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8년10월15일
(11) 등록번호 10-0863555
(24) 등록일자 2008년10월08일
(51) Int. Cl.
B21B 39/14 (2006.01)
(21) 출원번호 10-2002-0045438
(22) 출원일자 2002년07월31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07월27일
(65) 공개번호 10-2004-0012081
(43) 공개일자 2004년02월1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3264112 A
KR1019940006655 A
KR1020010060713 A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포스코
경북 포항시 남구 괴동동 1번지
(72) 발명자
김중곤
전라남도광양시금호동700번지광양제철소내
이제관
전라남도광양시금호동700번지광양제철소내
(74) 대리인
김익환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김수형
(54)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57) 요 약
크롭시어의 전면 가까이에 설치되어, 이송 롤러상에 설치되고 압연 소재인 바의 이송방향을 조정토록 설치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한 사이드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이송 롤러의 하부면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4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42)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22)와, 상기 샤프트(22)의 상단에는 베어
링(20)이 구비되며, 베어링(20)의 외주면으로 피치가 형성된 피니언 기어(16)와, 상기 피니언 기어(16)를 중심으
로 베이스 프레임(42) 상부면에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형상의 슬라이드 가이드(24)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
(24)에 안내되도록 내설되며, 이송 롤러(170)의 종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16)와 접하는 면에 랙 기어
(38a,b)가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16)를 중심으로 슬라이드 가이드(24)내에서 점대칭 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블
록(36a,b)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36a,b)에 각각 사이드 가이드 써포트(12a,b)로 고정되는 사이드 가이드판
(10a,b)과, 상기 사이드 가이드판(10a,b)의 이동에 따라 절첩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슬라이드 가이드(24)의 상부
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커버(52)와, 상기 슬라드 커버(52)와 슬라이드 가이드(24) 사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냉
각수가 흐르는 관로가 설치된 기어박스 커버(54)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크롭시어 전면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여
크롭시어에 바가 진입하기 직전 바의 중심선을 정확하게 조정함으로써 바 선단의 전단성을 향상시키고, 사상압연
기로 진입시 정확한 센터링 작업이 이루어지며, 과 부하시 신속하게 사이드 가이드판이 벌려져 제품표면 품질 향
상은 물론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대 표 도
- 1 -
등록특허 10-0863555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크롭시어의 전면 가까이에 설치되어, 이송 롤러상에 설치되고 압연 소재인 바의 이송방향을 조정토록 설치되는
가이드 수단을 구비한 사이드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이송 롤러의 하부면에 종 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4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42)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샤프트(22)와,
상기 샤프트(22)의 상단에는 베어링(20)이 구비되며, 베어링(20)의 외주면으로 피치가 형성된 피니언 기어(16)
와,
상기 피니언 기어(16)를 중심으로 베이스 프레임(42) 상부면에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형상의 슬라이드 가이
드(24)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24)에 안내되도록 내설되며, 이송 롤러(170)의 종 방향으로 상기 피니언 기어(16)와 접하
는 면에 랙 기어(38a,b)가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16)를 중심으로 슬라이드 가이드(24)내에서 점대칭 되도록 설
치된 슬라이드 블록(36a,b)과,
상기 슬라이드 블록(36a,b)에 각각 사이드 가이드 써포트(12a,b)로 고정되는 사이드 가이드판(10a,b)과,
상기 사이드 가이드판(10a,b)의 이동에 따라 절첩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슬라이드 가이드(24)의 상부에 설치되
는 슬라이드 커버(52)와,
상기 슬라드 커버(52)와 슬라이드 가이드(24) 사이에 설치되고, 그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관로가 설치된 기어
박스 커버(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압연 소재인 바(Bar)를 정확하게 유도하는 사이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23>
롭시어에 바가 진입하기 전에 바를 중심선에 정확하게 조정함으로써 바 선단의 절단성을 향상시키고, 사상압연
기에 진입시 정확한 센터링 작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연소
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열연공정은 제강 공정의 연속 주조기로부터 공급 받은 슬래브를 가열로에서<24>
압연에 적당한 온도로 재 가열하여 추출한 후, 조압연기에서 폭 압연 및 두께 압연을 실시하고, 사상압연기에
서 수요자가 원하는 두께의 제품으로 최종 두께 압연을 실시하여 코일 제품을 생산한다.
상기의 작업과정 중 조압연기에서 가열로에서 추출된 슬래브를 바 형상으로 압연하여 다수개의 구동롤로 이루<25>
어진 이송 테이블 상으로 바를 이송하여 크롭시어에서 바의 선단과 후단에 형성된 피시 테일(Fish Tail)형상을
절단한 다음, 바의 표면에 형성된 스케을을 제거하는 스케일 브레이커(Fishing Scale Breaker)를 통하여 표면
처리된 다음, 사상압연기를 통하여 제품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작업공정을 정밀하게 수행가기 위해서는 이동중인 바가 크롭시어에서의 절단작업 및 사상압연<26>
기에 진입시 정확한 중심선을 따라 항상 일정하게 이동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할 경우, 크롭시어에 진입시 바
가 사행되어 바의 절단면이 불량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후 공정인 사상압연기에서 진입할 때도 사행되어 제품
표면에 긁힘흠이 발생되며, 스트립의 에지부분이 접혀진 상태로 압연되는 접귀가 발생되고, 이송되면서 바의
사행에 따른 타장치와의 충돌로 설비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동테이블상에서 진입하는
바의 이송 상태를 양측에서 가이드하기 위한 사이드 가이드 장치가 필수적이다.
- 2 -
등록특허 10-0863555
종래의 사이드 가이드 장치는 도 1에서 도시 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압연바(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가이드<27>
판(120)과 이를 전·후진 시켜 바(100)의 폭에 맞추어 가이드 폭을 조정하기 위한 구동부(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부(130)는 가이드판(120)의 측면에 일단이 고정된 푸셔바(140)가 설치되고, 푸셔바(140)의 저부에 랙
기어(162)가 설치된다. 또한, 전·후의 푸셔바 사이에는 전동모터(164)가 설치되고, 전동모터(164)의
구동축(166)에는 푸셔바(140)의 랙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60)가 설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사이드 가이드 장치는 상기 구동모터(164)의 구동에 의해 피니언<28>
기어(160)가 회전운동되고, 이와 맞물린 랙기어(162)가 직선운동 하면서 푸셔바(140)를 전·후진시켜 이송 롤
러를 따라 경사진 가이드 판(120)을 통하여 진입하는 바(100)의 폭에 따라 이송 롤러의 길이방향 양측으로 가
이드판(120)이 서로 좁혀지거나 넓혀지는 상태로 진입되는 바(100)를 중심선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후 공정인 절단 및 스케일제거, 그리고 사상압연작업 등의 압연바 가공작업이 원활하고 정밀하게 수행<29>
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이드 가이드 장치는 실질적으로 가이드판(1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모<30>
터(130)와 이에 감속기를 개재하여 연결된 피니언 기어(160) 및 랙기어(162)가 설치된 기어박스가 이송 롤러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작종되어 지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바의 휨
발생이 클 경우 가이드판(120)에 큰 토크가 걸리게 되는데, 큰 토크가 걸린 상태에서도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
지지 않아 연속작업을 하므로, 바가 상하로 휘어져 품질이 저하된다. 그리고, 가이드 장치 본체가 파손되는 등
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특히 가이드판(120)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양쪽에서 각각 작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
밀한 센터링 작업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동중인 바가 크롭시어에서의 절단작업 및 사상압연기에 진입시 정확한 중심선을 따라 항상 일정하게<31>
이동되면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상압연기 전면인 크롭시어 전면 가까이에 설치되어야 하나, 작업특
성상 크롭시어 전면의 공간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종래의 가이드 장치는 크롭시어
전면에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롭시어 전면 가까이에 사이드 가이드 장치를 설치하<32>
여 크롭시어에 바가 진입하기 전에 진행되는 바를 정밀하게 센터링한 상태에서 절단함으로써, 바 선단의 절단
성을 향상시키고, 사상압연기에 정밀하게 센터링된 상태에서 진입될 수 있도록 하며, 과 부하시 사이드 가이드
가 신속하게 작동하여, 제품표면 품질 향상은 물론 충돌로 인한 설비사고를 예방할수 있도록 하는 압연소재 센
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 이송주인 바를 기준으로 종 방향으로 이동할<33>
수 있도록 작동하는 종 방향 이동수단과, 상기 종 방향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실질적인 바의 가이드를 수행하는
가이드 수단과, 고온의 바 진행에 따라 열이 발생되어 이동수단의 기어박스부에 발생되는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열차단 수단을 포함하는 발명이 제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34>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위해 도면을 통한 설명이 추가되나 당업자에게는 본 발명이 이<35>
들의 상세한 설명이 없이도 실시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명백할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된 특징부 내지 요소들에 대해서는 그<36>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것은 본 발명의 개시를 불필요하게 애매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이드 가이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크게 이송중인 바를 기준으로 종<37>
- 3 -
등록특허 10-0863555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종 방향수단과, 상기 종 방향 이동수단에 연결되어 실질적인 바의 가이드
를 수행하는 가이드 수단과, 고온(980~1040℃)의 바 진행에 따라 열이 발생되어 이동수단의 기어박스에 발생되
는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열차단 수단으로 이루어 진다.
먼저, 종 방향 이동수단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8>
도 3 내지 도 7 에서는 이와 같은 종 방향 이동수단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종 방향 이동수단의 구성을 도 7<39>
과 각각의 도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송 롤러(170) 하부면에 베이스 프레임(42)이 종 방향으로 설치되
고, 베이스 프레임(42)의 중간 홀(42a)에는 다단으로 가공된 샤프트(22)가 삽입되어지며, 삽입된 샤프트(22)는
베이스 프레임(42) 하부면을 통하여 와셔(44)와 로크너트(46)에 의해 체결되어 진다.(도 6b 참조)
그리고, 샤프트(22) 외측면으로는 볼 베어링(20)이 삽입되며, 엔드 플레이트(18)가 샤프트(22) 상부면 홀에 고<40>
정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볼 베어링(20)을 고정하고, 이후 볼 베어링(20) 외측면으로 피니언 기어(16)가 삽입되
며, 2단 구조의 커버(14)가 피니언 기어(16) 상부면에 체결되어진다.
또한, 상기의 베이스 프레임(42) 상부면으로는 2개의 '┗'자와 '┛'자 형상의 슬라이드 가이드(24)가 체결되며,<41>
슬라이드 가이드(24)의 홀(24a)에는 다수개의 캠 플로워(32)가 삽입되어 고정수단(34)에 의해 체결되고, 하나의
슬라이드 가이드(24)의 내측면으로는 블록(26)이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되며, 블록(26)에는 다수개의 롤러 플로
워(30)가 고정수단(28)에 의해 체결되어 진다.(도 6c 참조)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자 형상이며, 좌우측으로 'ㄷ'자형 홈이 가공된 슬라이드 블록(36a)이 도 6a에 도시<42>
된 바와 같이 상기의 슬라이드 가이드(24)의 캠 플로워(32)에 삽입되는 구조로 체결되어 지며, 슬라이드 블록
(36a)내측면으로는 랙 기어(38a)가 체결되는데, 이때 피니언 기어(16)와 맞물려지는 구조로 체결되어 진다. 또
한, 반대쪽으로도 전체적으로는 '┑'자 형상이며, 좌우측으로 'ㄷ'자형 홈이 가공된 슬라이드 블록(36b)이 상기
의 슬라이드 가이드(24)의 캠 플로워(32)에 삽입되는 구조로 체결되어 지며, 슬라이드 블록(36b)가 체결되는데,
이때도 피니언 기어(16)와 맞물려 지는 구조로 체결되어 진다.
이후, 상기의 슬라이드 블록(36a)의 홀에는 'S'자 형상의 사이드 가이드 써포트(12a)가 체결되며, 반대편의 슬<43>
라이드 블록(36b)의 홀에도 'S'자 형상의 사이드 가이드 써포트(12b)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와 똑같은 구조의 이송수단이 도 7 우측면에 도시 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전면의 사이드 가이드판<44>
(10a)은 2개의 사이드 가이드 써포트(12a)에 의해 체결되어지고, 후면의 사이드 가이드판(10b)도 2개의 사이드
가이드 써포트(12b)에 의해 체결되어 진다.
또한, 2 개의 슬라이드 블록(36a)전면에는 클레비스(40)가 체결되며, 클레비스(40)에는 유압실린더(48)가 체결<45>
되어 진다.
그리고, 고온(980~1040℃)의 바 진행에 따라 열이 발생되어 이동수단의 기어박스부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열<46>
차단 수단(50)은 도 8과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이송수단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냉각수용 파이
프(56)가 기어박스커버(54)의 하부면에 체결된 상태에서 기어박스 커버(54)가 상기의 슬라이드 가이드(24) 상부
면에 고정수단에 의해 체결되어지고, 기어박스 커버(54) 상부면에는 텔레스코프 타입(Telescope Type)의 슬라이
드 커버(52)가 체결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47>
종 방향 이동수단은 이송중인 바(100)를 기준이로 종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48>
(48)는 클레비스(40)에 체결되어 슬라이드 블록(36a)을 전후진 작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블록(36a)에 체결된
랙 기어(38a)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며, 이때 슬라이드 블록(36a)의 'ㄷ'자형 홈이 슬라이
드 가이드(24)에 삽입되어 체결된 캠 플로워(32)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드 가이드(24) 내측면에 체결된 블록(26)의 다수개의 롤러 플로워(28)는 슬라이드 블록(36a)이 전<49>
후진 할 때 하부면에서 슬라이딩 되게 하면서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42)의샤프트(22)에 체결된 피니언 기어(16)는 상기에서의 작용에서 랙기어(38a)가 직선<50>
운동을 할 때 회전운동을 하는 것으로, 이때 반대편에 설치된 랙 기어(38b)를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시켜 슬라
- 4 -
등록특허 10-0863555
이드 블록(36b)을 전후진 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양쪽편의 슬라이드 블록(36a,b)상부면에 사이드 가이드 써포
트(12a,b)에 의해 체결된 사이드 가이드판(10a,b)을 좁협다 벌렸다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의 작용에 의해 유압실린더(48)가 전진하여 슬라이드 블록(36a)을 전진시키면 랙기어(38a)가 직선운동을 하<51>
는 동시에 피니언 기어(16)가 회전운동을 하고, 이와 동시에 랙기어(38b)가 직선운동을 하여 사이드 가이드판
(10a,b)을 작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열차단 수단(50)은 고온(980~1040℃)의 바(100)가 진행됨에 따라 열이 발생되어 이동수단인 기어박스부가 열 변<52>
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이송수단의 상
부면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수용 파이프(56)에는 냉각수가 통과할 수 있게 하여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기
어박스 커버(54)는 바(100)에서 발생되어 떨어지는 스케일 및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텔레스코
프 타입으로 되어 사이드 가이드판(10a,b)이 작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에서와 같은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0에 의거 설명한다.<53>
먼저, 작업이 시작되면 본 발명 장치인 사이드 가이드 장치는 초기상태로 홈 포지션에서 대기하게 된다. 이 상<54>
태는 퀵 오픈상태가 된다. 가열된 슬라브가 가열로에서 추출되어 조압연기에서 3~5회 패스되면서 조압연 작업이
완료되어 바(100)의 형상으로 제조가 되면 감시 컴퓨터 제어(Supervisory Computer Contrpl)로 부터 바(100)의
소재정보(폭 실적, 예:1,000㎜)를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바(100)의 폭 정보 수신 및 냉각수 파이프(56)에 입수가 시작되고, 바(100)가 제 1 센서를 통과되면,<55>
유압실린더(48)가 작동되어 본 발명의 사이드 가이드 장치의 사이드 가이드판(10a,b)의 폭은 바(100)의 폭 대비
400㎜(예)의 상태로 대기하게 되고, 유압실린더(48)는 정지하게 된다. 바(100)의 폭이 예를 들어 1,000㎜이므
로 결과적으로 사이드 가이드판(10a,b)의 폭은 1,400㎜의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바(100)가 제 2 센서를 통과하게 되면, 유압실린더(48)가 작동되어 사이드 가이드판(10a,b)의 폭은 바(100)의폭<56>
대비 100㎜(예)의 상태로 대기하게 되고, 유압실린더(48)는 정지하게 된다. 바(100)의 폭이 예를 들어 1,000㎜
이므로 결과적으로 사이드 가이드판(10a,b)의 폭은 1,100㎜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바(100)가 제 3 센서를 통과하게 되면 유압실린더(48)가 작동되어 사이드 가이드판(10a,b)의 폭은 바<57>
(100)의폭 대비 10㎜(예)의 상태로 대기하게 되고 유압신린더(48)는 정지하게 된다. 바(100)의 폭이 예를 들어
1,000㎜이므로 결과적으로 사이드 가이드판(10a,b)의 폭은 1,010㎜의 상태로 가이드 할 수 있게 대응되는 것이
며, 이때부터 압력제어센서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이송 롤러(170)를 따라 이동된 바(100)는 사이드 가이드판(10a,b)의 경사면에 먼저 접촉하여 안내 되<58>
면서 사이드 가이드판(10a,b)에 진입하게 된다.
이에, 압력을 체크하게 되는데, 무리한 압력으로 가이드가 된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바(100)의 상태가 심하게 굽<59>
어있는 상태가 되므로 일정압력 이상인데도 계속하여 가이드 할 경우 설비 파손 및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기 때
문에 압력을 체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압력이 얼마인가를 판단하여 일정압력(예:12Ton/㎤)이상이거나 같으면
이는 불량 소재로서 오작처리 하게된다.
상기에서, 압력이 얼마인가를 판단하여 일정압력(예:12Ton/㎤)이상이거나 같으면 바(100)의 선단이 크롭시어를<60>
통과하면서 바(100)의 선단이 절단 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되고, 바(100)의 선단이 절단되었다면, F1 스텐드에 진
입하였는가를 판단하여 절단 되지 않았다면 아직 작업이 진행되지 않았으므로 사이드 가이드 장치를 퀵 오픈하
여 설비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바(100)의 선단이 절단되고 F1 스텐드에 진입한 상태라면 사이드 가이드 장치만 퀵 오픈하여 연속작업<61>
을 하게 되고, 바(100)의 선단이 절단되고, F1 스텐드에 진입한 상태가 아니라면 사이드 가이드를 퀵 오픈하고,
이송 롤러(170)을 역 회전시켜 바를 진행방향의 역으로 주행시켜서 롤러 테이블 상에서 오작처리하고 오작처리
가 완료되면, 다시 이송 롤러(170)를 정 회전시켜 연속압연할 것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에서 압력이 얼마인가를 판단하여 일정압력(예:12Ton/㎤)이하이면, 계속하여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다시<62>
압력이 얼마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압력이 일정압력(예:10Ton/㎤)이하이면 사이드 가이드 장치가 바
(100)의 폭 대시 10㎜(예)의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계속하여 작업을 진행되고, 압력이 얼마인가를 판단하여 일
정압력(예:10Ton/㎤)이하이면 사이드 가이드 장치가 바(100)의 폭 대비 10㎜(예)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먼
저, 바(100)의 선단을 절단 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 5 -
등록특허 10-0863555
상기에서 바(100)의 선단을 절단 했는가를 판단하여 절단이 않된 상태라면 바(100)의 폭 대비 10㎜(예)의 상태<63>
를 유지하다가 절단이 완료되면 사이드 가이드 장치를 퀵 오픈하게 되고, 퀵 오픈 된 상태에서 바(100)는 연속
하여 통판하게 된다.
상기의 작업과정에서 바(100)의 선단이 크롭시어 상에 진입하면서 바(100)의 선단은 절단되는 것으로, 절단될<64>
때 사이드 가이드 장치의 안내를 받은 바(100)는 압연라인의 정 중심선상에 위치한 상태가 되고, 가이드 한 상
태에서 절단이 되기 때문에 절단면이 정밀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바(100)가 진행되어 바의 후단이 크롭시어 상을 통과하게 되면 바(100)의 후단이 절단되고, 사이드 가<65>
이드 장치가 바(100)의 폭 대비 10㎜(예)의 상태로 대응하고 있는가를 판단하여 대응하고 있다면 유압실린더
(48)를 작동시켜 사이드 가이드 장치를 홈 포지션으로 이동하여 대기시키고, 사이드 가이드 장치가 바(100)의
폭 대비 10㎜(예)의 상태로 대응하고 있는가를 판단하여 퀵 오픈 상태이면 연속압연 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연
속압연이 진행되지 않으면 냉각수 파이프(56)의 냉각수를 차단 후 작업이 종료되는 것이고, 연속압연이 진행되
면 초기 공정으로 진행되어 연속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발명의 효과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는 크롭시어 전면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여 크롭<66>
시어에 바가 진입하기 직전 바의 중심선을 정확하게 조정함으로써 바 선단의 전단성을 향상시키고, 사상압연기
로 진입시 정확한 센터링 작업이 이루어지며, 과 부하시 신속하게 사이드 가이드판이 벌려져 제품표면 품질 향
상은 물론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가이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1>
도 2는 본 발명의 사이드 가이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가이드 장치의 평명도이며,<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가이드 장치의 정면도이고,<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가이드 장치의 측면도이며,<5>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 박스부의 평면도이고,<6>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이고,<7>
도 6c는 도 6a의 B-B선 단면도이고,<8>
도 7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며,<9>
도 8a,b,c은 본 발명중 열차단 장치부를 나타낸 도면이고,<10>
도 9는 본 발명중 열차단 장치부의 분해 사시도이고,<11>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이다.<12>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3>
10a, 10b : 사이드 가이드 12 : 사이드 가이드 써포트<14>
16 : 피니언 기어 22 : 샤프트<15>
24 : 슬라이드 가이드 26 : 블록<16>
30 : 롤러 플로워 32 : 캠 플로워<17>
36a, 36b : 슬라이드 블록 38a, 38b : 랙기어<18>
42 : 베이스 프레임 48 : 유압실린더<19>
52 : 슬라이드 커버 54 : 기어박스커버<20>
- 6 -
등록특허 10-0863555
56 : 냉각수용 파이프 100 : 바<21>
170 : 이송롤러<22>
도면
도면1
도면2
- 7 -
등록특허 10-0863555
도면3
- 8 -
등록특허 10-0863555
도면4
- 9 -
등록특허 10-0863555
도면5
- 10 -
등록특허 10-0863555
도면6a
- 11 -
등록특허 10-0863555
도면6b
도면6c
- 12 -
등록특허 10-0863555
도면7
- 13 -
등록특허 10-0863555
도면8a
도면8b
도면8c
- 14 -
등록특허 10-0863555
도면9
- 15 -
등록특허 10-0863555
도면10
- 16 -
등록특허 10-0863555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side guiding apparatus for slab's centering of slab)
2018. 3. 20.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