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10월11일
(11) 등록번호 10-1784071
(24) 등록일자 2017년09월2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61K 8/22 (2006.01) A61K 8/02 (2006.01)
A61K 8/92 (2006.01)
(52) CPC특허분류
A61K 8/22 (2013.01)
A61K 8/02 (2013.01)
(21) 출원번호 10-2015-0160599
(22) 출원일자 2015년11월16일
심사청구일자 2015년11월16일
(65) 공개번호 10-2017-0057515
(43) 공개일자 2017년05월2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404940 B1*
(뒷면에 계속)
(73) 특허권자
(주)동명바이오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428, 402호 (용당동, 동
명대학교 학생군사교육관)
(72) 발명자
김덕술
부산광역시 수영구 황령대로473번길 15, 101동
802호(남천동, 남천 엑슬루타워)
심은경
부산광역시 남구 황령대로 504, 206동 1206호(대
연동, 대연삼익비치아파트)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정병홍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천현주
(54) 발명의 명칭 미세오존기포를 포함하는 오존화 올리브 크림 제조방법
(57) 요 약
본 발명에 따른 미세오존기포를 포함하는 오존화 올리브 크림 제조방법은 산소를 생성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오
존을 생성하는 단계(s100);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을 냉각장치내에서 버블화하여 버블 토출을 수행하는 단계(s200);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784071
- 1 -
냉각장치 내에서 오존과 올리브오일을 반응시키는 단계(s300);
S300 단계 후 배오존을 처리장치에 공급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되,
상기 s100 단계에서는,
대기중의 공기를 받아들여 산소발생장치부(200)를 통해서 산소를 발생시킨 후, 발생된 산소를 펌핑하여 산소공급
파이프(210)를 따라서 냉각장치부(100) 쪽으로 산소(A1)를 흘려 보내는 단계(a110),
냉각장치부(100)내의 냉각파이프(250)로 인입된 산소를 섭씨 3도 내지 7도로 냉각시키는 단계(s120),
냉각파이프(250)가 있는 냉각장치부(100)로부터 산소(A2,A3)가 빠져나와, 산소 냉각시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
거하는 수분제거부(280)를 거치는 단계(s130),
수분이 제거된 산소(A4)는 오존발생장치부(300) 내부로 인입되어, 1700 내지 2000ppm 농도의 오존이 발생되는 단
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s100 단계 이후에는,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이 오존공급관(310)을 따라서 냉각장치부(100)로 인입되는 단계(s210),
수분제거부(400)를 통과시켜 오존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s220)와 s220단계에서 제거된 수분을 수분토
출파이프(410)를 통하여 냉각장치부(100)의 외부로 토출하는 단계(s230),
수분이 제거된 오존이 오존공급파이프(330)를 따라 흘러가서, 오존과 올리브 오일이 반응하는 반응장치부(500)의
하측의 버블토출장치(800)로 공급하는 단계(s240)를 거친 후,
오존과 올리브 오일을 상호 반응시키는 단계(s300)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오존이 반응장치부(500)에 공급
되는 양은 1분당 3~6리터가 투입되도록 하며, 오존 버블은 반응장치부(500) 내부에 공급되어 있는 올리브오일
(700)과 100 내지 150 시간동안 반응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블토출장치(800)와 반응장치부(500) 사이에 버블미세화장치(820)를 더 포함하여 미세오존기포를 포함하는
오존화 올리브 오일(A)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버블미세화장치(820)는,
상기 버블토출장치(800)와 상기 반응장치부(500)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축(821)과, 내부에 복수개의 미
세홀(82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821)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82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판(823)으로 구
성되며, 상기 버블토출장치(800)에서 1차적으로 발생한 미세한 버블을 버블미세화장치(820)의 회전을 통하여 2차
적으로 미세화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피부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오존화 오일 크
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천연오일 제품을 오존과 반응시켜 부작용이 없는 오존크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
하여 제시하였고, 오일과 오존의 접촉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중 버블 분사장치에 의하여 오존이 기체 상태가 아닌
오일과 반응되어 반고체 상태로 오일과 함께 응집되어 있음으로 해서 크림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특
히 냄새에 민감한 사람들이 오존 냄새에 거부반응이 있을 수 있으므로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오존 냄새를 중화
시킴으로 거부감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52) CPC특허분류
A61K 8/922 (2013.01)
A61K 2800/80 (2013.01)
(72) 발명자
곽병철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순환로99번길 22 경남아
너스빌아파트 102동 802호
신민재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정관로 350, 301동 180
1호(이지더원3차아파트)
김대현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교로2번길 22-2 (봉래동3가)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08019359 A*
KR101514343 B1
KR100480963 B1
KR1020040108402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등록특허 10-1784071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산소를 생성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s100);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을 냉각장치내에서 버블화하여 버블 토출을 수행하는 단계(s200);
냉각장치 내에서 오존과 올리브오일을 반응시키는 단계(s300);
S300 단계 후 배오존을 처리장치에 공급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되,
상기 s100 단계에서는,
대기중의 공기를 받아들여 산소발생장치부(200)를 통해서 산소를 발생시킨 후, 발생된 산소를 펌핑하여 산소공
급파이프(210)를 따라서 냉각장치부(100) 쪽으로 산소(A1)를 흘려 보내는 단계(a110),
냉각장치부(100)내의 냉각파이프(250)로 인입된 산소를 섭씨 3도 내지 7도로 냉각시키는 단계(s120),
냉각파이프(250)가 있는 냉각장치부(100)로부터 산소(A2,A3)가 빠져나와, 산소 냉각시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
거하는 수분제거부(280)를 거치는 단계(s130),
수분이 제거된 산소(A4)는 오존발생장치부(300) 내부로 인입되어, 1700 내지 2000ppm 농도의 오존이 발생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s100 단계 이후에는,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이 오존공급관(310)을 따라서 냉각장치부(100)로 인입되는 단계(s210),
수분제거부(400)를 통과시켜 오존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s220)와 s220단계에서 제거된 수분을 수분
토출파이프(410)를 통하여 냉각장치부(100)의 외부로 토출하는 단계(s230),
수분이 제거된 오존이 오존공급파이프(330)를 따라 흘러가서, 오존과 올리브 오일이 반응하는 반응장치부(500)
의 하측의 버블토출장치(800)로 공급하는 단계(s240)를 거친 후,
오존과 올리브 오일을 상호 반응시키는 단계(s300)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오존이 반응장치부(500)에 공
급되는 양은 1분당 3~6리터가 투입되도록 하며, 오존 버블은 반응장치부(500) 내부에 공급되어 있는 올리브오일
(700)과 100 내지 150 시간동안 반응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블토출장치(800)와 반응장치부(500) 사이에 버블미세화장치(820)를 더 포함하여 미세오존기포를 포함하
는 오존화 올리브 오일(A)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버블미세화장치(820)는,
상기 버블토출장치(800)와 상기 반응장치부(500)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축(821)과, 내부에 복수개의 미
세홀(82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821)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82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판(823)으로 구
성되며, 상기 버블토출장치(800)에서 1차적으로 발생한 미세한 버블을 버블미세화장치(820)의 회전을 통하여 2
차적으로 미세화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오존기포를 포함하는 오존화 올리브 크림
제조방법.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등록특허 10-1784071
- 3 -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올리브오일에 미세 오존 버블을 장시간 접촉시켜 크림을 제조하는 미세오존기포를 포함하는[0001]
오존화 올리브 크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최근 현대인들은 수질오염과 환경오염 등에 노출되어 있으며, 주거 공간에서도 각종 화학물질 등에 의하여 각종[0002]
피부병 등에 시달리고 있다.
근래에 오존이 세균성, 바이러스성 및 진균성 감염증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에 우수한 치료효과를 가진다는 연구[0003]
결과가 알려지면서 오존을 피부질환 치료에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기체상태의 오존은 반감기가 짧아서 오존을 기체상태로 사용하거나 물에 용해하여 사용하더라도 오존을 장시간[0004]
가두어두기가 곤란하여 오존의 살균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일부 맛사지 크림 등에 오존을 포집시켜 피부질환을 치료하려는 시도가 있기는 하였지만 친수성 재료로부터 오[0005]
존은 쉽게 탈출하여 공기중에 방출되므로 이 또한 오존의 기능을 충분히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올리브 오일과 오존 버블을 장시간 접촉시켜 오존화 오일을 제조하는 장치기술 및[0006]
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천연오일 제품을 오존과 반응시켜 부작용이 없는 오존크림을 제
조하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오일 제조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며, 오일과 오존의 접촉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중 버블 발생장치를 제시하며, 오존과 오일의 반응을 위하여 별도의 교반기가 필요없는 제조장치를 제시
한다.
그리고 미세한 다중 버블을 발생시켜, 기포 자체로 오일에 오존이 존재하는 것이 아닌 오일과 오존이 반고체 상[0007]
태로 응고될 수 있는 저온 환경을 구비한 제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기술문헌
KR 10-1404940 B1[0008]
KR 10-1382153 B1[0009]
KR 10-2000-0007620 A[0010]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0011]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천연오일 제품을 오존과 반응시켜 부작용이 없는 오존크림을 제조[0012]
하는 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크림 제조방법을 제시하는 것이고, 둘째, 오일과 오존의 접촉을 극대화
하기 위한 다중 버블 발생장치를 제시하는 것이며, 셋째, 오존과 오일의 반응을 위하여 별도의 교반기가 필요없
이 미세한 다중버블을 발생시켜 기포 자체로 오일에 오존이 존재하는 것이 아닌 오일과 오존이 반고체 상태로
응고될 수 있는 저온환경을 제시하되 냄새에 민감한 사람들을 고려하여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오존 냄새를 중
화시킨 크림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오존기포를 포함하는 오존화 올리브 크림 제조방법은[0013]
산소를 생성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s100);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을 냉각장치내에서 버블화하여 버블 토출을 수행하는 단계(s200);
냉각장치 내에서 오존과 올리브오일을 반응시키는 단계(s300);
등록특허 10-1784071
- 4 -
S300 단계 후 배오존을 처리장치에 공급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되,
상기 s100 단계에서는,
대기중의 공기를 받아들여 산소발생장치부(200)를 통해서 산소를 발생시킨 후, 발생된 산소를 펌핑하여 산소공
급파이프(210)를 따라서 냉각장치부(100) 쪽으로 산소(A1)를 흘려 보내는 단계(a110),
냉각장치부(100)내의 냉각파이프(250)로 인입된 산소를 섭씨 3도 내지 7도로 냉각시키는 단계(s120),
냉각파이프(250)가 있는 냉각장치부(100)로부터 산소(A2,A3)가 빠져나와, 산소 냉각시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
거하는 수분제거부(280)를 거치는 단계(s130),
수분이 제거된 산소(A4)는 오존발생장치부(300) 내부로 인입되어, 1700 내지 2000ppm 농도의 오존이 발생되는
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s100 단계 이후에는,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이 오존공급관(310)을 따라서 냉각장치부(100)로 인입되는 단계(s210),
수분제거부(400)를 통과시켜 오존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s220)와 s220단계에서 제거된 수분을 수분
토출파이프(410)를 통하여 냉각장치부(100)의 외부로 토출하는 단계(s230),
수분이 제거된 오존이 오존공급파이프(330)를 따라 흘러가서, 오존과 올리브 오일이 반응하는 반응장치부(500)
의 하측의 버블토출장치(800)로 공급하는 단계(s240)를 거친 후,
오존과 올리브 오일을 상호 반응시키는 단계(s300)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오존이 반응장치부(500)에 공
급되는 양은 1분당 3~6리터가 투입되도록 하며, 오존 버블은 반응장치부(500) 내부에 공급되어 있는 올리브오일
(700)과 100 내지 150 시간동안 반응하도록 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버블토출장치(800)와 반응장치부(500) 사이에 버블미세화장치(820)를 더 포함하여 미세오존기포를 포함하
는 오존화 올리브 오일(A)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버블미세화장치(820)는,
상기 버블토출장치(800)와 상기 반응장치부(500)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축(821)과, 내부에 복수개의 미
세홀(82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821)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82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판(823)으로 구
성되며, 상기 버블토출장치(800)에서 1차적으로 발생한 미세한 버블을 버블미세화장치(820)의 회전을 통하여 2
차적으로 미세화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피부질환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오존화 오일 크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0014]
천연오일 제품을 오존과 반응시켜 부작용이 없는 오존크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였고, 오일과 오존
의 접촉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중 버블 분사장치에 의하여 오존이 기체 상태가 아닌 오일과 반응되어 반고체 상
태로 오일과 함께 응집되어 있음으로 해서 크림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냄새에 민감한 사람들이
오존 냄새에 거부반응이 있을 수 있으므로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오존 냄새를 중화시킴으로 거부감을 감소시
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이다;[0015]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버블 분사장치 내의 오존 분사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블 미세화 장치에 대한 상세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0016]
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0017]
등록특허 10-1784071
- 5 -
버블 분사장치 내의 오존 분사원리를 서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블 미세화 장치에 대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크림 제조 방법은 크게 산소를 생성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하는 단계(s100);[0018]
s100단계에서 생성된 오존을 냉각장치(100)내에서 버블화하여 버블 토출을 수행하는 단계(s200); 냉각장치 내에
서 오존과 올리브오일을 반응시키는 단계(s300); s300 단계 후 배오존을 처리장치에 공급하는 단계(s400); 상기
s300단계에서 오존과 올리브오일을 반응시킨 후 형성된 오존이 함유된 올리브 오일 중량 100에 대하여 라벤더
에센셜 오일을 중량 3 내지 6퍼센트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교반하여 믹싱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미세오존기포를 포함하는 오존화 올리브 크림 제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0019]
본 발명의 피부질환 개선용 크림은 크게 오존을 생성하는 장치, 오존을 버블화하여 다중으로 버블토출[0020]
을 수행하는 장치, 냉각장치 내에서 오존과 올리브오일을 반응시키는 장치 및 배오존 처리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오존을 생성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0021]
오존을 생성하기에 앞서 우선 대기중의 공기로부터 산소를 생성한다. 이어서 생성된 산소를 이용하여[0022]
오존 발생장치에 공급함으로써, 오존을 생성하게 된다. 도 1에서 산소발생장치부(200)는 대기중의 공기를 공급
받아 산소를 생성하는데, 공지의 기술을 사용하면 충분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생성된 산소를 펌핑하여 산소공급파이프(210)를 따라서 A1 방향으로 냉각장치부(100) 쪽으로 산소를 흘[0023]
려 보내어 펌핑된 산소를 냉각하여야 한다.
냉각장치부(100)의 온도는 섭씨 3도 내지 7도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이후 설명될 크림 제조를 위[0024]
한 반응장치부(500)에서 요구되는 온도이기도 하다.
산소가 흘러가는 냉각파이프(250)가 냉각된 이후에는 냉각장치부(100)로부터 빠져나와 (A2, A3), 산소[0025]
냉각시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제거부(280)를 거치게 된다. 수분이 제거된 산소(A4)는 오존발생장
치부(300) 내부로 인입되어, 1700 내지 2000ppm의 농도인 오존이 발생된다. 물론 이러한 오존의 특정 농도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생성된 오존은 오존공급관(#1)을 따라서 B1 방향으로 냉각장치부(100)쪽으로 인입된다.[0026]
이러한 오존에는 수분이 여전히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는 수분제거부(400)를 거치게 된다. 제[0027]
거된 수분은 수분토출파이프(410)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이어서 수분이 제거된 오존은 오존공급파이프(330)를 따라서 B2 방향으로 흘러가서, 반응장치부(500)를[0028]
통하여 공급된다.
반응장치부(500)는 실린더 형태의 세로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하부에는 공급되는[0029]
오존을 다수의 오존토출구멍을 가진 버블토출장치부(800)가 형성되어 있다.
버블토출장치부(800)에 대한 상세설명은 도 2를 인용하여 이후 설명하기로 한다.[0030]
오존이 반응장치부(500)에 공급되는 양은 1분당 3 내지 6리터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단지[0031]
예시적인 것이고, 반응장치부(500)의 크기, 올리브 오일(700)의 량, 냉각장치부 내부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가
감 가능함은 물론이다.
미세한 버블로 반응장치부(500) 내부에 공급되는 버블은 반응장치부(500) 내부에 미리 공급되어 있는[0032]
올리브오일(700)과 100 내지 150시간동안 상호반응을 하게된다.
약 일주일간 미세한 오존 버블(900)을 공급하여 오존화 오일을 생성하는 반응을 시키도록 한다.[0033]
상기와 같이 오존과 올리브 오일을 반응시키면 반고체 상태의 오존화 오일인 크림이 생성되며, 이를 크[0034]
림토출파이프(570)를 통하여(C) 획득한다.
한편, 반응장치부(500)에서 반응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오존 즉, 배오존은 B3방향으로 따라서 배오[0035]
존배출파이프(580)를 통하여 배오존처리부(600)로 배출된다.
오존 그 자체로 외부에 오존이 토출되면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배오존처리부에서는 활성탄 등 공[0036]
지의 오존 처리수단을 이용하여, 오존을 산소로 변환시킨 후 외부(B4)로 토출한다.
등록특허 10-1784071
- 6 -
도 2를 참조하면, 버블토출장치부의 하부에는 오존공급파이프(330)로부터 공급되는 오존 공급받는 구멍[0037]
(8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버블토출장치부(800)는 미세하게 버블화시킴과 동시에 다단 및 전방향으로 버블을 토출화시키는[0038]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다단이라 함은 도 2와 같이 최상부 토출구멍(812), 중단토출구멍(814), 하단
토출구멍(816)으로 3단의 토출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F3방향으로 토출되는 버블은 수평 또는 비스듬한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토출구멍을 통하여 빠져나오게 되는데,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다.
F2방향으로 토출되는 버블은 중앙통로(819)와 연결되는 중단토출구멍(814)을 통하여 토출되는 것이다.[0039]
이러한 중단토출구멍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70도 내지 89도의 각도를 가지면서, 버블이 강한 상승에느지를 가지
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최상부에서 토출되는 버블은 F1 방향으로 토출되며, 수평 혹은 상방으로 토출된다.[0040]
즉, 통상적 버블발생장치는 버블의 자체 부력만으로 유체 내에 투입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의 오존[0041]
버블(900)을 토출해 내는 버블토출장치부(800)는 상방향, 수평방향, 하부방향을 향하여 전방위로 오존버블을 토
출하기 때문에 올리브오일이 위치한 곳으로 강한 대류현상을 지속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여기서 추가적으로 상부에 버블미세화장치(820)를 장착하여 버블토출장치(800)에서 1차적으로 미세한 버블을 발
생시켰다면, 상기 1차적으로 발생한 미세 버블을 도 3에 도시된 버블미세화장치(820)가 수용하여, 회전 작동함
으로써 2차적으로 버블을 더 미세하게 분해시킨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버블미세화장치(820)는, 상기 버
블토출장치(800)와 상기 반응장치부(500)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축(821)과, 내부에 복수개의 미세홀
(82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821)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82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판(823)으로 구성되
며, 상기 버블토출장치(800)에서 1차적으로 발생한 미세한 버블을 버블미세화장치(820)의 회전을 통하여 2차적
으로 미세화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올리브 오일과 오존의 접촉 빈도는 증가하게 되고, 냉각자치부(100) 내의 저온상태에서 오존화[0042]
올리브 오일 크림이 빠른속도로 생성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0043]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 냉각장치부[0044]
200 : 산소발생장치부
210 : 산소공급파이프
250 : 냉각파이프
280 : 수분제거부
300 : 오존발생장치부
310 : 오존공급관
330 : 오존공급파이프
400 : 수분제거부
410 : 수분토출파이프
500 : 반응장치부
570 : 크림토출파이프
580 : 배오존배출파이프
600 : 배오존처리부
700 : 올리브오일
등록특허 10-1784071
- 7 -
800 : 버블토출장치
820 : 버블미세화장치
900 : 오존버블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784071
- 8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784071
- 9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