형 차열방화셔터.
청구항 3
삭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열스크린의 차열 효과를[0001]
극대화하여 차열방화셔터 뿐 아니라 차열방화벽 또는 차열방화문 등에 다양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
되 비상탈출문의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완벽하게 차열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
열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방화셔터나[0002]
방화문 방화벽 등 다양한 내화구조물이 설치된다.
이러한 내화구조물의 경우, 현재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건축용 자재는 스틸 플레이트로 만들어진 것[0003]
이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제품은 스틸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만큼 화염과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는 있으
나, 차열성능이 부족하고, 가공이 어려우며, 다양한 종류의 마감이 불가능하여 외관의 형태에 제한이 있다.
이에 따라 재료의 다양한 조성 변화를 통해 여러 종류의 건축용 마감 및 내장 재료가 갖추어야 할 필요·충분조[0004]
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므로 그 사용에 제한을 받는 등 단편적인 특성만을 가진 자재로서 현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방화셔터는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0005]
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번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방화셔터에 화재공
간이나 방화 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제한 사용되는 비상탈출문을 구비하고
있다.
등록특허 10-1292474
- 2 -
현행 건축법과 소방법에는 건축물 내부에 사용되는 마감 및 내장 재료는 불연·준불연·난연 재료를 사용하도록[0006]
규제하고 있으며, 화재 확산방지와 인명보호를 위해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은 방화구획을 하도록 하고, 방화벽이
나 방화문 또는 방화셔터 등을 설치하도록 하여 화재 구역을 차단하고 적정시간을 시간을 견딜 수 있는 자재를
사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는 화재에 대한 대비로 화염의 확산방지와 연소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인명과 재산의 안전을 확보하기[0007]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현재에도 불연·준불연·난연성의 성능을 가진 건축용 마감 및 내장 재료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0008]
있으나, 우수한 성능을 가진 제품이 매우 적은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내화구조물은 화재로 발생하는 고열의 차단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화재의 발생[0009]
의 인접지역으로 고열이 전파되어 고열을 확산시킴으로써, 화재진압 등을 위한 재진입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
니라 고열의 전도로 화재가 확산 및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내화구조물 등은 대부분 금속으로 형성되어 열전도율이 높고 가공성이 나빠 다양한 내화구조물[0010]
에 적용하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방화문이나 방화셔터 등에서 발생되어졌던 차열성[0011]
능의 부족, 다양한 마감재의 적용이 불가능한 점 등의 단점들을 보강 및 개선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어 왔다.
더욱이 이러한 방화셔터 등에 비상탈출문을 형성하는 경우 각종 부재들의 결합과 절개면의 불일치로 화염이나[0012]
고열을 완벽하게 차단하여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스크린 타입의 차열방화셔터에 비상탈출문을 형성하되 비상탈출문의 개폐를 원활하[0013]
게 함과 동시에 결합상태를 중첩시켜 완벽하게 차단상태를 유지하므로 화염이나 고열은 물론 유독가스마저도 효
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는 전후로 간격을 유지하[0014]
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킨 차열시트와, 상기 차열시트의 내부공간에 충진하는 차열체와, 상기 차열체가 충진된
차열시트에 개구부를 형성하되 개구부의 절단면에 걸림겹침턱을 형성한 탈출구와, 상기 탈출구의 상부에 결합하
여 끼워지게 형성하는 비상탈출문과, 상기 차열체가 충진된 차열시트의 하단에 결합하는 하부바, 및 상기 하부
바에 결합하여 비상탈출문을 지지하는 안전블록으로 구성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이러한 본 발명의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여 차열방화셔터가 작동하게 되[0015]
면 화재지역 내에 위치한 사람들은 차열방화셔터에 형성된 탈출구의 비상탈출문을 밀어내고 안전지역으로 대피
하도록 하는 것으로, 화재지역의 사람들이 비상탈출문을 밀어낸 후 비상탈출문이 하중에 의해 다시 원위치하여
닫히게 되는데 이때 탈출구의 절단면과 비상탈출문의 테두리에 상호 일치하는 경사겹침면이 형성되어 자유 상태
에서 비상탈출문을 정확하게 유도하여 탈출구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사겹침면에 상호 대향되는 걸
림겹침턱을 각각 형성하여 중첩되어 겹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출구와 비상탈출문 사이의 틈새로 화염은 물론
고열조차도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인 바, 비상탈출문의 개폐를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결합상태를 중첩시
켜 완벽하게 차단상태를 유지하므로 화염이나 고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독가스마
등록특허 10-1292474
- 3 -
저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를 나타낸 정면도.[0016]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의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
a) 도는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b) 도는 안전차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c) 도는 해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0017]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1)는 전후로 간격[0018]
을 유지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시킨 차열시트(20)와, 상기 차열시트(20)의 내부공간에 충진하는 차열체(10)와,
상기 차열체(10)가 충진된 차열시트(20)에 개구부를 형성하되 개구부의 절단면에 걸림겹침턱(121)을 형성한 탈
출구(110)와, 상기 탈출구(110)의 상부에 결합하여 끼워지게 형성하는 비상탈출문(120)과, 상기 차열체(10)가
충진된 차열시트(20)의 하단에 결합하는 하부바(130), 및 상기 하부바(130)에 결합하여 비상탈출문(120)을 지지
하는 안전블록(140)으로 구성한다.
상기 차열체(10)와 차열시트(20)는 그 소재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내화·불연·난연·단열재료[0019]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탈출구(110)는 소정위치를 절개하여 형성하되 절단면에 차열시트(20)를 형성하여 차열체(10)가 노출되는[0020]
것을 방지하되 절단면의 경사겹침면(112)으로 형성하고 경사겹침면(112)의 중앙부분에 걸림겹침턱(111)을 형성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상탈출문(120)은 상부에 결합편(123)을 형성하여 탈출구(110)의 상측에 부착하되 비상탈출문(120)이 자[0021]
유 상태에서 하중에 의해 탈출구(110)에 삽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비상탈출문(120)의 테두리는 탈출구(110)의 절단면에 일치하도록 경사겹침면(122)을 형성하고 경사겹침[0022]
면(122)의 중앙부분에 걸림겹침턱(121)을 형성하여 탈출구(110)와 비상탈출문(120)의 걸림겹침턱(121)이 상호
겹쳐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비상탈출문(120)의 하단에는 지지프레임 등을 내장하거나 결합하여 형성할 수 도 있다.[0023]
상기 하부바(130)는 차열방화셔터(1)의 하부에 부착하되 내부에 차열체(10)를 충진함이 바람직하다.[0024]
상기 안전블록(140)은 차열방화셔터(1)의 하부에 결합하되 하부바(130)에 결합함이 이상적이다.[0025]
여기서 안전블록(140)은 안전편(141)을 구비하여 화재발생으로 고열이 근접하면 안전편(141)이 동작하여 비상탈[0026]
출문(120)의 하단에 걸림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나아가 안전블록(140)은 하부바(130)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지지프레임(145)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145)에 안[0027]
전프레임(143)을 핀축으로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며, 안전프레임(143)의 내면에 스프링으로 탄력설치한 안전편
(141)을 바이메탈(142)로 자제시킴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지지프레임(145)과 안전프레임(143)은 상하로 대응되는 지지공(146)과 걸림돌기(144)를 각각 형성한다.[0028]
이러한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여 차열방화셔터(1)가 작동하게 되면 내부에 차열체(10)를 충진한 차열시트(2[0029]
등록특허 10-1292474
- 4 -
0)가 하부로 내려와 화재지역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화재지역 내에 위치한 사람들은 차열방화셔터(1)에 형성된 탈출구(110)의 비상탈출문(120)을 밀어내고[0030]
안전지역으로 대피하게 된다.
이때 화재지역의 사람들이 비상탈출문(120)을 밀어낸 후 에는 비상탈출문이 하중에 의해 다시 원위치하여 닫히[0031]
게 된다.
특히 탈출구(110)의 절단면과 비상탈출문(120)의 테두리에는 상호 일치하는 경사겹침면(112,122)을 각각 형성하[0032]
므로 자유 상태의 비상탈출문(120)을 탈출구(110)로 정확하게 유도하여 끼워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경사겹침
면(112,122)에 상호 대향되는 걸림겹침턱(111,121)을 각각 형성하여 중첩되어 겹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탈출구
(110)와 비상탈출문(120) 사이의 틈새로 화염과 고열은 물론 유독가스마저도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더욱이 화염이나 고열이 방화셔터(1)에 근접하는 경우에는 안전장치(140)가 동작하여 비상탈출문(120)을 견고하[0033]
게 지지하게 된다.
즉, 화재가 근접하여 고열이 가해지면 바이메탈(142)의 일방향으로 휘어져 안전편(141)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게[0034]
되므로 안전편(141)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하여 비상탈출문(120)의 하단에 등에 견고하게 걸리
게 된다.
따라서 화재로 인한 고열과 풍압에서도 화재지역의 차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0035]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 진압 등의 상황에 따라 소방관 등이 진입하고자 하는 경우 발로 차는 등의 일정 이상의[0036]
힘을 가하면 상기 안전프레임(143)의 걸림돌기(144)가 지지프레임(145)의 지지공(146)에서 빠져나오게 되고 이
로 인하여 핀축을 중심으로 안전프레임(143)이 회전됨으로써 비상탈출문(120)이 열리게 되어 화재지역으로 진입
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 방화셔터 10 : 차열체[0037]
20 : 차열시트 110 : 탈출구
111 : 걸림겹침턱 112 : 경사겹침면
120 : 비상탈출문 121 : 걸림겹침턱
122 : 경사겹침면 123 : 결합편
130 : 하부바 140 : 안전블록
141 : 안전편 142 : 바이메탈
143 : 안전프레임 144 : 걸림돌기
145 : 지지프레임 146 : 지지공
등록특허 10-1292474
- 5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292474
- 6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292474
- 7 -
도면4
등록특허 10-1292474
- 8 -
도면5
등록특허 10-1292474
- 9 -
도면6
등록특허 10-1292474
- 10 -
비상탈출문이 구비된 스크린형 차열방화셔터(Screen type fireproof shutter insulating heat with emergency escape door)
2018. 3. 26. 2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