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45) 공고일자 2013년08월23일
(11) 등록번호 20-0468614
(24) 등록일자 2013년08월1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63H 33/04 (2006.01) A63H 33/12 (2006.01)
(21) 출원번호 20-2011-0010636
(22) 출원일자 2011년11월30일
심사청구일자 2011년11월30일
(65) 공개번호 20-2013-0003397
(43) 공개일자 2013년06월10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902755 B1
US05049105 A
(73) 실용신안권자
강선호
인천광역시 부평구 체육관로 27, 712동 1604호 (
삼산동, 삼산타운)
(72) 고안자
강선호
인천광역시 부평구 체육관로 27, 712동 1604호 (
삼산동, 삼산타운)
(74) 대리인
최영민
전체 청구항 수 : 총 4 항 심사관 : 진재영
(54) 고안의 명칭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57) 요 약
본 고안은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튜브를 연결하여 다양한 입체 형상을 만드는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에 관한 것
으로서, 유아들이 필요한 튜브 연결체를 용이하게 찾아 조립할 수 있고 결합부재를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일정 길이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튜브(9)가 통과하기 위한 결합공을 구비한 몸통
부(20, 30, 40, 50, 60, 80)와, 상기 몸통부(20, 30, 40, 50, 60, 8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 튜브
가 끼워지는 다수의 결합부재(21, 22, 23, 24, 25, 26, 27, 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
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의 갯수와 동일한 변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
에는 필요시 쉽게 구부릴 수 있도록 중앙 벤딩홈(9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9
등록실용신안 20-0468614
- 1 -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일정 길이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튜브(9)가 통과하기 위한 결합공을 구비한 몸통부(20, 30, 40, 50, 60,
80)와, 상기 몸통부(20, 30, 40, 50, 60, 8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 튜브(9)를 끼우기 위한 다수
의 결합부재(21, 22, 23, 24, 25, 26, 27, 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0, 30, 40, 50, 60, 80)는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21, 22, 23, 24, 25, 26, 27, 28)의 갯수와 동
일한 변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20, 30, 40, 50, 60, 80)에는 쉽게 구부릴 수 있도록 중앙 벤딩홈(9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10).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21, 22, 23, 24, 25, 26, 27, 28)의 각 단부에는 결합부재의 갯수를 나타내는 일련번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와 결합부재의 경계면 또는 결합부재의 일정 위치에는, 다면체 조립시 쉽게 구부릴 수 있도록 벤딩
홈(9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10).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0, 30, 40, 50, 60, 80)는 다각형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완구용 튜브 연결체(10).
청구항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20, 30, 40, 50, 60, 80)의 두께는 상기 중공 튜브(21, 22, 23, 24, 25, 26, 27, 28)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10).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고안은, 일정 길이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튜브를 서로 연결하여 다양한 입체 도형을 조립할 수 있는[0001]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몸통부를 결합부재의 수와 동일한 면을 갖는 다각
형으로 형성하여 결합부재의 수를 세지 않고서도 해당 튜브 연결체를 찾을 수 있고, 각 튜브 연결체의 결합부재
에 일련 번호를 표시하여 다면체 조립시 필요한 결합부재를 용이하게 찾아 중공 튜브를 끼울 수 있는 조립완구
용 튜브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유치원생들이나 초등학교 저학년들이 사용하는 완구 중에,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튜브를 연결하여 다양한 입체[0002]
도형을 조립할 수 있는 완구가 있다.
이러한 조립 완구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튜브(이하 간[0003]
단히 '튜브'라 한다)와 이들을 서로 조립하기 위한 튜브 연결체(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튜브 연결체(5)는 튜브(9)를 통과시켜 끼울 수 있는 원형의 결합공(3)이 형성된 몸통부(1)와, 상기 몸통[0004]
부(1)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결합부재(2)를 포함한다.
등록실용신안 20-0468614
- 2 -
상기 결합부재(2)의 개수는 통상 2개 내지 8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립하고자 하는 입체 도형의 형상에 따라[0005]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조립한다.
즉, 상기 결합부재(2)에 튜브를 끼우고 이를 다른 튜브 연결체(5)와 연결해 나가면, 삼각뿔, 6면체, 8면체, 12[0006]
면체 등 다양한 입체 도형을 조립할 수 있고, 튜브 결합체(5) 자체를 구부리면 원형에 가까운 형상도 만들 수가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튜브 조립체(5)는 유아나 어린이들이 필요한 튜브 조립체를 용이하게 찾을 수 없다는[0007]
문제가 있다.
통상 위와 같은 조립식 완구는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저학년 교실에서 지도교교사의 지도에 의해 많이 사용되는[0008]
데, 어린 유아나 어린이들은 다양한 형상의 튜브 조립체 중에서 특정한 입체 도형의 조립에 필요한 튜브 조립체
(5)를 쉽게 구별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지도 교사가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많은 튜브 조립체(5) 중에서 필요한 튜브 조립체(5)를 찾아 주어야[0009]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튜브 조립체(5)의 몸통부를 구부릴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유아들은 힘이 약하여 몸통부를 쉽게 구부[0010]
릴 수가 없다.
또한 결합부재(2)를 구부릴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유아들이 이를 잘 구부리지 못하고, 구부린다 하여도 그 위치[0011]
가 달라짐으로써 정확한 입체 도형을 조립하기가 어렵게 된다.
즉 다면체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각 변의 길이가 일정해야 하는데, 결합부재(2)의 구부리는 위치가 달라짐으로써[0012]
정확한 다면체의 조립이 어려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면체를 조립하는 경우, 유아들이 다수의 결합부재(2) 중 어느 결합부재에 해당 튜브(9)를 끼워야 하는지[0013]
를 잘 모르고, 지도 교사도 그 정확한 위치를 말로 설명하기가 어렵다.
결국 도형 학습 목적으로 개발된 조립식 완구에 대해 지도교사는 지도에 어려움을 겪고, 유아나 어린이들은 쉽[0014]
게 흥미를 잃어 버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의 두께를 증가시킨 튜브 조립체(5)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0015]
금형을 제조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와 같은 구조의 튜브 조립체(5)는, 몸통부(3)를 구부릴 수가 없으므로 다양한 도형을 조립하기에 한계[0016]
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나 어린이들이 필요한[0017]
튜브 연결체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결합부재의 개수를 세지 않고 몸통부분의 형상만 보고서도 해당 튜브 연결체를 바로 찾[0018]
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튜브 연결체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0019]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몸통부와 결합부재의 연결부 또는 결합부재의 일정 부분에 벤딩홈을 형성하여, 유아[0020]
들이 손쉽게 구부릴 수 있고 다면체 조립시 각 변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도 교사가 쉽게 지도를 할 수 있고 유아나 어린이들이 도형 조립 수업에 흥미를[0021]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 길이를 갖는 플라스틱 재질의 중공 튜브가 통과하기 위한[0022]
결합공을 구비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중공 튜브를 끼우기 위한 다수의 결합부
등록실용신안 20-0468614
- 3 -
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의 갯수와 동
일한 변을 갖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에는 필요 시 쉽게 구부릴 수 있도록 중앙 벤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결합부재의 각 단부에는 결합부재의 갯수를 나타내는 일련번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있고,[0023]
상기 몸통부와 결합부재의 경계면 또는 결합부재의 일정 위치에는, 다면체 조립시 쉽게 구부릴 수 있도록 벤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는 다각형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24]
또한, 상기 몸통부의 두께는 상기 중공 튜브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5]
고안의 효과
본 고안에 의하면, 튜브 연결체의 몸통부를 결합부재의 갯수와 동일한 형상의 다면체로 형성함으로써, 유아들이[0026]
결합부재의 개수를 일일이 세지 않고 몸통 부분만 보고서도 해당 튜브 조립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
가 있다.
또한, 튜브 연결체의 몸통부의 색상을 각 다면체별도 다르게 형성하면 해당 튜브 조립체를 더욱 쉽게 찾을 수[0027]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상으로 형성된 튜브 조립체 몸통부의 단면을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지 않고서도[0028]
튜브 조립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 연결체의 몸통부에 중앙 벤딩홈을 형성함으로써, 유아들이 몸통부를 쉽게 구부려서 다양한 형상의[0029]
다면체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통부와 결합부재의 연결부 또는 결합부재의 일정 부분에 벤딩홈을 형성하여, 유아들이 손쉽게 구부릴[0030]
수 있고 다면체 조립시 각 변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형상의 다면체를 조립할 수 있도
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도교사가 도형의 조립 수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고, 유아나 어린이들이 도형 수업에 흥미를 가질 수[0031]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조립완구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0032]
도 2는 종래 조립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의 단면도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의 평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의 평면도
도 8는 본 고안에 따른 제 6실시예의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 7실시예의 평면도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0033]
<제 1실시예>[0034]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의 튜브 연결체(10)를 도시한 것이다. [0035]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튜브 연결체(10)는, 튜브가 통과되어 끼워지는 결합공(93)이 형성된 판 형상의 원[0036]
형몸통부(20)와, 상기 원형몸통부(20)에서 양쪽으로 연장되어 튜브(9)를 끼울 수 있는 연결할 수 결합부재
등록실용신안 20-0468614
- 4 -
(21,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의 개수는 1개일 수도 있고,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2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0037]
상기 원형몸통부(20)는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원형몸통부(20)를 갖는 튜브 연결체(10)는 1개 내지 2개의 결합부[0038]
재(21,22)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을 바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원형몸통부(20)의 중앙에는 중앙벤딩홈(91)이 형성되어 있어 유아나 어린이들이 작은 힘으로도 이 부분을[0039]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상기 1개 내지 2개의 결합부재(21,22)의 단부에는 일련번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원형몸통부(20)와 결합부재[0040]
(21,22)의 경계면 또는 상기 결합부재(21,22)의 일정 부분에는 벤딩홈(9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다면체 조립시 이 벤딩홈(92)을 쉽게 구부릴 수 있고, 다면체 각 변의 길이가 일정하게 되므로 정확[0041]
한 다면체 도형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형몸통부(20)의 단면은 결합부재(21,22)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별도의 금형으로 제조하지 않고서[0042]
도 튜브 연결체(2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실시예>[0043]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0044]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0045]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는, 튜브(9)를 관통시켜 끼울 수 있는 결합공(93)이 형성된 판 형상의 삼각몸통부[0046]
(30)와, 상기 삼각몸통부(30)에서 세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튜브를 연결할 수 있는 3개의 결합부재(21, 22,
23)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결합부재(21, 22, 23)에는 1에서 3까지의 번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 삼각몸통부(30)[0047]
와 결합부재(21, 22, 23) 사이에는 벤딩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벤딩홈(92)은 결합부재(21, 22, 23)의 일정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0048]
<제 3실시예>[0049]
도 6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0050]
본 고안에 따른 제 3실시예는, 튜브(9)를 관통시켜 끼울 수 있는 있는 결합공(93)이 형성된 판 형상의 사각몸통[0051]
부(40)와, 상기 사각몸통부(40)에서 네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튜브를 연결할 수 있는 4개의 결합부재(21, 22,
23, 24)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결합부재(21, 22, 23, 24)에는 1에서 4까지의 번호가 순차적을 표시되어 있고 , 상기 사각몸통부[0052]
(40)와 결합부재(21, 22, 23, 24) 사이에는 벤딩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제 4실시예>[0053]
도 7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0054]
본 고안에 따른 제 4실시예는, 튜브(9)를 관통시켜 끼울 수 있는 결합공(93)이 형성된 판 형상의 오각몸통부[0055]
(50)와, 상기 오각몸통부(5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튜브를 연결할 수 있는 5개의 결합부재(21, 22, 23, 24,
25)로 구성된다.
상기 오각몸통부(50)의 중앙에는 중앙벤딩홈(91)이 형성되어 있어 필요시 유아나 어린이들이 쉽게 구부릴 수 있[0056]
다.
상기 각각의 5개의 결합부재(21, 22, 23, 24, 25)에는 1에서 5까지의 번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기[0057]
오각몸통부(50)와 결합부재(21, 22, 23, 24, 25)사이에는 벤딩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제 5실시예>[0058]
도 8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0059]
본 고안에 따른 제 5실시예는, 튜브(9)를 끼울 수 있는 결합공(93)이 형성된 판 형상의 육각몸통부(60)와, 상기[0060]
육각몸통부(6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튜브를 연결할 수 있는 6개의 결합부재(21, 22, 23, 24, 25, 26)로 구
등록실용신안 20-0468614
- 5 -
성된다.
상기 육각몸통부(60)의 중앙에는 중앙벤딩홈(91)이 형성되어 있다. [0061]
상기 각각의 6개의 결합부재(21, 22, 23, 24, 25, 26)에는 1에서 6까지의 번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있고, 상[0062]
기 육각몸통부(60)와 결합부재(21, 22, 23, 24, 25, 26) 사이에는 벤딩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제 6실시예>[0063]
도 9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 6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0064]
본 고안에 따른 제 6실시예는, 튜브(9)를 끼울 수 있는 결합공(93)이 형성된 판 형상의 팔각몸통부(80)와, 상기[0065]
팔각몸통부(80)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튜브를 연결할 수 있는 8개의 결합부재(21, 22, 23, 24, 25, 26, 27,
28)를 포함한다.
상기 팔각몸통부(80)의 중앙에는 중앙벤딩홈(91)이 형성되어 유아들이 필요시 쉽게 구부릴 수 있다.[0066]
상기 각각의 8개의 결합부재(21, 22, 23, 24, 25, 26, 27, 28)에는 1에서 8까지의 번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되어[0067]
있고, 상기 팔각몸통부(80)와 결합부재(21, 22, 23, 24, 25, 26, 27, 28) 사이에는 벤딩홈(92)이 형성되어 있
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10)에 의하면, 지도교사가 특정한 형상의 몸통부를 갖는 도형을 선[0068]
택하도록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들이 결합부재의 갯수를 세지 않고서도 해당 튜브 연결체(10)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 도형의 색상을 각 도형별도 다르게 하면 유아들이 더욱 쉽게 해당 튜브 연결체(10)를 찾을 수[0069]
있다.
이에 따라 지도교사는 선택된 튜브 연결체(10)에서 특정한 번호의 결합부재에 튜브(9)를 끼우도록 안내만 해주[0070]
면 된다.
또한, 튜브 연결체(10)의 몸통부에 형성된 중앙 벤딩홈(91) 및 몸통부와 결합부재의 경계면에 형성된 벤딩홈[0071]
(92)에 의해, 유아나 어린이들이 작은 힘으로도 몸통부 및 결합부재를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변이 일정한 길이를 갖게 되므로 입체 도형 조립시 정확한 다면체 도형을 조립할 수 있다. [0072]
또한 몸통부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지 않고서도 튜브 조립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가[0073]
있다.
이상은 본 고안의 바람직할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위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0074]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몸통 2:결합부재[0075]
3:결합공 5:종래의 튜브 연결체
10:튜브 연결체 20:원형 몸통부
21:제 1결합부재 22:제 2결합부재
30:삼각 몸통부 23:제 3결합부재
24:제 4결합부재 25:제 5결합부재
26:제 6결합부재 27:제 7결합부재
28:제 8결합부재 40:사각 몸통부
50:오각 몸통부 60:육각 몸통부
80:팔각 몸통부 91:중앙 벤딩홈
등록실용신안 20-0468614
- 6 -
92:벤딩홈 93:결합공
도면
도면1
도면2
도면3
등록실용신안 20-0468614
- 7 -
도면4
도면5
도면6
도면7
등록실용신안 20-0468614
- 8 -
도면8
도면9
등록실용신안 20-0468614
- 9 -
조립완구용 튜브 연결체(TUBE CONNECTING MEMBER FOR TOY)
2018. 3. 15. 1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