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45) 공고일자 2011년07월19일
(11) 등록번호 20-0454668
(24) 등록일자 2011년07월12일
(51) Int. Cl.
C02F 11/00 (2006.01) B65G 53/58 (2006.01)
B65G 53/04 (2006.01)
(21) 출원번호 20-2009-0004638
(22) 출원일자 2009년04월17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04월17일
(65) 공개번호 20-2010-0010552
(43) 공개일자 2010년10월2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424354 Y1
KR1020090024550 A
(73) 실용신안권자
(주)엠티엠
경기 시흥시 정왕동 1259-6
(72) 고안자
김용철
경기 시흥시 장곡동 828 진말 우성아파트 115동
1701호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이강옥
(54)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
(57) 요 약
본 고안은 각종 오수 및 폐수처리장의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서 처리된 탈수케익이나 슬러지("케이크"라고도 함)
와 같은 협잡물(挾雜物)을 에어 이송 콘베이어를 통해 배출시킬때 발생하는 배출압력에 의한 진동을 줄임과 동시
에 저장용기 및 처리장으로 협잡물이 낙하되는 과정에서 퍼짐이 일어는 것을 해소시켜 심한 악취없는 작업장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악취로 인한 인근 주민들에게까지 피해를 주게되는 민원 발생을 해
소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오수 및 폐수처리장의 협잡물 종합 처리기(10)에서 처리된 탈수케익이나 슬러지와 같은 협잡
물(挾雜物)을 에어 이송 콘베이어(20)를 통해 배출시켜 별도의 저장용기에 보관하였다가 법정 폐기물로 지정 처
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오폐수 협잡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이송 콘베이어(20)에 연결되어 협잡물을 처리장으로 이송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협잡물배출관
(30)의 말단에 협잡물의 배출압력을 저감시키는 감압기(10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
압력 감압기에 의해 달성된다.
대 표 도 - 도3
등록실용신안 20-0454668
- 1 -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오수 및 폐수처리장의 협잡물 종합 처리기(10)에서 처리된 탈수케익이나 슬러지와 같은 협잡물(挾雜
物)을 에어 이송 콘베이어(20)를 통해 배출시켜 별도의 저장용기에 보관하였다가 법정 폐기물로 지정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오폐수 협잡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이송 콘베이어(20)에 연결되어 협잡물을 처리장으로 이송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협잡물
배출관(30)의 말단에 협잡물의 배출압력을 저감시키는 감압기(10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
의 배출압력 감압기.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기(100)는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식으로 협잡물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부가 개방된 본체(110) 내부에 일단이 내측면에 고정되어서 상부가 모아지는 열십자 또는 삼각형
태를 이루며 지지대(111)가 형성되어 지되, 상기 지지대(111)의 상부에는 반발스프링(114)이 삽입 설치되어 있
는 안내관체(113)를 포함하는 스프링설치브라켓(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설치브라켓(112)의 반발스프
링(114) 반발력을 받도록 안내관체(113)의 외측으로 삽입 설치되어지는 피스톤관체(116)가 저면으로 설치되어
있는 압력저감플레이트(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는 협잡물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협
잡물유입관(121)을 구비함과 동시에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공기배출구(122)를 포함하는 덮개(120)가 설치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
청구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저감플레이트(115)는 에어 이송 콘베이어(20)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협잡물
의 배출압력 감압 및 진동 분산이 가능한 고깔형태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
명 세 서
고안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고안은 각종 오수 및 폐수처리장의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서 처리된 탈수케익이나 슬러지("케이크"[0001]
라고도 함)와 같은 협잡물(挾雜物)을 에어 이송 콘베이어를 통해 배출시킬 때 발생하는 배출압력에 의한 진동
을 줄임과 동시에 저장용기 및 처리장으로 협잡물이 낙하되는 과정에서 퍼짐이 일어나는 것을 해소시켜 심한
악취 없는 쾌적한 환경의 작업장을 유지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악취로 인한 인근 주민들에게까지 피해를 주게
되어 민원 발생을 해소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각종 오수 및 폐수처리장의 협잡물 종합 처리기에서 오수 및 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0002]
협잡물을 침전시켜 분리하고 탈수시켜 수분을 제거한 탈수케익이나 슬러지로 형성된 각종 협잡물 덩어리를 에
어 이송 콘베이어로 투입하여 저장용기 또는 처리장으로 보내 처리하게 된다.
상기 에어 이송 콘베이어를 통해 협잡물을 배출 처리할때 고압의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배출이송관을[0003]
통해 저장용기 및 처리장으로 보내게 되는데, 협잡물을 배출시키는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 협잡물이 낙하될때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고, 상기의 진동은 주변기기에 영향을 미쳐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게 요인이 되어 대
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고압에 의해 협잡물이 낙하 배출됨으로써, 협잡물의 퍼짐이 야기되어 협잡물에 의한 처리장의 주[0004]
변 오염이 초래함과 동시에 작업장의 환경이 악화되어져 근로자가 비위생적인 상태에서 근로를 해야 하는 단점
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협잡물이 퍼질경우, 악취의 발생이 배가(倍加)되어 악취로 인한 인근 주민들에게까지 피해를[0005]
등록실용신안 20-0454668
- 2 -
주게되어서 민원 발생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었다.
고안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고안은 종래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기의 협잡물 배출압력에 의해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0006]
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에어 이송 콘베이어로부터 압송되는 협잡물을 저장용기 또는 처리장으로 보낼 수 있도록
연결설치되어진 협잡물배출관의 말단에 감압기를 설치하고, 설치된 감압기를 거쳐 협잡물을 배출 시킴으로써,
배출되는 협잡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현저하게 저감시켜 진동에 의해서 주변기기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
제점을 해소함과 더불어 저장용기 및 처리장으로 협잡물이 낙하되는 과정에서 퍼짐이 일어는 것을 해소시켜 심
한 악취없는 쾌적한 환경의 작업장을 유지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악취가 인근 주민들에게까지 피해를 주게 되
는 민원의 발생요인을 해소한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오수 및 폐수처리장의 협잡물 종합 처리기(10)에서 처리된 탈[0007]
수케익이나 슬러지와 같은 협잡물(挾雜物)을 에어 이송 콘베이어(20)를 통해 배출시켜 별도의 저장용기에 보관
하였다가 법정 폐기물로 지정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오폐수 협잡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이송 콘베이어(20)에 연결되어 협잡물을 처리장으로 이송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협잡물[0008]
배출관(30)의 말단에 협잡물의 배출압력을 저감시키는 감압기(10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용 협잡물
의 배출압력 감압기에 의해 달성된다.
효 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는, 에어 이송 콘베이어(20)로부터[0009]
압송되는 협잡물을 저장용기 또는 처리장으로 보낼 수 있도록 연결설치되어진 협잡물배출관(30)의 말단에 감압
기(100)를 설치하고, 설치된 감압기(100)를 거쳐 협잡물을 배출 시킴으로써, 배출되는 협잡물로부터 발생되는
진동을 현저하게 저감시켜 진동에 의해서 주변기기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해소함과 더불어 저장용기
및 처리장으로 협잡물이 낙하되는 과정에서 퍼짐이 일어는 것을 해소시켜 심한 악취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여
작업장의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악취로 인한 인근 주민들에게까지 피해를 주게되어
야기되는 민원 발생을 해소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0010]
과 같다.
도1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는, 에어 이송 콘베이어[0011]
(20)에 연결되어 협잡물을 처리장으로 이송 처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진 협잡물배출관(30)의 말단에 연결 설치
되어 진다.
상기의 감압기(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로 장착되는 덮개(120)로 이루어진다.[0012]
상기 본체(110)는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형으로 협잡물 배출이 가능하도록 하부가 개방되어[0013]
있다.
상기의 본체(110) 내부에 일단이 내측면에 고정되어서 상부가 모아지는 열십자 또는 삼각형태를 이루며 지지대[0014]
(111)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지지대(111)의 상부에는 반발스프링(114)이 삽입 설치되어 있는 안내관체(113)를 포함하는 스프링설치브[0015]
라켓(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설치브라켓(112)의 반발스프링(114) 반발력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배출되는 협잡물의 배출압력을 감[0016]
압시키는 압력저감플레이트(115)가 위치하되, 상기 압력저감플레이트(115)는 배출되는 협잡물의 배출압력의 분
산이 가능하도록 고깔 형태를 이루며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스프링설치브라켓(112)의 안내관체(113)에서 안
내되는 피스톤관체(116)가 형성되어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454668
- 3 -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덮개(120)는 협잡물배출관(30)의 말단으로 연결되어 협잡물이 본체(110)로[0017]
유입 가능하도록 하는 협잡물유입관(12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협잡물유입관(121)의 이웃하는 지점 일측에 협잡물과 함께 협잡물배출관(30)을 따라 이송되는 압축공기가[0018]
배출되어지는 공기배출구(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120)는 본체(110)에 대하여 볼트 너트결합방식에 의해 체결되어진다.[0019]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는전처리 공정인 협잡물 종합 처리기[0020]
(10)에서 처리되어진 협잡물을 에어 이송 콘베이어(20)의 상부 호퍼(21)를 통해 투입한다.
상기 호퍼(21)를 통해 협잡물을 투입할때에는 투입통로(도면에 특정부호로 표시하지 않았음)를 차단하고 있는[0021]
개폐판(22)을 실린더(23)의 작동으로 개방 이동시켜 투입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개폐판(22)의 이동으로 투입통로가 개방되어지면, 파쇄된 협잡물들이 자중(自重)에 의하여[0022]
에어 이송 콘베이어(20)의 내부로 낙하 채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 이송 콘베이어(20)에 협잡물이 채워지면, 실린더(23)를 개폐판(22)이 개방 작동할[0023]
때의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켜 개폐판(22)에 의하여 투입통로를 차단시킨다.
이후, 에어 이송 콘베이어(20)의 공기 공급관(24)에 장착된 전자밸브(도시하지 아니하였음) 열려지면서[0024]
공기압축기(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 내지는 에어펌프(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음)에서 생성된 압축공기가 에어 이
송 콘베이어(20) 내부로 유입되어 순간적으로 상기의 에어 이송 콘베이어(20)의 내부 압력이 약
6Kg/cm2~7Kg/cm2 이상 유지되면서 에어 이송 콘베이어(20)에 투입된 협잡물들이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하부 협
잡물배출관(30)을 통해 신속하게 배출되어 처리장 내지 별도의 저장용기로 이송되어 처리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 처리되어지는 협잡물은 상기의 협잡물배출관(30)의 말단에 설치되어진 감압기(100)에[0025]
의해 배출압력이 현저하게 감압되어진 상태에서 배출이 이루어져 배출되는 협잡물이 외부로 비산(튕겨짐)되어지
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협잡물의 배출압력을 저감시키는 감압기(100)의 작동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0026]
협잡물배출관(30)을 따라 이송 배출되어지는 협잡물이 상기의 협잡물배출관(30)의 말단에 설치되어진[0027]
감압기(100)의 압력저감플레이트(115)로 낙하되어지게 되고, 협잡물이 낙하되는 압력에 의해 스프링설치브라켓
(112)의 반발스프링(114)의 반발력을 받도록 설치되어진 피스톤관체(116)가 상기의 반발스프링(114)의 반발력을
받으면서 도5에서와 같이 하강하여 협잡물의 배출압력이 감압되어진 후 처리장 또는 저장용기로 낙하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감압기(100)를 통해 배출 낙하될때 협잡물을 이송시키는 공기는 덮개(120)에 형성된 공기[0028]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되어짐에 따라 낙하 배출되는 협잡물의 배출압력이 거의 소진되어 낙하게되어
짐으로써, 협잡물이 처리장의 주변으로 비산되어지지 않게 된다.
더불어, 상기 압력저감플레이트(115)가 고깔 형태를 이루고 있어 협잡물이 부딛치는 순간의 진동이 감[0029]
쇠되어 주변기기가 진동으로 인해 수명단축되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가 적용된 처리기의 예시도.[0030]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 사시 구성도.[0031]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 부분 절개 사시도.[0032]
도 4는 도2의 단면도.[0033]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의 압력저감플레이트가 협잡물에 의해 작동한 상태[0034]
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0035]
등록실용신안 20-0454668
- 4 -
10 : 협잡물 종합 처리기 20 : 에어 이송 콘베이어[0036]
30 : 협잡물배출관 100 : 감압기[0037]
110 : 본체 111 : 지지대[0038]
112 : 스프링설치브라켓 113 : 안내관체[0039]
114 : 반발스프링 115 : 압력저감플레이트[0040]
116 : 피스톤관체 120 : 덮개[0041]
121 : 협잡물유입관 122 : 공기배출구[0042]
도면
도면1
등록실용신안 20-0454668
- 5 -
도면2
도면3
등록실용신안 20-0454668
- 6 -
도면4
도면5
등록실용신안 20-0454668
- 7 -
오폐수용 협잡물의 배출압력 감압기(Decompression device of dicharge pressure for adulteration in waste water)
2018. 3. 19. 16: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