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5-0081708
(43) 공개일자 2015년07월15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G06F 3/048 (2006.01) G06F 3/041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0001459
(22) 출원일자 2014년01월06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71) 출원인
삼성전자주식회사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삼성로 129 (매탄동)
(72) 발명자
문지범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19길 6, 30동 908호
(반포동, 신반포한신아파트)
이영아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69, 102동 1308호
(신천동, 롯데캐슬골드)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정홍식, 이현수, 김태헌
전체 청구항 수 : 총 27 항
(54) 발명의 명칭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57) 요 약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가이드하는 물리적 가이
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context)가 변경되면 물리적 가이드에 기초하여
변경된 컨텍스트(context)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고, 물리적 가이드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인터렉션 따라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대 표 도 - 도2a
공개특허 10-2015-0081708
- 1 -
(72) 발명자
이관민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곡로43길 21, 101동 1302호
(역삼동, 래미안그레이튼)
나우어 진-크리스토프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연현로79번길 20, 104동 40
3호 (석수동, 석수두산위브아파트)
공개특허 10-2015-0081708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가이드하는 물리적 가이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context)가 변경되면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
(context)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물리적 가이드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인터렉션 따라 상기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는,
상기 외부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타입, 외부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가이드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상기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응되는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가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가이드는,
기설정된 방향성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적 가이드의 방향성에 매칭되는 방향 속성을 갖는 기능을 제어
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
말 장치.
공개특허 10-2015-0081708
- 3 -
청구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가이드는,
기설정된 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라인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가 방송 수신 상태인 경우, 채널 재핑을 위한 UI 및 볼륨 조정을 위한 UI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이 수신되면, 터치 인터렉션 상태에 대응되는 채널 재핑 신호 및 볼륨
조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UI 페이지 전환
을 위한 신호,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신호, 볼륨 조정을 위한 신호, 채널 재핑을 위한 신호, 스크롤 동작을 위
한 신호, 및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의 진행 정도를 지시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
의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
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따라 가로 상태의 제어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가로 상태의 제어 모드에 대응되도
록 UI 화면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공개특허 10-2015-0081708
- 4 -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위젯,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 커스터마이즈된
(customized)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웰 페이퍼(wellpaper) 화면을 제공하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
생하면 기설정된 아이템을 포함하는 초기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모드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기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
이하고, 상기 기설정된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 장치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신호와 함께 상기 아이템에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하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거치 가능한 형태로 돌출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원격 제어 기능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근거리 통신 태그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분리 가능하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상기 원격 제어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16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가 변경되면 상기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가이드하기 위한 물리적 가이드
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물리적 가이드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청구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는,
상기 외부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타입, 외부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청구항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상기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응되는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청구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가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공개특허 10-2015-0081708
- 5 -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청구항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가이드는,
기설정된 방향성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적 가이드의 방향성에 매칭되는 방향 속성을 갖는 기능을 제어
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청구항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가이드는,
기설정된 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라인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청구항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가 방송 수신 상태인 경우, 채널 재핑을 위한 UI 요소 및 볼륨 조정을 위한 UI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이 수신되면, 터치 인터렉션 상태에 대응되는 채널 재핑 신호 및 볼륨
조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청구항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UI 페이지 전환
을 위한 신호,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신호, 볼륨 조정을 위한 신호, 채널 재핑을 위한 신호, 스크롤 동작을 위
한 신호, 및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의 진행 정도를 지시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청구항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변경된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
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청구항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위젯,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 커스터마이즈된
(customized)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웰 페이퍼(wellpaper) 화면을 제공하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
공개특허 10-2015-0081708
- 6 -
생하면 기설정된 메뉴를 포함하는 초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청구항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모드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기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
이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 장치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신호와 함께 상기 아이템에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청구항 27
외부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UI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가이드하기 위한
물리적 가이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물리적 가이드를 통해 상기 UI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터치 인터렉
션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시스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격 제어 기능을 구비한 사용[0001]
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0002]
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될 정도로 보급율이 높다.
최근에는 더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 더[0003]
새로운 형태로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입력 레이아웃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장치가[0004]
개발되어 다방면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사용자 단말 장치 또한 사용자가 화면을 일일이 확인하고 원하는 조작을 입력해야 한다[0005]
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가이드하는 물리적 가이드를 기[0006]
초로 촉감 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는,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0007]
션을 가이드하는 물리적 가이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context)가 변
경되면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context)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물리적 가이드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인터렉션 따라 상기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공개특허 10-2015-0081708
- 7 -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는, 상기 외부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타입, 외부 장치에서 제공되는[0008]
기능,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물리적 가이드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형[0009]
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상기[0010]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응되는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가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0011]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의 제2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리적 가이드는, 기설정된 방향성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컨[0012]
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적 가이드의 방향성에 매칭되는 방향 속성을 갖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가이드는, 기설정된 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라인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0013]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가 방송 수신 상태인 경우, 채널 재핑을 위한 UI 및 볼륨 조정을 위한 UI[0014]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터치 인
터렉션이 수신되면, 터치 인터렉션 상태에 대응되는 채널 재핑 신호 및 볼륨 조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기[0015]
초하여 UI 페이지 전환을 위한 신호,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신호, 볼륨 조정을 위한 신호, 채널 재핑을 위한 신
호, 스크롤 동작을 위한 신호, 및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의 진행 정도를 지시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
는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0016]
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변경된 컨텍[0017]
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따라 가로 상태의 제어 모드를 제공하고, 상기 가로 상태의[0018]
제어 모드에 대응되도록 UI 화면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위젯,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0019]
커스터마이즈된(customized)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웰 페이퍼(wellpaper) 화면을 제공하고, 기설정
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아이템을 포함하는 초기 화면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기 모드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기[0020]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기설정된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 장치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신호와
함께 상기 아이템에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하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거치 가능한 형태로 돌출된 지지부를 더 포함[0021]
하며, 상기 지지부는, 원격 제어 기능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근거리 통신 태그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분리 가능하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장착되어 상기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상기 원격 제
어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UI 화면을 디[0022]
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가 변경되면 상기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가이드하기
위한 물리적 가이드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물리적 가
이드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
공개특허 10-2015-0081708
- 8 -
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는, 상기 외부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타입, 외부 장치에서 제공되는[0023]
기능,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0024]
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상기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제어 가능한 기능에 대응되는UI 요소를 디
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가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0025]
있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
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
응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리적 가이드는, 기설정된 방향성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0026]
는,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적 가이드의 방향성에 매칭되는 방향 속성을 갖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UI 요소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가이드는, 기설정된 방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라인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0027]
있다.
또한,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가 방송 수신 상태인 경우,[0028]
채널 재핑을 위한 UI 요소 및 볼륨 조정을 위한 UI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
이 수신되면, 터치 인터렉션 상태에 대응되는 채널 재핑 신호 및 볼륨 조정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면,[0029]
상기 외부 장치의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UI 페이지 전환을 위한 신호, 오브젝트 이동을 위한 신호, 볼륨 조정을
위한 신호, 채널 재핑을 위한 신호, 스크롤 동작을 위한 신호, 및 프로그레스 바 상에서의 진행 정도를 지시하
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 외부[0030]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외
부 장치의 변경된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대기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위젯,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 커스터마이즈된[0031]
(customized)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웰 페이퍼(wellpaper) 화면을 제공하고,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
생하면 기설정된 메뉴를 포함하는 초기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 모드 상태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기설정된 아이템을 포함하는 상기 초기 화면을 디[0032]
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설정된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 장치를 턴 온 시키기 위한 신호와 함께 상
기 아이템에 대응되는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은, 외부 장치 및, 상기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UI 화면을[0033]
제공하며, 상기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가이드하기 위한 물리적 가이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
치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물리적 가이드를 통해 상기 UI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인터
렉션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터치 인터렉션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일이 화면을 확인하지 않고 촉감 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0034]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가이드하는 물리적 가이드에 기초하여 외부 장치에 실시 간 상태에 대응되는 UI 화면[0035]
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공개특허 10-2015-0081708
- 9 -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0036]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1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물리적 가이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0037]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현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0038]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휴대 가능한 휴대폰, PMP, PDA, 노트북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0039]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UI 화면을 터치 인터렉션으로 제[0040]
어할 수 있는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터치 센서를 내장하고 있어 손가락 또는
펜(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터치 센서 또는 광학 기술을 응용한 OJ(optical
Joystick) 센서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UI 화면에 대한 사용자 인터렉션을 가이드하기 위한 물리적 가이드를 포함하는[0041]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물리적 가이드는 사용자가 촉감 만으로 원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을 입력할 수 있도
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물리적 가이드는 방향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라인을 포함하는 형
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가이드는 십자 형상의 돌기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
니며, 사선 형상, 대각선이 교차하는 형상, 곡선형, 원형,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기부가 십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
도록 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여 터치 인터렉션에 대응되는[0042]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신호에 따라 해당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
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터치 인터렉션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 신호를 생성하고, 방향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대응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방향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생성된 상측
방향 신호에 따라 볼륨 업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0043]
도 1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전자 장치(200)[0044]
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0045]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UI(User[0046]
Interface) 화면을 터치 스크린 상에 제공하고, 해당 UI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터치 인터렉션에 대응되
공개특허 10-2015-0081708
- 10 -
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의 컨텍스트(context)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하고, 전[0047]
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장치(200)의 컨텍스트는 제어가 요구되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기능, 제공되
는 컨텐츠 타입, 제공되는 영상 패널, 디스플레이 상태 등 다양한 상태 및 상황을 포함하는 의미가 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상술한 물리적 가이드에 기초하여 변경된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구성[0048]
하는 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을 감지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고, 해[0049]
당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여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
(100)는 터치 인터렉션 상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여 대응되는
전자 장치(2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방향 터치 인터렉션에 따라 생성된 상측 방향 신호
에 따라 전자 장치(200)에서 볼륨 업과 같은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0050]
PC(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Navigation), 키오스크(Kiosk),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단
말 장치(100)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면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터치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0051]
신된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다양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0052]
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상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전자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0053]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0054]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0055]
도 2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0056]
함한다.
< 디스플레이되는 정보 >[0057]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0058]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외부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0059]
레이부(110)는 전자 장치(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
치(200)에서 제공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화면, 다양한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을 제공
할 수 있다. 여기서 UI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재생 화면, 다양한 컨텐
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웹 브라우저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200)가 디지털 TV로 구현되는 경우 채널 재핑(zapping)을 위한 UI 화면, 볼륨 조정을
위한 UI 화면, 컨텐츠 선택을 위한 UI 화면,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위한 UI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0060]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경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투명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구조 >[0061]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0062]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전자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0063]
공개특허 10-2015-0081708
- 11 -
페이스부(120)는 전자 장치(2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전자 장치(200)의 기능 제어를 위[0064]
한 다양한 UI 화면을 통해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는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10)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스크린 상에 형성된 물리적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가이드는[0065]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십자 형상의 중심부로부터 주변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의 십자 형상으
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이러한 물리적 가이드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 중 적어도 하나[0066]
에 대한 사용자 터치 인터렉션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보지 않더라도
촉감만으로 자신이 입력하는 조작의 형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물리적 가이드는 현악기의 줄과 같은 촉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피들(fiddle)이라고 명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부(100)의 전체 영역 상에 형성되고, 물리적 가이드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의[0067]
일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가이드는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 영역은 터치 스크린 만을 구비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물리적 가이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렉션은 전자 장치(200)의 상태 및 디스플레이부(100)에 제공[0068]
된 UI의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양한 사용자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가이드가 십
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십자 형상의 중심부에서 상측 방향으로 드래그 하는 사용자 인터렉션은 전자 장치
(200)가 채널 재핑 상태에 있는 경우 채널 번호를 상향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으로 인식되고, 전자 장치
(200)가 볼륨 조정 상태에 있는 경우 볼륨을 업 시키는 사용자 명령으로 인식될 수 있다.
다만, 물리적 가이드의 형상은 십자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0069]
사선 형태, 대각선 형태의 돌기부가 교차되는 형태, 곡선 형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돌기
부가 2개 이상 나란히 구비되는 형태 등으로 구현되거나, 외곽 영역에서 추가적으로 돌기부를 구비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두 개의 패널이 레이어드(layerd) 된 형태로 레이어드 된 패널 중[0070]
하면 패널을 기준으로 상면 패널을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로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 전자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연동 >[0071]
통신부(130)는 전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30)는 BT(BlueTooth), WI-FI(Wireless[0072]
Fidelity), Zigbee, IR(Infrared),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전자 장치(200) 또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전자 장치(200)와의 기정의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0073]
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 간에 통신이 초
기화되는 동작,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동작, 기기 페어링이 수행되는 동작 등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모든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기 식별 정보가 전자 장치(200)로 제공되고, 그
에 따라 양 기기 간의 페어링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기설정된 이벤트
가 발생하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을 통해 주변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기기와 페어
링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전자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될 수 있다. 예[0074]
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전자 장치(200)를 피 제어 기기로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거나, 전
자 장치(200)이 전원이 ON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0075]
공개특허 10-2015-0081708
- 12 -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전자 장치(200)가 연동되면, 통신부(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된[0076]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다양한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전자 장치(200)가 실시간 방송 채널을 시청하는 방송 시청 모드, VOD 컨텐츠를 재생[0077]
하는 컨텐츠 재생 모드, 기설정된 메뉴를 제공하는 메뉴 제공 모드, 게임을 재생하는 게임 모드, 웹 브라우저를
제공하는 웹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진입하거나, 해당 모드에 있는 경우, 해당 모드를 벗어난 경우 등에 대한
다양한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0)는 전자 장치(200)가 특정 모드에 있는 경우에도 특정 모드에서 제공하는 세부 기능을 실행하[0078]
는 경우 해당 세부 기능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방
송 시청 모드에서 볼륨 조정 상태에 있거나, 볼륨 조정이 필요한 상태에 있는 경우 해당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
(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200)가 뮤트(mute) 상태에 있는 경우 통신부(130)는 해당 상
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정보 >[0079]
또한, 통신부(130)는 경우에 따라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0080]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전자 장치(200)의 상태에 대응되는 정보, 전자 장치(200)의 상태에 대응되는 UI 화[0081]
면에 대한 정보, UI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 등을 외부 서
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명령에 따라 SNS 화면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하
는 경우 해당 정보를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서버(미도시)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등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전자 장치(200)에[0082]
관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 드라이버 정보, 제어 정보, UI 정보 등을 업데이트 할 수 있
다.
< 대기 모드 >[0083]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0084]
제어부(140)는 대기 모드에서 위젯, 아이들(idle) 어플리케이션, 사진,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컨텐츠를 디스플[0085]
레이하는 웰 페이퍼 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대기 모드란 휴대폰과 같은 디바이스의 ‘대기화면’을 말하는
것으로 작업이 수행되지 않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대기 모드에서 시계, 날씨, 달력 등과 같은 위젯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알람, 스피드[0086]
다이얼, 마이 메뉴, 뮤직 플레이어 등과 같은 아이들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즈된(customized) 컨텐츠를 대기 모드에서 제공할 수 있다. 여기[0087]
서, 사용자에 의해 커스터마이즈된 컨텐츠란 가족 사진과 같은 컨텐츠가 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제공되는 웰 페이퍼 컨텐츠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0088]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웰 페이퍼 컨텐츠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거
나, 메시지 수신, 알림 수신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 내용으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해당 메시지 또는 알림 수신에 대한 리마인더를 제공할 수도 있다.
< 초기 화면 진입 >[0089]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0090]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그립 동작이 인식되는 경우에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그립[0091]
동작은 다양한 센서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양측면 및 후면 중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통[0092]
공개특허 10-2015-0081708
- 13 -
해 사용자 터치가 감지되면 그립 동작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0093]
회전 및 기울기 중 적어도 하나가 감지되면 그립 동작이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
다.
그 밖에 제어부(140)는 근접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초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0094]
능하다.
한편,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주요 카테고리, 자주 이용되는 카테고리 등에 대한 쇼컷[0095]
(shortcut) 메뉴 즉, 단축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쇼컷 메뉴는 전자 장치(200)의 턴 온(turn on)과 동시에 해
당 메뉴가 바로 실행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쇼컷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메뉴에 관한 선택 신호 뿐
아니라 전자 장치(200)를 턴 온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쇼컷 메뉴를 통해 전자 장치(200)를 턴 온 하고, 해당 메뉴를 선택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0096]
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턴 오프된 상태에서 VOD 컨텐츠 기반 카테고리 메뉴가 선택되면, 전자 장치
(200)가 턴 온 됨과 동시에 VOD 컨텐츠 카테고리 메뉴가 실행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주요 컨텐츠 카테고리에 대한 쇼컷 메뉴로서 실시간 TV 시청 카테고리, VOD 컨텐[0097]
츠 기반 카테고리, SNS 컨텐츠 공유 기반 카테고리, 어플리케이션 제공 카테고리, 개인용 컨텐츠 카테고리에 대
한 쇼컷 메뉴가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자주 이용되는 카테고리에 대한 쇼컷 메
뉴로서 기존 시청 메뉴, 현재 방송 메뉴, 메시지 메뉴, 입력 소스 메뉴 등을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기존 시청 메뉴는 최근에 시청했던 VOD의 썸네일, 시청 종료 시점 화면, 웹페이지 화면,
어플리케이션 정보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시청 종료 시점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해당
메뉴의 선택으로 해당 시점에서 바로 시청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 화면은 이미지에 URL
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해당 메뉴의 선택에 따라 URL 정보가 전자 장치(200)로 전송되어 해당 웹페이지가 바로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도 특정 뎁스까지 진행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라면 종료된 시점의 뎁스에 해당되는 화면이 바로 제공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 UI 화면 제공 >[0098]
특히, 제어부(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수신된 전자 장치(20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되는 UI를 디스플[0099]
레이부(110) 상에 제공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대응되는 UI를 디
스플레이부(11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물리적 가이드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의 컨텍스트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구성하[0100]
는 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의 컨텍스트가 변경되면 변경된 상태에 대응되는 UI 화면을 구성하는 UI 요[0101]
소를 물리적 가이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가 방송 시청
모드, VOD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모드, 메뉴 제공 모드, 게임 모드, 웹 모드 중 적어도 하나에 진입하
거나, 해당 모드에 있다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모드에 대응되는 UI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특정 모드에 있는 경우에도 특정 모드에서 제공하는 세부 기능을 실행하는 상
태에 있다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기능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가 뮤트 상태에 있는 경우, 해당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볼륨 조정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물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터치[0102]
인터렉션을 통해 제어 가능한 UI 요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가이드는, 기설정된 방향성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0103]
이 상태에 기초하여 물리적 가이드의 방향성에 매칭되는 방향 속성을 갖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UI 요소를 물
리적 가이드에 대응되는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방송 수신 상태이고,
물리적 가이드가 십자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 채널 재핑을 위한 UI 요소를 십자 형상 가이드의 좌우 방향 영
역에 디스플레이하고, 볼륨 조정을 위한 UI 요소 십자 형상 가이드의 상하 방향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5-0081708
- 14 -
< 물리적 가이드를 통한 외부 장치 제어 >[0104]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0105]
송하여 전자 장치(200)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 터치 인터렉션이 입력되면, 터치 방향에 대응되는 방[0106]
향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신호는 UI 페이지 전환을 위한 신호, 오브젝트 이동
을 위한 신호, 볼륨 조정을 위한 신호, 채널 재핑을 위한 신호, 스크롤 동작을 위한 신호, 및 프로그레스 바 상
에서의 진행 정도를 지시하는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디ㅏ. 이 경우, 제어
부(140)는 방향 신호 자체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방향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자 장
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가 방향 신호 자체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에서 방향 신호에[0107]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볼륨 조정 상
태에 있는 경우 제어부(140)가 상측 방향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볼륨을 업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자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의 상태 정보 및 디스플레이부(110)에 제공된 UI 타입 중 적어도 하나에 기[0108]
초하여 방향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
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볼륨 조정 UI가 제공된 상태에서 물리적 가이드에서 상측 방향 터치 인터렉션이 감지
되면, 전자 장치(200)의 볼륨을 업 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어부(140)는 물리적 가이드의 일 방향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지면 전자 장치(200)의 제1[0109]
기능에 대응되는 방향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고, 물리적 가이드의 타 방향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이루
어지면 전자 장치(200)의 제2 기능에 대응되는 방향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가이드가 십자 형상 가이드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물리적 가이드의 상하 방향으로[0110]
드래그하는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지면 볼륨 조정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고, 물리적 가이드의 좌우 방
향으로 드래그하는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지면 채널 재핑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물
리적 가이드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의 방향에 의해 제어되는 기능에 대한 UI가 제공될 수 있다. 예
를 들어, 물리적 가이드의 상하 방향으로 볼륨 조정을 위한 UI가 제공되고, 좌우 방향으로 채널 재핑을 위한 UI
가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된 UI 화면 상에서 특정 아이템이 선택되면 해당 선택 신[0111]
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해당 선택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컨텐츠 제공자 정보, 컨텐츠 정보, 서비스 제공자 정보, 서비스 정보, 어플리케이션 실
행 정보, 컨텐츠 실행 정보, 사용자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되는 정보는 텍스트, 파
일, 이미지, 동영상, 아이콘, 버튼, 메뉴, 입체형 아이콘 등 다양한 요소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 정보는 해당 컨텐츠 제공자를 상징하는 아이콘, 로고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컨텐츠 정보
는 썸네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각 사용자의 프로필 이미지로 제공될 수 있다. 썸네일
의 경우, 원본 컨텐츠에서 제공되는 부가 정보를 디코딩하여 썸네일 크기로 변환하거나, 부가 정보가 없는 경우
원본 컨텐츠 디코딩하고 썸네일 크기로 변환하여 축소된 형태의 썸네일 이미지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원본 컨텐츠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형태가 될 수 있는데 원본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복수의 정지
영상으로 구성된 애니메이션 영상 형태의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0112]
< 디스플레이 장치 상태에 따른 다양한 사용자 인터렉션 >[0113]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가 방송 수신 모드에 진입한 경우 방송 채널 재핑을 위한 UI를 터치 스크린에 디[0114]
스플레이하고,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방향에 대응되는 채널 재핑을 위한 방향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상의 물리적 가이드에는 현재 선국된 채널
번호 및 이전, 이후 채널 번호를 나타내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에서 특정 방송 채널이 선국된 경우, 볼륨 조정을 위한 UI를 터치 스크린에[0115]
디스플레이하고,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방향에 대응되는 볼륨 조정을 위한 방
공개특허 10-2015-0081708
- 15 -
향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상의 물리적 가이드에는 볼륨 조정 상태
를 나타내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가 메뉴 선택 모드에 진입한 경우 메뉴 선택을 위한 UI를 터치 스크린에 디[0116]
스플레이하고, 물리적 가이드에 대한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 방향에 대응되는 선택 GUI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상의 물리적 가이드에는 선택 GUI
를 이동시키기 위한 사방향 키를 나타내는 UI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가 문자 입력 모드에 진입한 경우, 문자 입력 UI를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0117]
이하고, 문자 입력 UI를 통해 문자가 입력되면 입력된 문자에 대응되는 신호를 전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
다.
< 사용자 단말 장치의 모드 >[0118]
또한,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의 상태에 따라 세로 모드 및 가로 모드 중 하나의 모드에 따른 UI 화면을[0119]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전자 장치(200)가 컨텍스트에 기초하여, 즉 전자 장치(200)가 사용자 단말 장치[0120]
(100)의 가로 모드에서 제어하기에 용이한 상태에 있는 경우 가로 모드에 대응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부(140)는 가로 상태의 제어 모드에 대응되도록 UI 화면에 포함된 아이템들의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장치(200)에서 웹 페이지가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가로 모드로 이용될 수[0121]
있다. 이 경우, 물리적 가이드가 마련된 영역은 물리적 가이드를 통해 스크롤 조작 명령을 입력받고, 물리적 가
이드가 마련되지 않은 터치 스크린 영역은 커서 위치 조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장치(200)에서 기설정된 게임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 게임 용도에 따라 물리적 가이드가 마련
된 영역을 통해 방향 조작 명령을 입력받고, 물리적 가이드가 마련되지 않은 터치 스크린 영역을 통해 특정 기
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현될 수 있다.
< 물리적 가이드의 변형 제공>[0122]
물리적 가이드는 물리적 바(bar)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구현 방식에 따라 스티커와 같이 부착되는 형태,[0123]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현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물리적 가이드가 변형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0124]
예를 들어, 물리적 가이드가 스티커와 같이 부착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다양한 형태의 스티커를 통해 다양[0125]
한 형태의 돌기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가이드 자체가 변형되어 다른 형태의 물리적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0126]
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경우,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 활성 고분자 섬유(Elctro Active Polymer : EAP), 압전 소자, 형상 기억 합금(Shape Memory[0127]
Alloy : SMA), 열 유체 주머니,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소자, MEMS 펌프, 공진 디바이스 등과
같은 액츄에이터부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공진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활성 고분자 섬유는 전압
의 인가에 응답하여 자신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전기 활성 고분자 섬유는 EP(Electrostrictive Polymers),
DE(Dielectric elastomers), 전도성 고분자(Conducting Polymers), IPMC(Ionic Polymer Metal Composites),
응답성 겔(Responsive Gels) 및 버키 젤(Bucky gel)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 용도에 따른 물리적 가이드 및 UI의 변형 제공>[0128]
제어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용도에 따라 대응되는 형태의 물리적 가이드 및[0129]
UI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용도가 디지털 TV 제어용으로 설정된 경우 제1 형태에 따른 물리적 가이드[0130]
공개특허 10-2015-0081708
- 16 -
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용도가 네비게이션 제어용으로 설정된 경우 제2 형태에 따른 물리적 가
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용도가 디지털 TV 제어용으로 설정된 경우 물리적 가이드 상에 제1 UI 화면을[0131]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용도가 네비게이션 제어용으로 설정된 경우 물리적 가이드상에 제2 UI 화면
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물리적 가이드의 형태가 동일하더라도 용도에 따라 물리적 가이드 상에 상이한 UI 화면
을 제공할 수 있다.
[0132]
< 위치에 따른 돌기부 및 UI의 변형 제공>[0133]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기설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형태의 돌기부 및 UI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0134]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되는 형태의 돌
기부 및 UI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가 제1 장소, 예를 들어 집으로 판단되는 경우 집에서[0135]
이용되는 형태의 물리적 가이드를 제공하고, 제2 장소 예를 들어, 회사로 판단되는 경우 회사에서 이용되는 형
태의 물리적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위치에 따른 물리적 가이드의 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집에서는 디지털 TV 제어에 용이한 물리적 가이드 형태를 설정하여 저
장하고, 회사에서는 프로젝터 제어에 용이한 물리적 가이드형태를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서로 다른 장소에서 동일한 형태의 물리적 가이드를 제공하더라도 물리적 가이드 상에 각[0136]
장소에 대응되는 형태의 상이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용도를 선택하지 않더라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위치에 대응되는 형태의 물리적 가이드[0137]
및 UI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 타 전자 기기에 대한 컨트롤 기능 >[0138]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지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뿐 아니라, 에어컨, 자동차, 냉장고, 세탁기 등 다[0139]
양한 전자 장치 컨트롤에도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상술한 다양한 홈 디바이스 각각에 대한 원격 제어 장치로서 사용되거나,[0140]
디지털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제공된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화면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물리적 가이드가 십자 형상 돌기부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구비된 상하 방향 돌기[0141]
부를 통해 에어컨의 온도를 조정하고, 좌우 방향 돌기부를 통해 바람 세기 등을 조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지털 TV에 홈 내 디바이스들의 공간 배치도가 제공되고, 해당 공간 배치도를 통해 홈 디바이스들[0142]
을 선택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구비된 돌기부를 통해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가 제어 대상으로 선택되면, 냉장고에 현재 포함된 물품을
스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상태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제공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은 냉장고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
된 십자 형상의 돌기부를 통해 냉장고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실시간으로 조정하여 냉장고 물품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냉장고를 직접 열어보지 않더라고 필요한 물품을 확인하고 바로 온라인으
로 주문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십자 형상의 돌기부를 통해 홈 시큐리티 관련 화면을 제공하기[0143]
위한 CCTV 의 촬영 방향을 조정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 네비게이션 컨트롤 > [0144]
전자 장치(200)가 차량의 센터페시아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0145]
공개특허 10-2015-0081708
- 17 -
장치(100)는 전자 장치(200)의 UI 화면에 제공되는 메뉴 아이템을 네비게이팅하기 위한 터치 인터렉션을 입력받
는 터치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 장치(10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입력된
터치 인터렉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UI를 제공하는 장치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전자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터치 모드에서 입력된 터치 인터렉션에 대응되는 정보를[0146]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따라 UI 화면에서 제공되는 메뉴 아이템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물리적 가이드의 경사를 촉감으로 느낄 수 있으므로 사용[0147]
자 단말 장치(100)를 보지 않고 네비게이션 장치의 UI 화면에 제공되는 메뉴 아이템을 네비게이팅할 수 있게 된
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장치를 직접 터치 인터렉션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보지 않고 터치 인터렉션[0148]
하여 네비게이션 장치의 UI 화면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 단말 기능 >[0149]
한편, 원격 제어 장치로서 외부 장치(200)를 제어하는 기능이 아닌 사용자 단말 장치(100) 자체에서 제공하는[0150]
다양한 기능을 컨트롤에 물리적 가이드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핸드폰, MP3, PMP 등과 같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장치로 구현되는[0151]
경우, 구비된 십자 형상의 돌기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뮤직 플레이어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십자 형상의 돌기부를 통해 뮤직 플[0152]
레이어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 방향 돌기부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을 통
해 볼륨 조정을 수행하고, 좌우 방향 돌기부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이전 곡 및 다음 곡 재생 기능을 수
행하고, 십자 형상의 돌기부의 중심부 영역의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정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십자 형상의 돌기부를 통해 라디오 기능[0153]
과 관련된 다양한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하 방향 돌기부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볼륨 조
정을 수행하고, 좌우 방향 돌기부에 대한 터치 인터렉션을 통해 라디오 주파수 튜닝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
다.
다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일 예로 든 것이며, 돌기부에서 제어 가능한 기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0154]
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직접 보지 않더라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0155]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 지지부의 기능 >[0156]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후면에 구비된 지지부(미도시)는 피라미드 형태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책상 등과[0157]
같은 지지 가능한 물체에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거치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피라미드 형태로 돌출된 지지부를 통해 지지되는 4 개의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책상 등에 세워
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미도시)는 피라미드 형태로 인하여 사용자의 그립 동작을 유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면 형[0158]
태의 기존 사용자 단말 장치는 기기를 잡는 행위를 유도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피라미드 형태의 지지부는
기기를 잡는 행위를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미도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별개로 분리가능한 후면 케이스 커버와 같은 형태로 구현되어[0159]
타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에 결합되는 경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미도시)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동일한
기능, 예를 들어 원격 제어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미도시)는 원격 제어 기능에 관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태그(예를 들어 NFC[0160]
태그)를 구비하여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자동으로 원격 제어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
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부(미도시)가 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타 사용자 단말 장치는 NFC 태그
공개특허 10-2015-0081708
- 18 -
와의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원격 제어 기능이 활성화되어 상술한 초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
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기부 형상을 구비하는 스티커 등을 통해 돌기부에 따른 촉감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
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텍타일(TecTiles)을 이용하여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여 저장함으로써 다양한 기[0161]
능을 제공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기존에 리모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때마다 로딩 과정을 거쳐야 했[0162]
던 것과 달리 후면 케이스 커버를 장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원격 제어 기능을 자동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게 있
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0163]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통신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및 감지부(16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중복되는 부
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통신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외부기기, 에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200),[0164]
외부 서버 등과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통신부(130)는 와이파이칩(131), 블루투스 칩(132), 무선 통신 칩(133) 등 다양한 통신칩을 포함한다. 와이파이[0165]
칩(131) 및 블루투스 칩(132)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칩(133)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그 밖에 통신부(13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NFC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0166]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RAM(141), ROM(142), 메인 CPU(143), 그래픽 처리부(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0167]
(145-1 ~ 145-n), 버스(146)를 포함한다.
RAM(141), ROM(142), 메인 CPU(143), 그래픽 처리부(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등은 버스[0168]
(14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내지 14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0169]
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143)는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0170]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14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0171]
CPU(143)는 ROM(14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RAM(14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
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4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을 RAM(141)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4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0172]
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
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미도시)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40)의 동작은 저장부(15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0173]
저장부(15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0174]
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UI 화면을 구성하기[0175]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공개특허 10-2015-0081708
- 19 -
또한, 저장부(150)는 다양한 UI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데이[0176]
터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에 대해서는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0177]
도 3에 따르면, 저장부(150)에는 베이스 모듈(151), 센싱 모듈(152), 통신 모듈(153), 프리젠테이션 모듈(154),[0178]
웹 브라우저 모듈(155), 서비스 모듈(156)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베이스 모듈(151)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0179]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51)은 스토리지 모듈(151-1), 보안 모듈(151-2)
및 네트워크 모듈(151-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5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43)는 스토리지 모듈(151-1)을 이용하여 저장부(15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
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보안 모듈(151-2)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
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51-3)이란 네
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52)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센싱 모듈[0180]
(152)은 터치 인식 모듈, 헤드 방향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
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15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53)은 외부 장치와 통신에 이용되는 디바[0181]
이스 모듈,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