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01월25일
(11) 등록번호 10-1226806
(24) 등록일자 2013년01월2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45D 34/04 (2006.01) A46B 11/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110862
(22) 출원일자 2012년10월05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10월1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90027340 A*
KR200335626 Y1*
KR100518193 B1
KR1019950010819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양하석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중동로419번길 28-1 (삼정
동)
김명수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 4가 성원아파트, 102
동1402호
(72) 발명자
김명수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 4가 성원아파트, 102
동1402호
양하석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중동로419번길 28-1 (삼정
동)
(74) 대리인
김영관
전체 청구항 수 : 총 7 항 심사관 : 강대출
(54) 발명의 명칭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57) 요 약
본 발명은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에 제1나사부(111)가 형성된 후방홀더(110)와; 제
1나사부(111)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홀더(110)에 나사결합되는 중간홀더(120)와;
중간홀더(120)의 전방측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전방홀더(130)와; 중간홀더(120) 내측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
(140)과; 전방홀더(13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브러쉬(151)를 가지는 브러쉬유닛(150)과; 후방홀더(110)에 내장
되는 것으로서,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되며 중간홀더(120)에 착탈되는 착탈안료통(160)과; 농도조절유닛(14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착탈안료통(160)과 브러쉬유닛(150)을 연결하는 연결코어(170)와; 중간홀더(120)의 전방에 탈
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밀봉캡(1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등록특허 10-1226806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전방에 제1나사부(111)가 형성된 후방홀더(110);
상기 제1나사부(111)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홀더(110)에 나사결합되는 중간홀더
(120);
상기 중간홀더(120)의 전방측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전방홀더(130);
상기 중간홀더(120) 내측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140);
상기 전방홀더(13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브러쉬(151)를 가지는 브러쉬유닛(150);
상기 후방홀더(11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되며 상기 중간홀더(120)에 착탈되는 착탈안
료통(160);
상기 농도조절유닛(14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탈안료통(160)과 브러쉬유닛(150)을 연결하는 연결코어
(170); 및
상기 중간홀더(12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밀봉캡(180);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홀더(120)는, 중앙에 관통공(122a)이 형성된 턱부(122)와,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관형의 스커트부(12
3)와, 상기 스커트부(123)의 내측에서 상기 턱부(122)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관형의 끼움돌부(124)를 포함하
며;
상기 착탈안료통(160)은, 상기 스커트부(123)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스커트부지지단(163)과, 상기 끼움돌부(12
4)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단(164)과, 상기 삽입단(164)의 내측에 형성된 밀봉막(166)과, 상기 밀봉막(166)의
반대측에 밀봉되게 결합되는 안료통밀봉캡(1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166)은,
상기 삽입단(164)에 내주면측의 폭(d1)이 중앙측의 폭(d2) 보다 두꺼운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166)은,
그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손홈(166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홀더(120)는, 상기 끼움돌부(124)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돌부경사단(1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안료통(160)은, 상기 삽입단(164)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끼움돌부(124)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경사단(1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150)은,
다수의 인조모로 구성된 브러쉬(151); 및 상기 브러쉬(151)가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연결코어(170)의
등록특허 10-1226806
- 2 -
전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홀더(130)와 농도조절유닛(140) 사이에 끼어져 고정되는 링(15
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청구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캡(180)은,
중간측 외주면에 돌출단턱(181)이 형성되는 내캡(182)과, 상기 내캡(182)이 내장되는 외캡(183)과, 상기 외캡
(183)의 단부와 돌출단턱(181)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4)과, 외캡(183)의 입구측 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
로서 상기 중간홀더(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계합홈(120a)에 밀착되게 계합되는 계합돌기(183a)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청구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182)의 입구측에서 확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홀더(130)의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대응되는 역경
사면이 형성이 내캡밀착단(182a)을 포함하고,
상기 내캡밀착단(182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전방홀더(13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성단(182b)이 형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아이라이너 펜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안료가 층진된 안료통을 리필할 수 있는 액[0001]
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은 주로 눈에 아이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장을 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0002]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농도저절유닛과[0003]
도포체와 연결코어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 안료형 아아리이너 펜슬은, 개방된 전단부 및 개방된 후단부(12)를 갖춘 원통형의 홀더[0004]
(10)와; 홀더(10)의 후단부(12)를 폐쇄시키는 플러그(20)와; 홀더(1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도포체
(30)와, 홀더(10)의 내측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40)과, 농도조절유닛(40)과 플러그(20) 사이에 형성된 공간
에 충진되는 액상의 화장안료(50)와, 농도조절유닛(4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화장안료(50)를 도포체(30)에 공급
하는 연결코어(60)와, 홀더(1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도포체(30)를 외부환경과 선택적으로 차단하
는 밀봉캡(70)을 포함한다.
도포체(30)는 다공성 스펀지로 구현되거나, 다수의 인조모가 끝이 뾰족하게 가공되어 구현될 수 있다. [0005]
농도조절유닛(40)은 외부의 온도나 습도환경에 관계없이 화장안료(50)가 연결코어(60)를 통하여 도포체(30)로[0006]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도조절유닛(40)은, 외측 원주상에 다수의 환형슬릿(41a)이
형성된 농도조절기(41)와, 농도조절기(41)의 내주면에 축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환형슬릿(41a)과 연통되
는 홈(42)과, 도포체(30)가 고정되는 도포체고정단(43)과, 농도조절기(41)의 후방에 형성된 것으로서 홀더(10)
의 내주면과 밀착되는 밀착단(44)을 포함한다.
연결코어(60)는 일측단이 화장안료(50)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단이 도포체(30)와 연결되며, 모세관현상에 의[0007]
하여 화장안료를 흡수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화장안료(50)는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연결코어(60)를 통하여 도포체(30)로 이송되고 도[0008]
포체(30)로 눈화장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은 홀더(10)에 충진된 화장안료를 전부 사용하게 되면 폐기할 수 밖[0009]
에 없어 낭비가 심하였다.
등록특허 10-1226806
- 3 -
또한 밀봉캡(70)이 홀더(10)에 결합되더라도, 홀더(10)와 밀봉캡(70) 사이의 틈새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도[0010]
포체(30)에 함유된 화장안료를 마르게 한다. 이 경우 화장이 잘 되지 않았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장안료를 리필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0011]
확보할 수 있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봉캡을 결합하였을 때 외부의 공기가 브러쉬로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브러[0012]
쉬가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은, 전방에 제1나사부(111)[0013]
가 형성된 후방홀더(110); 상기 제1나사부(111)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홀더(11
0)에 나사결합되는 중간홀더(120); 상기 중간홀더(120)의 전방측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전방홀더(130); 상기 중
간홀더(120) 내측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140); 상기 전방홀더(13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브러쉬(151)를 가
지는 브러쉬유닛(150); 상기 후방홀더(11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되며 상기 중간홀더
(120)에 착탈되는 착탈안료통(160); 상기 농도조절유닛(14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탈안료통(160)과 브러
쉬유닛(150)을 연결하는 연결코어(170); 및 상기 중간홀더(12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밀봉캡(18
0);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홀더(120)는, 중앙에 관통공(122a)이 형성된 턱부(122)와,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관형
의 스커트부(123)와, 상기 스커트부(123)의 내측에서 상기 턱부(122)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관형의 끼움돌부
(124)를 포함하며; 상기 착탈안료통(160)은, 상기 스커트부(123)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스커트부지지단(163)과,
상기 끼움돌부(124)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단(164)과, 상기 삽입단(164)의 내측에 형성된 밀봉막(166)과, 상
기 밀봉막(166)의 반대측에 밀봉되게 결합되는 안료통밀봉캡(1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0014]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봉막(166)은, 상기 삽입단(164)에 내주면측의 폭(d1)이 중앙측의 폭(d2) 보다 두꺼운[0015]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밀봉막(166)은, 그 표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파손홈(166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홀더(120)는, 상기 끼움돌부(124)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돌부경사단(125)을 더[0016]
포함하고; 상기 착탈안료통(160)은, 상기 삽입단(164)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끼움돌부(124)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경사단(165)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유닛(150)은, 다수의 인조모로 구성된 브러쉬(151); 및 상기 브러쉬(151)가 결합[0017]
되는 것으로, 중앙에 상기 연결코어(170)의 전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홀더(130)와 농도조절
유닛(140) 사이에 끼어져 고정되는 링(15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봉캡(180)은, 중간측 외주면에 돌출단턱(181)이 형성되는 내캡(182)과, 상기 내캡[0018]
(182)이 내장되는 외캡(183)과, 상기 외캡(183)의 단부와 돌출단턱(181)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4)과, 외캡
(183)의 입구측 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중간홀더(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계합홈(120a)에 밀착되
게 계합되는 계합돌기(183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캡(182)의 입구측에서 확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홀더
(130)의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대응되는 역경사면이 형성이 내캡밀착단(182a)을 포함하고; 상기 내캡밀착단
(182a)의 내주면에는 상기 전방홀더(130)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탄성단(182b)이 형성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된 착탈안료통을 중앙홀더에서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어[0019]
화장안료를 전부 소모한 후, 다른 착탈안료통으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리필이 가능하
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캡의 계합돌기가 중간홀더의 계합홈에 계합되었을 때, 스프링은 내캡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때문에 내캡[0020]
등록특허 10-1226806
- 4 -
밀착단은 전방홀더밀착단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계합돌기 및 계합홈에 의하여 1차로
차단되고 이후 내캡밀착단과 전방홀더밀착단에 의하여 2차로 차단되므로, 내캡 내부로 공기가 전혀 유입되지 않
게 된다. 격렬한 운동이나 일상생활 도중에도, 또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내캡 내부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브러쉬가 마르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0021]
도 2는 도 1의 농도저절유닛과 도포체와 연결코어의 결합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후방홀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중간홀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농도조절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3의 브러쉬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착탈안료통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밀봉막에 파손홈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002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0023]
발명에 따른 액상 안료형 아이라이너 펜슬은, 전방에 제1나사부(111)가 형성된 후방홀더(110)와; 제1나사부
(111)에 제1나사부(111)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부(121)가 형성되어 후방홀더(110)에 나사결합되는 중간홀더
(120)와; 중간홀더(120)의 전방측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전방홀더(130)와; 중간홀더(120) 내측에 결합되는 농도
조절유닛(140)과; 전방홀더(13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브러쉬(151)를 가지는 브러쉬유닛(150)과; 후방홀더
(11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되며 중간홀더(120)에 착탈되는 착탈안료통(160)과; 농도조
절유닛(140)을 관통하는 것으로서 착탈안료통(160)과 브러쉬유닛(150)을 연결하는 연결코어(170)와; 중간홀더
(12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밀봉캡(180);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후방홀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0024]
후방홀더(110)는, 전방측이 개방되고 후방측이 밀봉되며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후방홀더(110)의[0025]
전방 내주면에는 제1나사부(111)가 형성된다.
도 5는 도 3의 중간홀더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홀더(120)는, 전체적으로 통형[0026]
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제1나사부(111)와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홀더(120)
는, 중앙에 관통공(122a)이 형성된 턱부(122)와,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착탈안료통(160)의 외주면을 잡
아주는 관형의 스커트부(123)와, 스커트부(123)의 내측에서 턱부(122)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관형의 끼움돌
부(124)와, 끼움돌부(124)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돌부경사단(125)을 포함한다.
턱부(122)는 중간홀더(120) 내부에 결합되는 농도조절유닛(140)의 단부를 지지하고, 관통공(122a)에는 농도조절[0027]
유닛(140)을 관통하는 연결코어(170)가 끼어진다.
스커트부(123)는 끼움돌부(124) 보다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며, 끼어지는 착탈안료통(160)의 스커트지지단(163)[0028]
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끼움돌부(124)는 착탈안료통(160)의 삽입단(164)을 관통하여 밀봉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끼움돌부(124)를[0029]
통하여 연결코어(170)의 단부면은 착탈안료통(160)의 내측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화장안료는 연결코어(170)의
단부를 통하여 흡수된다.
돌부경사단(125)은 끼움돌부(124)가 후술할 착탈안료통(160)의 삽입단(164)에 용이하게 끼어질 수 있도록 한다.[0030]
전방홀더(130)는 중간홀더(120)의 전방측에 압입되어 끼어져 결합되어 결합된 부분은 완전히 밀착된다. 이러한[0031]
등록특허 10-1226806
- 5 -
전방홀더(130)의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브러쉬(151)가 관통공을 통하여 전방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전방홀더(130)의 표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전방홀더밀착단(130a)이 형성되어[0032]
있다. 이러한 전방홀더밀착단(130a)은 후술할 내캡밀착단(182a)과 밀착된다.
도 6은 도 3의 농도조절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0033]
도시된 바와 같이, 농도조절유닛(140)은, 외부의 온도나 습도환경에 관계없이 착탈안료통(160)에 충진된 화장안[0034]
료가 연결코어(170)를 통하여 브러쉬유닛(150)으로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도도절유
닛(140)은, 외측 원주상에 다수의 환형슬릿(141a)이 형성된 농도조절기(141)와, 농도조절기(141)의 내주면에 축
선 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환형슬릿(41a)과 연통되는 홈(142)과, 농도조절기(141)의 전방에 형성된 것으로서
브러쉬유닛(150)이 지지되는 지지단(143)을 포함한다.
환형슬릿(141a)의 두께는 0.2mm 이고, 환형슬릿과 다른 환형슬릿 사이의 간격은 0.15mm 이다. 상기한 환형슬릿[0035]
의 두께와 사이의 간격이 달라질 때, 액상안료가 쉽게 굳거나 내용물의 흐름이 방해된다.
다수의 환형슬릿(141a)은 근접하게 이격되어 있어 모세관작용에 의하여 언제나 화장안료를 머금는다. 따라서 대[0036]
기압이나 대기 온도 등의 급작스러운 변화에도 화장안료가 브러쉬유닛(150)로 과도하게 공급되거나 누출되는 것
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도 3의 브러쉬유닛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0037]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유닛(150)은, 다수의 인조모로 구성된 브러쉬(151)와, 브러쉬(151)가 결합되는 것으로[0038]
중앙에 연결코어(170)의 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링(152)으로 구성된다.
브러쉬(151)는 다수의 인조모로 이루어지며, 각 인조모 가닥은 나이론수지나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0039]
(Polybutylene Terephthalate:PBT)로 부터 얻어지는 방사(紡絲:spinning)를 이용하여 끝이 뽀족하게 약품 및
열처리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브러쉬(151)는 양호한 화장안료의 흡수 및 텐션력을 발휘하게 된다.
링(15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홀더(130)와 농도조절유닛(140) 사이에 끼어져 고정되고, 연결코어[0040]
(170)의 전단은 링(152)을 관통하여 브러쉬(151)의 내측에 위치된다.
도 8은 도 3의 착탈안료통을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밀봉막에 파손홈이 형성된 것을 설명[0041]
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안료통(160)은,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되는 것으로서 중간홀더(120)의 스커트부(123)의[0042]
내주면에 지지되는 스커트부지지단(163)과, 끼움돌부(124)가 밀착되게 삽입되는 삽입단(164)과, 삽입단(164)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끼움돌부(124)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경사단(165)과, 삽입단(164)의
내측에 형성된 밀봉막(166)과, 밀봉막(166)의 반대측에 밀봉되게 결합되는 안료통밀봉캡(167)과, 화장안료에 함
유된 성분이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볼(168)을 포함한다.
스커트부지지단(163)은 착탈안료통(160)이 중앙홀더(120)에 결합할 때 스커트부(123)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0043]
삽입단(164)은 중앙홀더(120)의 끼움돌부(124)가 압입되어 끼어지는 것이며, 내주면은 끼움돌부(124)의 외주면[0044]
과 밀봉되게 밀착된다. 따라서 충진된 화장안료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밀봉막(166)은 삽입단(164)의 내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끼움돌부(124)가 삽입단(164)으로 강하게 압입 끼움될[0045]
때 파손되면서 끼움돌부(124)가 삽입단(164)에 완전히 끼어지도록 한다.
이때 끼움돌부(124)가 삽입단(164)에 용이하게 끼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밀봉막(166)은 삽입단(164)에 내주면측[0046]
의 폭(d1)이 중앙측의 폭(d2) 보다 두꺼운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밀봉막(166)의 폭이 중앙측으로 갈수록 얇
아지기 때문에, 끼움돌부(124)에 의하여 압력을 받을 때 밀봉막(166)은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끼움돌부(124)가 삽입단(164)에 보다 용이하게 끼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밀봉막(166)의 표면에는 다수개,[0047]
바람직하게는 6개의 파손홈(166a)이 방사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파손홈(166a)이 형성됨으로써, 끼움
돌부(124)에 의하여 압력을 받을 때 파손홈(166a)을 따라 밀봉막(166)은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다.
안료통밀봉캡(167)은 착탈안료통(160)에 액상의 화장안료를 충진한 후 끼어져 고정되는 것이다. [0048]
이러한 착탈안료통(160)은 액상의 화장안료가 충진된 상태로 유통되어 리필용으로 사용된다. [0049]
연결코어(170)는 농도조절유닛(140)에 머금어진 화장안료를 브러쉬유닛(150)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0050]
등록특허 10-1226806
- 6 -
코어(170)의 단부는 링(152)을 관통한 후 브러쉬(151)와 접촉면적이 최대화되도록 끝이 뾰족하게 가공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코어(170)는 아크릴 또는 폴리에스터 섬유 등과 같은 섬유질 소재로 제조된다.
밀봉캡(180)은, 중간홀더(120)의 전방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중간측 외주면에 돌출단턱(181)이 형[0051]
성되는 내캡(182)과, 내캡(182)이 내장되는 외캡(183)과, 외캡(183)의 단부와 돌출단턱(181)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84)을 포함한다.
이때 내캡(182)의 입구측에는 확관되는 것으로서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대응되는 역경사면이 형성이 내캡밀착[0052]
단(182a)이 형성된다. 이러한 내캡밀착단(182a)에는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대응되는 역경사면이 형성되므로,
내캡밀착단(182a)이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밀착될 때 넓은 면적이 밀착되는 것이다.
내캡밀착단(182a)과 전방홀더(130) 사이에는 상호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캡밀착단(182a)의 내주면[0053]
에는 탄성단(182b)이 형성될수 있다. 이 경우 탄성단(182b)은 실리콘 고무나 천연고무로 된다.
외캡(183)의 입구측 단부 내주면에는 중간홀더(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계합홈(120a)에 밀착되게 계합되는 계합[0054]
돌기(183a)가 형성된다.
이러한 밀봉캡(180)의 구성에 의하여, 외캡(183)이 계합돌기(183a)가 중간홀더(120)의 계합홈(120a)에 계합된[0055]
상태에서, 스프링(184)은 내캡(182)을 전방홀더(130) 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고, 이에 따라 내캡밀착단(182a)은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계합돌기(183a) 및 계합홈(120a)에 의
하여 1차로 차단되고, 이후 내캡밀착단(182a)과 전방홀더밀착단(130a)에 의하여 2차로 차단되므로, 내캡(182)
내부로 공기가 전혀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원의 아이라이너 펜슬을 휴대한 상태에서 격렬한 운동이나
일상생활 도중에도, 또한 장시간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내캡(182) 내부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
므로 브러쉬(151)가 마르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여, 착탈안료통(160)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후방홀더(110)와 중간홀더(120)를 상호 회전시[0056]
켜 제1,2나사부(111)(121)에 의하여 나사결합되어 있는 후방홀더(110)를 중간홀더(120)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화장안료가 전부소모된 착탈안료통(160)을 잡아당겨 중간홀더의 끼움돌부(124)로부터 분리시킨다. 이후 화장안
료가 충진된 새로운 착탈안료통을 스커트부(123)에 끼운후 끼움돌부(124) 측으로 강제 압입한다. 그러면 끼움돌
부(124)는 삽입단(164)으로 삽입되면서 밀봉막(166)을 파손시키고, 더욱 삽입되어 삽입단(164)에 완전히 끼어진
다. 그리고 후방홀더(110)를 중간홀더(120)에 끼운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중간홀더(120)에 결합시킨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0057]
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10 ... 후방홀더 111 ... 제1나사부[0058]
120 ... 중간홀더 120a ... 계합홈
121 ... 제2나사부 122 ... 턱부
122a ... 관통공 123 ... 스커트부
124 ... 끼움돌부 125 ... 돌부경사단
130 ... 전방홀더 130a ... 전방홀더밀착단
140 ... 농도조절유닛 141 ... 농도조절기
141a ... 환형슬릿 142 ... 홈
143 ... 지지단 150 ... 브러쉬유닛
151 ... 브러쉬 152 ... 링
160 ... 착탈안료통 163 ... 스커트부지지단
164 ... 삽입단 165 ... 가이드경사단
166 ... 밀봉막 167 ... 안료통밀봉캡
등록특허 10-1226806
- 7 -
170 ... 연결코어 180 ... 밀봉캡
181 ... 돌출단턱 182 ... 내캡
182a ... 내캡밀착단 183 ... 외캡
184 ... 스프링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226806
- 8 -
도면3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226806
- 9 -
도면6
도면7
도면8
도면9
등록특허 10-1226806
- 10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