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45) 공고일자 2011년03월07일
(11) 등록번호 20-0452564
(24) 등록일자 2011년02월28일
(51) Int. Cl.

A47J 37/06 (2006.01) A47J 37/00 (2006.01)
(21) 출원번호 20-2008-0010201
(22) 출원일자 2008년07월30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07월30일
(65) 공개번호 20-2010-0001426
(43) 공개일자 2010년02월09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752761 B1*
KR2019980062054 U*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실용신안권자
김철수
인천 남동구 간석3동 1-4 26/1
(72) 고안자
김철수
인천 남동구 간석3동 1-4 26/1
(74) 대리인
황선웅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강녕
(54)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57) 요 약
본 고안은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중 연료공급부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통기공이 타공된
용기 형태의 화로(2); 상단에 석쇠(G) 또는 불판 등이 얹히는 것으로서 상기 화로(2)가 놓이는 하우징(4); 옥수
수공급부(18); 상기 화로(2)에 담긴 옥수수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염이 상기 화로(2)의 바닥판(2a)
저면을 향하도록 상기 화로(2) 저부에 설치되는 옥수수점화부(34); 상기 화로(2) 내부로 외부공기를 강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부(46)를 포함하되; 옥수수 공급을 위해 상기 화로(2)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관(24)은 상기
화로(2)의 수직공간(S)과 간섭되지 않는 길이로 연소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이송관(24)의 선단에는 상기 수
직공간(S)과 간섭되는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관(10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등록실용신안 20-0452564
- 1 -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이 타공되며 내부 케이싱(14)에 의해 지지되는 용기 형태의 화로
(2); 상단에 석쇠(G) 또는 불판 등이 얹히는 것으로서 상기 화로(2)가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통형상의 하우징
(4); 상기 화로(2) 내부로 옥수수 알갱이를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4) 측부에 설치되는 옥수수
공급부(18); 상기 화로(2)에 담긴 옥수수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옥수수점화부(34); 상기 화로(2) 내부로 외부공
기를 강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부(46)를 포함하며; 옥수수 공급을 위해 상기 화로(2)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관(24)을 구비하는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24)은 상기 내부케이싱(14)을 위로 들어올릴 수 있을 정도의 수직공간(S)을 확보하도록 연소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이송관(24)의 선단에는 상기 화로(2)에 인접하는 길이로 연장되는 연장관(100)이 착탈 가
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연장관(100)은 상기 이송관(24) 외주에 끼워지는 연결부(102)와, 옥수수 알갱이가 상기 화로(2) 내부로 미
끄러지듯 투척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102)와 연결되는 관부재(104)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관(100)의 연결부(102)에는 니은(ㄴ)자 형태의 절개홈(106)이 타공되고, 상기 이송관(24)의 단부에는
상기 절개홈(106)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108)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
용 화덕장치.
청구항 2
삭제
명 세 서
고안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고안은 구이용 화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 중 연료[0001]
공급부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근래 화석연료를 대신하여 환경에 무해한 연료로 옥수수가 사용되고 있다. 옥수수는 저렴하며 발열량이 많아 유[0002]
용한 연료로 인정되고 있다. 이러한 옥수수를 이용한 구이용 화덕장치도 제공된 바 있으나, 옥수수를 초기 점화
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옥수수가 담기는 화로에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미연소되는 부분이 있으며
연소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옥수수를 공급하는 과정이 순탄치 않아 도중에 폐색되어 공급이 중단
되는 등 세부적인 부분에서 문제들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덕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0003]
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화덕장치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이 타공된 용기 형태의 화로
(2); 상단에 석쇠(G) 또는 불판 등이 얹히는 것으로서 상기 화로(2)가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통형상의 하우징
(4); 상기 화로(2) 내부로 옥수수 연료(F)를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4) 측부에 설치되는 옥수
수공급부(18); 상기 화로(2)에 담긴 옥수수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옥수수점화부(34); 상기 화로(2) 내부로 외부
공기를 강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부(46)를 포함한다.
옥수수점화부(34)는 화염이 상기 화로(2)의 바닥판(2a) 저면을 향하도록 상기 화로(2) 저부에 설치되는 가스토[0004]
출구(36); 상기 가스토출구(36)를 통해 가스연료가 분출되도록 하는 가스공급부(38); 전기적 수단에 의해 상기
가스토출구(36)로 토출되는 가스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가스점화부(40)를 가진다.
옥수수공급부(34)는 상기 하우징(4) 측부에 고정되는 연료저장통(20); 내부에 이송스크류(26)가 설치되는 것으[0005]
등록실용신안 20-0452564
- 2 -
로서, 일단은 상기 연료저장통(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화로(2)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이송부(22); 상기 이
송스크류(26)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가진다.
이송부(22)는 이송관(24)과, 이송관(24) 내부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류(26) 및 이송스크류(26)를 회전구동시키기[0006]
위한 동력수단을 포함한다. 연료저장통(20)의 투입구(20a)를 통해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투입구(20a)에는
덮개(30)가 덮인다.
위와 같은 구성의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화덕장치'는 종래 본 고안자가 제안한 것으로서 특허출원10-2008-[0007]
0044971호에 기재된 내용이다. 미설명부호 42는 초기점화를 위한 가스용기보관함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송관(24)이 화덕의 상부에 설치되고 있어 물받침통(12)과 내부케이싱(14)을 밖으로 들어[0008]
내거나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는 물받침통(12)과 내부케이싱(14)이 점유하고 있는 수직공간
(S) 안에 이송관의 선단이 들어와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구조는 화로(2)를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여 소제하
는데 매우 불편하였다. 이 수직공간(S)은 물받침통(12)과 내부케이싱(14)을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최소의 공간을
의미한다.
고안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개선된 구조의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화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0009]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받침통(12)과 내부케이싱(14)을 하우징(4)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화덕장치의 연료공급부의 개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 해결수단
위와 같은 목적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기공이 타공되며 내부 케이싱에 의해 지지되는 용[0010]
기 형태의 화로; 상단에 석쇠 또는 불판 등이 얹히는 것으로서 상기 화로가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통형상의
하우징; 상기 화로 내부로 옥수수 알갱이를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측부에 설치되는 옥수수공
급부; 상기 화로에 담긴 옥수수를 점화하기 위한 옥수수점화부; 상기 화로 내부로 외부공기를 강제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며; 옥수수 공급을 위해 상기 화로 상부로 연장되는 이송관을 구비하는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선단에는 상기 화로에 인접하도록 연장관이 더 설치되되, 상기 연장관은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착[0011]
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효 과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옥수수를 공급하는 말단부가 되는 이송관의 선단이 물받침통과 내부케이싱을 들어낼[0012]
수 있는 최소한의 수직공간(S)을 확보할 수 있어 이들을 하우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화로 내지 그 주변 부품을 편리하게 소제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 부가된,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
이용 화덕장치를 제공한다.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0013]
실시예에 의한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4는 옥수수공급부의 연장관의 단
면도이며, 도 5는 연장관의 사시도이다.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는 종래 본 고안자가 제안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기존의[0014]
것과 다름없는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2의 것과 동일하게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등록실용신안 20-0452564
- 3 -
우선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0015]
옥수수공급부(18)는 옥수수를 화로 내부로 투척하는 방식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그의 이송관(24)의 선단이 옥수[0016]
수공급부의 말단이 된다. 이송관(24)은 내부케이싱(14)을 위로 들어올릴 수 있을 정도의 수직공간(S)을 확보하
도록 연소공간을 향해 연장된다. 즉 이송관(24)은 화로(2) 내부의 연소공간에 미치지 못하도록 짧게 연장된다.
그리고 이송관(24)의 선단에는 연장관(10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내부케이싱(14) 내부에는 물받침통(12)
이 더 설치되는데 이 또한 무난하게 위로 들어올려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될 것이 자명하다.
연장관(100)은 이송관(24) 외주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는 직경을 가지는 링 또는 밴드 형상의 연결부(102)와,[0017]
이 연결부(102)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관부재(104)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102)의
중심축(X1)과 관부재의 중심축(X2)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옥수수 알갱이가 미끄러지듯 관부재
(104)를 타고 내려와 화로(2) 내부로 투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연결부(102)를 이송관(24)의 선단에 용이하게 끼우거나 그로부터 빼낼 수 있다. 사용자는 화로(2)를[0018]
소제하고자 할 때에는 연장관(100)을 이송관(24)으로부터 먼저 분리하고 화로(2)를 하우징(4)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그러면 화로(2)의 직상부에는 어떠한 걸림이 없어 화로(2)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연장관(100)은 내열성을 가진 금속재가 바람직할 것이며 금속판재를 커팅, 절곡함으로써 어렵지 않게 도시된 형[0019]
태대로 제작될 수 있다. 연장관의 관부재(104)는 대략 반원통 형상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원통형상이
될 수도 있다.
연결부(102)와 이송관(24)는 단순 끼움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끼운후 축회[0020]
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탁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연장관(100)의 연결부(102)에는 니은(ㄴ)자
형태의 절개홈(106)이 타공되고, 이송관의 단부에는 절개홈(106)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108)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화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다. [0021]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옥수수를 연료로 하는 구이용 화덕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며, 도 4는 옥수수공급[0022]
부의 연장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연장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023]
2 ; 화로 4 ; 하우징[0024]
18 ; 옥수수공급부 20 ; 연료저장통 [0025]
22 ; 이송부 24 ; 이송관[0026]
100 ; 연장관[0027]
102 ; 연결부 104 ; 관부재[0028]
G ; 석쇠 F ; 옥수수 연료[0029]
등록실용신안 20-0452564
- 4 -
도면
도면1
등록실용신안 20-0452564
- 5 -
도면2
등록실용신안 20-0452564
- 6 -
도면3
도면4
등록실용신안 20-0452564
- 7 -
도면5
등록실용신안 20-0452564
- 8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