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Transaction process recording apparatus for automated machine)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0년09월13일
(11) 등록번호 10-0981777
(24) 등록일자 2010년09월06일
(51) Int. Cl.
G07F 19/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8-0115863
(22) 출원일자 2008년11월20일
심사청구일자 2008년11월20일
(65) 공개번호 10-2010-0056868
(43) 공개일자 2010년05월28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0756486 B1
KR100597105 B1
KR1020060114513 A
KR200389669 Y1
(73) 특허권자
엘지엔시스(주)
서울 마포구 공덕동 275
(72) 발명자
김성규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2동 275번지 LG 마포빌딩
(74) 대리인
특허법인우린
전체 청구항 수 : 총 7 항 심사관 : 박노춘
(54)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용지롤(24)에서 공급된 용지에는 저널프
린터(30)에 의해 고객의 거래내역이 프린팅된다. 그리고, 상기 저널프린터(30)에서 프린팅된 용지는 구동원(80)
에 의해 회전되는 리와인더(70)에 감아진다. 상기 구동원(80)의 구동축(82)에는 방향전환기어(84)가 구비되어 상
기 리와인더(70)로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구동축(82)의 회전방향을 직교한 방향으로 전환시킨다. 프레임(22)
에는 상기 저널프린터(30)를 통과하는 용지의 일측이 걸어져 팽팽하게 지지되는 지지브라켓(42)이 슬라이딩가능
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이동궤적의 양단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센서(52,54)가 각각 설치되
어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이동을 감지하고,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원(80)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한
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방향을 직교하게 전환시키는 방향전환기어가 리와인
더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리와인더 용지의 장력에 의해 용지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
되는 효과가 있다.
대 표 도
등록특허 10-0981777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용지가 권선되는 용지롤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롤에서 공급되는 용지에 고객의 거래내역을 프린팅하는
저널프린터와;
상기 저널프린터에서 프린팅된 용지가 감아지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리와인더와;
상기 구동원의 구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리와인더로 구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을 직교한 방향
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기어와;
상기 저널프린터를 통과한 용지의 일측이 걸어져 팽팽하게 지지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화기
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용지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브라켓의 이동궤적의 양단에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이동을 감지하고, 제
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원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센서와;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기 용지를 당기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에 전달되
는 구동력을 차단시키는 차단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체결되는 모터프레임에 설치되는 DC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청구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프레임에는 상기 방향전환기어와 맞물리고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트레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청구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트레인은,
상기 방향전환기어와 맞물리는 제 1기어와;
상기 제 1기어와 일측이 맞물리고, 타측은 상기 리와인더에 구비된 리와인더기어와 맞물리는 제 2기어로 구성됨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어와 제 2기어는 아이들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
장치.
청구항 7
등록특허 10-0981777
- 2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기어는 웜기어 또는 베벨기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기기를 통해 고객이 거래한 내역 등을 별도로 기[0001]
록하기 위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자동화기기는 그 수행되는 기능이 모두 자동화되어 별도로 관리하는 사람이 없이도 동작될 수 있는 기기를 말한[0002]
다. 이와 같은 자동화기기의 예로서, 매체자동지급기, 증명서발급기, 금융자동화기기 등이 있다. 이 중에 금융
자동화기기는 은행 창구를 거치지 않고 고객이 직접 현금이나 수표 등을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업무의 효율화와 고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동화기기를 사용하는 고객은 전면에 구비된 카드 투입구에 카드를 투입한 후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0003]
안내문구에 따라 조작버튼을 조작하면서 현금 또는 수표를 입금하거나 출금하고, 계좌이체 등의 다양한 서비스
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거래가 종료되면 자동화기기에서는 고객에게 거래내역에 관한 명세표를 발급한다. 그리고, 고객에게 발[0004]
급한 명세표와는 별도로 자동화기기의 내부에서는 저널프린터를 통해 별도의 용지에 거래내역을 프린트하여 보
관하게 된다.
이러한 자동화기기의 내부에는 거래내역이 프린팅되는 용지가 롤의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용지는 이송되어 저[0005]
널프린터에서 거래내역이 프린팅되고 별도로 설치된 리와인더에서 감아지게 된다.
상기 리와인더는 상기 자동화기기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원인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데, 상기 구동모터의 구[0006]
동축에는 평기어가 구비된다. 상기 평기어는 상기 리와인더의 회전축에 구비된 리와인더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평기어의 회전축에는 일방향 클러치가 구비되어 리와인더가 일방으로만 회
전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0007]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되는 경우에 상기 리와인더는 용지가 감아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용지가 장력으로 팽팽[0008]
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저널프린터에서 프린팅된 용지가 저널프린터에서 이송된 경우에는
용지가 느슨하게 풀어질 수 있다. 또한, 외력이나 부품들의 마모 등에 의해 용지가 느슨하게 풀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용지가 느슨하게 풀어지면 용지의 장력에 의해 상기 리와인더가 용지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0009]
있다. 즉, 상기 리와인더에 감아져 있던 용지까지 느슨하게 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용지가 과도하게 풀어지
면 용지가 접히거나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용지가 접히거나 꼬인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리와인더가 회전되면 용지가 균일하게 감아지지 못하는 문제도 발생한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와인더가 용지를[0010]
감는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0011]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
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
등록특허 10-0981777
- 3 -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0012]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용지가 권선되는 용지롤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용지롤에서 공급되는
용지에 고객의 거래내역을 프린팅하는 저널프린터와; 상기 저널프린터에서 프린팅된 용지가 감아지고, 상기 프
레임에 설치된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리와인더와; 상기 구동원의 구동축에 구비되어 상기 리와인더로 구동력
을 전달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방향을 직교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방향전환기어와;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널프린터를 통과한 용지의 일측이 걸어져 팽팽하게 지지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용지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지지[0013]
브라켓의 이동궤적의 양단에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이동을 감지하고, 제어부에 신
호를 전달하여 상기 구동원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하는 센서와; 상기 지지브라켓이 상기 용지를 당기는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원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차단시키는 차단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프레임의 일면에 체결되는 모터프레임에 설치되는 DC모터임을 특징으로 한다.[0014]
상기 모터프레임에는 상기 방향전환기어와 맞물리고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트레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0015]
한다.
상기 기어트레인은, 상기 방향전환기어와 맞물리는 제 1기어와; 상기 제 1기어와 일측이 맞물리고, 타측은 상기[0016]
리와인더에 구비된 리와인더기어와 맞물리는 제 2기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기어와 제 2기어는 아이들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0017]
상기 방향전환기어는 웜기어 또는 베벨기어임을 특징으로 한다.[0018]
효 과
본 발명에서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회전방향을 직교하게 전환시키는 방향전환기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방향전[0019]
환기어는 리와인더에 구비된 리와인더기어와 기어트레인에 의해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고 구동모
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리와인더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리와인더 용지의 장력에 의해 용
지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0020]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0021]
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처리과정 기록장치에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프레임(20)이 구비되고, 상[0022]
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면에는 프레임(22)이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2)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면에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된다. 물론, 상기 프레임(22)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22)은 두 개의 단부판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2)의 일측에는 용지롤(24)이 용지롤축(2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용지롤(24)은 프린팅[0023]
되지 않은 용지(P)가 권선되는 부분이다. 상기 용지롤(24)은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모터(80)의 구동에 의해 회전
되어 저널프린터(30)로 용지(P)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의 일측에는 상기 용지롤(24)에서 공급된 용지(P)의 일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암(26)[0024]
이 회전축(2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암(26)은 상기 프레임(22)에 설치되어 용지(P)가 장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암(26)의 선단에는 실질적으로 용지(P)의 일면과 접촉하는 지지돌기
(28)가 구비된다. 한편, 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회전축(26')에는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상기 용지(P)가 팽팽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는 도 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지지암(26)이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면 일측에는 저널프린터(30)가 설치된다. 상기 저널프린터(30)는 상기 용지롤(24)에[0025]
서 공급되는 용지(P)에 처리된 거래내역을 프린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널프린터(30)는 일반적인 거래내역
등록특허 10-0981777
- 4 -
뿐만 아니라 자동화기기의 개폐, 매체의 판독 및 반출 등에 관한 일시집적 및 회수여부 등으로 포함하여 자동화
기기에서 처리되는 각종 과정을 기록하는 장치이다.
상기 저널프린터(30)의 입구에는 가이드수단(32)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수단(32)은 상기 저널프린터(30)로 용[0026]
지(P)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롤러, 축 등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널프린터(30)에는 실질적으로 용지(P)에 프린팅을 하기 위한 프린팅부(34)가 구비된다. 상기 프린팅부[0027]
(34)에는 프린팅헤드와 같은 구성이 구비되어 용지(P)의 일면에 거래내역을 프린팅한다. 한편, 상기 저널프린터
(30)에는 별도의 구동원이 구비되어 용지(P)의 프린팅이 이루어지면 이송롤러(도시되지 않음) 등을 통해 프린팅
된 용지(P)가 저널프린터(30)의 외부로 이송되게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22)에는 가이드슬롯(40)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40)에는 지지브라켓(42)이 슬라[0028]
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브라켓(42)에는 상기 가이드슬롯(40)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축(44)이 구
비된다. 상기 가이드축(44)은 양측에 위치한 프레임(2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축(44) 중
에 아래에서 설명될 리와인더(70)에서 상대적으로 먼 쪽에 위치하는 가이드축(44)에는 용지(P)의 일면이 감아진
다. 상기 지지브라켓(42)은 용지(P)가 장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일측에는 걸이돌기(46)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이돌기(46)에는 탄성부재(48)의 일[0029]
단이 걸어진다. 상기 탄성부재(48)는 상기 지지브라켓(42)을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용지(P)가 풀리는 방향 즉,
상기 리와인더(7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지지브라켓(42)이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4
8)의 타단은 상기 프레임(22)에 구비된 걸이돌기(50)에 걸어진다. 상기 탄성부재(48)는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이동방향에 평행하게 구비된 코일스프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레임(22)에서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상방에는 한 쌍의 센서(52,54)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0030]
(52,54)는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위치를 감지하여 용지(P)의 풀림상태를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
(52,54)는 상기 지지브라켓(42)의 이동궤적의 양단에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센서(52,54)는 두
개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 1센서(52)는 상기 리와인더(70)에서 상대적으로 먼 쪽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센서
(54)는 상기 리와인더(70)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쪽에 설치된다.
상기 제 1센서(52)는 용지(P)가 가장 느슨하게 풀린 상태에서 지지브라켓(42)의 위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0031]
제 2센서(54)는 용지(P)가 가장 팽팽하게 당겨진상태에서 지지브라켓(42)의 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제 1센서
(52)에 지지브라켓(42)이 감지되면 제 1센서(52)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모터
(80)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모터(80)가 구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80)가 구동되면 용지(P)가 당겨
져 리와인더(70)에 감긴다.
그리고, 상기 제 2센서(54)는 지지브라켓(42)의 위치를 감지하여 용지(P)가 과도하게 당겨져서 끊어지는 것을[0032]
방지한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42)이 상기 리와인더(70)에서 과도하게 가까워지면 지지브라켓(42)의 위치를 감
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80)에 정지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가이드슬롯(40)에 인접한 프레임(22)에는 차단스위치(56)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스위치(56)는 상기 제 2센[0033]
서(54)에 이상이 발생하여 상기 지지브라켓(42)이 과도하게 이동될 경우에 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80)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단스위치(56)에는 접촉바(58)가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접촉바(58)는 상기 지지브라켓(4[0034]
2)의 일측에 의해 눌러져 차단스위치(56)에 온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차단스위치(56)는 온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구동모터(80)의 내부에 구비된 드라이버칩의 인에이블(Enable) 단자를 강제로 셧다운(Shut-down)시킨다. 즉, 상
기 차단스위치(56)는 비상시에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용지(P)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22)에는 용지(P)의 일면이 가이드되는 텐션축(60)이 설치된다. 상기 텐션축(60)은 용지(P)의[0035]
일면이 밀착되어 용지(P)의 이송방향을 전환시키며 용지(P)가 장력으로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텐션축(60)은 상기 프레임(22)에 용지(P)의 이송방향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2)의 사이에는 리와인더(70)가 리와인더축(7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와인더(70)는[0036]
상기 저널프린터(30)에서 프린팅된 용지(P)가 감아지는 부분이다. 상기 리와인더축(70')에는 리와인더기어(72)
가 구비된다. 상기 리와인더기어(72)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어트레인(84)과 맞물리게 구비되어 구동모터(80)로부
터의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프레임(22)의 일면에는 모터프레임(74)이 설치된다. 상기 모터프레임(74)은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든 것으[0037]
등록특허 10-0981777
- 5 -
로서,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모터(80)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모터프레임(74)은 양측이 직교하게 벤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프레임(74)의 벤딩된 양측에는 각각 체결부(76)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76)는 상
기 프레임(22)의 일면에 밀착되게 체결되어 모터프레임(74)을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부(76)에는 볼트
등이 체결되는 체결공(78)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모터프레임(74)의 내측에는 구동모터(8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80)는 상기 센서(52,54)로부터[0038]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상기 구동모터(80)는 바람직하게 DC모터를 사용한다.
상기 구동모터(80)의 구동축(82)에는 방향전환기어(84)가 구비된다. 상기 방향전환기어(84)는 상기 구동축(82)[0039]
의 회전방향을 직교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축(82)과 아래에서 설명될 기어트레
인(86)의 회전축은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방향전환기어(84)로는 바람직하게 도 2에 도시된 웜기어가 사
용된다. 상기 웜기어는 그 특성상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기어(84)
로서 베벨기어 등 구동축(82)의 회전방향으로 직교하게 전환시키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전환기어(84)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와인더(70)가 용지(P)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0040]
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향전환기어(8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축(82)의 회전방향을 전환시키기 때문에, 상기
구동모터(80)가 정지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구동모터(80)가 용지(P)가 풀리는 방
향으로 구동되지 않는 한 상기 리와인더(70)가 용지(P)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결국, 상기 방향전
환기어(84)는 상기 리와인더(70)에 감긴 용지(P)가 과도하게 풀려 접히거나 꼬이지 않고 장력에 의해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기어(84)는 다수개의 기어로 구성된 기어트레인(86)와 맞물린다. 상기 기어트레인(86)은[0041]
상기 구동모터(80)의 구동력을 상기 리와인더(7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트레인
(86)은 제 1기어(86a)와 제 2기어(86b)로 구성된다. 물론,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기어트레인(86)은 두 개 이상
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기어(86a)는 상기 방향전환기어(84)와 직접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기어(86b)는 상기 제 1기어(86a) 및 상기 리와인더기어(72)와 맞물린다. 상기 제 1기어(86a)와 제 2기어(86b)는
상기 모터프레임(74)에 아이들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0042]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용지(P)는 용지롤(24)에 감긴 상태에서 상기 저널프린터(30) 및 지지브라켓(42)을 지나[0043]
리와인더(70)에 감아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저널프린터(30)의 프린팅부(34)에서 용지(P)의 프린팅이 이루어지
면 내부에 구비된 구동원이 구동되어 이송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용지(P)가 외부로 이송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용지(P)의 프린팅이 끝나고 용지(P)가 저널프린터(30)의 외부로 이송되면 용지(P)가 느슨하게[0044]
풀어진다. 이와 같이 용지(P)가 느슨하게 풀어질 때 상기 리와인더(70)가 용지(P)의 장력에 의해 용지(P)가 풀
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축(82)에 방향전환기어(84)가 구비되어 리
와인더(70)가 용지(P)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상기 방향전환기어(84)가 구동축(8
2)의 회전방향으로 직교한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지(P)가 느슨하게 풀어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라켓(42)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방향[0045]
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센서(52)에 감지된다(도 3a 참조).
상기 제 1센서(52)에 상기 지지브라켓(42)이 감지되면 상기 제 1센서(52)에서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모[0046]
터(80)가 구동되게 한다. 상기 구동모터(80)는 구동축(82)을 일방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축(82)에 구비된 방
향전환기어(84) 또한 상기 구동축(82)과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방향전환기어(84)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
기 기어트레인(86)이 회전되고, 상기 기어트레인(86)은 상기 리와인더(70)를 회전시켜 용지(P)가 감아지도록 한
다.
상기 리와인더(70)는 용지(P)를 당겨 상기 지지브라켓(42)이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상[0047]
기 지지브라켓(42)은 상기 리와인더(70)에 의해 이동되다가 제 2센서(54)에 감지된다(도 3b 참조). 그러면, 상
기 제 2센서(54)는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모터(80)가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모터(80)가 정지되면
상기 리와인더(70)이 회전이 정지되므로 용지(P)가 끊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42)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센서(54)에 이상이 발생하여 고장나거[0048]
나 제어부에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구동모터(80)가 정지되지 않고 계속하여 회전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0981777
- 6 -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42)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스위치(56)의 접촉바(58)를 눌러 탄성변형시
켜 차단스위치(56)가 동작되게 한다.
상기 차단스위치(56)는 온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구동모터(80)의 내부에 구비된 드라이버칩의 인에이블(Enable)[0049]
단자를 강제로 셧다운(Shut-down)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80)가 구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용지(P)가
끊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0050]
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
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0051]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처리과정 기록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0052]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처리과정 기록장치에서 지지브라켓이 이동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005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054]
20 : 베이스프레임 22 : 프레임[0055]
24 : 용지롤 26 : 지지암[0056]
28 : 지지돌기 30 : 저널프린터[0057]
32 : 가이드수단 34 : 프린팅부[0058]
40 : 가이드슬롯 42 : 지지브라켓[0059]
44 : 가이드축 46 : 걸이돌기[0060]
48 : 탄성부재 50 : 걸이돌기[0061]
52 : 제 1센서 54 : 제 2센서[0062]
56 : 차단스위치 58 : 접촉바[0063]
60 : 텐션축 70 : 리와인더[0064]
72 : 리와인더기어 74 : 모터프레임[0065]
76 : 체결부 78 : 체결공[0066]
80 : 구동모터 82 : 구동축[0067]
84 : 방향전환기어 86 : 기어트레인[0068]
등록특허 10-0981777
- 7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0981777
- 8 -
도면2
도면3a
등록특허 10-0981777
- 9 -
도면3b
도면3c
등록특허 10-0981777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