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7년11월07일
(11) 등록번호 10-1794611
(24) 등록일자 2017년11월0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C12M 1/06 (2006.01) B01F 7/16 (2006.01)
C12M 1/00 (2006.01)
(52) CPC특허분류
C12M 27/02 (2013.01)
B01F 7/16 (2013.01)
(21) 출원번호 10-2017-0064737
(22) 출원일자 2017년05월25일
심사청구일자 2017년05월2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582908 B1
(뒷면에 계속)
(73) 특허권자
에코필드 유한회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60 , 506호(봉명동, 사
이언스타운)
(72) 발명자
고행진
충청남도 계룡시 두마면 사계로 101, 109-603 (계
룡 더 샵 아파트)
(74) 대리인
진용석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조상진
(54) 발명의 명칭 외부관리형 발효공기 공급장치가 적용된 2단구조의 직립교반 고속발효기
(57) 요 약
본 발명은 외부관리형 발효공기 공급장치가 적용된 2단구조의 직립교반 고속발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
하게는 발효을 위한 공기주입용 발효공기 공급장치를 발효조의 내부에 카트리지식으로 삽입설치하여, 발효조의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함으로써, 내부에 채워지는 유기물의 하중으로 인한 발효성능저하나 교반장치에 무리가 가
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기존보다 대용량으로의 발효조 설계가 가능하고, 노즐 막힘발생시 기존처럼 발효조 내
부에 채워진 유기물을 모두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손쉽게 맥동 공기를 분사하여 청소를 가능케 함으
로써, 운영 및 관리에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는 외부관리형 발효공기 공급장치가 적용된 2단구조의 직립교반 고
속발효기에 관한 것이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794611
- 1 -
(52) CPC특허분류
C12M 29/06 (2013.01)
C12M 39/00 (2013.01)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11121042 A*
KR2020000008683 U
KR101029684 B1
KR200188644 Y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등록특허 10-1794611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내부에 교반대상 유기물이 투입되는 발효조(10);
상기 발효조(1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직립설치되는 교반장치(20);
상기 발효조(10)의 사전설정된 내부위치에 삽입설치되어, 발효조(10)를 발효중의 유기물이 위치되는 상단조(1
3)와, 발효가 완료되어진 유기물이 위치되는 하단조(14)로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여, 발효조(10) 내부로 적재
되는 유기물의 중량에 의해 유기물 전체가 눌려 발효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단조(14) 유기물은 상
단조(13)로 이동되지 않도록 단속하고, 비어있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상단조(13)를 향하
는 다수의 공기분사부(33)가 설치되어, 상기 상단조(13)에 유기물 발효를 위한 외부공기를 주입하는 외부관리
및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효공기 공급장치(30);
상기 공기분사부(33)에 연결설치되어, 공기분사부(33)의 노즐(35)이 유기물에 의해 막혔을시, 발효조(10) 내의
유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맥동공기를 분사하여, 공기분사부(33)의 노즐(35)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막힘청소부(40);
상기 발효조(10)의 최하단 배출구에 대응설치되어, 발효완료된 유기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운송부(50); 를 포
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상, 하단판(31, 37) 각각에 상호간 대응연통되는 제 1, 2이동홀(32, 38)을 각각
천공형성하여, 상기 교반장치(20)에 의해 교반되는 유기물이, 상기 제 1, 2이동홀(32, 38)을 통해 상단조(13)에
서 하단조(14)로 낙하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단판(37)은 발효조(10)의 최하단에서 이격되어 설치시, 망 형태로 구성되어, 하단조(14) 내의 유기물이
상단조(13) 또는 발효공기 공급장치(3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발효로 인한 하단조(14)의 증기가 발효
공기 공급장치(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막힘청소부(40)는 압축공기를 발효공기 공급장치(30)로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탱크(41); 상기 압축공기탱
크(41)에 일단이 연결설치되고 타단은 발효공기 공급장치(30)의 공급관(34)에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맥동 형태
로 공급되도록 하는 맥동밸브(42); 상기 발효조(10) 외측에서 공급관(34)에 연결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43); 상기 맥동밸브(42) 및 온도센서(43)와 연결되어 압축공기탱크(41)에 연결됨으로써, 노즐(35) 청소를 위한
맥동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44);로 이루어지며,
상기 막힘청소부(40)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고 노즐(35)이 막혀 상기 온도센서(43)에 의한 측정온도가 사전설정
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자동작동되며,
상기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상기 발효조(10) 내부를 복수개로 구획하지 않을 경우, 발효조(10)의 최하단에
설치되며, 저면의 하단판(37)은 판재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외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탱크가 연결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탱크가 각
공기분사부(33)마다 개별적으로 또는 다수의 공기분사부(33)를 하나의 공기탱크에서 분기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
록 하고,
상기 막힘청소부(40)는 공기분사부(33) 다수를 분기하고 있는 단일의 공급관(34)에 연결설치되어, 다수의 공기
분사부(33)의 각 노즐(35) 전체가 동시에 청소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수의 공기분사부(33) 각각의 공급관(34)마
다 개별연결되어, 막힌 일부노즐(35)만이 청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관리형 발효공기 공급장치가
적용된 2단구조의 직립교반 고속발효기.
청구항 2
등록특허 10-1794611
- 3 -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발효조의 내부에 발효공기 공급장치를 설치하여, 발효조 내부의 공간을 상.하단 으로 구획하여 적재[0001]
된 퇴비원료인 발효물의 하중에 의해 교반날개에 가해지는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교반장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키
고 기계적인 결함을 초래하며 발효물이 다져져 통기성 저하에 의한 발효효율저하를 방지하는 기술과, 타 발효
기의 경우 발효를 위한 발효공기의 공급이 발효기 내부의 교반날개에 부착된 노즐에 의해 공급되어 노즐이 막힐
경우 많은 량의 적재된 발효물을 배출 해 내고 노즐을 청소해야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주입용 노즐이 막힐 경우 발효기 내부에 적재된 발효물을 배출시키지 않고도 발효기 외부에서 맥동식압축공
기에 의해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여 운영관리를 용이 하게함은 물론 한결같은 최적의 발효조건을 갖추도록 한 외
부관리형 발효공기 공급장치 등 2가지 핵심 기술이 적용된 2단구조의 직립교반 고속발효기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가정이나 음식점, 축사 등에서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와 분뇨, 가[0002]
축분뇨가 배출되고 있으며, 특히, 식품가공 공장 등이 밀집된 산업지역 등에 있어서는, 식품가공 후, 남은 찌꺼
기, 예컨대, 각종 동, 식물성 잔재물이 발생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유기성 폐기물 및 동,식물성 잔재물은 처리에 따른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특히 음식물[0003]
쓰레기의 경우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처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하나의 방안으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퇴비화가 모색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47386호에는 퇴비 발효기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 100453284호에는 다[0004]
축을 갖는 퇴비 고속발효기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이러한 종래의 발효기는 사일로 몸체와, 상기 사일로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투입된 유기물을 사일로[0005]
몸체에 균등하게 분배하여 적재시키는 분배장치와, 사일로 몸체 내부에 설치되고 회전축과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유기물 교반장치와, 상기 교반장치를 구동시 키기 위한 유압 구동장치와,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관으
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일로 몸체는 2개 이상의 사일로를 8자형 또는 삼각형 또는 클로버형 형태중의 어느 한
형태로 결합시켜 구성 하고, 각각의 사일로에 회전축을 포함며, 상기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상하면에 다수의
홈이 형 성되고, 수평면에 대하여 상향의 경사각을 가진 채, 120도의 위상 차이를 두어 회전축에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직립식 1축 교반 발효기의 경우, 발효조건 및 기계적인 허용 한계로 인하여 70㎥까지 제작되고[0006]
있어, 대용량이 요구되는 실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다. 1축 교반 발효기를 대용량으로 설계할
수 없는 대표적인 2가지 문제점은, 적재높이가 높아지면 적재된 발효율의 내려누르는 중량에 의해 유기물이 다
져짐에 따라, 통기성이 저하되고 고른 발효가 되지 않고, 공기를 주입하는 배출구 등을 막아서 발효효율을 급격
히 저하되는 것이다.
이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시에는 발효기에 채워진 유기물(발효물)을 모두 외 부로 배출시킨 후 노즐을 청소해야[0007]
등록특허 10-1794611
- 4 -
하므로 운영상의 큰 애로가 있을 뿐만 아니라, 3~4일 동안은 유기물을 처리하지 못하여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로까지 이어졌다.
또한 교반 발효기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교반날개의 변형이나 파손 등의 기계적 결함이 발생하는 치명적인 문[0008]
제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90186호(2012.10.05등록) [0009]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효조 내부에 공기를[0010]
공급하는 발효공기 공급장치를 내부가 아닌 외부관리형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발효조 본체에 카트리지 식으로
조립시켜, 노즐의 막힘 발생시 외부에서 자동으로 맥동식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청소를 위하여 발효조 내부의
유기물을 모두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아도 노즐의 청소가 가능토록 하고, 이러한 노즐 청소는 공기가 유입되는
발효공기 공급장치의 공급관 온도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사전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자동작동되거나 또는 사
용자가 직접 작동이 가능토록 하며, 카트리식으로 발효공기 공급장치가 발효조의 중단에 삽입 설치되면서 발효
조의 내부공간을 상, 하로 구획함을 인하여, 발효조 내 유기물의 하중에 의한 다져짐이 발생하지 않음과 동시에
교반장치의 가해지는 하중도 기존에 비해 작기때문에, 대용량으로의 설계가 가능한 외부관리형 발효공기 공급장
치가 적용된 상단 하단으로 구분된 2단구조의 직립교반 고속발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0011]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0012]
내부에 교반대상 유기물이 투입되는 발효조(10); 상기 발효조(1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직립설치되는 교반장[0013]
치(20); 상기 발효조(10)의 사전설정된 내부위치에 삽입설치되어, 발효조(10)를 발효중의 유기물이 위치되는 상
단조(13)와, 발효가 완료되어진 유기물이 위치되는 하단조(14)로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여, 발효조(10) 내부로
적재되는 유기물의 중량에 의해 유기물 전체가 눌려 발효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단조(14) 유기물
은 상단조(13)로 이동되지 않도록 단속하고, 비어있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상단조(13)를
향하는 다수의 공기분사부(33)가 설치되어, 상기 상단조(13)에 유기물 발효를 위한 외부공기를 주입하는 외부관
리 및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효공기 공급장치(30); 상기 공기분사부(33)에 연결설치되어, 공기분사부(3
3)의 노즐(35)이 유기물에 의해 막혔을시, 발효조(10) 내의 유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간헐적 또는 주
기적으로 맥동공기를 분사하여, 공기분사부(33)의 노즐(35)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막힘청소부(40); 상기 발
효조(10)의 최하단 배출구에 대응설치되어, 발효완료된 유기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운송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효조 내부에 발효를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의 청소를 내부가 아닌[0014]
외부에서 시행가능하여, 노즐 청소를 위해 발효조 내부의 유기물을 모두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아도 됨으로 인해
관리 및 운영이 손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발효공기 공급장치를 발효조의 내부에 카트리지식으로 삽입설치하여, 발[0015]
효조의 내부가 상, 하로 구획되도록 함으로써, 유기물의 하중으로 유기물이나 다져지는 문제나, 이러한 하중으
로 교반장치에 무리가 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기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고 큰 대용량으로의 설계가 가능
해지는 효과가 있다.
등록특허 10-1794611
- 5 -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0016]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공기 공급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공기 공급장치의 상단판 및 상단판에 노즐이 관통되어 설치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공
기 분사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공기 공급장치의 하단판을 나타낸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0017]
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
(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
(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
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0018]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0019]
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0020]
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
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0021]
내부에 교반대상 유기물이 투입되는 발효조(10); 상기 발효조(10)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직립설치되는 교반장[0022]
치(20); 상기 발효조(10)의 사전설정된 내부위치에 삽입설치되어, 발효조(10)를 발효중의 유기물이 위치되는 상
단조(13)와, 발효가 완료되어진 유기물이 위치되는 하단조(14)로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여, 발효조(10) 내부로
적재되는 유기물의 중량에 의해 유기물 전체가 눌려 발효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단조(14) 유기물
은 상단조(13)로 이동되지 않도록 단속하고, 비어있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상단조(13)를
향하는 다수의 공기분사부(33)가 설치되어, 상기 상단조(13)에 유기물 발효를 위한 외부공기를 주입하는 외부관
리 및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효공기 공급장치(30); 상기 공기분사부(33)에 연결설치되어, 공기분사부(3
3)의 노즐(35)이 유기물에 의해 막혔을시, 발효조(10) 내의 유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간헐적 또는 주
기적으로 맥동공기를 분사하여, 공기분사부(33)의 노즐(35)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막힘청소부(40); 상기 발
효조(10)의 최하단 배출구에 대응설치되어, 발효완료된 유기물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운송부(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상, 하단판(31, 37) 각각에 상호간 대응연통되는 제 1, 2이동홀(32, 38)을[0023]
각각 천공형성하여, 상기 교반장치(20)에 의해 교반되는 유기물이, 상기 제 1, 2이동홀(32, 38)을 통해 상단조
(13)에서 하단조(14)로 낙하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판(37)은 상기 발효조(10)의 최하단에서 이격되어 설치시, 망 형태로 구성되어, 하단조(14) 내[0024]
의 유기물이 상단조(13) 또는 발효공기 공급장치(3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발효로 인한 하단조(14)의
증기가 발효공기 공급장치(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 10-1794611
- 6 -
또한, 상기 막힘청소부(40)는 압축공기를 발효공기 공급장치(30)로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탱크(41); 상기 압축[0025]
공기탱크(41)에 설치되는 맥동밸브(42); 상기 발효조(10) 외측에서 발효공기 공급장치(30)의 공급관(34)에 연결
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43); 상기 맥동밸브(42) 및 온도센서(43)와 연결되어 압축공기탱크(41)에 됨으
로써, 노즐(35) 청소를 위한 맥동공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44);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막힘청소부(40)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고 노즐(35)이 막혀 상기 온도센서(43)에 의한 측정온도가 사[0026]
전설정온도 이하가 되는 경우 자동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상기 발효조(10) 내부를 복수개로 구획하지 않을 경우, 발효조(10)의 최하[0027]
단에 설치되며, 저면의 하단판(37)은 판재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35)은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배출구(36)가 노즐(35) 몸체 내에서 'T'자 형태로 천공되어,[0028]
노즐(35)의 외주연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관리형 발효공기 공급장치가 적용된 2[0029]
단구조의 직립교반 고속발효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외부관리형 발효공기 공급장치가 적용된 2단구조의 직립교반 고속발효기는 발효조(10), 교반장치[0030]
(20), 발효공기 공급장치(30), 막힘청소부(40), 운송부(50)를 포함한다.
상기 발효조(10)는 발효대상이 되는 각종 유기물(돈분/우분 등 각종 유기성폐기물)이 내부에 채워지는[0031]
곳으로서, 지면에서 직립설치되어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의 하우징이다.
이러한 발효조(10)는 상단에 유입구(11)를, 최하단에는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유기물의 발효가 완료된 퇴비가[0032]
배출되도록 하고, 이러한 발효조(10)의 최하단에는 이러한 발효완료된 유기물을 사용처로 운반 및 적재하기 위
한 각종 운송부(50)(컨베이어 등)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음이다.
상기 교반장치(20)는 전술된 발효조(10)의 내부 중앙에 회전가능하게 직립설치되어 회전되는 것으로서, 발효조[0033]
(10) 내부에 채워지는 유기물의 발효를 돕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반장치(20)는 발효조(10)의 내부 중앙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발효조(10)의 외측 하단부에 설치된 구동[0034]
수단(모터 등)과, 다양한 동력전달가능수단에 의해 동력전달가능하게 연결설치되어 회전되는 회전축(21)과, 상
기 회전축(21)의 외주연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교반날개(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전술된 발효조(10)의 사전설정된 위치(ex: 중단부 등)에 끼워져 삽입설치되는 것[0035]
으로서, 상기 발효조(10) 내부 공간을 상, 하의 2개 공간으로 구획하면서, 발효를 위한 공기를 주입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발효조(10)의 내부공간 중단에 삽입설치되어, 발효조(10) 내부를 발효중의[0036]
유기물이 위치되는 상단조(13)와, 발효과 대부분 완료되어진 유기물이 위치되는 하단조(14)로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하는 것이다.(발효조(10)의 최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상대적으로 투입된 시간도 길기 때문에, 상단측 보다는
하단측의 유기물이 상단측보다 발효가 더 되었을것이라 가정한 것) 물론, 발효조(10) 내부를 발효공기 공급장치
(30)를 통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는 것이지, 반드시 상단조(13)에는 발효중의 유기물이 위치하고, 하단조
(14)에는 발효완료된 유기물이 위치되는 것이라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러한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사전에 발효조(10)의 중단에 위치되도록 외주연이 발효조(10)의 외주연[0037]
에 걸쳐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음이며, 이러한 구조가 되기 위해, 다양한 결합구조가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
다. 즉,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발효조(10)에서 착탈가능한 구조를 가
질 수 있음인 것이다.
상기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내부가 비어있으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형 형상이며, 중앙에는 전술된 회[0038]
전축(21)이 관통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면은 상단판(31), 저면은 하단판(37)이라 칭한다.
등록특허 10-1794611
- 7 -
또한, 이러한 발효공기 공급장치(30)의 상단판(31)과 하단판(37)에는 상호간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2이동홀[0039]
(32, 38)을 각각 천공형성하여, 상기 교반장치(20)에 의해 교반되는 유기물이, 상기 제 1, 2이동홀(32, 38)을
통해 상단조(13)에서 하단조(14)로 낙하이동되어, 발효조(10)의 최하단 배출구를 통해 발효완료된 유기물이 외
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하단판(37)은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발효공기 공급장치(30)가 발효조(10)의 최하단에 설치시에[0040]
는 상기 발효조(10) 내부를 복수개로 구획하지 않아도 되기에, 판재 형태를 이루지만, 상기 발효조(10)의 최하
단에서 이격되어 내부를 구획하는 형태로 설치시에는 망 형태로 구성되어, 하단조(14) 내의 유기물이 상단조
(13) 또는 발효공기 공급장치(3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발효로 인한 하단조(14)의 증기가 발효공기 공
급장치(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단조(13)에서 발생되는 증기는 발효조(10)의 개구된
상부를 향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이다.
상기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내부에 다수의 공기분사부(33)가 설치되도록 하는데, 상기 다수의 공기분사부[0041]
(33)는 발효공기 공급장치(30)의 외측 사방에서, 발효공기 공급장치(30) 내부를 향해 수평으로 설치된 후, 이러
한 발효공기 공급장치(30) 내에서 단부가 상단조(13)를 향해 상부로 절곡되어 상단판(31)을 관통하는 구조를 가
지는 것이다.
이로써 상단판(31) 상면에는 다수의 공기분사부(33)의 다수의 노즐(35)이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0042]
를 가진다. 물론, 상기 발효공기 공급장치(30)는 외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공기탱크가 연결설치될 수 있으
며, 이러한 공기탱크가 각 공기분사부(33)마다 개별적으로 또는 다수의 공기분사부(33)를 하나의 공기탱크에서
분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이다.
또한, 상기 상단판(31)을 관통하여 상단조(13)에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35)은, 공기를 분사하기 위한 공기배출[0043]
구(36)가 노즐(35) 몸체 내에서 'T'자 형태로 천공되어, 노즐(35)의 외주연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발효공기 공급장치(30)가 발효조(10)의 중단에 삽입설치되어 위치됨에 따라, 내부공간이 복수개로 구획[0044]
되고, 이에 발효조(10) 내부로 적재되는 유기물의 중량에 의해 유기물 전체가 눌려 발효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됨을 물론, 교반장치(20)의 교반날개(22) 등에도 하중에 의한 무리가 발생되지 않고, 하단조(14) 유기물은
하단판(37)에 의해 상단조(13)로 이동되지 않도록 단속 또한 가능해져, 기존에 비해 대용량(ex: 120㎥)의 발효
조(10) 설계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물론, 하단조(14) 내부는 발효조(10) 최하단에서 또 다른 다수의 공기분사부를 설치하여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0045]
는 것임은 당연하며, 이러한 하단조(14)로 공기를 공급하는 노즐이 막혓을시에는 발효조(10) 최하단에서 공기분
사부를 분해하여 청소후 재설치하면 될 것이다.)
상기 막힘청소부(40)는 전술된 공기분사부(33)에 연결설치되어, 공기분사부(33)의 노즐(35)이 유기물에 의해 막[0046]
혔을시, 발효조(10) 내의 유기물을 외부로 배출시키지 않고,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맥동공기를 분사하여, 공
기분사부(33)의 노즐(35)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막힘청소부(40)는 압축공기탱크(41), 맥동밸브(42), 온도센서(43), 제어부(44)를 포함한다.[0047]
상기 압축공기탱크(41)는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공기 분사부에 연결되어 있도록 하고, 상기 맥동밸브(4[0048]
2)는 공기분사부(33)에 연결되는 압축공기탱크(41) 연결관에 설치되어, 맥동공기 즉 간헐적 또는 주기적으로 고
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형태의 맥동공기의 주입이 가능토록 하는 밸브이다.
상기 온도센서(43)는 발효조(10) 외측에서 발효공기 공급장치(30)의 공급관(34, 이러한 공급관(34)에는 별도의[0049]
차단밸브(V1)가 설치되어 있을수 있음이다.)에 연결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온도를 통해 노즐(35)의 막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데, 측정된 온도가 사전설정온도(ex: 5℃)이면 공기가 통과되는 것으로 막히지 않은 경우
지만, 측정온도가 사전설정온도보다 낮아 차가운 경우에는, 공기가 통과하지 않아 노즐(35)이 막힌 경우인 것이
다. 이에, 이러한 온도센서(43)의 측정온도를 제어부(44)에서 사전설정온도와 비교하여, 맥동밸브(42) 및 압축
공기탱크(41)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온도센서(43)를 통한 온도측정을 기재하였지만,
이는 사용자가 직접 발효조(10) 외측에 돌출되어 있는 발효공기 공급장치(30)의 공급관(34)을 손으로 터치하여
온도를 느껴 수동으로 막힘청소부(4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물론, 상기 맥동밸브(42)를 통한 압축공기는 간헐적 또는 주기적 등 어떠한 형태로 제공할 것인지 제어부(44)에[0050]
등록특허 10-1794611
- 8 -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막힘청소부(40)는 공기분사부(33) 다수를 분기하고 있는 단일의 공급관(34)에
연결설치되어, 다수의 공기분사부(33)의 각 노즐(35) 전체가 동시에 청소되도록 하거나, 또는 다수의 공기분사
부(33) 각각의 공급관(34)마다 개별연결되어, 막힌 일부노즐(35)만이 청소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0051]
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
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호의 설명
10: 발효조 11: 유입구[0052]
12: 배출구 13: 상단조
14: 하단조 20: 교반장치
21: 회전축 22: 교반날개
30: 발효공기 공급장치 31: 상단판
32: 제 1이동홀 33: 공기분사부
34: 공급관 35: 노즐
36: 공기배출구 37: 하단판
38: 제 2이동홀 40: 막힘청소부
41: 압축공기탱크 42: 맥동밸브
43: 온도센서 44: 제어부
50: 운송부
V1: 차단밸브
등록특허 10-1794611
- 9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794611
- 10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794611
- 11 -
도면4
등록특허 10-1794611
- 12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