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9년05월08일
(11) 등록번호 10-0896016
(24) 등록일자 2009년04월27일
(51) Int. Cl.

B60N 2/48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081302
(22) 출원일자 2008년08월20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08월20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417425 Y1
KR2019980024641 A
KR200217805 Y1
(73) 특허권자
우성테크(주)
인천 부평구 십정동 227-1
(72) 발명자
손인태
인천 부평구 산곡동 307 현대아파트 106동 103호
(74) 대리인
이대선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정성찬
(54)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
(57) 요 약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
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는 상호 맞물리는 래칫기어(21)와 회동스토퍼(70)가 상호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로 연결된 고정블록(20)과 이동블록(50)에 각각 구비되어, 이동블록(50)의 전후진시 래칫기
어(21)와 회동스토퍼(70)가 이동블록(50)의 전후진 거리만큼 상대운동하게 되므로, 래칫기어(21)를 충분히 크게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이동블록(50)에 가해지는 하중이 회동스토퍼(70)에 직접 전달되어 하중이 증폭
되지 않아서, 회동스토퍼(70)와 래칫기어(21)가 쉽게 손상되거나, 래칫기어(21)와 회동스토퍼(70)가 맞물리지 않
게 되는 작동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 표 도 - 도6
- 1 -
등록특허 10-0896016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스테이로드(10)와; 상면에 전후방향의 래칫기어(21)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로드(10)에
장착되는 고정블록(20)과; 하단이 상기 고정블록(20)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 및 제2 연결링
크(30,40)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며 헤드레스트에 결합되는 이동블록(50)과;
상기 제1 또는 제2 연결링크(30,4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가 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리턴스프링(60)과; 지지축(71)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50)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후단부
가 상기 래칫기어(21)에 맞물리도록 된 회동스토퍼(70)와; 상기 회동스토퍼(70)에 연결되어 회동스토퍼(70)의
각도에 따라 회동스토퍼(70)가 하향 또는 상향되도록 탄성가압하는 보조스프링(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
청구항 2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스테이로드(10)와; 상기 스테이로드(10)에 장착되는 고정블록(20)과; 하단이 상기 고정
블록(20)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
(30,4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고 하측면에 전후방향의 래칫기어(21)가 형성되며 헤드레스트에 결합되는 이동블록
(50)과; 상기 제1 또는 제2 연결링크(30,4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가 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리턴스프링(60)과; 지지축(71)에 의해 상기 고정블록(20)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
며 전단부가 상기 래칫기어(21)에 맞물리도록 된 회동스토퍼(70)와; 상기 회동스토퍼(70)에 연결되어 회동스토
퍼(70)의 각도에 따라 회동스토퍼(70)가 하향 또는 상향되도록 탄성가압하는 보조스프링(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
청구항 3
제 1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50)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의 측면에 힌지결합되는 지
지부(51)와, 양단이 상기 지지부(51)에 연결되어 지지부(51)를 상호 고정하는 연결부(52)와, 상기 지지부(51)에
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홀더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53)를 갖도록 금속판을 절곡하
여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
청구항 4
제 1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스토퍼(70)의 측면에 구비된 돌출핀(72)과; 상기 고정블록(20) 또는 이동
블록(50)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핀(72)이 삽입되는 홈캠(91)이 형성된 캠플레이트(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1>
기구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차량용 시트에 구비되어 시트에 앉은 사람의 머리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구성<2>
된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탑승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헤드레스<3>
트 위치조절기구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조절기구는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각도조절
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각도조절하므로써, 헤드
레스트가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모니터 등이 설치됨에 따라,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으로 조절할, 헤<4>
- 2 -
등록특허 10-0896016
드레스트가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평행한 상태로 전후진될 수 있도록 하여, 뒷좌석에 앉은 탑승자가 모니터
를 볼 때 불편하지 않도록 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스테이<5>
로드(110)와; 상면에 전후방향의 래칫기어(121)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로드(110)에 장착되는 고정블록(120)과;
하단이 상기 고정블록(120)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 및 제2 연결링크(130,140)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130,140)의 상단에 양측에 힌지결합되며 헤드레스트에 고정결합되는 한쌍의 이동블록(150)과;
상기 제2 연결링크(140)에 연결되어 제2 연결링크(140)가 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리턴스프링(160)과;
지지축(172)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링크(130)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후단부가 상기 래칫
기어(121)에 맞물리도록 된 회동스토퍼(170)와; 상기 회동스토퍼(170)에 연결되어 회동스토퍼(170)의 각도에 따
라 회동스토퍼(170)가 하향 또는 상향되도록 탄성가압하는 보조스프링(18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블록(120)은 상기 스테이로드(110)의 상면에 용접결합되며, 고정블록(120)의 래칫기어(121) 전<6>
단에는 상기 회동스토퍼(170)의 전진시 회동스토퍼(170)의 후단부가 상측으로 들리도록 유도하는 캠면(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스토퍼(170)의 전단부 하측에는 회동스토퍼(170)가 후퇴될 때 상기 고정블록(120)의
전단에 걸려 회동스토퍼(170)의 후단부가 하강되도록 하는 걸림턱(1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1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을 기역자로 절곡하여 구성된 것으로, 좌우 한<7>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연결링크(130)와 제2 연결링크(140)에 관통결합되는 힌지축(151)에 의해 상호 고정되
며, 상기 힌지축(151)에 의해 상기 제1 연결링크(130)와 제2 연결링크(14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록(120)과 제1 및 제2 연결링크(130,140)와 함께 4절 링크를 구성하여, 이동블록
(150)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130,14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스프링(180)은 일단이 상기 회동스토퍼(170)의 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 연결링크<8>
(130)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스토퍼(170)의 후단부가 상향 또는 하향되도록 탄성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150)이<9>
제1 및 제2 연결링크(130,140)에 지지되어 전진되며, 이때, 상기 회동스토퍼(170)는 상기 보조스프링(180)에 의
해 후단부가 하향되도록 탄성가압된 사태에서 제1 연결링크(130)와 함께 전진되면서 상기 고정블록(120)의 래칫
기어(121) 중에서 점차 전방쪽의 이빨에 맞물려 이동블록(150)과 헤드레스트가 전진된 상태에서 후진되지 않도
록 고정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완전히 전방으로 당겨서, 상기 회동스토퍼<10>
(170)의 후단부가 고정블록(120)의 캠면(122)에 맞닿아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 상기 보조스프링(180)은 회동스
토퍼(170)의 후단부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스토퍼(170)와 래칫기어(121)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턴스프링(160)에 의해 제1 연결링크(130)와 함께
헤드레스트가 후진되어 초기위치로 복귀되며, 이때, 상기 회동스토퍼(170)의 걸림턱(171)이 고정블록(120)의 선
단부에 걸려 회동스토퍼(170)의 후단이 하강되므로써, 회동스토퍼(170)가 상기 래칫기어(121)에 맞물려 헤드레
스트가 더 이상 후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진시키면 헤드레스트가 전진된 상태에서 위치<11>
고정되며,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끝까지 당기면 회동스토퍼(170)와 래칫기어(121)의 결합이 해제되어 리턴스프
링(160)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후진되어 초기상태로 복귀되므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자유롭
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블록(150)은 제1 및 제2 연결링크(130,14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지지되므로, 이동블록(150)<12>
이 전후진될 때, 제1 및 제2 연결링크(130,140)와 고정블록(120)이 함께 4절 링크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동블
록(150)이 상하방향으로 각도 변화되지 않고 전후진되고, 이동블록(150)에 결합된 헤드레스트 역시 기울어짐 없
이 전후진되므로, 헤드레스트의 후면에 구비된 모니터가 기울어지지 않아서 후측의 좌석에 앉은 사람이 모니터
를 보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는 상기 회동스토퍼(170)가 제1 연결링크(130)의 중간부에 지지<13>
축(172)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스토퍼(170)가 헤드레스트에 비해 제1 연결링크(130)의 회동중심점에
근접되게 설치되므로,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미는 힘이 가해질 경우, 지렛대 작용에 의해 상기 회동스토퍼
(170)와 래칫기어(121)의 결합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폭되어, 회동스토퍼(170)를 제1 연결링크(130)에 연결하
는 지지축(172)이나, 회동스토퍼(170) 및 회동스토퍼(170)와 맞물리는 래칫기어(121)가 쉽게 마모 또는 손상될
- 3 -
등록특허 10-0896016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이동블록(150)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1 연결링크(130)를 통해 회동스토퍼
(170)에 전달되므로, 하중이 전달되는 부품의 수가 많아서, 각 부품의 연결부위가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
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가 3~4cm 정도 전후진 될 수 있도록 함<14>
과 동시에, 상기 래칫기어(121)가 3~4단 정도의 단계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회동스토퍼(170)가 제1
연결링크(130)의 중간부에 결합되므로, 헤드레스트가 3~4cm 정도 전후진 되더라도, 회동스토퍼(170)는 대략
1.5cm 정도밖에 전후진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동스토퍼(170)가 전후진되는 1.5cm 정도의 구간 내부에 3~4단계
의 래칫기어(12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 이빨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회동스토퍼(170)와 래칫기어(121)의 결합
부가 쉽게 손상되며, 회동스토퍼(170)의 전후진시 회동스토퍼(170)가 래칫기어(121)에 잘 물리지 않게 되는 작
동오류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1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분리된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힌지축(151)에<15>
의해 상호 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130,140)의 양측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의 한쪽 측
면을 밀거나 당길 경우, 한쪽의 이동블록(150)에만 편하중이 가해져, 힌지축(151)과 이동블록(150)의 연결부위
가 쉽게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래칫기어의 크기를 크게 하여 회동스토퍼와 래칫기어가 맞<16>
물리지 않게 되는 작동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회동스토퍼와 래칫기어에 큰 하중이 가해져 손상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스테이로드(10)와; 상면에 전후방향의 래칫기<17>
어(21)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로드(10)에 장착되는 고정블록(20)과; 하단이 상기 고정블록(20)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
며 헤드레스트에 결합되는 이동블록(50)과; 상기 제1 또는 제2 연결링크(30,4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연결링
크(30,40)가 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리턴스프링(60)과; 지지축(71)에 의해 상기 이동블록(50)의 측면
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후단부가 상기 래칫기어(21)에 맞물리도록 된 회동스토퍼(70)와; 상기
회동스토퍼(70)에 연결되어 회동스토퍼(70)의 각도에 따라 회동스토퍼(70)가 하향 또는 상향되도록 탄성가압하
는 보조스프링(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가 제공된다.
효 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는 상호 맞물리는 래칫기어(21)와 회동스토퍼(70)가 상호 제1<18>
및 제2 연결링크(30,40)로 연결된 고정블록(20)과 이동블록(50)에 각각 구비되어, 이동블록(50)의 전후진시 래
칫기어(21)와 회동스토퍼(70)가 이동블록(50)의 전후진 거리만큼 상대운동하게 되므로, 래칫기어(21)를 충분히
크게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이동블록(50)에 가해지는 하중이 회동스토퍼(70)에 직접 전달되어 하중이
증폭되지 않아서, 회동스토퍼(70)와 래칫기어(21)가 쉽게 손상되거나, 래칫기어(21)와 회동스토퍼(70)가 맞물리
지 않게 되는 작동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19>
도 6내지 도 10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는, 차량의 시트에 장착되는 스테이<20>
로드(10)와; 상면에 전후방향의 래칫기어(21)가 형성되며 상기 스테이로드(10)에 장착되는 고정블록(20)과; 하
단이 상기 고정블록(20)에 힌지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와; 상기 제1 및 제
2 연결링크(30,40)의 상단에 힌지결합되며 헤드레스트에 결합되는 이동블록(50)과; 상기 제2 연결링크(40)에 연
결되어 제2 연결링크(40)가 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지지하는 리턴스프링(60)과; 지지축(71)에 의해 상기 이동블
록(50)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후단부가 상기 래칫기어(21)에 맞물리도록 된 회동스토퍼
(70)와; 상기 회동스토퍼(70)에 연결되어 회동스토퍼(70)의 각도에 따라 회동스토퍼(70)가 하향 또는 상향되도
- 4 -
등록특허 10-0896016
록 탄성가압하는 보조스프링(8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헤드레스트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
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블록(50)이 내부에 결합되는 합성수지재의 홀더와, 상기 홀더의
외부에 구비된 쿠션부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블록(50)의 외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로드(10)는 한쌍의 수직바(11)와, 수직바(11)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바(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21>
직바(11)가 차량 시트의 등받이부분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다.
상기 고정블록(20)은 금속판의 양측을 상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스테이로드(10)의 수평바(12) 상면에 용접결합<22>
되는 수평부(22)와, 수평부(22)의 양측에서 상향연장된 수직부(23)로 구성되며, 상기 래칫기어(21)는 상기 수직
부(23)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부(23)의 상면에는 래칫기어(21)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전방캠
면(24)과 후방캠면(25)이 형성된다. 상기 전방캠면(24)은 상기 래칫기어(21)의 전방에 형성되며 전방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스토퍼(70)의 전진시 회동스토퍼(70)의 후단부와 접촉되어 회동스토퍼
(70)의 후단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기능을 하며, 상기 후방캠면(25)은 상기 래칫기어(21)의 후방에 후방으로
갈수록 하강되도록 구성되어 회동스토퍼(70)의 후퇴시 회동스토퍼(70)의 후단부와 접촉되어 회동스토퍼(70)의
후단을 하측으로 누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는 금속판의 양측을 절곡하여 상기 고정블록(20)과 이등블록에 힌지결합되는<23>
힌지결합부(31,41)가 양측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하단이 고정블록(20)의 수직부(23)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어 힌지축(32,42)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링크(3
0)는 제2 연결링크(40)의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이동블록(5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의 측면에 힌지결합되는 지지<24>
부(51)와, 양단이 상기 지지부(51)에 연결되어 지지부(51)를 상호 고정하는 연결부(52)와, 상기 지지부(51)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의 홀더의 내부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53)와, 상기 제1 및 제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지지부(51)와 연결부(52) 및 고정부(53)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지
지부(51)가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힌지축(54)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2 연결링크(30,4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힌지축(54)은 양단이 상기 지지부(51)에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가 상호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의 상단을 관통하여 결합된
다.
상기 리턴스프링(60)은 탄성와이어를 감아 구성된 토션스프링으로써, 상기 제2 연결링크(40)와 고정블록(20)을<25>
결합하는 힌지축(42)에 끼워진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고정블록(20)과 제2 연결링크(40)에 각각 밀착되어, 제2
연결링크(40)가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상기 회동스토퍼(70)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블록(50)의 지지부(51) 측면, 특히, 상호 마주보는 지지부<26>
(51)의 내측면에 각각 지지축(71)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동블록(50)과 함께 전후진되며,
상기 래칫기어(21)에 맞물려 이동블록(50)이 후방으로 후퇴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한다.
상기 보조스프링(80)은 탄성와이어를 U자 형태로 구부려 양단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단이<27>
상기 회동스토퍼(70)의 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스토퍼(7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이동블록(50)의 지
지부(51)에 형성된 결합공(53a)에 삽입결합되어, 회동스토퍼(70)의 전단부를 후단부쪽으로 탄성가압한다. 따라
서, 상기 지지축(71)과 결합공(53a)을 연결하는 중심선(81)을 기준으로, 상기 회동스토퍼(70)의 후단부가 중심
선(81)의 상측으로 상승될 경우 회동스토퍼(70)의 후단부가 상승되도록 가압하고, 회동스토퍼(70)의 후단부가
중심선(81)의 하측으로 하강될 경우 회동스토퍼(70)의 후단부가 하강되도록 가압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55는 상기 이동블록(50)의 지지부(51)에 구비되어, 회동스토퍼(70)의 상면이 걸려 회동<28>
스토퍼(70)의 상승각도를 제한하는 지지핀을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도 11의 (a)와 같은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전진시키면, 이동블록(50) 및 회동스토<29>
퍼(70)가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회동스토퍼(70)가 보
조스프링(80)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후단부가 래칫기어(21)에 순차적으로 결합되므로써, 헤드레스트가
후퇴되지 않도록 위치고정된다. 또한, 헤드레스트를 끝까지 당기면,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스토
퍼(70)의 후단부가 고정블록(20)의 전방캠면(24)을 따라 상승된 후, 보조스프링(80)에 의해 후단부가 상승된 상
태를 유지하며, 도 11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턴스프링(60)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초기위치로 복귀되
면, 회동스토퍼(70)의 후단부가 후방캠면(25)에 닿아 하강되면서, 래칫기어(21)와 맞물려 헤드레스트가 더 이상
- 5 -
등록특허 10-0896016
후퇴되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는 상기 회동스토퍼(70)가 상기 이동블록(50)에 지지축(71)으<30>
로 결합되어, 상기 이동블록(50)의 전후진시, 상기 회동스토퍼(70)는 이동블록(50)의 전후진거리와 동일한 거리
를 전후진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스토퍼(70)가 제1 연결링크(30)에 결합되어 이동블록(50)의 전후진 거리에 비
해 짧은 거리를 왕복하여 래칫기어(21)를 크게 형성할 수 없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와 달리, 래칫기
어(21)가 형성되는 구역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확보하고, 각 래칫기어(21)의 크기를 크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래칫기어(21)와 회동스토퍼(70)가 견고하게 맞물려 작동 신뢰성을 확보하므로써, 래칫기어(21)가 쉽게 손상되거
나 회동스토퍼(70)의 전후진시 회동스토퍼(70)가 래칫기어(21)에 잘 물리지 않게 되는 작동오류가 발생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동스토퍼(70)가 이동블록(50)에 지지축(71)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블록(20)의 래칫기어(21)에<31>
맞물리게 되므로,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밀러 이동블록(50)에 하중이 작용될 경우, 이러한 하중은 회동스토퍼
(70)를 통해 고정블록(20)에 바로 전달된다. 따라서, 회동스토퍼(70)가 제1 연결링크(30)에 결합된 종래의 헤드
레스트 위치조절기구와 달리, 하중의 증폭이 발생되지 않으며, 하중이 증폭됨에 따라 회동스토퍼(70)를 연결하
는 지지축(71)이나 회동스토퍼(70) 및 회동스토퍼(70)와 맞물리는 래칫기어(21)가 쉽게 마모 또는 손상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록(50)이 금속판을 절곡하여, 상기 제1 및 제2 연결링크(30,40)의 측면에 힌지결합되는 지<32>
지부(51)와, 양단이 상기 지지부(51)에 연결되어 지지부(51)를 상호 고정하는 연결부(52)와, 상기 지지부(51)에
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에 고정결합되는 고정부(53)를 갖도록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
(51)는 힌지축(54)에 의해 상호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의 한쪽 측면을 밀거나 당길 경우, 하중이 연
결부(52)를 통해 양측 지지부(51)로 분산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블록(50)이 한쌍으로 구성되어 사용
자가 헤드레스트의 한쪽 측면을 밀거나 당길 경우 일측의 이동블록(50)에만 편하중이 가해지는 종래의 헤드레스
트 위치조절기구와 달리, 하중이 양측의 지지부(51)로 분산되어, 편하중에 의해 이동블록(50)과 힌지축(54)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래칫기어(21)는 상기 고정블록(20)의 수직부(23) 상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회동스토<33>
퍼(70)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블록(5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회동스
토퍼(70)는 이동블록(50)의 측면에 하나만 결합하고, 상기 래칫기어(21) 역시, 고정블록(20)의 수직부(23)중에
서 상기 회동스토퍼(70)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도록 일측 수직부(23)에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리턴스프링(60)은 제2 연결링크(40)에 연결되어 제2 연결링크(40)를 후방으로 밀도록 구성되었으나,<34>
필요에 따라, 리턴스프링(60)을 제1 연결링크(40)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직부(23)의 상면에 래칫기어(21) 전후방에 위치되도록 전방캠면(24)과 후방캠<35>
면(25)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회동스토퍼(70)에 상기 고정블록(20)의 단부면에 걸리
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블록(20)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돌출부를 형성하여, 회동스토퍼(70)의 전후진
시, 상기 걸림턱이 상기 돌출부에 걸려 회동스토퍼(7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회동스토퍼(70)의 측면에 구비된 돌출핀<36>
(72)과; 상기 고정블록(20)에 구비되며 상기 돌출핀(72)이 삽입되는 홈캠(91)이 형성된 캠플레이트(90)를 더 포
함한다.
상기 돌출핀(72)은 상기 회동스토퍼(70)의 후단부 외측면, 즉, 한쌍으로 이루어진 회동스토퍼(70)가 서로 마주<37>
보는 면의 반대쪽 면에 구비된다.
상기 캠플레이트(90)는 한쌍으로 구성되어, 내측면에 형성된 홈캠(91)이 상기 고정블록(20)의 상측으로 노출되<38>
도록 수직부(23) 외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이때, 상기 홈캠(91)은 상기 돌출핀(72)이 삽입되어, 회동스토퍼(7
0)의 전후진시 홈캠(91)의 경로에 따라 돌출핀(72)이 이동함으로써, 회동스토퍼(70)의 상하방향 회동을 제한 및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홈캠(91)은 내부에 중간부에 구비된 격벽(91a)에 의해 하부홈캠(91b)과 상부홈캠<39>
(91c)으로 구획되어, 상기 돌출핀(72)이 하부홈캠(91b)과 상부홈캠(91c)을 따라 원형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구
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스토퍼(70)의 돌출핀(72)은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스토퍼(70)가 전진될
때 상기 하부홈캠(91b)을 따라 전진되다가, 회동스토퍼(70)가 완전히 전진되어 상기 전방캠면(24)에 의해 회동
상승되면 상기 상부홈캠(91c)으로 삽입되어 상부홈캠(91c)을 따라 후진되며,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 6 -
등록특허 10-0896016
회동스토퍼(70)가 완전히 후진되면 하강되어, 다시 하부홈캠(91b)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동스토퍼(70)의 회동을
제한 및 유도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는 상기 회동스토퍼(70)의 상하방향 회동이 홈캠(91)에 의해<40>
제한 및 유도되므로, 상기 래칫기어(21)의 형상을 보다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스토퍼(70)가 후
진될 때, 외부충격에 의해 회동스토퍼(70)가 보조스프링(80)의 탄성을 이기고 하강되어, 헤드레스트가 완전히
후진되기 전에 래칫기어(21)에 맞물리게 되는 작동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회동스토퍼(70)는 상기 고정블록(20)의 수<41>
직부(23) 외측면에 각각 지지축(71)으로 상하방향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래칫기어(21)는 상기 이동블록
(50)의 지지부(51) 하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동스토퍼(70)의 전단부가 래칫기어(21)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회동스토퍼(70)와 래칫기어(21)는 제1 실시예의 회동스토퍼(70)와 래칫기어(21)의 배열을 180
°회전시킨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보조스프링(80)은 일단이 상기 회동스토퍼(70)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블록(20)에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블록(50)의 전후방향 길이가 고정블록(2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제작되는 헤드레스<42>
트 위치조절기구의 특성을 이용하여, 길이가 긴 이동블록(50)의 하부에 래칫기어(21)를 형성함으로써, 래칫기어
(21)를 형성하는 공간 확보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는 도 18과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스토퍼(70)의 측<43>
면에 구비되는 돌출핀(72)과; 이동블록(50)의 측면에 구비된 캠플레이트(90)를 더 구비하여, 회동스토퍼(70)의
상하방향 회동을 제한 및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를 도시한 배면도,<44>
도 2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배면도,<45>
도 3은 종래의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46>
도 4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이동블록을 도시한 사시도,<47>
도 5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작동을 도시한 참고도,<48>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를 도시한 배면도,<49>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배면도,<5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측면 구성도,<51>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면도,<52>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이동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53>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도,<54>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구성도,<55>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면도,<56>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배면도,<57>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제2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도,<58>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제3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면도,<59>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제3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참고도,<60>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제4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측면도,<61>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조절기구의 제4 실시예의 측면 구성도이다.<62>
- 7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
도면1
- 8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2
- 9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3
도면4
- 10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5
- 11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6
- 12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7
- 13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8
- 14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9
- 15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10
- 16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11
- 17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12
- 18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13
- 19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14
- 20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15
- 21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16
- 22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17
- 23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18
- 24 -
등록특허 10-0896016
도면19
- 25 -
등록특허 10-08960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