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07월06일
(11) 등록번호 10-1754945
(24) 등록일자 2017년06월30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65G 1/04 (2006.01) B65G 17/06 (2006.01)
B65G 17/30 (2006.01) B65G 17/38 (2014.01)
B65G 17/42 (2006.01) B65G 37/00 (2014.01)
B65G 47/52 (2014.01) B66B 9/16 (2006.01)
(52) CPC특허분류
B65G 1/04 (2013.01)
B65G 17/067 (2013.01)
(21) 출원번호 10-2016-0106934
(22) 출원일자 2016년08월23일
심사청구일자 2016년08월23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3216086 B2*
(뒷면에 계속)
(73) 특허권자
김남국
경기 평택시 안중읍 안현로서9길 164-20, 105동
1003호 (화현마을우림필유)
김기영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작은말길 16 (대부남동)
(72) 발명자
김남국
경기 평택시 안중읍 안현로서9길 164-20, 105동
1003호 (화현마을우림필유)
김기영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작은말길 16 (대부남동)
(74) 대리인
최영민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백진욱
(54) 발명의 명칭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
(57) 요 약
본 발명은 물품창고나 물류창고에서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Pallet)를 연속적으로 이송
시키기 위한 자동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컨베이어 장치와 리프트 장치를 결합하여 자동 반송장치를 구성
하는 동시에 리프트 카 내부에도 컨베이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물품을 여러 층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적재 및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5
등록특허 10-1754945
- 1 -
하역할 수 있고,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도 컨베이어 유닛 사이에 끼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Pallet)를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물품창고나 물류창고에 연속
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수평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
어 장치(10)와, 건물 벽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장치(10)를 통해 이송된 팔레트를 여러 층에 적재하
기 위해 상하로 승강하는 리프트 장치(20)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장치(20)의 리프트 카(Lift Car) 내부에도
컨베이어 장치(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52) CPC특허분류
B65G 17/30 (2013.01)
B65G 17/38 (2013.01)
B65G 17/42 (2013.01)
B65G 37/00 (2013.01)
B65G 47/52 (2013.01)
B66B 9/16 (2013.01)
B65G 2201/0267 (2013.01)
B65G 2207/40 (2013.01)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3595467 B2*
JP2010509158 A*
KR1020050029138 A*
KR101371447 B1*
JP2013512833 A*
JP2009107764 A*
JP5199832 B2*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등록특허 10-1754945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프레임(11)의 양쪽에 구비된 컨베이어 체인(30)에 양 측면이 조립되는 다수의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
어,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를 수평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10)와,
건물 벽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장치(10)를 통해 이송된 목재 팔레트를 여러 층에 적재하기 위해
상하로 승강하는 리프트 장치(20)와,
상기 리프트 장치(20)의 리프트 카(Lift Car) 내부에 구비되는 컨베이어 장치(1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물품창고나 물류창고에서 작업차량 및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 (Pallet)를 연속적
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체인(30)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과 조립되는 내측 연결링크(31)와, 상기 내측 연결링크(31)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연결링
크(32)와, 상기 내측 연결링크(31)와 외측 연결링크(32)를 연결하는 연결핀(3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10)는,
작업차량에 의해 팔레트를 올려놓기 위한 맨 처음의 컨베이어 장치(10a)와,
상기 맨 처음의 컨베이어 장치(10a)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별도의 컨베이어 장치(10b))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컨베이어 장치(10a)(10b) 사이의 공간부에, 팔레트의 이송 중 그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제1 지지부재(40)가 구비되며,
상기 리프트 장치(20)의 전면에 방화문(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방화문(50)의 전방 및 후방에, 팔레트가 리프트 카 내부로 진입할 때 그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지지부재(9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리프트 장치(20)의 전방 및 리프트 카 내부 안쪽에, 팔레트의 이송을 감지하는 센서(9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 장치(10)의 양 측면에 안전 펜스(60)가 구비되며,
작업차량에 의해 팔레트를 올려놓기 위한 맨 앞의 컨베이어 장치(10a)의 전면에, 작업차량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7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체인(30)과 조립되는 제1 평면부(14a)와,
상기 제1 평면부(14a)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14b)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면부(14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 평면부(14a)와 제2
등록특허 10-1754945
- 3 -
평면부(14c)가 서로 겹쳐지도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한 변이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서 컨베이어 체인(3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양 측면에
경사부(16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
청구항 7
삭제
청구항 8
삭제
청구항 9
삭제
청구항 10
삭제
청구항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40)는, 단면이 반원 형상인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
청구항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재(40)는, 양 측부가 라운딩처리된 직사각형 금속 판재 2개가 수평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이 적재된 목재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
청구항 13
삭제
청구항 14
삭제
청구항 15
삭제
청구항 16
삭제
발명의 설명
등록특허 10-1754945
- 4 -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각종 물품의 보관창고나 물류창고 등에서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이송시키는 자동 반송 시스템에 관[0001]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장치와 리프트 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결합하는 동시에, 리프트 카
내부에도 컨베이어 장치를 설치하여 팔레트를 신속하게 여러 층으로 이송시킬 수 있고, 컨베이어 벨트를 슬랫
(Slat) 타입으로 형성하여 그 틈새를 최소화함으로써 이송 중 팔레트가 컨베이어 벨트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도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
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의 보관창고나 물류 창고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 박스(200)가 적재된 팔[0002]
레트(Pallet)(100)의 하부를 지게차 등의 작업차량으로 들어올려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고 있다.
상기한 팔레트(100)는 일정한 규격으로 제조되며, 그 종류로는, 스틸 팔레트, 플라스틱 팔레트, 목재 팔레트 등[0003]
이 있다.
상기 스틸 팔레트는, 견고하여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으나, 무게가 무겁고 제조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0004]
다.
또한 플라스틱 팔레트는, 무게가 가벼워 운반이 편리하며 수명이 비교적 길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고가라[0005]
는 단점이 있다.
상기 목재 팔레트는, 제조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각종 물품의 운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0006]
특히 외국에서 수입되는 물품은 거의 모두 목재 팔레트에 적재되어 수입되고 있고, 이는 물품을 수출하는 경우[0007]
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런데 상기한 목재 팔레트는,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로 상기 목[0008]
재 팔레트(100)를 들어올리거나 하역할 때 그 하부의 보강 부재가 파손되거나 떨어져 나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외국에서 물품을 수입하거나 수출하는 경우, 물품의 선적, 하역 작업을 거치면서 목재 팔레트의 하부가[0009]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수입된 물품을 운반차량에서 하역하여 물품창고나 물류창고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0010]
이, 롤러 컨베이어(400)를 이용하여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이송시키고 있다.
상기 롤러 컨베이어 (400)는, 다수의 원통형 롤러(400a)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구동장치(400b)에 의해[0011]
상기 롤러(400a)들을 회전시킴으로써 팔레트가 이송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 컨베어어(400)는, 상기 원통형 롤러(400a)를 촘촘히 배치한다 하여도 상기 롤러(400a)들[0012]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
만일 스틸 팔레트나 플라스틱 팔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하면이 편평한 구조이고 잘 파손되지 않으므로,[0013]
롤러 컨베어어(400)의 롤러(400b)들 사이에 공간이 있어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목재 팔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가 편평하지 않고 불규칙한 형상[0014]
으로 되어 있으므로, 팔레트의 하부 일단이 롤러(400a) 사이에 끼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목재 팔레트는 물품의 선적, 하역 작업을 거치면서 하부의 보강 부재가 파손되기 쉬운데, 이렇게 하부가[0015]
파손된 목재 팔레트가 상기 롤러(400a) 사이를 통과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가 전도될 가
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롤러(400b) 사이에 목재 팔레트가 끼거나 전도될 경우에는, 컨베이어 장치의 작동을 중단하여야 하므로[0016]
물품의 하역작업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물품의 하역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0017]
장치(A)와 그 다음의 롤러 컨베이어 장치(B)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한 후, 이를 각각 구동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는 맨 앞에 배치된 롤러 컨베이어 장치(A)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지게차로 팔레트를 올려놓을 때, 다른 롤러[0018]
등록특허 10-1754945
- 5 -
컨베이어 장치(B)는 계속 구동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컨베이어 장치를 여러 대로 구성하게 되면, 각 컨베이어 장치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된다,[0019]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가 맨 앞 롤러 컨베이어 장치(A)와 그 다음 배치된[0020]
롤러 컨베이어 장치(B)의 공간부를 통과할 때, 목재 팔레트(100)가 기울어지거나 전도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
다. .
특히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의 경우에는, 팔레트가 기울어지거나 전도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0021]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편형한 플라스틱 팔레트(300)의 상부에 파손[0022]
된 목재 팔레트(100)를 올려놓고, 이를 롤러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이송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플라스틱 팔레트(300)를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플라[0023]
스틱 팔레트(300)를 보관하기 위한 장소가 추가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라스틱 팔레트(300)의 적재 및 하역에 따르는 작업시간이 추가로 소요되고, 작업시간 단축을 위해 플라[0024]
스틱 팔레트(300)의 적재 및 하역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매거진(Magazine) 및 디스펜서
(Dispenser)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베이어 장치와 리프트 장치를 결합하여 자동[0025]
반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동시에, 리프트 카 내부에도 컨베이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물품을 여러 층에 신속하
고 용이하게 이송 및반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 벨트를 슬랫 타입으로 구성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유닛 사이의 틈[0026]
새를 최소화함으로써,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도 컨베이어 유닛 사이에 끼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인접하는 컨베이어 장치 사이의 공간에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물품이 적재[0027]
된 팔레트가 컨베이어 장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때 팔레트가 기울어져 물품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
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방화문의 전후에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하부가 파손[0028]
된 목재 팔레트도 리프트 카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를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별도의 플라스틱 팔레트를[0029]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고 내부에 별도의 플라스틱 팔레트를 적재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창고 공간의 활[0030]
용도를 증대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손된 목재 팔레트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별도의 플라스틱 팔레트를 구매할 필요가[0031]
없도록 하고, 플라스틱 팔레트의 적재 및 하역을 위한 별도의 매거진 및 디스펜서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창고나 물류창고에서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물품이 적재된[0032]
팔레트(Pallet)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자동 반송 시스템에 있어서,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수평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와, 건물 벽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 장치를 통해 이송된 팔레트를
여러 층에 적재하기 위해 상하로 승강하는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 장치의 리프트 카 내부에도 컨
베이어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프레임의 양쪽에 구비된 컨베이어 체인에 양 측면이 조립되는 다수의 컨베이어 유[0033]
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 카 내부의 컨베이어 장치도, 프레임의 양쪽에 구비된 컨베이어 체인에 양
측면이 조립되는 다수의 컨베이어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 10-1754945
- 6 -
또한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다수의 판상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상부재는, 일측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부[0034]
와, 수평 이동시에 인접하는 컨베이어 유닛의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돌출부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다수
의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체인과 조립되는 제1 평면부와, 상기 제1 평면부로부터 상방향을 향[0035]
해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한 변이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서 컨베이어 체인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양 측면에[0036]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37]
또한 상기 컨베이어 유닛은, 양쪽 단부가 컨베이어 체인과 각각 조립되고, 상기 컨베이어 체인은, 프레임의 양[0038]
쪽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스프로켓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스프로켓 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체인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과 조립되는 내측 연결링크와, 상기 내측 연결링크의 외측에 구[0039]
비되는 외측 연결링크와, 상기 내측 연결링크와 외측 연결링크를 연결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장치는, 작업차량에 의해 팔레트를 올려놓기 위한 맨 앞의 컨베이어 장치와, 상기 컨베이어[0040]
장치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컨베이어 장치가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컨베이
어 장치 사이의 공간부에, 팔레트의 이송 중에 그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제1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아이들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41]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단면이 반원 형상인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42]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직사각형 금속 판재의 양 측부가 라운딩 처리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43]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는, 2개가 나란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44]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의 전면에 방화문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방화문의 전방 및 후방에, 팔레트가 리프트 카 내[0045]
부로 진입할 때 그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의 전방에, 팔레트의 이송을 감지하는 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46]
또한 상기 컨베이어 장치의 양 측면에 안전 펜스가 구비되고, 작업차량에 의해 팔레트를 올려놓기 위한 맨 앞의[0047]
컨베이어 장치의 전면에, 작업차량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 장치와 리프트 장치를 결합하여 자동 반송 시스템을 구성함과 동시에, 리프트 카[0048]
내부에도 컨베이어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여러 층에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를 슬랫 타입으로 구성하여 그 틈새를 최소화함으로써,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가 용이하게 이[0049]
송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도 컨베이어 유닛 사이에 끼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어 각기 구동되는 컨베이어 장치의 공간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팔레트가 각[0050]
컨베이어 장치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때 팔레트가 기울어져 물품이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또한 리프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방화문의 전후에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가 용이하게[0051]
리프트 카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도 리프트 카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를 원활하게 이송시키기 위해 별도의 플라스틱 팔레트를 구매할 필요가 없으므[0052]
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등록특허 10-1754945
- 7 -
또한 창고 내부에 별도의 플라스틱 팔레트를 적재할 필요가 없으므로, 창고 공간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0053]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 팔레트의 적재 및 하역을 위한 별도[0054]
의 매거진 및 디스펜서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는 팔레트에 물품박스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0055]
도 1b는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물품을 이송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 장치에서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가 롤러 사이에 끼거나 기울어지는
상황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라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를 플라스틱 팔레트를 사용하여 이송시키는 상황을 개략적
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반송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반송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지지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지지부재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제1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0056]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창고나[0057]
물류창고에서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Pallet)를 연속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수평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장치(10a)(10b)와, 건물 벽체(W)의 일측에 구비되
어 상기 컨베이어 장치(10a)(10b)를 통해 이송된 팔레트를 여러 층에 적재하기 위해 상하로 승강하는 리프트 장
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프트 장치(20)의 리프트 카(Lift Car) 내부에도 컨베이어 장치(10c)가 구비된다.[0058]
도 5는 편의상 상기 리프트 장치(20)를 2층까지만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리프트 장치는, 리프트 카와, 로프에[0059]
의해 상기 리프트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도시 생략)와, 상기 권상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도시 생
략)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 장치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006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의 양쪽에 구비된 컨베이[0061]
어 체인(30)에 양 측면이 조립되는 다수의 컨베이어 유닛(12,14,16,1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프트 카
내부의 컨베이어 장치(10c)도, 프레임(11)의 양쪽에 구비된 컨베이어 체인(30)에 양 측면이 조립되는 다수의 컨
베이어 유닛(12,14,16,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등록특허 10-1754945
- 8 -
상기한 구조에 의해,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여러 층에 연속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물품의 적재[0062]
및 반출에 따르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유닛(12, 14,16,18))은 다수의 판상 부재로 형성된다.[0063]
상기 컨베이어 유닛(1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부(12a)와, 수평 이동시[0064]
에 인접하는 컨베이어 유닛(10)의 돌출부(12a)가 끼워지도록 상기 돌출부(12a)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다수의 절
개부(1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유닛(14)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체인(30)과 조립되는 제1 평면부(14a)와,[0065]
상기 제1 평면부(14a)로부터 상방향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14b)와, 상기 절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평면부(14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유닛(16)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변이 개방된 채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0066]
이때 프레임(11)의 양쪽에 구비되는 컨베이어 체인(3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유닛(16)의 양[0067]
측면에는 경사부(16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유닛(18)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질[0068]
수도 있다.
상기한 컨베이어 유닛(12,14,16,18) 구조에 의하면, 각 컨베이어 유닛 간의 틈새가 최소화되므로, 팔레트의 이[0069]
송시 팔레트의 하부가 컨베이어 유닛의 틈새에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고, 이송 중 팔레트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0070]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은, 도 8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단부가 컨베이어 체인(30)과[0071]
각각 조립되고, 상기 컨베이어 체인(30)은, 프레임(11)의 양쪽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스프로켓 기어(35) 사이
에 조립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체인(3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유닛(12)과 조립되는 내측 연결링크(31)[0072]
와, 상기 내측 연결링크(31)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 연결링크(32)와, 상기 내측 연결링크(31)와 외측 연결링크
(32)를 연결하는 연결핀(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구동장치(도시 생략)에 의해 스프로켓 기어(35)를 구동시켜 이와 조립된 컨베이어 체인[0073]
(30)을 구동시킬 수 있고, 상기 컨베이어 체인(35)과 조립된 컨베이어 유닛(12)을 구동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유닛(12)에 안착된 팔레트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킬 수가 있다. [007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차량에 의해 팔레트를 올려놓[0075]
기 위한 맨 처음의 컨베이어 장치(10a)와, 그 다음의 컨베이어 장치(10b))를 구분하여 서로 이격시켜 배치한
후, 이를 각각 구동시킨다.
만일 상기 컨베이어 장치를 위와 같이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장치로 구성하게 되면, 물품을 컨베이어 장치에 올[0076]
려놓을 때 컨베이어 장치 전체의 구동을 중단하여야 한다.
또한 물품이 이송되는 동안에는 컨베이어에 다음 팔레트를 올려놓을 수가 없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0077]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을 올려놓는 맨 처음의 컨베이어 장치(10a)와, 그 다음의[0078]
컨베이어 장치(10b)를 구분하여 설치하고, 이를 각각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팔레트를 올려놓는 맨 처음의 컨베이어 장치(10a)의 길이는 팔레트의 길이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0079]
그 다음의 컨베이어 장치(10b)의 길이는 현장 여건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정한다.
도 5 내지 7에는, 작업차량에 의해 팔레트를 올려놓는 컨베이어 장치, 중간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 리프트 카[0080]
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중간의 이송용 컨베이어 장치는 그 길이를 가감할 수
있고, 그 개수도 현장상황에 따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팔레트를 올려놓은 맨 처음의 컨베이어 장치(10a), 그 다음의 컨베이어 장치(10b), 리프[0081]
트 카 내부에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10c)를 각각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상황에 맞추어 컨베이어 장치를
등록특허 10-1754945
- 9 -
연속적으로 구동시킬 수가 있다.
즉, 작업차량에 의해 팔레트를 맨 처음의 컨베이어 장치(10a)에 올려놓기 위해 맨 처음 컨베이어 장치(10a)의[0082]
구동을 중단하는 경우에도, 그 다음 컨베이어 장치(10b) 및 리프트 카 내부의 컨베이어 장치(10c)는 계속 작동
시켜 물품을 이송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각 컨베이어 장치를 개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해 이를 서로 이격시켜 배치하게 되면, 각 컨베이[0083]
어 장치(10a)(10b) 사이에 공간부가 생기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장치가 원형의 스프로켓 기어(35)에 의해 구동되므로, 서로 인접하는[0084]
컨베이어 장치(10a)(10b)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이송에 지장을 주게 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컨베이어 장치(10a)(10b) 사이의 공간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0085]
트의 이송 중 그 하부를 지지하도록 하는 제1 지지부재(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부재(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0086]
이, 단면이 반원 형상인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금속 판재로 이
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지재부재(40)가 직사각형 금속 판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양 측부는 팔레트의 이송이 용이하도록 라운[0087]
딩 처리하고, 2개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팔레트의 이송 중 이를 지지할 수 있고 팔레트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할[0088]
수 있으면, 어느 형상의 부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제1 지지부재(40)에 의해 팔레트가 기울어지지 않고 그 다음의 컨베이어 장치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0089]
다.
이에 따라 팔레트의 이송 중 물품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도 원활하[0090]
게 수평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장치(20)의 전면에 방화문(50)이 더 구비된다. [0091]
상기 방화문(50)은,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하강하여 화염이 다른 층으로 확산되는 것을[0092]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리프트 장치(20)의 전면에 상기 방화문(50)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방화문(50)이 바닥까지 내려오도록[0093]
하기 위해, 상기 리프트 카와 컨베이어 장치의 단부 간에 일정 공간을 유지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가 리프트 카 내부로 진입할 때, 상기 공간부에서 팔레트가 기울어지는 현상이[0094]
발생하게 된다.
특히,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의 경우에는, 상기 공간부에서 팔레트가 기울어져 전도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0095]
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화문(50)의 전방 및 후방에, 팔레트(100)가[0096]
리프트 카 내부로 진입할 때 그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지지부재(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부재(90)는, 상면이 곡선으로 형성된 판상 부재로 형성되거나 양 측부가 라운딩 처리된[0097]
판상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2 지지부재(90)에 의해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가 리프트 카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고,[0098]
특히,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도 리프트 카 내부로 원활하게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 장치(20)의 전방 및 리프트 카의 내부 안쪽에 팔레트[0099]
(100)의 이송을 감지하는 센서(9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센서(92)에 의해 팔레트가 리프트 장치(20)의 전방에 접근하였음을 인식하여 리프트 카의 도어가 자동으로[0100]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리프트 장치를 작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장치(10)의 양 측면에 안전 펜스(60)가 구비[0101]
된다.
등록특허 10-1754945
- 10 -
상기 안전 펜스(60)에 의해 컨베이어 장치의 구동 중에 작업자가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가 있다.[0102]
또한 본 발명은, 작업차량에 의해 팔레트를 올려놓기 위한 맨 처음의 컨베이어 장치(10a)의 전면에, 작업차량의[0103]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70)가 더 구비된다.
지게차의 등의 작업차량으로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들어올리게 되면, 물품이 지게차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게[0104]
되므로, 운전자 혼자서 물품을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키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물품의 하역 작업 도중 작업차량이 컨베이어 장치를 파손시킬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0105]
상기 스톱퍼(70)에 의하면, 지게차가 컨베이어 장치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하역 작업 중 컨베이[0106]
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컨베이어 장치의 일측에는, 상기 컨베이어 장치 및 리프트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80)이 구비[0107]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의 자동 반송 시스템에 의해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적재 및 반출하는 과정을 도 5[0108]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게차를 사용하여 운반차량으로부터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하역한 후, 이를 맨 처음에 위치한 컨베이어[0109]
장치(10a)에 올려놓는다.
이어서 컨트롤 패널(80)을 조작하여 컨베이어 장치(10a)(10b)를 왼쪽 방향으로 구동시키면, 물품이 적재된 팔레[0110]
트(100)가 건물 벽체(W)에 구비된 리프트 장치(20) 쪽으로 이송된다.
상기 팔레트(100)가 리프트 장치(20)에 근접하게 되면 센서(92)가 이를 감지하여 리프트 카 도어를 자동으로 개[0111]
방하고, 리프트 카 내부에 구비된 컨베이어 장치(10c)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100)는 리프트 카 내부에 진입하여 안착된다. [0112]
상기 팔레트(100)가 리프트 카 내부로 완전히 진입하면, 리프트 카 안쪽에 구비된 센서(92)가 이를 감지하여 컨[0113]
베이어 장치(10c)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리프트 카의 도어를 닫은 후 필요한 층까지 상승시킨 후, 리프트 카의 도어를 개방하고, 리프트 카 내부[0114]
의 컨베이어 장치(10c) 다른 컨베이어 장치를 오른쪽으로 구동시킨다.
그러면 팔레트(100)는 리프트 장치(200)로부터 외부의 컨베이어 장치로 이송된다.[0115]
팔레트가 맨 오른쪽에 설치된 컨베이어 장치까지 이송하면 컨베이어 장치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지게차를 사용[0116]
하여 팔레트를 필요한 장소에 적재한다.
창고에 적재된 팔레트를 외부로 반출할 때에는 상기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된다.[0117]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 장치와 리프트 장치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결합하여 물품이 적재된 팔레트를 이송시[0118]
킴으로써, 건물의 여러 층에 물품을 신속하게 적재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물품의 하역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가 있다.[0119]
또한 컨베이어 장치를 여러 개로 분리하여 각각 구동함과 동시에, 이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 작업 대기 시간을[0120]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컨베이어 유닛이 슬랫 타입으로 구성되어 그 틈새가 최소화되므로, 팔레트가 컨베이어 유닛 사이의 틈새에[0121]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고, 특히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도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가 있다.
또한 인접하는 컨베이어 장치 사이의 공간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공간부에서 팔레트가 빠지지 않[0122]
고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특히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도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팔레트가 끼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역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0123]
또한 리프트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는 방화문의 전후에도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팔레트가 리프트 카 내부로[0124]
안전하게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하부가 파손된 목재 팔레트가 방화문의 공간부에 빠지지 않고 용이하게 리프트 카 내부로 진입되도록 할[0125]
수 있다.
등록특허 10-1754945
- 11 -
또한 컨베이어 장치의 측면에 설치된 안전펜스 및 스톱퍼에 의해, 컨베이어에 의한 물품 하역작업시 발생하는[0126]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0127]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상기한 목재 팔레트뿐만 아니라 스틸 팔레트, 플라스틱 팔레트 등 다양한 팔레트의 이송에도[0128]
사용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 컨베이어(Conveyor) 장치 11: 프레임(Frame)[0129]
12, 14, 16, 18: 컨베이어 유닛(Conveyor Unit)
12a: 돌출부 12b: 절개부
14a: 제1 평면부 14b: 절곡부
14c: 제2 평면부 20: 리프트(Lift) 장치
30: 컨베이어 체인(Conveyor Chain) 31: 내측 연결링크
31a: 컨베이어 유닛 고정부 32: 외측 연결링크
33: 연결핀 34: 롤러(Roller)
35: 스프로켓 기어(Sprocket Gear) 40: 제1 지지부재
50: 방화문 60: 안전 펜스(Fence)
70: 스톱퍼(Stopper) 80: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90: 제2 지지부재 92: 센서(Sensor)
100: 팔레트(Pallet) 200: 물품 박스
300: 플라스틱 팔레트
400: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
W: 건물 벽체 F: 지게차
등록특허 10-1754945
- 12 -
도면
도면1a
도면1b
등록특허 10-1754945
- 13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754945
- 14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754945
- 15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754945
- 16 -
도면8
도면9
등록특허 10-1754945
- 17 -
도면10
등록특허 10-1754945
- 18 -
도면11
등록특허 10-1754945
- 19 -
도면12
도면13
등록특허 10-1754945
- 20 -
도면14
도면15
등록특허 10-1754945
- 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