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
E06B 9/17 (2006.0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7년01월09일
10-0666510
2007년01월03일
(21) 출원번호 10-2005-0032803 (65) 공개번호 10-2006-0028372
(22) 출원일자 2005년04월20일 (43) 공개일자 2006년03월29일
심사청구일자 2005년04월20일
(73) 특허권자 장종복
서울 구로구 개봉본동 153-65 15/4
(72) 발명자 장종복
서울 구로구 개봉본동 153-65 15/4
(74) 대리인 손태원
(56) 선행기술조사문헌
2001571390000 *
*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심사관 : 경노현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54)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57) 요약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은 방화셔터(100)의 개구부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측에 돌출편(121)이 형성된 차단
편(123)이 부착된 고정부재(120)와, 비상탈출문(102)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삽입되는 삽입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차단편(123)에 대응되는 차단편(133)이 부착된 차단부재(130)
이 구성된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차단편(12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24)가 부착되
고, 돌출편(121)에 한 개 이상의 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130)는 차단편(13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34)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삽입되는 삽입홈(131)이 절곡 형성되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에
형성된 홈(122)과 대응되어 삽입되는 돌기(132)가 형성되어,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원활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재지역과의 차단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고,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자유상태에서 맞물려 차단 상태를
유지하여 화염에 따른 고열이 발생하더라도 견고하게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대표도
도 2
특허청구의 범위
등록특허 10-0666510
- 1 -
청구항 1.
방화셔터(100)의 개구부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측에 돌출편(121)이 형성된 차단편(123)이 부착된 고정부재(120)와,
비상탈출문(102)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삽입되는 삽입홈(131)이 형성되고, 상
기 고정부재(120)의 차단편(123)에 대응되는 차단편(133)이 부착된 차단부재(130)이 구성된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는 차단편(12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24)가 부착되고, 돌출편(121)에 한 개 이상의 홈(122)이 형
성되며,
상기 차단부재(130)는 차단편(13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34)가 부착되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삽입
되는 삽입홈(131)이 절곡 형성되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에 형성된 홈(122)과 대응되어 삽입되는 돌기(1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과 홈(122)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부재(130)의 삽입홈(131)과 돌기
(132)가 테이퍼 형상으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차단부재(130)의 삽입홈(131)에 원활
하게 삽입되고, 고정부재(120)의 홈(122)이 차단부재(130)의 돌기(132)에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삽입홈(131)과 홈(122)
의 크기를 돌출편(121)과 돌기(132) 보다 크게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20)의 차단편(123)과 차단부재(130)의 차단편(133)에 부착되는 불연소수지(124, 134)는 에칠렌 초산비
닐계 수지도장시리카크로스제 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명세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방화용 셔터의 비상탈출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가 예상되는 건축물의 통로에 설치되는 방화
용 셔터의 비상탈출문이 닫힌 상태에서 완전하게 차단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화재에 따른 고열에도 견고하게 화염을 차
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재가 건축물 내부 전체에 번지지 않도록 건축물의 내화구조는 바닥, 벽 및
방화문 또는 방화셔터 등이 설치된다.
등록특허 10-0666510
- 2 -
이중 방화셔터는 특정 공간 내부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하고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발화지점에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안에 의하면, 화재시 발생되는 화염 및 유독가스의 차폐성을 보다 극대화시키지 못하여 부분적으로 화염
및 유독가스의 유출을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없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차폐성의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특히 방화셔터의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화재가 번지는 경우에는 800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하게되고 이로 인하여 방
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설치부분이 뒤틀어지면서 차단효과가 현격하게 떨어지거나 이로 인하여 방화셔터로서의 구실을 수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원활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화재지역과의 차단효과가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자유상태에서 견고하게 차단되어 화염에 따른 고열이 발생하더라도 견고
하게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면 애치렌 초산비닐계 수지도장시리카크로스제 스크린으로된 불연소수지를 적용하여 유독가스
를 배출을 억제하도록 시키지 하는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구성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은 개구된 방화셔터 상부에 차단편을 부착하되 차단
편의 하측에 돌출편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끼우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비상탈출문의 상측에 부착되는 차
단부재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
명하기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결합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닫힌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
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열린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
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닫힌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열린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9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100)의 비상탈출문(102)은 방화셔터(100)의 개구부 상부에 차
단편(123)을 부착하되 차단편(123)의 하측에 돌출편(121)이 형성된 고정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
(121)을 끼우는 삽입홈(131)이 형성되고 차단편(123)과 대응되는 차단편(133)이 형성되되 비상탈출문(102)의 상측에 부
착되는 차단부재(130)로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차단편(12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24)를 부착하고 돌출편(121)에 형성하되 돌출편(121)에 한
개 이상의 홈(122)을 형성한다.
여기서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과 홈(122)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재(130)는 절곡하여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을 삽입하는 삽입홈(131)을 형성시키되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에 형성된 홈(122)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돌기(132)을 형성한다.
여기서 차단부재(130)의 삽입홈(131)과 돌기(132)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되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과 홈(122)
에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그 크기를 약간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등록특허 10-0666510
- 3 -
즉, 차단부재(130)는 삽입홈(131)과 돌기(132)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여 상호 대응되게하되 고정부재(120)의 돌출편
(121)이 홈(122)에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삽입홈(131)과 홈(122)의 크기를 돌출편(121)과 돌기(132) 보다 크게 형성한다.
더불어 차단부재(130)는 차단편(13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34)를 부착하여 차단력이 향상되게 형성한다.
나아가 차단부재(130)의 하부에는 비상탈출문(102)의 상측에 부착하는 결합편(135)을 형성한다.
한편 고정부재(120)와 차단부재(130)는 그 결합위치는 셔터부재(110)의 연결고리(111)와 수평선상으로 일치되게 한다.
더불어 고정부재(120)와 차단부재(130)의 결합상태 크기는 셔터부재(110)의 연결고리(111)의 결합부분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권회가 원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120)의 차단편(123)과 차단부재(130)의 차단편(133)에 부착되는 불연소수지(124,134)는 에칠렌 초산비
닐계 수지도장시리카크로스제 스크린으로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화셔터(100)의 개구부 상측에 불연소수지(124)가 부착된 차단편(123)를 형성한 고정부재(120)를 볼트링 등의 체
결수단으로 결합한다.
고정부재(120)의 결합이 완료되면 불연소수지(134)가 부착된 차단편(133)를 형성한 차단부재(130)의 결합편을 비상탈출
문(102)의 상측에 볼트링 등으로 결합한다.
불연소수지(124,134)가 구비된 고정부재(120)와 차단부재(130)의 결합이 완료되어 비상탈출문(102)을 닫으면 고정부재
(120)의 차단편(123)에 부착된 불연소수지(123)와 차단부재(130)의 차단편(133)에 부착된 불연소수지(134)가 상호 밀착
된다.
이때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차단부재(130)의 삽입홈(131)에 끼워져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게된다.
나아가,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에 홈(122)으로 차단부재(130)의 삽입홈(131)에 형성된 돌기(132)가 끼워져 더욱
더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하게된다.
이러한 밀착력은 통상의 방화셔터(100)에 설치되는 비상탈출문(102)의 자동 닫힘을 유지하는 탄력설치된 경첩 등으로 이
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고열에 의한 뒤트림이 발생하더라도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차단부재(130)의 삽입
홈(131)에 끼워져 있고 돌출편(121)의 홈(122)에 삽입홈(131)의 돌기(132)가 끼워져 더욱 더 견고하게 결합상태를 유지
하므로 고열에의한 뒤틀림을 억제하고 설령 뒤틀림이 발생하더라도 화염을 지속적으로 차단하여 방화셔터(100)의 본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더욱이, 고정부재(120)는 돌출편(121)과 홈(122)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차단부재(130)는 삽입홈(131)과 돌기
(132)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고열에 의한 튀틀림 발생시 돌출편(121)과 돌기(132)가 더욱 더 삽입홈(131)과 홈
(122)의 모서리에 견고하게 걸리게 되므로 화염을 지속적으로 차단하여 방화셔터(100)의 본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
키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은 방화셔터(100)에 고정부재(120)가 구비되고, 비상탈출문
(102)에 차단부재(130)가 구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120)는 차단편(12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24)가 부착되고,
돌출편(121)에 한 개 이상의 홈(122)이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130)는 차단편(133)의 대응면에 불연소수지(134)가 부
착되고, 상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이 삽입되는 삽입홈(131)이 절곡 형성되며, 고정부재(120)의 돌출편(121)에
등록특허 10-0666510
- 4 -
형성된 홈(122)과 대응되어 삽입되는 돌기(132)가 형성되어,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원활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화재지역과의 차단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이 자유상태에서 맞물려 차단 상태
를 유지하여 화염에 따른 고열이 발생하더라도 견고하게 차단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결합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닫힌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열린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닫힌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열린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화셔터 101 : 문틀
102 : 비상탈출문 103 : 표시부
104 : 셔터박스 105 : 경첩
106 : 하부프레임 110 : 셔터부재
111 : 연결고리 120 : 고정부재
121 : 돌출편 122 : 홈
123 : 차단편 124 : 불연소수지
130 : 차단부재 131 : 삽입홈
132 : 돌기 133 : 차단편
134 : 불연소수지 135 : 결합편
도면
등록특허 10-0666510
- 5 -
도면1
등록특허 10-0666510
- 6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0666510
- 7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0666510
- 8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0666510
- 9 -
도면8
도면9
등록특허 10-0666510
- 10 -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Emergency escape door of fireproof shutter)
2018. 3. 9. 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