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10월13일
(11) 등록번호 10-1449553
(24) 등록일자 2014년10월02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4F 11/18 (2006.01) E04H 17/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3-0035114
(22) 출원일자 2013년04월01일
심사청구일자 2013년04월0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00054584 A*
JP2005068761 A*
KR200164342 Y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영풍금속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별망로 388 (목내동)
(72) 발명자
김회수
경기 안산시 상록구 매화로3길 55, 단독 101호 (
일동)
최범식
경기 시흥시 시청로 59, 508동 1205호 (장현동,
대동아파트)
(74) 대리인
김영환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문지희
(54) 발명의 명칭 핸드레일용 레일과 레일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일 결합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핸드레일용 레일과 레일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일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핸드레일의 레일과
레일이 만나는 코너부에서 상기 레일과 레일을 견고하게 결합함은 물론 상기 각 레일 간의 결합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3
등록특허 10-1449553
- 1 -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포스트와, 복수 개의 수직지주 및, 수직지주에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평지주와,
각 수평지주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간살과, 수평지주의 상방에 위치 및 각 수직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손
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레일이 구비된 핸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의 코너부에서 레일과 다른 레일의 단
부가 맞대어지는 부분에는 상기 레일과 상기 다른 레일 간의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일측 결합부재; 상기 다른 레일의 단부에 끼움 결합됨은 물론 상기 일측 결
합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걸림홈부에 회전가능하게 걸려지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타측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각도조절 결합장치가 구성된 것이다.
등록특허 10-1449553
- 2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포스트와, 복수 개의 수직지주 및, 수직지주에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평지주와, 각 수평지주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간살과, 수평지주의 상방에 위치 및 각 수직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레일이 구비된 핸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의 코너부에서 레일과 다른 레일의 단부가 맞대어지는 부분에는 상기 레일과 상기 다른 레일 간의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일측 결합부재; 상기 다
른 레일의 단부에 끼움 결합됨은 물론 상기 일측 결합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걸림홈부에 회전가능하게 걸려지
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타측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각도조절 결합장치가 구성되되,
상기 일측 결합부재는, 일측 몸체와, 상기 일측 몸체의 외면에서 중앙부까지 형성되는 끼움홈부, 상기 일측 몸
체의 중앙부 일면에 형성되어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걸림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타측 결합부재는, 상기 일측 결합부재의 일측 몸체와 맞닿는 타측 몸체와, 상기 타측 몸체의 중앙부에 돌
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
됨은 물론 회전가능하게 걸리는 걸림돌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레일과 레일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일 결합장치.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걸림홈부의 내면은 일측 결합부재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
성되고, 걸림돌부의 외면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부의 내면과 상기 걸림돌부의 외면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레일과
레일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일 결합장치.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레일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맞대어진 일측 결합부재와 타측 결합부재가 맞닿은 부분의 외면에는 상기 일측
결합부재로부터 타측 결합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분리방지부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레일용 레일과 레일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일 결합장치.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계단이나 베란다 등에 설치되는 핸드레일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핸드레일의 레일과[0001]
레일이 만나는 코너부에서 상기 레일과 레일을 견고하게 결합함은 물론 상기 각 레일 간의 결합 각도를 용이하
게 조절하도록 하는 핸드레일용 레일과 레일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일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핸드레일은 계단이나 베란다 및 다리 등에 설치되어 사람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 [0002]
상기의 핸드레일은 건축물의 계단이나 베란다 및 다리의 외측 상단에 설치되어 건물의 미관을 미려하도록 함은[0003]
물론 상기 계단으로 오르내리거나 상기 베란다 및 다리에 서 있거나 이동하는 보행자의 안전 즉, 추락하는 것을
등록특허 10-1449553
- 3 -
방지한다.
상기 핸드레일은 바닥에 세워진 상태로 결합되는 포스트와,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복수 개의 수직지주 및, 상[0004]
기 각 수직지주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각 수직지주의 외면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상, 하 수
평지주로 이루어진 수평지주와, 상기 상, 하 수평지주 사이에 결합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간살과, 상기 상 수평지주의 상방에 위치 및 각 수직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사람(통행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
도록 한 레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핸드레일은 계단이나 굽어진 길에 핸드레일을 설치할 경우 상기 핸드레일의 코너부 즉, 핸[0005]
드레일의 레일과 레일이 만나는 코너부에서 상기 레일과 레일을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함은 물론 상기 레일과 레
일을 맞닿은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한다.
그러므로, 상기 핸드레일을 경사진 계단 및 바닥과 수평한 상태인 베란다나 다리 등에 설치할 때 상기 설치되는[0006]
장소에 따라 달라지는 레일과 레일 간의 결합 각도를 조절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각도를 조절한 상
태에서 용접 작업을 통해 레일과 레일을 결합하여야 하는 등 상기 핸드레일의 레일과 레일 간 결합작업이 불편
하고 어려움에 따라 작업시간, 비용 및 인력 등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작업 효율성,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의 코너부에서 레일과 레일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핸드레일의 레일 중[0007]
어느 하나의 레일이 손상 및 파손되었을 경우 상기 레일만을 교체할 수 없어 상기 레일을 포함한 핸드레일 전체
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상기 핸드레일을 교체하는 작업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 교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있
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핸드레일의 레일과[0008]
다른 레일 사이에는 걸림홈부를 갖는 일측 결합부재와, 걸림돌부를 갖는 타측 결합부재가 구비된 각도조절 결합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각도조절 결합장치의 일측 결합부재에 형성된 걸림홈부에 상기 타측 결합부재이 걸
림돌부를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결합부재와 타측 결합부재를 연결 결합함은 물론 상기 레일과 다른 레일의
각 단부에 상기 일측 결합부재와 타측 결합부재를 각각 끼움 결합함에 따라 상기 핸드레일의 코너부에서 레일과
다른 레일은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조립 결합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레일과 다른 레일 간의 결합 각도를 손
쉽고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포스트와, 복수 개의[0009]
수직지주 및, 수직지주에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평지주와, 각 수평지주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간
살과, 수평지주의 상방에 위치 및 각 수직지주의 상단에 결합되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 레일이 구비된 핸
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핸드레일의 코너부에서 레일과 다른 레일의 단부가 맞대어지는 부분에는 상기 레일과 상
기 다른 레일 간의 결합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홈부가 형성되는 일측
결합부재; 상기 다른 레일의 단부에 끼움 결합됨은 물론 상기 일측 결합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걸림홈부에 회
전가능하게 걸려지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타측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각도조절 결합장치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레일용 레일과 레일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일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발명의 효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끼움홈부와 걸림홈부가 형성된 일측 결합부재와, 끼움[0010]
부와 걸림돌부가 형성된 타측 결합부재가 구비된 각도조절 결합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각도조절 결합장치의
일측 결합부재를 핸드레일의 레일 단부에 결합함과 함께 상기 타측 결합부재를 다른 레일의 단부에 결합하고,
등록특허 10-1449553
- 4 -
상기 레일과 다른 레일을 서로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일측 결합부재와 타측 결합부재를 회전가능하게 끼움
결합하므로 상기 핸드레일의 코너부에서 레일과 다른 레일은 견고하면서도 용이하게 조립 결합가능할 뿐만 아니
라 상기 핸드레일의 각 레일 간 결합작업에 따른 작업시간, 비용, 인력손실을 절감 및 작업 효율성,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의 코너부에서는 각도조절 결합장치에 의해 핸드레일의 레일과 다른 레일의 결합각도를 용[0011]
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핸드레일은 일정 각도로 경사진 계단 및 바닥과 수평한 상태인 베란다나 다
리 등에서도 용이하게 설치가능하므로 인해 상기 핸드레일을 다양한 형태로 설치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드
레일의 설치에 따른 용이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드레일의 레일과 다른 레일을 조립방식에 의해 결합함으로 상기 각 레일이 손상이나 파손될 경[0012]
우 상기 손상이나 파손된 레일만을 분리하여 교체가능함에 따라 상기 핸드레일의 레일 교체작업이 매우 손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교체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드레일의 각 부품 즉, 레일 교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 핸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0013]
도 2는 본 발명 핸드레일용 각도조절 결합장치가 결합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각도조절 결합장치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각도조절 결합장치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용 레일과 레일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일 결합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0014]
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계단이나 베란다 및 다리의 외측 상단 등에는 건물의 미관을 미려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0015]
계단으로 오르내리거나 상기 베란다 및 다리에 서 있거나 이동하는 보행자의 안전 즉,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
록 핸드레일(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핸드레일(1)은 도 1에서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복수 개의 수직지주(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0016]
기 각 수직지주(10) 사이에는 각 수직지주(10)의 외면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평지주
(20)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수평지주(20) 사이에는 상기 각 지주(10,20) 사
이로 사람이 빠지면서 발생할 수 있은 안전사고를 방지 및 물건이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간살(30)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수직지주(10) 중 어느 하나의 수직지주(10) 측방에는 상기 수평지주(20)의 단부 및 후술할 레[0017]
일(50)의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포스트(40)가 바닥에 세워진 상태로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측에 위치
하는 수평지주(20)의 상방에 위치 및 수평지주(20)에 결합됨은 물론 상기 각 수직지주(10)의 상단에 결합되어
통행자가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레일(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직지주(10)와 수평지주(20) 및 간살(30), 포스트(4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0018]
상기 핸드레일(1)의 코너부에서 상기 레일(50)과 다른 레일(50')의 단부가 서로 맞대어지는 부분에는 도 1에서[0019]
와 같이 상기 레일(50)과 다른 레일(50')을 견고하면서 용이하게 조립 결합함은 물론 상기 핸드레일(1)의 코너
부에서 상기 레일(50)과 상기 다른 레일(50') 간의 결합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각도조절 결합장치(100)가 구비
되어 있다.
상기 각도조절 결합장치(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레일(50)의 단부에는 억지 끼움 결합되는 일측 결합부재[0020]
(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다른 레일(50')의 단부에는 억지 끼움 결합됨은 물론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 결합되는 타측 결합부재(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의 외관인 일측 몸체(111)가[0021]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 몸체(111)에는 후술할 타측 결합부재(120)의 끼움부(122)가 끼워지는 상태로 삽입되
등록특허 10-1449553
- 5 -
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일측 몸체(111)의 외면에서 중앙부까지 끼움홈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몸체(111)의 중앙부 일면에는 후술할 타측 결합부재(120)의 걸림돌부(123)가 회전가능하게 삽입 위치하도록 내
측으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걸림홈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측 결합부재(1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일측 결합부재(110)의 일측 몸체(111)와 맞닿는 상기[0022]
타측 결합부재(120)의 외관인 타측 몸체(1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측 몸체(121)의 중앙부에는 상기 끼움홈
부(112)에 끼워지는 상태로 삽입되어 상기 끼움홈부(112)를 따라 이동가능한 끼움부(12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
며, 상기 끼움부(122)의 단부에는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와 타측 결합부재(12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홈부(113)에 삽입됨은 물론 회전가능하게 걸리는 걸림돌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의 끼움홈부(112) 내면은 도면에서와 같이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0023]
홈부(113)의 내면은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측 결합부재(120)의 끼움부(122)는 도면에서와 같이 끼움홈부(112)의 폭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0024]
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돌부(123)의 외면은 상기 타측 몸체(121)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
로 작아지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부(113)의 내면과 상기 걸림돌부(123)의 외면은 라운드 형상은 물론 각이 진 형상 등 서로 맞물리[0025]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홈부(113)의 내면과 상기
걸림돌부(123)의 외면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의 일측 몸체(111) 외면에는 상기 레일(50)의 단부와 접촉되는 일측 플랜지(114)가 상[0026]
기 일측 몸체(11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측 결합부재(120)의 타측 몸체(121) 외면에는 상기
다른 레일(50')의 단부와 접촉되는 타측 플랜지(124)가 상기 타측 몸체(12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드레일(1)의 코너부 즉, 상기 각 레일(50,50')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맞대어진 일측 결합부재(110)와 타[0027]
측 결합부재(120)가 맞닿은 부분의 외면에는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의 끼움홈부(112)와 걸림홈부(113)에 삽입
되어 있는 상기 타측 결합부재(120)의 끼움부(122)와 걸림돌부(123)가 탈거되면서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로부
터 타측 결합부재(1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드레일(1)의 코너부에서 상기 일측 결합부
재(110)와 타측 결합부재(120)가 맞닿은 부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분리방지부재(130)가 결합되어 있
다.
상기 분리방지부재(130)는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와 타측 결합부재(120)의 분리 방지 및 견고하게 결합함은[0028]
물론 상기 핸드레일(1)의 코너부 미관이 미려하도록 금속링 또는 일정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및 고무재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핸드레일(1)의 코너부에서 상기 핸드레일(1)의 레일(50)과 다른 레일(50')의 단부[0029]
가 맞대어지는 부분에 각도조절 결합장치(100)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레일(50)과 다른 레일(50')은 서로 연결
결합됨은 물론 상기 레일(50)과 다른 레일(50') 간의 결합각도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 결합장치(100)를 레일(50)과 다른 레일(50')에 결합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상기 다른 레[0030]
일(50')의 단부에 걸림돌부(123)가 형성된 상기 각도조절 결합장치(100)의 타측 결합부재(120)를 위치시킨 후
상기 다른 레일(50')의 단부 측에 상기 타측 결합부재(120)의 타측 몸체(121)를 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타측 결합부재(120)의 전방 측에 상기 각도조절 결합장치(100)의 일측 결합부재(110)를 위치[0031]
시킨 다음 상기 타측 결합부재(120)의 걸림돌부(123)를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의 걸림홈부(113)에 회전가능하
게 걸어지도록 결합한다.
즉, 타측 결합부재(120)의 타측 몸체(121) 중앙부에 형성된 끼움부(122)를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의 일측 몸[0032]
체(111)에 형성된 끼움홈부(112)로 삽입 즉,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의 일측 몸체(111) 중앙부에 위치할 때까
지 끼움부(122)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타측 결합부재(120)의 끼움부(122) 단부에 형성된 걸림돌부(123)는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의 걸림[0033]
홈부(113)를 따라 이동 즉, 상기 걸림돌부(123)의 외면과 상기 걸림홈부(113)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부(113)를 따라 걸림돌부(123)가 이동한다.
등록특허 10-1449553
- 6 -
상기 일측 몸체(111)의 중앙부 측의 걸림홈부(113)에 걸림돌부(123)가 위치하게 되면 상기 걸림홈부(113)에 걸[0034]
어지는 걸림돌부(123)에 의해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와 상기 타측 결합부재(120)는 회전가능하게 연결 결합된
다.
이때,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와 상기 타측 결합부재(120)가 서로 맞닿는 부분의 외면을 감싸도록 분리방지부[0035]
재(130)를 결합하여, 상기 분리방지부재(130)에 의해 걸림돌부(123)가 걸림홈부(113)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
됨에 따라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와 타측 결합부재(1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일측 결합
부재(110)와 타측 결합부재(120)가 맞닿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핸드레일(1)의 코너부를
비롯한 핸드레일(1)의 전체 미관을 미려하도록 하였다.
상기 다른 레일(50')에 결합된 타측 결합부재(1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 결합된 일측 결합부재(110)를 상기 레[0036]
일(50)의 단부에 위치시킨 다음, 상기 레일(50)의 단부 측에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의 일측 몸체(111)를 끼움
방식으로 삽입하여 빠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한다.
그러므로,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와 타측 결합부재(120)에 의하여 상기 핸드레일(1)의 코너부에서 레일(50)과[0037]
다른 레일(5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핸드레일(1)을 설치하고자 장소 즉, 계단이나 베란다 및 다리
또는 경사진 비탈면 등 상기 핸드레일(1)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사도에 따라 상기 일측 결합부재(110)를 중심으
로 타측 결합부재(120)를 회전 또는, 상기 타측 결합부재(120)를 중심으로 일측 결합부재(110)를 회전시켜 상기
레일(50)와 다른 레일(50') 간의 결합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레일(50)과 다른 레일(50')의 결합각도가 조절된 상태의 핸드레일(1)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0038]
소에 시공하거나 또는, 상기 핸드레일(1)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상기 레일(50)과 다른 레일(50') 간의 결합각도
를 조절하면서 상기 핸드레일(1)을 시공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핸드레일용 레일과 레일 간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레일 결합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0039]
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
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
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핸드레일 10: 수직지주[0040]
20: 수평지주 30: 간살
40: 포스트 50: 레일
100: 각도조절 결합장치 110: 일측 결합부재
111: 일측 몸체 112: 끼움홈부
113: 걸림홈부 114: 일측 플랜지
120: 타측 결합부재 121: 타측 몸체
122: 끼움부 123: 걸림돌부
124: 타측 플랜지 130: 분리방지부재
등록특허 10-1449553
- 7 -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449553
- 8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449553
- 9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