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 방법 및 장치(lighting methode and device utilizing beam spots)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6. 2. 08:10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2년03월23일
(11) 등록번호 10-1128409
(24) 등록일자 2012년03월1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F21V 33/00 (2006.01) F21V 29/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110485
(22) 출원일자 2009년11월16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11월16일
(65) 공개번호 10-2011-0053810
(43) 공개일자 2011년05월24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050037459 A*
KR1020070037584 A
US20030057884 A1
KR200302481 Y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위너테크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하로 516 (쌍촌동)
(72) 발명자
조재익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264, 2동 1302호 (
양동, 금호아파트)
(74) 대리인
이재량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양성지
(54) 발명의 명칭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 방법 및 장치
(57) 요 약
본 발명에 따르면,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 방법 및 장치는 중공을 가진 경통의 일측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고, 상기 경통에 설치되어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광을 집속하기 위한 광학렌즈들을
구비한 광원유닛과, 이 광원유닛들이 설치되는 기판을 구비한 빔발생모듈들과; 상기 빔발생모듈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어 빔발생모듈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부와; 헤드부로부터 조사되어 분
할된 광이 투사되는 것으로, 기류의 이동에 의해 흔들리며 헤드부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단위 투사체들을 구비하는 투사 스크린를 구비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128409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광원유닛들이
설치되는 기판을 구비한 빔발생모듈과, 상기 빔발생모듈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빔 발생모듈로부터 발생되는
빔을 분할하여 조사하기 위한 빔분할 유니트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조사되어 분할된 광이 투사되는 것으로, 기류의 이동에 의해 흔들리며 헤드부로부
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단위 투사체들을 구비하는 투사스크린를 구비하며,
상기 각 단위 투사체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투사체는 지지부재와 빔스폿이 맺
힐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넓은 잎면부를 가지며, 기류에 의해 흔들림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절개홈에 의해 분
할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장치.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분할 유니트는 헤드부의 서브 프레임에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이 지지프레임에 상기 빔발
생모듈의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제 1중공부가 형성된 제 1종동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종동 풀리의 제 1중공부에 삽입되는 지지부를 가지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
는 빔이 통과하는 제 2중공부가 형성된 제 2종동풀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종동풀리의 단부에
는 제1중공부의 단부측을 차단하는 제 1빔분할렌즈가 설치되며, 상기 제 2종동풀리의 지지부의 단부측에는 상
기 제 2중공부의 단부측을 차단하도록 제 2빔분할렌즈가 설치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2
종동풀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장치.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반투명체로 이루어지며, 서브 프레임의 하부에 반사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된 기판에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어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광이 반사부재에 반사되어 하우
징으로 조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장치.
청구항 6
삭제
청구항 7
삭제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조명방법 및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빔스폿을 이용하여 경관조명 할 수[0001]
있는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방법 및 그 장치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10-1128409
- 2 -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옥외운동장, 행사장, 공원, 도로, 가로수 등의 경관 조명장치는 광원이 상대적으로 높은[0002]
위치에 설치되거나 지면에 설치되어 조명하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행사장의 경우 광원을 점멸시키거나 분할
하여 특정영역에 조사함으로써 관람자의 시선을 집중시키게 된다.
행사장에서는 주변의 음악 또는 행사분위기에 맞추어 조명을 점멸시키거나 색상을 변환시키게 된다.[0003]
이러한 조명장치로는 테크노 램프, 레이저빔, 무빙아트, 샤이카, 빔라이트 등이 이용된다. 이 조명장치 중, 레
이저빔은 직선형,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분산하여 다른 조명과 같이 이용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20-0440157호에는 레이저빔을 이용한 노래방 조명기기가 개시되어 있다.[0004]
개시된 노래방 조명기기는 다수개의 모터와, 다수개의 레이저빔이 발진기에 따라 음향 및 노래 소리에 반응
하여 적절한 분위기를 연출함과 동시에 단일의 기계로 다양한 패턴의 무늬가 음향 및 박자에 맞추어 실시간 디
스플레이 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레이저 빔을 이용한 조명기기는 고정된 벽면이나 천장 바닥면에 조사되므로 입체감 있는 조명[0005]
이 어렵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6-323006호에는 레이저 조명구 및 장식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 공개특허 제[0006]
2000-294018호에는 기구조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구조명장치는 조사용 기구의 하부에 만곡모양의 반사
체가 설치되고, 지상의 광원을 반사체에 조사하여 일정 지역에 광을 조사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가진 기구 조명장치는 행사장, 공연장 등과 같은 넓은 영역에는 빛을 조사할 수 있으나 반사체가 상대
적으로 고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생동감 있는 조명의 구현이 어렵다.
한편, 일본 공개 특허 제 2001-108907호에는 레이저 광원을 이용한 조명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0007]
본 특허 출원번호 제 1992-356188호에는 가로수용 조명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가로수용 조명기구는 지
지구의 직립부재의 정상부에 조명기구를 설치한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명기구들은 이벤트 또는 가로수 등에 광을 조사하여 조명할 수 있으나 이[0008]
러한 조명은 동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행사장, 가로수 등의 조명 시 동적인 특[0009]
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위 스크린의 흔들림에 의해 빔의 점멸을 구현할 수 있는 경관조명을 위한[0010]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 해결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빔 스폿 조명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0011]
포함하는 광원유닛들이 설치되는 기판을 구비한 빔발생모듈과, 상기 빔발생모듈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빔
발생모듈로부터 발생되는 빔을 분할하여 조사하기 위한 빔분리부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조사되어 분할된 광이 투사되는 것으로, 기류의 이동에 의해 흔들리며 헤드부로부[0012]
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단위 투사체들을 구비하는 투사 스크린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
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투사체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며,단위 투사체에는 두개 이상[0013]
으로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절개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는 지주에 설치되는 별도의 각도 조절부에 지지되어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0014]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빔 스폿 조명장치는 중공을 가진 경통의 일측에 발광[0015]
다이오드가 설치되고, 상기 경통에 설치되어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광을 집속하기 위한 광학렌즈들을 구
비한 광원유닛과, 이 광원유닛들이 설치되는 기판을 구비한 빔 발생모듈들과;
등록특허 10-1128409
- 3 -
상기 빔 발생모듈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어 빔 발생모듈을 정, 역[0016]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조사되어 분할된 광이 투사되는 것으로, 기류의 이동에 의해 흔들리며 헤드부로부[0017]
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단위 투사체들을 가지는 투사 스크린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
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투광창과 인접되는 측에는 상기 빔 발생모듈의 전면에 광의 조사를[0018]
단속하는 셧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지주에 지지 브라켓에 의해 지지된다.
효 과
본 발명에 따른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 방법 및 그 장치는 발광다이오드의 빔을 집속하여 대기에 의해[0019]
흔들리는 단위 투사체들에 조사하여 단위투사체들에 선택적으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입체감 있는 조명이 가능
하며,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특히 움직이는 투사스크린 즉, 조명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있는
단위 투사체들에 빔이 조사됨으로써 단위 투사체들이 움직임으로써 투사된 빔이 움직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 방법 및 그 장치는 일정한 영역에 복수개 설치하여 순[0020]
차적 또는 동시에 빔을 조사함으로써 입체적인 빔 패턴의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조명장치는 주위에 새소리 등
자연의 소리 또는 음악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자연적인 분위기를 고취시킬 수 있으며, 조명장치 자체를 발광시
킬 수 있으므로 경관 조명장치로도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에 따른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장치는 움직이는 단위 투사체에 다양한 색상의 빔을 조사함으로[0021]
써 입체적 조명이 가능한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빔 스폿을 이용한 조명장치(10)는 지주(11)에 각도 조절 가능한 브라켓(12)에 의해[0022]
지지되며 빔 스폿들을 조사하기 위한 헤드부(20)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투사스크린(100)을
구비한다.
상기 지주(11)는 헤드부(20)로부터 조사되는 빔 스폿이 조사에 따른 주위의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0023]
을 높이를 가진다.
상기 브라켓(12)에 설치되어 빔스폿들을 조사하기 위한 헤드부(20)는 내부 공간을 투광창(21)을 가지[0024]
는 하우징(22)과,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하우징(23)에 설치되는 빔
발생모듈(30)과, 상기 하우징(22)에 설치되어 빔 발생모듈(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24)를 구비한다.
상기 브라켓(12)은 지주(11)의 측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지주(11)의 일부를 감싸며 밴드[0025]
지지홈(12a)이 형성된 베이스(12b)와, 상기 베이스(12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축(12c)과 상기
지지축(12c)에 설치되어 헤드부(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2d)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12d)의 단부는 하우징(22)이 핀 결합된 구성을 가지는데, 이 핀 결합부위에는 각도를 고[0026]
정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각도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에 분할판이 설치되고, 이 상기
브라켓(12)에 설치되어 상기 분할판의 분할된 구멍에 결합되는 볼 플랜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빔 발생모듈(30)은 하우징(2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기판(31)과, 상기[0027]
회전기판(3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레이저 다이오드(32)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빔발생모듈(30)의 전면에
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32)로부터 조사되는 빔을 분할하는 빔분할 유니트(40)를 구비한다. 상기 빔분할 유
니트(4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광창(21)과 빔발생모듈(3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 1분할
렌즈(41)와, 상기 제 1분할렌즈(4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분할렌즈(4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
기 제 2분할렌즈(42)는 모터(42)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2분할렌즈(42)의 지지는 상기 하우징(22)에 제1분할
렌즈(41)를 지지하는 고정부재(41a)에 제 2분할렌즈(42)를 지지하는 회전부재(42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42a)가 상기 모터(43)에 의해 회전된다. 여기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회전부재(42a)에 전달
하는 것은 동력 전달수단인 벨트 또는 기어에 의해 전달 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0028]
등록특허 10-1128409
- 4 -
도면을 참조하면, 빔 스폿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헤드부(20)는 지지대(11)에 지지되며 투광창(21)을 가[0029]
지는 하우징(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서브하우징(2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서브하우징(23)에는 발광다
이오드를 이용한 광원유닛(50)이 설치되는 빔발생모듈(6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빔발생모듈(60)은 구
동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빔발생모듈(60)은 하우징(2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
축(61)에 지지되는 회전원판(62)과, 상기 회전원판에 설치되는 종동기어(63)와, 하우징(22) 내에 설치된
모터(64)의 구동축(64a)에 설치되는 구동기어(65)가 치합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원유닛(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51)를 가지는[0030]
경통(52)의 일측에 발광다이오드(53)가 설치되고, 상기 경통(52)의 내부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53)로부터 조
사되는 광을 집속하여 스폿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의 집속렌즈(54)가 형성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53)로
부터 조사되는 빛을 집속은 집속렌즈와 발산렌즈가 조합되어 다단으로 광을 집속할 수도 있다.
상기 광원 유닛은 각각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집속하여 빔 스폿을 형성하게 되므로 적,[0031]
청,녹색을 조사하는 광원 유닛을 인라인 또는 삼각 배열되어 상기 빔스폿의 색상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 유닛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상기 광학렌즈를 이[0032]
용하여 하나의 빔스폿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빔 발생모듈(60)과 투광창(21)의 사이에는 상기 빔발생모듈(6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다[0033]
양한 각도로 반사하기 위한 광반사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반사부는 구형 또는 원통형의 광
반사부재의 회전부재가 하우징(2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광반사부재는 모터에 의해 소정의 회전수로
구동된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빔발생모듈로부터 빔의 조사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제어
부는 지주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헤드부를 동시에 제어하여 후술하는 투수스크린에 투사되는 투사광의 패턴을
다양화 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예와 동[0034]
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부(70)는 지지부(12d)에 지지된 하우징(22)에 설치되는 서브프레임(71)의[0035]
하부에는 공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외주면에 반사막이 형성된 절두 원통형의 반사부재(7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재(72)의 하단부측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조기판(73)이 설치되고, 이 보조기판(73)에는
상기 반사부재(72)의 외면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하우징(22)을 통하여 조사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을 위한 발
광다이오드(74)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22)은 보조기판(73)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74)로부터 조사
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2)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74)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기 위한 별도의 투광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71)의 상면측에는 빔발생모듈(80)이 설치되고, 이 빔발생모듈(80)의 전면[0036]
측에는 빔발생모듈(80)과 서브프레임(71)에 의해 지지되는 빔분할 유니트(90)가 설치된다.
상기 빔 발생모듈(8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녹, 청색의 레이저 다이오드(81)들 중 적어도[0037]
하나가 설치되는 모듈케이스(82)를 구비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81)는 복수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분할 유니트(90)는 제1빔분할렌즈(91)와 제 2빔분할렌즈(92)를 각각 상대 회전시켜 빔을 분할[0038]
하는 것으로, 서브 프레임(71)에 지지프레임(93)이 설치되고, 이 지지프레임(71)에 상기 빔발생모듈(80)의 레
이저 다이오드(81)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제 1중공부(94)가 형성된 제 1종동풀리(9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 1종동 풀리(95)에는 이의 제 1중공부(94)에 삽입되는 지지부(96)를 가지며 상기 레이저 다이
오드(81)로부터 조사되는 빔이 통과하는 제 2중공부(97)가 형성된 제 2종동풀리(9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종동풀리(95)의 단부에는 제1중공부(94)의 단부측을 차단하는 제 1빔분할렌즈(91)
가 설치되고, 상기 제 2종동풀리의 지지부(96)의 단부측에는 상기 제 2중공부(97)의 단부측을 차단하도록 제
2빔분할렌즈(9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프레임(71)에는 상기 제 1,2종동풀리(95)(98)는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되[0039]
는데, 이 구동부는 구동풀리(99)가 회전축에 설치된 모터(100)를 구비한다. 상기 구동풀리(99)와 제 1,2종동
풀리(95)(98)는 벨트가 걸려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 1,2종동풀리(95)(98)의 직경은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모터의 회전시 상호 상대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풀리는 더블 구동풀
등록특허 10-1128409
- 5 -
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부에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모터 등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니트(110)가 더 구비된다. 이[0040]
냉각 유니트(110)는 상기 반사부재(72)에 지지된 보조기판(73)에 설치되며 단부가 하우징(22)에 형성된
유입구(111)와 대응되게 설치되는 덕트(112)와, 상기 덕트(112)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기(1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의 일측 즉, 상기 덕트(112)와 인접되는 측에는 상기 유입구(111)을 통하여 유입된 후
레이저 다이오드를 냉각시킨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1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새소리, 곤충 등과 같은 동물의 소리 또는 음악소리를 들려주기 위[0041]
한 음악 재생유니트(120)가 설치된다. 음악 재생유니트(120)는 엠피쓰리(121)와, 이로부터 재생된 음악을 들
려주기 위한 스피커(122)를 구비한다. 상기 스피커(122)는 하우징(22)의 내부에 설치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지주에 별도로 설치되어 하우징(22)의 내부에 설치된 엠피쓰리(121)로부터 재생된 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음악 재생유니트(120)의 간헐적으로 새소리 또는 곤충소리를 들려줄 수 있도록 타이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사스크린(100)은 헤드부로부터 조사되어 분할된 광이 투사되는 것으로, 기류의 이동에 의해 흔[0042]
들리며 헤드부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단위 투사체(101)들을 구비한다. 상기
투사스크린(100)은 입체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지부재(102)와, 상기 지지부재(102)에 설치된 단위
투사체(101)들을 구비한다. 상기 단위 투사체(101)는 적은 힘에 의해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빔스폿이 쉽게 맺힐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넓은 잎면부(101a)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투사체(101)들은 헤드부로부터 조사되는 빔스폿이 맺히는 부위가 헤드부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될 수 있
도록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다. 그리고 단위 투사체(101)는 기류에 의한 흔들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할을 위한 절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사스크린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가
로수, 정원수, 건축 구조물, 조형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방법은 중공을 가진 경통의 일측에 발광다이오드[0043]
를 발광시켜 경통에 설치된 광학렌즈들을 구비한 광원유닛들을 이용하여 빔스폿들을 형성을 형성하는 빔스
폿 형성단계와, 상기 광원유닛에 의해 형성된 빔스폿들을 단위 투사체가 입체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투사스
크린에 투사하는 빔스폿 투사단계와, 상기 투사단계에 있어서, 상기 빔스폿은 단속적으로 조사될 수도 있다.
또한 빔스폿 투사단계는 복수개의 투사스크린(100)을 준비하고, 이 투사스크린(100)들에 연속 또는 불연속조
사 또는 순차적으로 조사하여 투사스크린을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조사하여 투사영상을 구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유닛들을 회전시키거나 틸팅시켜 빔스폿들을 회전시키거나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이동시키[0044]
는 빔스폿 이동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빔스폿 이동단계는 빔스폿을 회전시키거나 원주방향으로 직선방향으로
이송시킨 후 사라졌다가 다시 생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이를 이용한 방법을 보다 상세[0045]
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투사스크린(100)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지지대(11)에 헤드부(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0046]
헤드부(20)의 광원유닛(50)들로부터 투광창(21)을 통하여 투사스크린(100)에 빔스폿을 조사한다. 여기에서 상
기 빔스폿들은 경통(52)의 일측에 발광다이오드(53)로부터 조사되는 빔을 경통(52)에 설치된 광학렌즈인 집속
렌즈들을 이용하여 다단으로 집속하여 빛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밀도가 높은 빔이 투사스크린(100)에 투사되면, 빔스폿들은 각각 단위 투사체(101)에 투[0047]
사된다. 상기 각 단위 투사체(101)는 헤드부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위치하게 되므로 빔스폿의 투사 패턴이
입체적인 패턴을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투사스크린(100)에 기류, 즉, 바람이 가하여지게 되면, 상
기 단위 투사체(101)들이 흔들리게 됨으로써 단위 투사체(101) 또는 인접하는 단위 투사체 사이에서 이동하게
되어 빔스폿들이 움직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단위투사체(101)가 마련된 투사스크린이 야외에 설치
된 경우 바람 등 기류가 발생되면 각각의 단위 투사체(101)가 흔들리게 되면서 별 빛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효
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를 이용하여 발광다이오드 광원 유닛이 설치된 빔발생모듈(60)을 회전시키게 되면 빔스[0048]
폿들이 원을 그리며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 단위 투사체(101)에 조사되는 빔스폿들은 인접하는
단위투사체(101)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빔스폿들은 단위 투사체(101)의 위치에 따라 헤드부에 대해
등록특허 10-1128409
- 6 -
멀어지거나 다가오게 되어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헤드부(20)의 빔원이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경우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0049]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빔이 빔분할 유니트(40 또는 90)에 의해 분할되어 투사스크린(100)에
조사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분할 유니트(90)는 하나의 모터에 의해 제 1,2종동풀리(95)(98)를 상해 회[0050]
전시키게 되므로 이들에 의해 지지된 제 1,2빔분할렌즈(91)(92)에 의해 빔이 분할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에는 발광다이오드(74)로부터 조사된 광이 반사부재(72)를 통하여 반사되어 반투명한
하우징(22)을 통과하게 되므로 헤드부(10)의 하우징(22)을 발광시켜 경관램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에는 냉각유니트(11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0051]
드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입구(111)와 인접되게 설치된 덕트(112)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113)에 의해 흡입된 외기는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모터를 냉각시킨 후 토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되므
로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구획됨으로써 냉각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음악을
재생할 수 있은 음악 재생유니트(12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경관조명장치로의 이용시 사람들에게 음악을 들려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0052]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0053]
산업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 방법 및 그 장치는 행사장, 야외 공연장, 공원 등의 조명에 널리 적용 가능[0054]
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0055]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0056]
도 3은 헤드부의 분리사시도,[0057]
도 4는 빔분할부를 발체하여 도시한 단면도,[0058]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관조명을 위한 빔스폿을 이용한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일부[0059]
절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광원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0060]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0061]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헤드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 [0062]
등록특허 10-1128409
- 7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128409
- 8 -
도면2
등록특허 10-1128409
- 9 -
도면3
등록특허 10-1128409
- 10 -
도면4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128409
- 11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1128409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