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10월18일
(11) 등록번호 10-1317792
(24) 등록일자 2013년10월07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4L 12/26 (2006.01) B61B 1/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13-0070505
(22) 출원일자 2013년06월19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06월19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165399 B1
KR1020090030201 A
(73) 특허권자
대윤엔지니어링 (주)
경상북도 구미시 1공단로6길 181 (공단동)
(72) 발명자
윤희중
경상북도 구미시 도봉로 10 구미현진에버빌아파트
104동 202호
전진한
대구광역시 달서구 선원남로 99 315동 403호 (이
곡동, 성서한빛마을)
(74) 대리인
특허법인 신태양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전용해
(54) 발명의 명칭 RS485-컨버터
(57) 요 약
와이파이(Wi-Fi) 모듈의 초기 설정과 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
닛에 의해 시간을 업데이트하여 시간정보가 저장되는 시계IC(RTC), 차량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시간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시계IC용 충전 회로, 전달받은 신호를 변환하여 송, 수신하는 RS485 컨트롤러, 상기 RS485
컨트롤러에서 각 도어 제어 유닛(DCU)에 연결할 케이블에 연결된 연결부 및 차량전원을 컨버터 내부에서 사용하
는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RS485 컨트롤러를 통해 임의의 주기로 각 상기 도어 제어 유닛에 TCMS(열차
종합 운전 제어 장치)가 갖는 포맷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485-컨버터.
대 표 도 - 도4
등록특허 10-1317792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와이파이(Wi-Fi) 모듈의 초기 설정과 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시간을 업데이트하여 시간정보가 저장되는 시계IC(RTC);
차량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시간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시계IC용 충전 회로;
전달받은 신호를 변환하여 송, 수신하는 RS485 컨트롤러;
상기 RS485 컨트롤러에서 각 도어 제어 유닛(DCU)에 연결할 케이블에 연결된 연결부; 및
차량전원을 컨버터 내부에서 사용하는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RS485 컨트롤러를 통해 임의의 주기로 각 상기 도어 제어 유닛에 TCMS(열
차 종합 운전 제어 장치)가 갖는 포맷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485-컨버터.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비동기 통신 방식(UART)을 통해 와이파이 모듈의 초기 설정 및 정보를 얻는 시
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485-컨버터.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와이파이 모듈에서 얻은 정보로 상기 시계IC의 시간을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485-컨버터.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S485 컨트롤러는 TTL 레벨의 신호로 변환하여 별도의 RTS 신호선이 필요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485-
컨버터.
청구항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제어 유닛은 상기 RS485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은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제어 유닛의 상
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485-컨버터.
청구항 7
등록특허 10-1317792
- 2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제어 유닛은 상기 RS485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은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고장 이력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485-컨버터.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RS485-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제공하여 시간 정보를[0001]
토대로 상태 정보와 고장 이력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RS485-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은 지하철이나 전철 등과 같이 선로 위를 주행하는 교통수단으로서, 각각의 차량에는 일[0002]
정 간격을 유지하며 출입문이 그 양측으로 구비되어 승객이 승하차시에 자동으로 개폐된다.
이로 인해, 전동차가 역사에 정차하는 경우 승객이 승하차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량 운전실의 운전자는 출[0003]
입문 개폐를 조작하게 된다.
이때 출입문 전체가 개폐가 되는 것이 아니라 TCMS(열차 종합 운전 제어 장치, Train Control and Management[0004]
System)에서 역사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당 역사에 정차 시 역사 정보에 따라서 해당 방향의 DCU(출입문
제어 장치, Door Control Unit)에 도어 개폐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출입문 제어 장치는 해당 방향의 출입문
을 개폐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철도 차량의 출입문을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의 상태 및 고장 정보를 유지 보수가 필요한[0005]
출입문 또는 그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없었다.
특히, 차량 운전실에는 출입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만 확인할 수 있을 뿐 출입문 고장 시 고장 원인, 고장 횟[0006]
수 및 상태 등의 이력이 남지 않아서, 출입문 제어 장치를 통해 직접 확인할 수 없어 고장 원인의 분석을 위한
인원 및 장비들이 많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출입문 고장 유형에 대한 분석이 어려워 출입문 제어 시스템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0007]
라 출입문의 유지보수를 위한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다시 한번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전동차 종합제어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0008]
도 1은 종래 전동차 종합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0009]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동차 종합제어시스템은 주제어장치인 TC(Train Computer)(10)에서 각 전동차 차량의[0010]
C.C(Car Computer)(20)로 연결되고 각 차량의 C.C(20)에서 전동차 객실 내 각 제어 유닛 단위의 시스템까지 유
닛 별로 별도의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동차의 전자화 및 자동화 추세에 따라 ATC(Automatic Train Control), ATO(Automatic Train[0011]
Operation), TWC(Train Wayside Communication), DU(Display Unit), PA(Public Announce), PIS(Passenger
Information System), 인터폰, 제동장치(41), 냉방장치(42), 출입문(43), 보조전원장치, 난방장치,
인버터장치, 공기압축기, 각종 감시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유닛들이 전동차 내에 구비되고 있다.
이때, 상기 TC(10)에서 직접 제어하거나 통신하는 ATC, ATO, TWC, DU(34), PA, PIS, 인터폰 등까지의 연결 또[0012]
한 각 유닛 별로 별도의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고, PA, PIS, 인터폰, 열차무선 등은 각 유닛 별로 별도의 케이블
이 전부 운전실에서부터 후부 운전실까지 개별적 배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은 전동차 내의 각종 제어 유닛들이 각각 개별적 배선으로 연결되는 이른바 하드와이어 연결[0013]
의 직렬 구동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TC(10)나 C.C(20)로부터 차량 내의 각종 유닛이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므로 전동차 내에[0014]
배선되는 케이블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배선설계 및 설치가 복잡해지고 배관, 배선이 차지하는 공간 및 중량으
등록특허 10-1317792
- 3 -
로 인해 전동차의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
또한, 전체 전동차의 제작비용 및 중량이 증가하며, 제어 유닛의 신, 증설시 새로운 배관, 배선을 해야 하고[0015]
종래에 구성된 네트워크는 표준화된 통신방식을 사용하지 않아 신, 증설된 제어 유닛을 종래의 네트워크와 연결
하는 것이 어려워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전동차 종합제어시스템은 주제어장치와 각각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들 간에 별도[0016]
의 통신케이블을 포설하여 제어하는 통신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전동차 제어를 위한 제어 유닛의 추가
를 위해서는 종합제어장치와 제어 유닛 간 별도의 통신케이블을 포설해야 하고 통신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구
축시간 및 구축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동차를 제작할 시 전동차의 종합제어장치와 각종 제어 유닛 사이에 별도의 통신케이블 포설에 따른 배[0017]
관, 배선의 공간과 케이블 무게로 인해 전동차 전체중량의 증가, 전동차 제작비용 증가와 전동차 유지보수 및
운영의 비효율성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TCMS를 도시한 모식도이다.[0018]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일반 철도 차량의 경우 차량 운전실에 TCMS 장치를 설치하고, 각 객실 차량에[0019]
C.C를 부수적으로 더 설치해야할 뿐만 아니라 RS485 통신케이블을 사용하여 각 DCU와 연결한 후 시간정보 제공
과 더불어 각 DCU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운용 자료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TCMS와 연결되지 않은 DCU는 시간정보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점검이나 유지 보수 시 데이터 분석의[0020]
효율성이 감소하게 되어, 운용에 관한 정확한 분석이 어려운 실정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에 따른 정보를 갖는 RS485-컨버터를 이용하여 철도[0021]
차량의 자동문 점검 및 유지 보수 시 데이터 분석을 통한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RS485-컨버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RS485-컨버터를 제공함으로, 각 도어 제어 유닛(DCU)에 현재의 시간 정보를 전[0022]
송하는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는 와이파이(Wi-Fi) 모듈의 초기 설정과 정보를 획득하[0023]
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시간을 업데이트하여 시간정보가 저장되
는 시계IC(RTC), 차량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시간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시계IC용 충전 회로, 전달받
은 신호를 변환하여 송, 수신하는 RS485 컨트롤러, 상기 RS485 컨트롤러에서 각 도어 제어 유닛(DCU)에 연결할
케이블에 연결된 연결부 및 차량전원을 컨버터 내부에서 사용하는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회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비동기 통신 방식(UART)을 통해 와이파이 모듈의 초기 설정 및 정보를 얻[0024]
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와이파이 모듈에서 얻은 정보로 상기 시계IC의 시간을 업데이트 하[0025]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RS485 컨트롤러를 통해 임의의 주기로 각 상기 도어 제어 유닛에[0026]
TCMS(열차 종합 운전 제어 장치)가 갖는 포맷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RS485 컨트롤러는 TTL 레벨의 신호를 RS485 레벨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27]
한편, 상기 도어 제어 유닛은 상기 RS485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은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제어 유닛[0028]
등록특허 10-1317792
- 4 -
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제어 유닛은 상기 RS485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은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고장 이력을 저장하[0029]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에 의하면 시간 정보를 갖는 철도차량용 TCMS 간이형[0030]
RS485-컨버터를 제공함으로써,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 이력 등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그 고장 원인을 분석
하고 신속하고도 정확한 유지 보수를 할 수 있어서, 유지 보수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는 DCU의 상태 정보 및 고장 이력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점검[0031]
및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에 대한 신뢰성 역시 확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전동차 종합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0032]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TCMS를 도시한 간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485-컨버터를 도시한 간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485-컨버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485-컨버터의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철도 차량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에 적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485-컨버터를 도시한 구성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003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485-컨버터를 도시한 간략도이다.[0034]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는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TCMS 구성과는 달리 별도의 카[0035]
컴퓨터(C.C)를 설치하지 않는다.
상기 RS485-컨버터는 각 도어 제어 유닛(DCU)에 직접 연결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36]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는 TCMS의 기능을 가진 포맷은 유지하되, 별도의 카컴퓨터를 두지 않아 구성을 간[0037]
소화하였고,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데이터 저장 및 송수신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유지 보수시 효율성이 증
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485-컨버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0038]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는 와이파이(Wi-Fi) 모듈의 초기 설정과 정보를 획득하는[0039]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에 의해 시간을 업데이트하여 시간정보가 저장되는
시계IC(RTC), 차량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시간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시계IC용 충전 회로, 전달받은
신호를 변환하여 송, 수신하는 RS485 컨트롤러, 상기 RS485 컨트롤러에서 각 도어 제어 유닛에 연결할 케이블에
연결된 연결부 및 차량전원을 컨버터 내부에서 사용하는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와이파이(Wi-Fi) 모듈은 철도 차량에 설치된 와이파이 장치에 접속하여 인터넷 또는 철도차량의 제어부에[0040]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은 기기 등의 조작이나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역할을[0041]
수행하는 유닛으로 집적 회로(IC) 또는 소형 컴퓨터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은 주변장치들을 센싱 및 제어하기 위한 입출력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0042]
등록특허 10-1317792
- 5 -
타이머/카운터, 통신포트 내장 및 인터럽트 처리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은 소형 제품이며, 무게가 가볍고, 부품비, 제작비, 개발비 등이 많이 필요[0043]
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은 프로그램만 변경시켜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융통성 및 확장성이[0044]
용이하고, 부품 수가 적어 시스템이 단순해서 보수가 편리하고, 고장율도 적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은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 and transmitter) 통신을[0045]
통하여 와이파이 모듈 초기 설정 및 정보를 얻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 and transmitter) 통신은 전송거리가 짧고, 잡음에 약하지만, 필요한[0046]
배선수가 적고 간단하다는 이점 때문에 데이터 전송 표준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의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와 같이 와이파이 모듈에서 얻은 정[0047]
보로 시계 IC(RTC, Real Time Clock)에 시간을 업데이트하고,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시계IC는 시간정보
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시계 IC가 차량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시간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0048]
가 별도의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의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은 RS485 컨트롤러를 통하여 0.1초마다[0049]
주기적으로 각 도어 제어 유닛(DCU)에 TCMS(열차 종합 운전 제어 장치, Train Control and Management Syste
m)가 갖는 포맷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0.1초의 주기는 임의의 시간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한 시간이다.[0050]
상기 TCMS는 시간 정보에 따른 차상 신호 및 각 차량 제어 컴퓨터에서 오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포맷을 수신하여[0051]
열차의 운전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UART 통신을 사용하는데, UART에서 나오는[0052]
신호는 보통 TTL레벨을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RS485 컨트롤러는 5.0V의 TTL(Transistor Transisor Logic)레벨 신호를 RS485 레벨의 형태로[0053]
변환하여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은 상기 UART 통신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0054]
유닛(MCU)의 신호는 TTL 레벨을 출력하고, 각 도어 제어 유닛(DCU)에게 신호 전달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RS485
컨트롤러를 이용해 RS485 레벨의 형태로 신호를 변환하여 송신한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RS485-A와 같은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의 TTL 레벨을 RS[0055]
485 신호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송수신을 자동으로 전환해주므로 별도의 RTS 신호선이 필요 없
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의 연결부는 RS485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각 상기 도[0056]
어 제어 유닛(DCU)에 연결할 케이블에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의 상기 도어 제어 유닛(DCU)은 상기 RS485 컨트롤러로[0057]
부터 전송받은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제어 유닛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어 제어 유닛(DCU)은 상기 RS485 컨트롤러로부터 전송 받은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고장 이력을 저[0058]
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의 상기 전원 변환 회로는 차량 전원 100V를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0059]
내부에서 사용하는 전원으로 변환이 가능한 DC-DC 컨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485-컨버터의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006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S485-컨버터의 연결부는 RS485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전달[0061]
하기 위해 각 상기 도어 제어 유닛(DCU)에 연결할 케이블(104)에 커넥터(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제어 유닛(DCU)의 끝부분에 배치된 단자부(108)를 통한 탈착식 결합으로 연결부의 커넥터(107)가 연[0062]
등록특허 10-1317792
- 6 -
결되어 외부로부터 쉽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제어 유닛(DCU)에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저장된 상태 정보와 고장이력이 RS485-컨버터의 상기[0063]
연결부를 통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에 전달된다.
도 6은 철도 차량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에 적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S485-컨버터를 도시한 구성도이[0064]
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도 차량 출입문(200)과 연결된 상기 도어 제어 유닛(DCU)이 상기 연결부를 통해[0065]
RS485-컨버터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출입문 개폐의 고장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철도 차량의 출입문(200) 개폐 고장 이력 확인용으로 사용하는 것뿐 만 아니라 출입문 발판, 각 객실의[0066]
냉난방 등의 고장 이력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TCMS를 설치했을 때보다 구성이 간단하고 소요되는 케이블이 적어 유지 보수가 수월할 뿐만 아니[0067]
라, 제어 시스템 구성 비용이 저렴하게 되며, 제어 유닛의 신설 및 증설이 용이한 효과를 갖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0068]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게 된다. [0069]
부호의 설명
104 : 연결부의 케이블[0070]
107 : 연결부의 커넥터
108 : 도어 제어 유닛(DCU)의 단자부
200 : 철도 차량의 출입문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317792
- 7 -
도면2
도면3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317792
- 8 -
도면6
【심사관 직권보정사항】
【직권보정 1】
【보정항목】청구범위
【보정세부항목】제1항에서 5 내지 6번째 줄
【변경전】
'상기 시계 IC용 충전회로'
【변경후】
시계 IC용 충전회로
등록특허 10-1317792
- 9 -
RS485-컨버터(RS485-CONVERTER)
2018. 3. 20. 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