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7년11월19일
(11) 등록번호 10-0776810
(24) 등록일자 2007년11월08일
(51) Int. Cl.

E01F 15/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016725
(22) 출원일자 2007년02월16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02월16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8105245 A
(뒷면에 계속)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132-7 부산디지털밸리
709호
(72) 발명자
신유정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 794 당감주공아파트
309동 1303호
(74) 대리인
김성환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김진영
(54) 식재공간이 구비된 도로용 난간
(57) 요 약
본 발명은 식재공간이 구비된 도로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는 기둥의 상부에 커다란 링형상의 연결프레임을 설치하고, 연결프레임의 전후방 하측에 상부는 넓고 하부
는 좁은 형태로 커버판을 설치하여 연결프레임 내측 하부의 전후방 커버판 사이에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공간
을 형성함으로서, 식재공간에 심어진 화초에 의해 도로를 아름답게 가꿀 수 있도록 하고, 기둥의 양측에는 식재
공간에서 흘러 내려오는 흙물이 지면으로 바로 배수되게 하는 배수커버를 설치함으로서, 배수되는 흙물에 의해
기둥이 지저분해지는 지는 것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변에 다수개의 난간기둥이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고, 인접한 난간기둥의 사이에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수평난간대가 수평으로 연결 설치되는 도로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6)은 지면에 수직 설치되
는 기둥(1)의 상부에 소정의 폭을 갖는 링형 연결프레임(2)이 설치되고, 이 연결프레임(2)의 양측에는 수평난간
대(8)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구멍(4)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2) 내측의 삽입구멍(4)의
외주연에는 수평난간대(8)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면적을 확대시키는 지지테(4a)가 연결프레임살과 일체로 형성되
고, 연결프레임(2)의 중심선 하방의 전후방에는 상부중앙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넓고 외주연이 연결프레임(2)의
폭만큼 좁게 구면으로 형성된 커버판(3)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어 연결프레임(2)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전후면
커버판(3)의 사이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식재공간(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표도 - 도1
- 1 -
등록특허 10-0776810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11046588 A
KR100473019 B1
KR100607377 B1
KR200381716 Y1
KR200415798 Y1
- 2 -
등록특허 10-0776810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도로변에 다수개의 난간기둥이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고, 인접한 난간기둥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평난간대가 수평으로 연결 설치되는 도로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6)은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기둥(1)의 상부에 소정의 폭을 갖는 링형 연결프레임(2)이 설치되고,
이 연결프레임(2)의 양측에는 수평난간대(8)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구멍(4)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
기 연결프레임(2) 내측의 삽입구멍(4)의 외주연에는 수평난간대(8)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면적을 확대시키는 지
지테(4a)가 연결프레임살과 일체로 형성되고, 연결프레임(2)의 중심선 하방의 전후방에는 상부중앙부가 외측으
로 벌어져 넓고 외주연이 연결프레임(2)의 폭만큼 좁게 구면으로 형성된 커버판(3)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어
연결프레임(2)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전후면 커버판(3)의 사이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식재공간(7)이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간이 구비된 도로용 난간.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2)의 하부 양측에는 배수구멍(5)이 하측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기둥(1)의
양측에는 배수구멍(5)으로 배수되는 흙물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배수커버(10)를 설치하되, 이 배수커버(10)는 상
부에 배수구멍(5)의 하부를 감싸는 상부안내부(10a)가 형성되고, 상부안내부(10a)의 하부에 기둥(1)의 외측면을
길이방향으로 감싸는 하부안내부(10b)가 하향 형성되며, 이 하부안내부(10b)의 하단부가 지면과 소정의 간격
(L)을 두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공간이 구비된 도로용 난간.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식재공간이 구비된 도로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15>
설치되는 기둥의 상부에 커다란 링형상의 연결프레임을 설치하고, 연결프레임의 전후방 하측에 상부는 넓고 하
부는 좁은 형태로 커버판을 설치하여 연결프레임 내측 하부의 전후방 커버판 사이에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
공간을 형성함으로서, 식재공간에 심어진 화초에 의해 도로를 아름답게 가꿀 수 있도록 하고, 기둥의 양측에는
식재공간에서 흘러 내려오는 흙물이 지면으로 바로 배수되게 하는 배수커버를 설치함으로서, 배수되는 흙물에
의해 기둥이 지저분해지는 지는 것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도 도로에 설치되는 난간에 화초를 심을 수 있도록 한 특허 및 실용신안건이 다수가 존재하고 있는데, 이<16>
들은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것과, 난간에 식재공간을 구비하여 그 식재공간에 토사를 채워 놓은 뒤에
그 곳에 화초를 심을 수 있도록 된 것이 있다.
본 발명은 난간에 식재공간을 구비하고 그 식재공간에 토사를 채워 놓은 뒤에 그 곳에 화초를 심을 수 있도록 <17>
된 것이므로, 이와 관련된 선출원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실용신안등록 제437470호(이하, 종래고안이라 칭함)는 고안의 명칭을 "꽃 거리용 난간 연결 체결구"로 하여 출<18>
원된 건으로서, 이 종래고안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기둥형 지주(21)가 일정간격으로 수직 설치되고, 인
접한 지주(21)의 사이에 3개의 가로대(22)가 지주체결부(23)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되며, 지주(21) 양측의 지주
체결부(23) 상부에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체형의 화분부(24)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화분부(24)에 토사를 담아서 화초를 심거나, 그 화분부(24)에 조그만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는 것이다.<19>
이와 같은 종래고안은 지주(21)와 가로대(22), 그리고, 지주체결부(23)로 이루어지는 도로용 난간(25)을 제작완<20>
료한 뒤에, 조그만 함체형 화분부(24)를 별도로 제작하였다가 그 하분부를 지주체결부(23)의 상부에 별도로 설
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고안은 화분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제작공정이 추가되는 폐단과, 상기 화<21>
분부(24)의 크기가 지주(21)의 지름크기와 유사한 크기의 폭으로 작게 제작되기 때문에 그 화분부에 작은 화초
- 3 -
등록특허 10-0776810
를 한 포기정도밖에 심을 수 없어서, 도로를 아름답게 하는 것 보다는 오히려 초라해 보이게 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다음은 특허등록 제629427호(이하, 종래발명이라 칭함)는 발명의 명칭을 "교량난간의 식재박스 보강구조"로 하<22>
여 출원된 건으로서, 이 종래발명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29)에 설치되는 난간(26)의 외측에 식재박스
(27)를 올려놓을 수 있는 지지대(28)를 설치한 뒤에, 그 지지대(28)의 상부에 식재박스(27)를 올려놓도록 된 것
이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의 경우에도 식재박스(27)를 올려놓기 위한 지지대(28)를 "ㄷ"자형으로 별도로 제작한 뒤에 <23>
이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므로, 지지대를 추가로 제작하고 설치하는 제작공정과 지지대가 추가되어 작업의 번거
로움과 제작비용이 추가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상기 사각함체형으로 형성된 식재박스(27)가 난간(26)과 교량(29)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므<24>
로 도로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과는 거리감이 있고, 지지대(28)가 손상될 경우에는 무거운 식재박스(27)가 하
측으로 추락하면서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로용 난간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도로용 난간의 난간기둥<25>
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식재공간이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로용 난간이 미려하
면서 제작공정도 간단해지도록 하며, 추가로 식재공간의 하부에 식재공간에서 흘러내릴 흙물이 기둥을 지저분해
지게 하는 것을 커버하는 배수커버를 설치하여 흙물에 의해 기둥이 지저분해지는 지는 것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
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변에 다수개의 난간기둥이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고, 인접<26>
한 난간기둥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수평난간대가 수평으로 연결 설치되는 도로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기둥은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기둥의 상부에 소정의 폭을 갖는 링형 연결프레임이 설치되고, 이 연결프레임
의 양측에는 수평난간대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 내측의
삽입구멍의 외주연에는 수평난간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면적을 확대시키는 지지테가 연결프레임살과 일체로 형
성되고, 연결프레임의 중심선 하방의 전후방에는 상부중앙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넓고 외주연이 연결프레임의 폭
만큼 좁게 구면으로 형성된 커버판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어 연결프레임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전후면 커버판의
사이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식재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재공간이 구비된 도로용 난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27>
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변에 다수개의 난간기둥(6)이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고, <28>
인접한 난간기둥(6)의 사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수평난간대(8)가 수평으로 연결 설치되는 도로용 난간에 설치
되는 것이다.
상기 난간기둥(6)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에 수직 설치되는 기둥(1)의 상부에 소정의 폭을 <29>
갖는 링형 연결프레임(2)이 설치되고, 이 연결프레임(2)의 양측에는 수평난간대(8)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삽입구멍(4)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프레임(2) 내측의 삽입구멍(4)의 외주연에는 수평난간대(8)가 삽입
되어 지지되는 면적을 확대시키는 지지테(4a)가 연결프레임살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프레임(2)의 폭은 기둥(1)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기둥(1)의 외경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이 <30>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기둥(1)의 상부에 연결프레임(2)을 용접으로 결합시킬 때 기둥(1)의 지름보다 연결프레
임(2)의 폭이 좁으면 연결프레임(2)을 기둥(1) 안정적으로 결합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관이 좋지 못하는
문제와, 수평난간대(8)를 연결프레임(2)의 측면에 삽입식으로 결합시킬 때 수평난간대(8)가 삽입 결합되는 부분
이 취약하기 때문이며, 추가로 추후에 형성하는 식재공간을 확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구멍(4)에 수평난간대(8)에 삽입시킨 뒤에는 지지테(4a)의 내측단부와 삽입구멍(4)으로 삽입<31>
된 수평난간대(8)의 단부를 용접으로 결합시켜 수평난간대(8)가 연결프레임(2)에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연결프레임(2)의 가상의 중심선 하방의 전후방에는 상부중앙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넓고 외주연이 연결프<32>
레임(2)의 폭만큼 좁게 구면으로 형성된 커버판(3)이 용접으로 결합 설치되어 연결프레임(2)을 개재시킨 상태에
- 4 -
등록특허 10-0776810
서 전후면 커버판(3)의 사이에는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식재공간(7)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식재공간(7)에 토사를 채워 넣은 뒤에 그 토사에 화초를 식재하여 도로를 아름답게 할 수 <33>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조가 일실시예와 <34>
동일하며 이러한 일실시예의 구조에 배수수단이 추가로 설치된 것이므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의 설명은 생
략하고 추가된 배수수단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실시예의 특징부가 되는 배수수단은 상기 연결프레임(2)의 하부 양측에 배수구멍(5)이 하측으로 관통되게 <35>
형성되고, 기둥(1)의 양측에는 배수구멍(5)으로 배수되는 흙물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배수커버(1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배수커버(10)는 상부에 배수구멍(5)의 하부를 감싸는 상부안내부(10a)가 형성되고, 상부안내부(10<36>
a)의 하부에 기둥(1)의 외측면을 길이방향으로 감싸는 하부안내부(10b)가 하향 형성되며, 이 하부안내부(10b)의
하단부가 지면과 소정의 간격(L)을 두게 설치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커버(10)는 흙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절단하여 보았을 때 반원형<37>
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안내부(10b)의 하단부가 지면과 소정의 간격(L)을 두게 설치하는 것은 배
수커버(10)를 통하여 흙물이 내려오면서 흙물에 포함된 토사가 하부안내부(10b)의 하단부를 막아 배수장애를 일
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가 되는 연결프레임(2)의 형상을 도면에서 링형상의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38>
상기 연결프레임(2)의 형상은 타원형이나 사각형, 마름모형, 삼각형, 사다리꼴형, 하트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의 제작이 가능하며, 커버판의 전면에는 그 설치지역의 상징하는 상징물이나, 지역명칭, 광고문구 등을 표시할
수 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 부호 "9"는 기둥(1)을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블록을 형성<39>
한 콘크리트블록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40>
먼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을 도로변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로의 상태에 <41>
따라 기둥(1)의 하측에 플랜지부를 용접으로 설치하여 노면에 설치한 콘크리트에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설치하거
나, 또는 도 2와 같이 기둥(1)의 하측에 콘크리트를록(9)을 설치하여 이 콘크리트를록(9)이 지중에 매설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로의 상태에 따라 다수개의 난간기둥(6)을 도로변에 수직하게 간격을 두면서 설치하고, 인접한 <42>
난간기둥(6)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연결프레임(2)의 삽입구멍(4)으로 도 2와 같이 수평난간대(8)를 삽입시킨
다.
이렇게 양측 연결프레임(2)에 관통되게 형성된 삽입구멍(4)에 수평난간대(8)의 양측을 삽이시킨 뒤에는 삽입구<43>
멍(4)에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지지테(4a)와 그 삽입구멍(4)으로 삽입된 수평난간대(8)의 단부를 용접으로
결합시키거나 또는 나사로서 고정 설치하여 수평난간대(8)의 단부가 연결프레임(2)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다.
이때, 연결프레임(2)의 두께가 두껍지 않으므로 수평난간대(8)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력이 취약함을 감안하여 <44>
삽입구멍(4)에 내측으로 연장되게 지지테(4a)를 형성하여 지지테(4a)의 연장된 두께와, 연결프레임(2)의 살두께
가 합쳐져서 수평난간대(8)을 지지하는 지지면적이 확대되게 하였다.
이렇게 다수개의 난간기둥(6)을 지면에 수직 설치한 뒤에 인접한 난간기둥(6)의 연결프레임(2) 사이에 수평난간<45>
대(8)를 연결 설치함으로서 본 발명의 설치작업이 완료하게 되는 것이며,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설치작업이 완료
한 뒤에는 연결프레임(2)의 가상으로 그은 중심선 하방의 전후면에 설치된 전후측 커버판(3)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의 식재공간(7)에 토사를 채워 넣고, 그 토사에 화초를 식재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연결프레임(2)에 형성된식재공간(7)에 토사를 단고 화초를 심음에 따라 그 화초가 자라면서 도로의 <46>
미감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후면 커버판(3)이 상부중앙부가 외측으로 벌어져 넓고 외주연이 연결프레임(2)의 폭만큼 좁게 <47>
구면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구면의 커버판(3)이 연결프레임(2)의 전후면에 용접으로 결합 설치됨에 따라 식
재공간(7)의 공간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로 형성되게 되어 한정된 식재공간(7)을 보다 더 확대되게 하
- 5 -
등록특허 10-0776810
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다음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인데, 이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와 전<48>
체적인 구조는 동일하나, 일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조에 배수수단이 추가된 것이므로 배수수단에 관한 설명만 하
기로 한다.
이실시예에서는 연결프레임(2)의 하부에 배수구멍(5)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프레임(2)의 하측과 기둥(1)의 양측<49>
에는 연결프레임(2)의 배수구멍(5)을 통하여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흙물이 안내되게 하는 배수커버(10)가 설치되
어 있음에 따라, 식재공간(7)에서 흙물이 배수구멍(5)을 통하여 하측으로 흘러내릴 때, 배수커버(10)가 흙물이
하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커버(10)의 하부안내부(10b)의 하단부가 지면과 소정의 간격(L)을 두게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50>
배수커버(10)를 통하여 흙물이 내려오면서 흙물에 포함된 토사가 하부안내부(10b)의 하단부를 막아 배수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배수커버(10)는 흙물이 내려오는 것을 안내하는 기능외에도 흙물이 내려오는 부분을 외측에서 커버하여 만<51>
약 배수커버(10)가 없으면 기둥(1)의 외측 부분이 흙물에 의해 지저분해지는 것을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보이지
않게 가려주는 기능을 함께하여 도로용 난간이 항상 미려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식재공간이 구비된 도로용 난간은, 도로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 설치되는 기둥의 <52>
상부에 커다란 링형상의 연결프레임을 설치하고, 연결프레임의 전후방 하측에 상부는 넓고 하부는 좁은 형태로
커버판을 설치하여 연결프레임 내측 하부의 전후방 커버판 사이에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공간을 간단한 제작
공정에 의해 미려하게 제작되어 제작상의 이점과, 식재공간에 심어진 화초에 의해 도로를 아름답게 가꿀 수 있
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기둥의 양측에는 식재공간에서 흘러 내려오는 흙물이 지면으로 바로 배수되게 하는 배수커버를 설치하여 <53>
배수되는 흙물에 의해 기둥이 지저분해지는 지는 것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함에 따라 도로용 난간이 항상 미
려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실시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가상도.<1>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2>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3>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4>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5>
도 6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6>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7>
도 8은 종래고안을 나타내는 사시도.<8>
도 9는 종래발명을 나타내는 사시도.<9>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10>
1 : 기둥 2 : 연결프레임 3 : 커버판<11>
4 : 삽입구멍 5 : 배수구멍 6 : 난간기둥<12>
7 : 식재공간 8 : 수평난간대 9 : 콘크리트를록<13>
10 : 배수커버<14>
- 6 -
등록특허 10-0776810
도면
도면1
- 7 -
등록특허 10-0776810
도면2
- 8 -
등록특허 10-0776810
도면3
도면4
- 9 -
등록특허 10-0776810
도면5
도면6
- 10 -
등록특허 10-0776810
도면7
도면8
- 11 -
등록특허 10-0776810
도면9
- 12 -
등록특허 10-07768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