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8년01월21일
(11) 등록번호 10-0795685
(24) 등록일자 2008년01월10일
(51) Int. Cl.

B02C 18/22 (2006.01) B02C 4/32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046357
(22) 출원일자 2007년05월14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05월14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 1020050027148 A
(뒷면에 계속)
(73) 특허권자
김남임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 1034번지
(72) 발명자
김남임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도원리 1034번지
(74) 대리인
황일석
전체 청구항 수 : 총 9 항 심사관 : 민병오
(54) 파쇄장치용 이송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2)와; 외주면에 톱니부(422)가
형성된 상부롤러(42)가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에 삽입된 채 탄성수단(5)에 지지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한
상부회전장치(4)와; 상기 상부롤러(42)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롤러(64)를 갖는 하부회전장치(6)로
구성됨으로써, 대상물의 크기변동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소형, 소량에서부터 대형, 대량의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대표도 - 도2
- 1 -
등록특허 10-0795685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 1020010035443 A
KR 2020000010421 U
JP 17111333 A
JP 14320867 A
JP 15117418 A
- 2 -
등록특허 10-0795685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2)와;
외주면에 톱니부(422)가 형성된 상부롤러(42)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에 삽입된 채 탄성수단(5)에 지지
되며, 인입되는 대상물에 접촉되어 승강되는 상부회전장치(4)와;
상기 상부롤러(42)의 하부에 외접하며, 인입되는 대상물을 지지하는 하부롤러(64)를 갖는 하부회전장치(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용 이송장치.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42)는, 외주연에 톱니(424)를 갖는 치차판(423)과 링(425)을 축(421)에 교호되게 끼워 결합시켜
상기 톱니부(422)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용 이송장치.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421)은 단면이 육각형이며, 상기 치차판(423)과 링(425)은 육각형의 결합공(4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파쇄장치용 이송장치.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2)는,
대상물이 통과하는 통공(224,242)이 형성된 전면판(22) 및 후면판(24)과, 상기 전면판(22) 및 후면판(24) 사이
의 상단에 수평되게 설치된 상판(23)과, 상기 전면판(22) 및 후면판(24) 사이에 수직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레일
(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용 이송장치.
청구항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장치(4)는,
내측에 상기 상부롤러(42)가 수평되게 설치되며 상기 레일(3)에 결합되는 케이스(40)와, 상기 상부롤러(42)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41)과, 상기 케이스(40)의 상부와 상기 상판(23)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수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용 이송장치.
청구항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롤러(42)의 톱니부(422)는 하방을 향해 편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용 이송장치.
청구항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0)에는 상기 레일(3)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롤러(4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용 이
송장치.
청구항 8
삭제
- 3 -
등록특허 10-0795685
청구항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5)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콘(corn)형상의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
치용 이송장치.
청구항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롤러(64)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돌조(64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용 이
송장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재와 같은 재활용 대상물을 파쇄장치 내부로<14>
신속하게 끌어들임으로써 작업에 차질이 없이 파쇄할 수 있도록 하고, 대상물의 크기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응하
여 적용될 수 있도록 한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나 폐타이어 또는 플라스틱판 등은 그 사용수명이 다하더라도 농업용 원료나 공업용 원료 등으<15>
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대상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잘게 부수어 칩 형태로 변형한 후 압축이나 용융시킨 후 새로운 소재로<16>
성형 가공하게 된다.
첨부된 도 1은 재활용 대상물을 잘게 부수기 위한 일반적인 파쇄장치(P)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500)의 일측에<17>
투입부(20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투입된 대상물(100)을 유입시키는 이송장치(A')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장치
(A')의 후방에는 이동된 대상물(100)을 잘게 파쇄하는 파쇄디스크(600)가 설치되고, 상기 파쇄디스크(600)를 회
전시키는 회전장치(R)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장치(A')는 투입부(200)로 인입된 대상물을 끌어당겨 파쇄디스크(600)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18>
다.
그러나, 종래에는 대상물의 크기가 이송장치의 허용한계보다 크거나 대량으로 투입할 경우 이송장치가 파손되거<19>
나 제대로 대상물을 인입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상물의 크기변동에 따라 이송장치가<20>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소형, 소량에서부터 대형, 대량의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어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능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파쇄장치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을 끌어들이기 용이하도록 롤러의 외부에 톱니부재를 설치하되, 각 톱니부재의 설치간<21>
격과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톱니부재의 개별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파쇄장치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다
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22>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외주면에 톱니부가 형성된 상부롤러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삽입된 채 탄성수<23>
단에 지지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한 상부회전장치와; 상기 상부롤러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롤러를 갖는 하부회
전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 4 -
등록특허 10-0795685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4>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앞에서 이미 파쇄장치는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5>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에 대한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26>
치용 이송장치에 대한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용 이송장치(A)는,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27>
(2)와; 외주면에 톱니부(422)가 형성된 상부롤러(42)가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에 삽입된 채 탄성수단
(5)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상부회전장치(4)와; 상기 상부롤러(42)의 하부에 외접하는 하부롤러(64)가 장착된 하
부회전장치(6)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28>
상기 가이드부재(2)는, 후술될 상부회전장치(4)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투입부(200)와 파쇄디스크<29>
(600) 측에 수직되게 설치된 전면판(22)과 후면판(24), 그리고 상기 전,후면판(22,24)에 설치된 레일(3)로 구성
된다.
상기 전면판(22)은 장방형의 판상으로써, 중심부에는 대상물(100)이 인입되는 통공(224)이 형성되고, 전면에 투<30>
입부(200)가 결합된다.
상기 후면판(24)은 장방형의 판상이며, 전면판(22)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중심부에는 대상물<31>
(100)이 인출되는 통공(242)이 형성되며, 후면에 파쇄디스크(600)의 커버가 결합된다.
상기 이격된 전면판(22) 및 후면판(24) 사이의 상단에 수평되게 상판(23)이 설치된다.<32>
그리고, 상기 전면판(22)의 후면과, 후면판(24)의 전면에는 수직되게 복수개의 레일(3)이 설치된다.<33>
상기 레일(3)은 소정 길이를 갖는 편체로써, 전면판(22)의 후면 양측과, 후면판(24)의 전면 양측에 수직되게 설<34>
치됨에 따라 후술될 케이스(4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부회전장치(4)는, 대상물(100)을 끌어당겨 파쇄디스크(600)로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내측에 상기 상부롤<35>
러(42)가 수평되게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의 레일(3)에 결합되는 케이스(40)와, 상기 상부롤러(42)를 회
전시키는 회전수단(41)과, 상기 케이스(40)의 상부와 상기 상판(23)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수
단(5)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40)는, 상기 가이드부재(2)의 레일(3)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박스형상으로 이루<36>
어지며, 양측면에 상기 상부롤러(42)의 축(420)이 결합되는 베어링(100)이 설치된다(도 3 참조).
상기 케이스(40)의 외측면에는 상기 레일(3)에 접촉되는 다수개의 롤러(44)가 설치된다.<37>
즉, 케이스(40)의 외측으로 소정의 브라켓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에 롤러(44)가 설치된 것으로, 상<38>
기 롤러(44)가 레일(3)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케이스(40)의 승강작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42)는, 케이스(40) 내에 삽입되고 그 양측단의 축(421)이 케이스(40)의 양측면에 설치된 베어링<39>
(100)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대상물(100)을 끌어당기기 위한 톱니
부(422)가 형성된다.
상기 톱니부(422)가 하방을 향해 편중되게 형성되어야 대상물(100)을 찍어서 끌어당기기가 용이해질 수 있다.<40>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에서 "상부롤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41>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롤러(42)는, 외주연에 톱니(424)를 갖는 치차판(423)과 링(425)을 축(421)에 교호<42>
되게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톱니부(422)가 형성되게 하며, 축(421)은 단면이 육각형으로 가공된 것이고, 치차판
(423)과 링(425)에는 육각형의 결합공(426)이 형성됨으로써 축(421)과 치차판(423)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
록 하였다.
그리고, 링(425)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치차판(423)들 사이의 간격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대상물(100)의 종류<43>
및 크기에 따라 변형실시될 수 있다.
즉, 원목과 같은 대상물(100)일 경우는 폭이 넓은 링(425)을 사용하여 치차판(423)의 간격이 넓게하여 소수의<44>
치차판(423)이 구비되도록 하고, 잔가지와 같은 대상물(100)일 경우는 폭이 좁은 링(425)을 사용하여 치차판
- 5 -
등록특허 10-0795685
(423)의 간격이 좁게하여 다수의 치차판(423)이 구비되도록 한다.
따라서, 치차판(423)의 파손시 해당 부품만 교환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된다.<45>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에서 "상부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46>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치차판(423a,423b,423c,…)의 설정각도를 상이하게 하여 엇갈리게 배열함으로써 상<47>
부롤러(42)와 대상물(100)의 충돌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수단(41)은 상부롤러(42)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수단으로 유압모터를 사용할 수도<48>
있다.
상기 회전수단(41)을 케이스(40)의 측벽에 설치하고, 그 작동축(410)을 베어링(1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롤
러(42)의 축(420)과 연결시킨다.
상기 회전수단(41)은 전술한 유압모터 외에도 상부롤러(42)를 회전시키기 위한 통상의 모터 및 기어장치로도 구<49>
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탄성수단(5)은, 케이스(40)의 승강작동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대상물(100)이 상부롤러(42)에<50>
의해 진입할때 케이스(40)가 상승함에 따라 압축되고, 대상물(100)이 상부롤러(42)를 지나간 후에는 반발력에
의해 케이스(40)가 하강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수단(5)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콘(corn)형상의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51>
하부회전장치(6)는, 상기 상부회전장치(4)의 하부에 설치되어 대상물(1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52>
부롤러(42)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롤러(64)와, 상기 하부롤러(6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62)로 구성
된다.
상기 지지대(62)는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40)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측면에는 하부롤러(64)의 축이 결<53>
합되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롤러(64)는, 지지대(62)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상부롤러(42)와 외접되도록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는 길<54>
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돌조(642)가 형성된다.
상기 돌조(642)는 대상물(100)의 이송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정 길이의 편체를 길이방향으로<55>
용접시켜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6>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용 이송장치(A)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측면도이다.<57>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00)이 투입부(200)로 투입되어 이송장치(A)에 도달하기 전에는 상부<58>
회전장치(4)가 하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회전수단(41)의 구동에 의해 상부롤러(4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59>
이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00)이 상부롤러(42)에 접촉되면, 톱니부(422)가 대상물(100)을 찍어<60>
내측으로 끌어들이게 되고, 대상물(100)이 진입하면서 상부롤러(42)를 밀게 되면 그 두께만큼 상부회전장치(4)
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부회전장치(4)의 상방에 설치된 탄성수단(5)은 압축되고, 이에 따른 반발력이 하방으로 작용함으로써<61>
상부롤러(42)가 대상물(100)의 외면에 밀착되어 더욱 강한 힘으로 끌어들이면서 파쇄디스크(600)로 이송하게 되
어 파쇄가 수행된다.
이후, 대상물(100)이 완전히 지나가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수단(5)의 반발력에 의해 상부회전장치<62>
(4)가 하강하여 원상태로 복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63>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발명의 효과
- 6 -
등록특허 10-079568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을 끌어당기는 상,하부롤러가 탄성에 의해 승강될 수 있<64>
어, 대형부터 소형의 대상물까지 용이하게 이송가능함으로써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고,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롤러에 장착된 치차판의 설치간격과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치차판의 개별교체가 용이하여 유지<65>
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일반적인 파쇄장치에 대한 도면이다.<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에 대한 결합된 사시도이다.<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에 대한 분리된 사시도이다.<3>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에서 "상부롤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4>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에서 "상부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5>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파쇄장치용 이송장치의 작동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낸 측면도이다.<6>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2 : 가이드부재 3 : 레일<8>
4 : 상부회전장치 5 : 탄성수단<9>
6 : 하부회전장치 22 : 전면판<10>
24 : 후면판 41 : 회전수단<11>
42 : 상부롤러 64 : 하부롤러 <12>
422 : 톱니부 642 : 돌조<13>
- 7 -
등록특허 10-0795685
도면
도면1
- 8 -
등록특허 10-0795685
도면2
- 9 -
등록특허 10-0795685
도면3
도면4
- 10 -
등록특허 10-0795685
도면5
도면6a
- 11 -
등록특허 10-0795685
도면6b
- 12 -
등록특허 10-0795685
도면6c
- 13 -
등록특허 10-079568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