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01월16일
(11) 등록번호 10-1221121
(24) 등록일자 2013년01월04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F23G 1/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111839
(22) 출원일자 2012년10월09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10월09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666444 B1
KR100928388 B1
KR1020100074797 A
(73) 특허권자
김기용
인천 서구 왕길동 634-1 신명스카이뷰드림아파트
106-1201
(72) 발명자
윤정노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한로26가길 88-1 , 나동
지층(장안동)
김기용
인천 서구 왕길동 634-1 신명스카이뷰드림아파트
106-1201
(74) 대리인
정진상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박종오
(54) 발명의 명칭 화장 후 남은 분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제조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시신을 화장(火葬)하고 남은 유골을 고온으로 재가열하여 용융하고 그 용융액을 구슬형태로 재결정하
는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융도가니(11)에 적은 양의 유골을 조금씩 공급하되 용융물(92)이 용융도가니(11)를 비롯한 장치내에 부착경화
되어 잔류하지 않게 하면서 상기 용융도가니(11) 하방에는 냉각성형판구동모터(22)와 감속기(22-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용융도가니(11)의 용융물배출구(11-3)에서 배출되는 용융물(92)을 받는 원판 형태의 냉
각성형판(21)과 상기 냉각성형판(21) 상부에 가이드판지지대(25-1)로 지지되는 가이드판(25)과 송풍기(23)와 연
결되어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파이프(24)와 이송가이드(28)로 구성되는 1차냉각성형장치(20)와
상기 1차냉각성형장치(20) 하방에는 고정밴드(39)에 의해 고정되는 외부고정통(32) 내측에 결정체투입구(33-1)와
결정체배출구(33-2)가 형성되어지며 내측 단면이 나선형회전요홈(34)을 갖는 내부회전통(33)이 벨트체결홈(33-
3)이 형성되어지게 결합된 냉각성형통(31)과 냉각성형통구동모터(35)와 감속기(35-1)와 연결된 폴리(37)가 벨트
(38)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는 2차냉각성형장치(30)로
2번의 냉각성형공정으로 잿빛의 혐오스러운 유골을 보석과 같이 표면에 광택을 갖으며, 비취색이나 파란색 등의
아름다운 색상을 가지면서도 진원에 가까운 구형상의 사리를 균일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는 화장 후 남은 분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제조장치이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221121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도가니회전모터(51)와 감속기(51-1)에 의해 일정각도(120°범위)내에서 정,역회전하는 용융도가니(11)에는 화염
주입구(11-1)와 유골분(91)이 유입되는 유골유입구(11-2)와 상기 유골분(91)을 가열하여 생성된 용융물(92)을
배출하기 위한 용융물배출구(11-3)를 형성하며, 상기 유골유입구(11-2) 일측에는 용융도가니(11) 내측으로 유골
을 공급하는 유골공급장치(10)를 가지되,
상기 유골공급장치(10)는 유골이송관(13)과 유골이송관(13) 내측으로 유골분(91)을 공급하는 유골분공급호퍼
(14)와 유골분(91)을 용융도가니(11)로 유입하는 실린더(15)와 상기 실린더(15)를 구동시키는 실린더구동모터
(17)와 유골이송관(13)을 냉각하는 수냉식 냉각장치(12)를 유골이송관(13) 선단 외측에 가지며,
상기 용융도가니(11)의 화염주입구(11-1) 상방에는 상하 및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한 상하 및 좌우 이동기구
(42)를 가지는 가열토치(41)가 설치되며,
상기 용융도가니(11) 하방에는 1차냉각성형장치(2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1차냉각성형장치(20)는 냉각성형판구동모터(22)와 감속기(22-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판 형태
의 냉각성형판(21)을 가지며,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 상방에는 가이드판지지대(25-1)로 지지되는 가이드판(25)과 송풍기(23)와 연
결되어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파이프(24)를 가지며,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의 측하방에는 결정체(93)를 이송하는 이송가이드(28)의 일측단부가
위치하며,
상기 1차냉각성형장치(20) 하방에는 2차냉각성형장치(30)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2차냉각성형장치(30)는 냉각성형통(31)을 가지되,
상기 냉각성형통(31)은 고정밴드(39)에 의해 고정되는 외부고정지지체(32) 내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내부회전통
(33)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내부회전통(33) 내주면에는 나선형회전요홈(34)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벨트체결홈(33-3)이 형성되어 상
기 냉각성형통(31)의 내부회전통(33)을 회전시키는 벨트(38)가 체결되고, 상기 내부회전통(31) 일측에 상기 벨
트(38)를 구동하는 냉각성형통구동모터(35)와 감속기(35-1)와 폴리(37)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회전통(33) 일측에는 결정체투입구(33-1)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으로부터 공급
되는 결정체(93)를 이송하는 이송가이드(28)의 타측단부가 연결되며,
내부회전통(33) 타측에는 결정체배출구(33-2)가 형성되어 수집통(85)과 연결되는 결정체배출가이드(84)와 연결
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제조장치.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냉각성형판(21)은 냉각수순환관(27)에 의해 냉각수(60)가 순환하는 냉각수순환방식으로 냉각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제조장치.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시신을 화장(火葬)하고 남은 유골을 고온으로 재가열하여 용융하고 그 용융액을 구슬형태로 재결정하[0001]
는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화장 후 남은 유골을 용융되기까지 가열하고 이를 구슬크기의 작은 양만큼 연속적으로 용융도가니로부터
배출하며, 용융도가니로 배출되는 유골 용융액을 요홈을 형성한 이송로를 따라 이송시킴으로 인해 진원에 가까
운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특허 제0931544호인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
체를 만드는 장치"를 개량 발명한 것으로 이와 유사한 기계장치 들이 갖고 있는 문제점 중의 하나인 고온으로
등록특허 10-1221121
- 2 -
가열하여 용융시킨 골분 용융액을 작은 크기의 결정체로 재결정함에 있어, 균일한 크기로 재결정시키지 못하며,
결정체가 타원형이나 납작한 형태로 재결정되어 외형이 미려하지않으며, 진원에 가깝게 재결정되지 못하는 문제
점과 분골을 녹인 용융물은 짧은 시간안에 굳어져 용융물이 장치내에 부착경화되어 장치내에 잔류되어 다음번의
용융되는 고인의 유골과 섞여지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용융도가니에 적은 양의 유골을 조금씩 공급하되 용융물이
용융도가니를 비롯한 장치내에 부착경화되어 잔류하지 않게 하면서 1차와 2차에 걸쳐 2번의 냉각성형공정을 거
쳐 잿빛의 혐오스러운 유골을 보석과 같이 표면에 광택을 갖으며 비취색이나 파란색 등의 아름다운 색상을 가지
면서도 진원에 가까운 구형상의 사리를 균일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는 화장 후 남은 분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제조장치이다.
배 경 기 술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는, [0002]
본 발명의 발명자에 의해 발명 및 고안된 [0003]
특허 제0445338호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0004]
특허 제0666444호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 및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0005]
체를 제조하는 방법",
실용신안 제0293238호 "유골을 이용한 결정체와 제조장치" 등이 있으며,[0006]
이외에, 특허 제0269981호 "유골을 결정체로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장치",[0007]
특허 제0407145호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결정체를 만드는 방법",[0008]
특허 제0439684호 "유골 사리화장치",[0009]
특허 제0562722호 "시신을 화장함과 동시에 결정물을 추출하는 화장로",[0010]
특허 제0585202호 "애완동물 사체처리 장치",[0011]
특허 제0551140호 "열분해 가스화용용 방식을 이용한 이동식 유골 화장로 시스템",[0012]
특허 제0776326호 "망자 유골을 이용한 사리가공장치",[0013]
특허 제0931544호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0014]
특허 제0936639호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0015]
특허 제0928388호 "화장 후 남은 유골로부터 구슬형태의 결정체를 만드는 장치",[0016]
특허 제1081806호 "사리 제조기",[0017]
특허 제1090585호 "유골분 결정화 장치",[0018]
특허 제1121756호 "유골 성형장치",[0019]
특허 제1140786호 "유골 결정체 성형 시스템 및 그 방법",[0020]
특허 제1153731호 "사리 제조 장치 및 사리 제조 방법",[0021]
실용신안 제0416419호 "유골 결정체 제조장치 회전원판 냉각구조",[0022]
실용신안 제0431042호 "사리제조장치",[0023]
특허 공개번호 제10-2004-0021502호 "사체의 인조사리 결정화 방법 및 그 장치",[0024]
특허 공개번호 제10-2008-0032329호 "유골분을 이용한 사리 자동화 제조장치" 등이 있다.[0025]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인간에 있어서 죽음은 탄생에 못지 않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며, 죽은 자에 대한 시신처리는 각 민족의 전통[0026]
장례의식이나 또는 종교에 따라 정하여진 장례의식 또는 오랫동안 전해 내려오는 관습에 따라 행하여지고 있는
등록특허 10-1221121
- 3 -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종래 장례의식은 전통적인 유교 사상이나 풍수사상의 영향으로 시신을 땅에 매장하고 봉분하는 묘지[0027]
를 선호하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매년 많은 땅이 묘지로 잠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통적인 장례의식에 따라 묘지를 선호하여, 시신을 화장하고 이를 납골당 등에 보관하는 장례절차를 선호하지[0028]
않는데, 특히 시신을 화장한 후 유골을 수습하고 이를 용기에 담아 납골당에 보관하는 것에 있어서는, 납골된
유골이 보기 흉한 잿빛의 색상과, 모양을 가짐으로 시신을 화장하고 유골을 납골당에 안치하는 것보다 묘지를
선호하는 마음을 유발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보통의 사람들이 시신을 땅에 묻고 봉분을 하는 묘지를 선호하는 것은 유골이 혐오스러운 색상과 모[0029]
양을 가지며, 장기간 보관시 부패되어 변질되는 원인도 있지만, 화장으로 인해 시신을 태워 2번 죽인다는 부정
적인 생각과 납골당에 고인을 초라하게 안치하는 것보다 묘소를 크게하고 화려하게 함으로 말미암아 후손이 복
을 받는다는 기복 및 풍수사상에 의해 묘지를 선호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한정적이며 좁은 땅을 가진 여건에 있어서는, 매년 증가하는 묘지를 억제하지 않으면[0030]
국토 전체가 묘지화라는 심각한 사회적 이슈가 되어, 묘지의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정부나
사회단체에서는 시신을 화장하고 수습된 유골을 용기에 넣어 보관하는 납골당 및 수목장 등의 화장 장례를 권장
하여 최근에는 국민의식의 변화에 기인하여 화장 장례 문화가 정착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장례문화가 매장 문화에서 화장문화로 변하여 화장 후 잔류하는 유골의 골분은 유골함 등에 넣어[0031]
납골당에 보관하게 되는데, 상기 유골의 골분은 관리가 어려워 관리 소홀로 골분이 습기를 흡수하게 되면 변질
되고 부패되어 골분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면 골분의 수습 및 보관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과 유골의 골분은 각
종 해충 등의 침입 시 쉽게 훼손되어, 장기적인 보관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어, 근래에는 상기 유골의 골분
보관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체를 화장한 후 얻게 되는 유골의 골분을 용해시켜 사리로 제조하고
있다.
시신을 화장하고 남은 유골은 유기물이 거의 연소되고 남은 무기질이며, 무기물질을 재차 고온으로 가열하면 용[0032]
융되어 고온의 액상으로 되는 것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즉, 세라믹재나, 무기질 재질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이를 형틀에 붓고 냉각시키면 원하는 형태로 재[0033]
결정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세라믹 볼을 만드는 기술 내지 인공적으로 치아를 만드는데 활용
되고 있다.
따라서, 시신을 고온으로 화장하고 남은 유골의 성분은 대부분은 무기질과, 약간의 세라믹재로 구성된 것이라[0034]
할 수 있으며, 유골을 금속(철)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도가니에 넣고 1000℃-2500℃로 가열하면 용융되어지며,
용융된 것을 서서히 떨어뜨리면서 냉각시키면 구슬형태로 재결정되어 진다.
종래의 유골 용융액을 구슬형태로 만듦에 있어,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상태의 용융액을 물속에 부어 결정체를[0035]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고온의 용융액을 갑자기 물속에 넣어 급냉시키게 되면 급작스럽게 결정이 조직됨
으로 인해 충격에 의해 쉽게 깨어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그 형태가 구형태로 결정되지 않고 끝이 뾰족한 날카로운 형태로 재결정되기 때문에 형상이 아름답게 결[0036]
정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용융액을 물속에 넣어 급냉시키는 것을 바람직한 유골 결정방법이라 할 수
없다.
또한 유골은 화장로에서 800-1300℃의 고온으로 가열되어 유골화된 것으로 이를 용융시키려면 최소한 화장로에[0037]
서의 연소 온도보다 고온으로 가열해야 용융되어 지며, 집중적으로 고온의 열을 가해야만 비로소 유골은 용융되
어 되는데, 종래의 유골을 결정체로 제조하는 장치는 유골을 용융시키는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결정체를 유족이 원하는 모양으로 제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온으로 가열하
여 용융시킨 골분 용융액을 작은 크기의 사리로 재결정함에 있어, 균일한 크기로 재결정시키지 못하며, 사리의
색상이 잿빛 이나 회색으로, 타원형이나 납작한 형태의 일정하지 않은 모양으로 재결정되어 외형이 미려하지 않
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골을 결정체로 제조하는 장치는 유골을 전부 도가니에 투입한 후,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에 이를[0038]
조금씩 배출하여 조그만 조각의 결정체를 제조하는 방식이어서, 소량의 용융물이 장치내에 부착경화되어 장치내
에 잔류되어, 다음번 용융되는 고인의 유골과 함께 다시 용융되어 섞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221121
- 4 -
과제의 해결 수단
도가니회전모터(51)와 감속기(51-1)에 의해 일정각도(120°범위)내에서 정,역회전하는 용융도가니(11)에는 화염[0039]
주입구(11-1)와 유골분(91)이 유입되는 유골유입구(11-2)와 상기 유골분(91)을 가열하여 생성된 용융물(92)을
배출하기 위한 용융물배출구(11-3)를 형성하며, 상기 유골유입구(11-2) 일측에는 용융도가니(11) 내측으로 유골
을 공급하는 유골공급장치(10)를 가지되,
상기 유골공급장치(10)는 유골이송관(13)과 유골이송관(13) 내측으로 유골분(91)을 공급하는 유골분공급호퍼
(14)와 유골분(91)을 용융도가니(11)로 유입하는 실린더(15)와 상기 실린더(15)를 구동시키는 실린더구동모터
(17)와 유골이송관(13)을 냉각하는 수냉식 냉각장치(12)를 유골이송관(13) 선단 외측에 가지며,
상기 용융도가니(11)의 화염주입구(11-1) 상방에는 상하 및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한 상하 및 좌우 이동기구
(42)를 가지는 가열토치(41)가 설치되며,
상기 용융도가니(11) 하방에는 1차냉각성형장치(2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1차냉각성형장치(20)는 냉각성형판구동모터(22)와 감속기(22-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판 형태
의 냉각성형판(21)을 가지며,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 상방에는 가이드판지지대(25-1)로 지지되는 가이드판(25)과 송풍기(23)와 연
결되어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파이프(24)를 가지며,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의 측하방에는 결정체(93)를 이송하는 이송가이드(28)의 일측단부가
위치하며,
상기 1차냉각성형장치(20) 하방에는 2차냉각성형장치(30)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2차냉각성형장치(30)는 냉각성형통(31)을 가지되,
상기 냉각성형통(31)은 고정밴드(39)에 의해 고정되는 외부고정지지체(32) 내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내부회전통
(33)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내부회전통(33) 내주면에는 나선형회전요홈(34)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벨트체결홈(33-3)이 형성되어 상
기 냉각성형통(31)의 내부회전통(33)을 회전시키는 벨트(38)가 체결되고, 상기 내부회전통(31) 일측에 상기 벨
트(38)를 구동하는 냉각성형통구동모터(35)와 감속기(35-1)와 폴리(37)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회전통(33) 일측에는 결정체투입구(33-1)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으로부터 공급
되는 결정체(93)를 이송하는 이송가이드(28)의 타측단부가 연결되며,
내부회전통(33) 타측에는 결정체배출구(33-2)가 형성되어 수집통(85)과 연결되는 결정체배출가이드(84)와 연결
되도록 구비되도록 하였다.
상기에 있어서, 냉각성형판(21)은 냉각수순환관(27)에 의해 냉각수(60)가 순환하는 냉각수순환방식으로 냉각되
어지게 하였다.
삭제[0040]
삭제[0041]
삭제[0042]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결정체는 기공이 없고 외관이 미려한 구형태의 균일한 구슬모양으로 사리를 제조할 수[0043]
있으며, 비취빛, 진주빛, 파란색 등의 아름다운 색상으로 표면에 광택을 가져 보석과 같은 느낌을 줌으로 유골
에서 볼 수 있는 혐오스럽지 않은 재결정물을 얻을 수 있어, 유골의 혐오감을 현저하게 저감함은 물론, 유골의
변질 및 변형을 최소화시켜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장 장례에 대한 선입관을 타파할
등록특허 10-1221121
- 5 -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골을 사리로 만드는 과정을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성형시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소요[0044]
되는 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인의 유골과 섞여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유가족이 원하는 크기로 사리를 제조할 수 있어 유가족의[0045]
만족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및 취급이 간단한 복잡하지 않은 구조로 하나의 장치에서 별도의 부가장치 등이 필요없이[0046]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작업의 신속성 및 얻게되는 사리의 신뢰성 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장치에서 사리를 완벽하게 제조할 수 있어, 기타 부대설치 등을 요하지 않게 되므로, 이에 따른 협소한 장소에
서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0047]
도 2 - 본 발명에 있어 유골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3 - 본 발명에 있어 유골공급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4 - 본 발명에 있어 1차냉각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5 - 도 4의 원형회전냉각판의 개략 단면도.
도 6 - 본 발명에 있어 2차냉각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7 - 본 발명에 있어 2차냉각성형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8 - 본 발명에 있어 유골분이 유골공급호퍼에 의해 유골이송관에 공급된 것을 나타낸 작업상태도.
도 9 - 본 발명에 있어 유골이송관에 공급된 유골분이 실린더의 푸싱바에 의해 용융도가니내로 유입된 것을 나
타낸 작업상태도.
도 10 - 본 발명에 있어 가열토치로 유골분을 가열하여 용융물을 제조하는 것을 나타낸 작업상태도.
도 11 - 본 발명에 있어 원형회전냉각성형판이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작업상태도.
도 12 - 본 발명에 있어 용융도가니가 도가니회전모터에 의해 기울여져 용융도가니내의 용융물이 원형회전냉각
성형판에 떨어지는 것을 나타낸 작업상태도.
도 13 - 본 발명에 있어 원형회전냉각성형판에 떨어진 용융물이 원형회전냉각성형판에서 회전하며 냉각 및 1차
성형되어 결정체가 되는 것을 나타낸 작업상태도.
도 14 - 본 발명에 있어 원형회전냉각성형판에서 냉각 및 1차 성형된 결정체가 가이드판과 에어파이프에서 토출
되는 에어로 이송가이드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작업상태도.
도 15 - 본 발명에 있어 2차냉각성형장치의 작업상태도.
도 16 - 도 15에 있어서 회전냉각성형통의 개략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도가니회전모터(51)와 감속기(51-1)에 의해 일정각도(120°범위)내에서 정,역회전하는 용융도가니(11)에는 화염[0048]
주입구(11-1)와 유골분(91)이 유입되는 유골유입구(11-2)와 상기 유골분(91)을 가열하여 생성된 용융물(92)을
배출하기 위한 용융물배출구(11-3)를 형성하며, 상기 유골유입구(11-2) 일측에는 용융도가니(11) 내측으로 유골
을 공급하는 유골공급장치(10)를 가지되,
상기 유골공급장치(10)는 유골이송관(13)과 유골이송관(13) 내측으로 유골분(91)을 공급하는 유골분공급호퍼
(14)와 유골분(91)을 용융도가니(11)로 유입하는 실린더(15)와 상기 실린더(15)를 구동시키는 실린더구동모터
(17)와 유골이송관(13)을 냉각하는 수냉식 냉각장치(12)를 유골이송관(13) 선단 외측에 가지며,
상기 용융도가니(11)의 화염주입구(11-1) 상방에는 상하 및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한 상하 및 좌우 이동기구
(42)를 가지는 가열토치(41)가 설치되며,
등록특허 10-1221121
- 6 -
상기 용융도가니(11) 하방에는 1차냉각성형장치(2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1차냉각성형장치(20)는 냉각성형판구동모터(22)와 감속기(22-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판 형태
의 냉각성형판(21)을 가지며,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 상방에는 가이드판지지대(25-1)로 지지되는 가이드판(25)과 송풍기(23)와 연
결되어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파이프(24)를 가지며,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의 측하방에는 결정체(93)를 이송하는 이송가이드(28)의 일측단부가
위치하며,
상기 1차냉각성형장치(20) 하방에는 2차냉각성형장치(30)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2차냉각성형장치(30)는 냉각성형통(31)을 가지되,
상기 냉각성형통(31)은 고정밴드(39)에 의해 고정되는 외부고정지지체(32) 내측에 회전이 자유롭게 내부회전통
(33)이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내부회전통(33) 내주면에는 나선형회전요홈(34)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벨트체결홈(33-3)이 형성되어 상
기 냉각성형통(31)의 내부회전통(33)을 회전시키는 벨트(38)가 체결되고, 상기 내부회전통(31) 일측에 상기 벨
트(38)를 구동하는 냉각성형통구동모터(35)와 감속기(35-1)와 폴리(37)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회전통(33) 일측에는 결정체투입구(33-1)가 형성되어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으로부터 공급
되는 결정체(93)를 이송하는 이송가이드(28)의 타측단부가 연결되며,
내부회전통(33) 타측에는 결정체배출구(33-2)가 형성되어 수집통(85)과 연결되는 결정체배출가이드(84)와 연결
되도록 구비되도록 하였다.
상기에 있어서, 냉각성형판(21)은 냉각수순환관(27)에 의해 냉각수(60)가 순환하는 냉각수순환방식으로 냉각되
어지게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특징은,
첫째, 유골분(91)을 용융도가니(11)에 소량의 유골분(91)을 조금씩 공급함에 있어서, 실린더(15)에 의해 왕복운
동을 하는 푸싱바(15-1)로 유골분(91)을 용융도가니(11)의 유골유입구(11-2)로 유골분(91)을 유입시켜 유골이송
관(13)내에 유골분(91)이 잔류하지 않게 하였으며,
소량의 유골분(91)이 유입되어지기 때문에 용융도가니(11)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져 가열토치(41)가 적은 시간
으로 유골분(91)을 용융물(92)로 생성하여 작업속도가 빨라져 소량작업에 유리하나, 상기 유골분공급호퍼(14)와
실린더(15)에 의해 유골분(91)을 적은양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대량작업도 가능하게 되어 즉, 소량작업 및
대량작업이 모두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둘째, 상기 용융도가니(11)에서 가열토치(41)에 의해 생성된 용융물(92)을 사리로 제조함에 있어 1차와 2차에
걸친 2번의 냉각성형공정을 거치는데,
냉각수순환방식의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으로 냉각성형하는 1차냉각성형장치(20)와 내부에 나선형회전요홈
(34)을 가지는 회전냉각성형통(31)으로 냉각성형하는 2차냉각성형장치(30)로 냉각성형공정을 거치는데,
1차냉각성형장치가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하며 회전하는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이 순환하는 냉각수와 회전
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1차로 냉각 및 성형하고,
상기 1차냉각성형장치(20)를 거친 그 형상은 완전한 구형상이 아닌 결정체(93)로 상기 결정체(93)를 상기 이송
가이드(28)로 2차냉각성형장치(30)로 이송시켜 공냉식으로 냉각하며 나선형회전요홈(34)을 통과하며 2차 냉각
및 성형작업을 하여,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결정체(93)인 사리는 구형상으로 비취빛, 진주빛, 파란색 등의 아름다운 색상으로 표면
에 광택을 가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을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좌우이동기구(42)를 가지는 가열토치(41)와 도가니회전모터(51)와 감속기(51-
1)에 의해 일정각도(120°범위)내에서 정,역회전하는 용융도가니(11)는 상기 용융도가니(11) 일측에 유골공급장
등록특허 10-1221121
- 7 -
치(10)를 가지며,
상기 용융도가니(11) 하방에 1차냉각성형장치(20)를 가지며, 상기 1차냉각성형장치(20) 하방에 2차냉각성형장치
(30)와 상기 2차냉각성형장치(30)에서 제조된 사리를 수집통(85)으로 연결하는 결정체배출가이드(84)와 수집통
(85)으로 구성된다.
상기 용융도가니(11) 및 유골공급장치(1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용융도가니(11)는 상하 및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한 상하 및 좌우 이동기구(42)를 가지는 가열토치(41)가 단부가 맞닺게 부착되어지는 화염
주입구(11-1)와 유골분(91)이 유입되는 유골유입구(11-2)와 상기 유골유입구(11-2)로 유입된 유골분(91)을 상기
가열토치(41)로 가열하여 생성된 용융물(92)을 배출하기 위한 용융물배출구(11-3)를 가지며,
상기 유골공급장치(10)는 용융도가니(11) 일측에 유골이송관(13)과 유골이송관(13)에 유골분(91)을 공급하는 유
골분공급호퍼(14)와 유골분(91)을 용융도가니(11)내로 유입시키는 실린더(15)와 상기 실린더(15)를 구동시키는
실린더구동모터(17)와 유골이송관(13)을 냉각하는 수냉식 냉각장치(12) 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1차냉각성형장치(20)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융도가니(11) 하방에는 냉각성형판구동모터
(22)와 감속기(22-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용융도가니(11)의 용융물배출구(11-3)에서 배출되는
용융물(92)을 받는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과 상기 냉각성형판(21) 상부에 가이드판지지대(25-1)로 지지되
는 가이드판(25)과 송풍기(23)와 연결되어 에어를 토출하는 에어파이프(24)와 이송가이드(28)로 구성되는데,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의 표면에 고온의 용융물(92)이 도가니회전모터(51)에 의해 용융도가니(11)가
일정범위(120°범위)로 기울여져 용융도가니(11)의 용융물배출구(11-3)로부터 배출되어 낙하하기 때문에 쉽게
과열되어 용융물(92)이 원판 형태의 성형판(21)의 표면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판 형태의 냉각성
형판(21)을 지속적으로 냉각하여야 하는데,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수순환관(27)에 의해 냉각수(60)가 순환하
는 냉각수순환방식으로,
냉각수공급밸브(27-1)에 의해 냉각수가 공급되어 상기 용융도가니(11)에서 배출되는 2000℃ 이상의 고온의 용융
물(92)에 의해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이 이상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서는 냉각성형판(21) 표면상
에 용융물(92)이 눌러붙지 않게 지속적으로 냉각시켜 1차적으로 용융물(92)을 냉각시키며,
또한, 회전하는 원형회전냉각성형판(21)의 원심력으로 인해 용융물(92)이 원형회전냉각성형판(21)의 표면에 닿
는 순간 원심력의 영향으로 바깥쪽으로 튕겨져나가면서 균일한 입도로 용융물(92)을 결정체(93)로 1차 성형하게
되어진다.
상기 1차냉각성형장치(20) 하방에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밴드(39)에 의해 고정되는 외부
고정통(32) 내측에 일측에 결정체투입구(33-1)와 타측에 결정체배출구(33-2)가 형성되어지며 내측 단면이 나선
형회전요홈(34)을 갖는 내부회전통(33)이 벨트체결홈(33-3)이 형성되어지게 결합된 냉각성형통(31)과 냉각성형
통구동모터(35)와 감속기(35-1)와 연결된 폴리(37)가 벨트(38)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는 2차냉각성형장치(30)
로 구성되어,
1차냉각성형장치(20)를 통과한 완전하게 결정되어지지 못한 결정체(93)가 상기 이송가이드(28)를 통해 결정체투
입구(33-1)로 투입되어,
상기 냉각성형통구동모터(35)와 연결된 폴리(37)와 벨트(38)에 의해 연결된 냉각성형통(31)이 회전하며 상기 완
전하게 결정되어지지 못한 결정체(93)를 상기 나선형회전요홈(34)을 타고 회전하면서 2차적으로 냉각 및 진원형
태의 구슬모양으로 성형되며, 표면에 광택을 갖는 비취색이나 파란색 등의 아름다운 색상을 가지면서도 진원에
가까운 구형상의 사리를 균일한 크기로 제조하게 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골분(91)이 상기 유골공급호퍼(14)에 의해 용융도가니(11)의 유골유입구(11-2)와 맞
닿아 연결되어지되, 맞닿는 부위에 냉각수(60)가 냉각수순환관(12-1)에 의해 순환하며 가열토치(41)가 방사하
는 화염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각장치(12)가 설치된 유골이송관(13)에 공급되면,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구동모터(17)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15)의 푸싱바(15-1)의 왕복운동으로 상
기 유골분(91)을 용융도가니(11)의 유골유입구(11-2)를 통해 용융도가니(11) 내부로 유입시켜,
등록특허 10-1221121
- 8 -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토치(41)로 유골분(91)을 가열하여 용융물(92)로 생성하게 되는데, 상기에 있
어서 유골이송관(13)의 재질은 고온에서 견디는 탄소관 등의 단열재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용융도가니(11) 외측에는 도가니덮개(52)가 구성되어 가열토치(41)에 의해 가열되는 열이 외부로 과다하게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가열토치(41)는 상하 및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한 상하 및 좌우 이동기구(42)를 가지며 용융도가니(11)의
화염주입구(11-1)와 단부가 맞닿게 위치하게 되며, 상기 가열토치(41)는 냉각수순환관(43)에 의해 냉각수(60)가
순환하며 상기 가열토치(41)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가열토치(41)는 용융도가니(11)에 유입된 유골분(91)을 가열시켜 유골분(91)이 충분히 용해시킬 수 있는
화염을 발생하는 가열수단이 사용되는데, 상기 가열수단으로는 LPG와 LNG와 화석연료와 산소 및 수소를 혼함한
토치와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프라즈마 가열장치와 마그네트론을 발생한 마이크로웨이브 및 다양한 가열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LPG(82)와 산소(83)를 혼합가스 노즐로 혼합하여 2000℃ 이상으로 용융도가니(11)의 유골분
(91)을 가열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또한, 유골분(91)이 유입되는 용융도가니(11)는 상기 온도에서 견디는 세라믹 재질로 구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용융도가니(11)로 유골을 공급함에 있어 한번에 많은 양을 일시에 넣고 이를 가열하게 되면 가열 시
간이 길어지게 된다.
그러나, 적은 양의 유골을 용융도가니(11)에 장입하고 가열할 시 가열시간이 짧아지며, 가열 온도를 필요 이상
으로 높이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갖게 되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융도가니(11)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여 가열토
치(41)가 적은 시간으로 유골분(91)을 용융물(92)로 생성하게 하고 이를 배출하여 결정체(93)로 제조하는 과정
을 반복하여 결정체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용융도가니(11)로 유입된 유골분(91)이 가열토치(41)에 의해 용융물(92)로 생성되
면 도 11 내지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1차냉각성형장치(20)로 1차 냉각 및 성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용융도가니(11)의 하방에는 원판 형상의 냉각성형판(21)이 냉각성형판구동모터(2
2)와 감속기(22-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구성되고,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각도(120°범위)내에서 정,역회전하는 도가니회전모터(51)와 감속기(51-1)의
구동축에 연결된 용융도가니(11)는 일정각도(120°범위)내에서 기울여 지며 용융도가니(11)내에 용융물(92)을
용융물배출구(11-3)로 배출하여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에 낙하시키며,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는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의 원심력으로 인해 용융물(92)이 냉각성형판
(21)의 표면에 닿는 순간 원심력의 영향으로 바깥쪽으로 튕겨져나가면서 균일한 입도로 용융물(92)을 결정체
(93)로 1차 성형하게 되어지며,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수공급밸브(27-1)에 의해 냉각수순환관
(27)에 냉각수(60)가 공급 및 순환하는 냉각수순환방식으로 상기 용융도가니(11)에서 배출되는 2000℃ 이상의
고온의 용융물(92)에 의해 냉각성형판(21)이 이상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며, 나아가서는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
(21) 표면상에 용융물(92)이 눌러 붙지 않게 지속적으로 냉각시켜 1차적으로 용융물(92)을 냉각시키며,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1차적으로 냉각 및 성형을 마친 결정체(93)는 상기 원판 형태의 냉각성형판(21) 상
부에 가이드판지지대(25-1)로 지지되는 가이드판(25) 걸려진 후, 상기 송풍기(23)와 연결된 에어파이프(24)에서
나오는 에어로 보조냉각시키며, 이송가이드(28)로 이동되어 2차성형냉각장치(30)로 이동되어지게 된다.
상기의 1차냉각성형장치(20)를 지난 결정체(93)는 그 열이 완벽하게 식지 않았으며 그 형태도 진원에 가까운 구
형상이 아닌 형상으로,
도 15 내지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가이드(28)를 통해 1차냉각성형장치(20)에서 이동한 결정체(93)는
고정밴드(39)에 의해 고정되는 외부고정지지체(32) 내측에 결정체투입구(33-1)와 결정체배출구(33-2)를 가지며
내측 단면이 나선형회전요홈(34)을 갖는 내부회전통(33)에 벨트체결홈(33-3)이 형성되어지게 결합된 냉각성형통
(31)과 냉각성형통구동모터(35)와 감속기(35-1)와 연결된 폴리(37)가 벨트(38)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는 2차냉
각성형장치(30)로 2차 냉각 및 성형하여 지는데,
등록특허 10-1221121
- 9 -
이송가이드(28)를 통해 1차냉각성형장치(20)에서 이동되는 결정체(93)는 결정체투입구(33-1)로 유입되어 냉각성
형통(31)내의 나선형회전요홈(34)을 통해 냉각성형통(31)을 통과하면서 냉각 및 진원형태의 구슬모양으로 성형
되어 표면에 광택을 갖으며 비취색이나 파란색 등의 아름다운 색상을 가지면서도 진원에 가까운 구형상의 사리
를 균일한 크기로 제조되어 상기 결정체배출구(33-2)를 통해 배출되어져 결정체배출가이드(84)를 통해 수집통
(85)에 수집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삭제[0049]
삭제[0050]
삭제[0051]
삭제[0052]
삭제[0053]
삭제[0054]
삭제[0055]
삭제[0056]
삭제[0057]
삭제[0058]
삭제[0059]
삭제[0060]
삭제[0061]
삭제[0062]
삭제[0063]
등록특허 10-1221121
- 10 -
삭제[0064]
삭제[0065]
부호의 설명
10 - 유골공급장치 11 - 용융도가니
11-1 - 화염주입구 11-2 - 유골유입구
11-3 - 용융물배출구 12 - 냉각장치
12-1 - 냉각수순환관 13 - 유골이송관
14 - 유골공급호퍼 15 - 실린더
15-1 - 푸싱바 17 - 실린더구동모터
20 - 1차냉각성형장치 21 - 냉각성형판
22 - 냉각성형판구동모터 22-1 - 감속기
23 - 송풍기 24 - 에어파이프
25 - 가이드판 25-1 - 가이드판지지재
27 - 냉각수순환관 27-1 - 냉각수공급밸브
28 - 이송가이드 30 - 1차냉각성형장치
31 - 냉각성형통 32 - 외부고정지지체
33 - 내부회전통 33-1 - 결정체투입구
33-2 - 결정체배출구 33-3 - 벨트체결홈
34 - 나선형회전요홈 35 - 냉각성형통구동모터
35-1 - 감속기 37 - 폴리
38 - 벨트 39 - 고정밴드
41 - 가열토치 42 - 상하좌우이동기구
43 - 냉각수순환관 51 - 도가니회전모터
51-1 - 감속기 52 - 도가니덮개
60 - 냉각수 61 - 냉각수통
62 - 냉각수공급모터 63 - 냉각라지에이터및냉각팬
81 - 전기판넬및작동스위치 82 - LPG통
83 - 산소통 84 - 결정체배출가이드
85 - 수집통 91 - 유골분
92 - 용융물 93 - 결정체
100 - 본체
등록특허 10-1221121
- 11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221121
- 12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221121
- 13 -
도면4
등록특허 10-1221121
- 14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221121
- 15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1221121
- 16 -
도면9
도면10
등록특허 10-1221121
- 17 -
도면11
등록특허 10-1221121
- 18 -
도면12
등록특허 10-1221121
- 19 -
도면13
등록특허 10-1221121
- 20 -
도면14
등록특허 10-1221121
- 21 -
도면15
도면16
등록특허 10-1221121
- 22 -
화장 후 남은 분골로 구슬형태의 사리를 만드는 제조장치(Apparatys for Preparing a Cystal of Cremated Remains)
2018. 3. 9. 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