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탄성체층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A Pad for protecting glass plate including a elastic layer)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5. 3. 15:50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5년10월19일
(11) 등록번호 10-1560371
(24) 등록일자 2015년10월07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65D 81/127 (2006.01) B65D 85/48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0004064
(22) 출원일자 2014년01월13일
심사청구일자 2014년01월13일
(65) 공개번호 10-2015-0084246
(43) 공개일자 2015년07월22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20130101837 A
KR1020060032352 A
KR1020140002525 A
JP2010065122 A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이에스디웍
경기도 화성시 무하로 115-9 (무송동)
(72) 발명자
이주형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수지로 113번길 15, 204동
1701호 (성복동, 성복마을엘지빌리지2차)
강순만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공도로 150, 102동 203호
(만정리, KCC스위첸아파트)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리앤목특허법인
전체 청구항 수 : 총 7 항 심사관 : 오주
(54) 발명의 명칭 탄성체층을 포함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
(57) 요 약
본 발명은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에 수납되는 유리 기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유리 기판을 보호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에 있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층으로서 미리
정한 탄성 계수를 가지며, 일면이 상기 유리 기판에 접촉하는 탄성체층; 상기 탄성체층의 타면에 배치되는 합성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560371
- 1 -
수지 재질의 층으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층;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층과 상기 베이스층이,
이중사출공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체층에 의하여 수납된 유리 기판의 파손 위험도 감소하며,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
여 상기 탄성체층과 베이스층을 접착하는 공정이 필요 없고, 탄성체층이 베이스층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패드의 절단 공정이나 접착제가 불필요하여 버(burr)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중사출로 인하여 두께 평활
도 두께 정밀도 및 형상 정밀도가 상승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72) 발명자
정진원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장승백안길 12, C동 201호
(하저리)
서금배
경상남도 양산시 일동8길 14 (중부동)
등록특허 10-1560371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용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에 수납되는 유리 기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유리 기판을 보호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에 있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층으로서 미리 정한 탄성 계수를 가지며, 일면이 상기 유리 기판에 접촉하는 탄성체층;
상기 탄성체층의 타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층으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층;
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층과 상기 베이스층이,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중사출공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
으며,
상기 탄성체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
지, 폴리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85 내지 98 중량부, 대전방지물질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
청구항 2
용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에 수납되는 유리 기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유리 기판을 보호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에 있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층으로서 미리 정한 탄성 계수를 가지며, 일면이 상기 유리 기판에 접촉하는 탄성체층;
상기 탄성체층의 타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층으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층;
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층과 상기 베이스층이,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중사출공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
으며,
상기 탄성체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
지, 폴리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에틸렌 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
10 내지 80 중량부, 대전방지물질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
청구항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물질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
청구항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층은, 천연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코
폴리머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
리 기판 보호용 패드
등록특허 10-1560371
- 3 -
청구항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은,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
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
청구항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층의 일면은, 엠보싱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
청구항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층의 일면에는, 다수 개의 격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
청구항 8
삭제
청구항 9
삭제
청구항 10
삭제
청구항 11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리 기판의 파손 위험도 감소하며, 별도의 접착제를[0001]
사용하여 탄성체층과 베이스층을 접착하는 공정이 필요 없고, 탄성체층이 베이스층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
며, 패드의 절단 공정이나 접착제가 불필요하여 버가 발생하지 않으며, 두께 평활도 두께 정밀도 및 형상 정밀
도가 상승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한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유리 기판(glass plate)은 운송 중에 파[0002]
손되지 않도록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가 내부에 장착된 용기에 수납된 상태로 운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
한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기판(9)의 모서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유리
기판(9)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로서, 폴리우레탄 발포수지(foamed polyurethane)가 사용되기도 하였는[0003]
데, 상기 폴리우레탄 재질의 보호용 패드는 내마모성이 약하여, 운송 중이나 수납 또는 인출시에 유리 기판의
모서리에 마찰됨으로써,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로부터 이물질 가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
물질은 결국 최종적인 LCD의 제품 불량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리 기판의 운송 중에, 상기 유리 기판과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와의 마찰에 의한 정전기가[0004]
발생하는 경우, 정전기에 의한 전자 부품의 손상이나 이물질의 부착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의 경우, 연질의 폴리우레탄 발포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유리 기[0005]
판 보호용 패드의 제조 공정 중 하나의 큰 패드 기판을 절단하여 미리 정해진 작은 크기의 패드로 절단하게 되
등록특허 10-1560371
- 4 -
는데,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의 사용중에도 상기 절단면으로부터 비교적 많은 버(burr)가 발생하며, 이러
한 버(burr)가 추가적인 이물질로 작용하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수지를 베이스층인 합성수지 재질의 판재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0006]
하였는데, 상기 양면 테이프의 합지력이 낮아서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수지가 상기 베이스층으로부터 쉽게 분리
되며, 상기 양면 테이프로부터 접착성 이물질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리 기판의 파손 위험도 감소하며, 별도의[0007]
접착제를 사용하여 탄성체층과 베이스층을 접착하는 공정이 필요 없고, 탄성체층이 베이스층으로부터 쉽게 분리
되지 않으며, 패드의 절단 공정이나 접착제가 불필요하여 버가 발생하지 않으며, 두께 평활도 두께 정밀도 및
형상 정밀도가 상승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는, 용기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에[0008]
수납되는 유리 기판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유리 기판을 보호하는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에 있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층으로서 미리 정한 탄성 계수를 가지며, 일면이 상기 유리 기판에 접촉하는 탄성체층; 상기 탄성체층의
타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층으로서, 상기 용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층;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
층과 상기 베이스층이, 이중사출공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층은, 정전기 방지를 위한 대전방지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0009]
여기서, 상기 대전방지물질은,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0010]
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층은, 천연고무,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0011]
필렌 코폴리머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층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012]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스티렌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폴리에[0013]
스터계 수지, 폴리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 85 내지 98 중량부, 대전방지물질 0.5 내지 10 중[0014]
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에틸렌 프로필렌 코폴리[0015]
머 고무 10 내지 80 중량부, 대전방지물질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층은,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테레[0016]
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층의 일면은, 엠보싱 가공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0017]
여기서, 상기 탄성체층의 일면에는, 다수 개의 격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0018]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체층과, 상기 탄성체층의 타면에 배치되는 베이스층을 포함하며, 상[0019]
기 탄성체층과 상기 베이스층이 이중사출(Dual Injection)공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탄성체층에
의하여 수납된 유리 기판의 파손 위험도 감소하며,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탄성체층과 베이스층을 접착
하는 공정이 필요 없고, 탄성체층이 베이스층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패드의 절단 공정이나 접착제가
불필요하여 버(burr)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중사출로 인하여 두께 평활도 두께 정밀도 및 형상 정밀도가 상승하
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등록특허 10-1560371
- 5 -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의 사시도이다.[002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와 그 패드가 장착될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용기의 내부에 유리 기판이 수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용기의 내부에 유리 기판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의 탄성체층의 일면에 엠보싱 가공이 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의 탄성체층의 일면에 다수 개의 격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의 B-B선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002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기판 보[0022]
호용 패드와 그 패드가 장착될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100)는, 용기(50)의 내[0023]
부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50)에 수납되는 유리 기판(9)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유리 기판(9)을 보호하는 유리 기
판 보호용 패드(pad)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판 형상으로 제조되며, 탄성체층(10)과, 베이스층(2
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납될 유리 기판(9)은 여러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0024]
Display) 제조 공정에서 LCD 패널(panel)의 부품으로 사용되는 유리 기판(9)을 수납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
로 한다.
상기 탄성체층(10)은, 일면이 상기 유리 기판(9)에 접촉하는 합성수지층(layer)으로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0025]
완충 효과를 위하여 미리 정한 탄성 계수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체층(1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 TPE)를 포함하도록 형성된[0026]
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고무와 플라스틱 두 성질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 재료로서, 실온에서는 고무[0027]
의 성질을 가지지만, 고온에서는 가소화(압력에 따라 변형되는 성질을 갖는 것)되어 다양한 성형 가공이 가능한
고분자 재료이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보통의 고무 탄성체가 선상 고분자에 가황 조작을 하여 만드는 것과 달리,[0028]
고무가 될 수 있는 말랑한 부분과 플라스틱이 될 수 있는 단단한 부분이 서로 연결된 블록 혼성중합고분자로서,
열가소성 고무, 블록탄성 고무라고도 불린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의 주요 이점은, (1) 플라스틱 성형기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고무 제조에 비해[0029]
제조시 사용되는 에너지가 감소 되며,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고, (2) 가황고무에서부터 일반 플라
스틱 범위의 용도까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3) 열가소성이므로 스크랩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하
다는 점이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사용 재료에 따라 스티렌(Styrene)계(thermoplastic styrenic block[0030]
copolymer; SBC), 올레핀(Olefin)계(thermoplastic olefinic elastomer; TPO), 우레탄(urethane)계
등록특허 10-1560371
- 6 -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아미드(amide)계(thermoplastic polyamide; TPAE), 폴리에스터
(polyester)계(thermoplastic polyester elastomer; TPEE) 폴리비닐(polyvinyl)계(thermoplastic polyvinyl
elastomer)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탄성체층(10)은,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TPU) 85 내지 98 중량부, 정전기 방지를 위한 대전방지물질 0.5 내[0031]
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물질은, 카본블랙(carbon black),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천연인상흑연, 천연토상[0032]
흑연, 인조흑연, 탄소섬유, 그래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TPU)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소나노튜브(CNT) 0.1 내지 3 중량부[0033]
와, 카본블랙 2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튜브(CNT)의 함량이 상기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TPU)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0034]
만이면, 적절한 대전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상기 탄소나노튜브(CNT)의 함량이 상기 열가소성 우레탄 수
지(TPU)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초과이면, 상기 탄소나노튜브(CNT)가 고가인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100)의 제조 단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카본블랙의 함량이 상기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TPU)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미만이면, 적절[0035]
한 대전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상기 카본블랙의 함량이 상기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TPU)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초과이면, 상기 탄성체층(10)으로부터 상기 카본블랙이 분리되어 이물질로 작용할 수 있으며,
상기 탄소나노튜브(CNT)의 전기전도도가 카본블랙의 전기전도도보다 우수한 점을 고려할 때 적절한 전기전도도
를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CNT)는, 탄소 6개로 이루어진 육각형들이 서로 연결되어 관 모양을 이루고 있는 신소재로서,[0036]
관의 지름이 수 내지 수십 나노미터(nm)에 불과하여 탄소나노튜브라고 일컬어지게 되었는데, 이러한 탄소나노튜
브(CNT)는 전기 전도도가 구리와 비슷하고, 열전도율은 자연계에서 가장 뛰어난 다이아몬드와 같으며, 강도는
철강보다 100배나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으며, 1%만 변형시켜도 끊어지는 탄소섬유(Carbon fiber)와는 달리 15
%가 변형되어도 견딜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상기 카본블랙(carbon black)은, 흑색의 미세한 탄소분말인데 이른바 그을음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탄소입자의[0037]
크기는 1∼500mℓ이며 흑연과 비슷하며, 공업적으로는 천연가스, 타르 등을 불완전연소시켜 생긴 그을음을 모으
거나, 그것들을 열분해하여 제조하고 있으며, 전기 전도도가 높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베이스층(20)은, 합성수지 재질의 평면 층(layer)으로서, 일면은 상기 탄성체층(10)의 타면에 결합되어 있[0038]
으며, 타면은 상기 용기(50)의 내부에 형성된 안착부들(51, 52, 53)에 부착된다.
상기 베이스층(20)은, 상기 탄성체층(10)에 비하여 딱딱하게 제조됨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으므[0039]
로, 상기 탄성체층(10)의 타면을 구조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베이스층(20)은, ABS 수지(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0040]
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층(20)이 ABS 수지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체층(10)과 상기 베이스층(20)은, 이중사출(Dual Injection)공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0041]
된다.
상기 용기(50)는, 상기 유리 기판(9)을 수납하는 용기로서, 발포성 폴리스티렌(Expandable Polystyrene; EPS)[0042]
으로 제조된다.
상기 용기(50)의 내부에는,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100)의 두께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의 제1[0043]
안착부(51)와,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100)의 폭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의 제2 안착부(52)와, 함몰되지 않
고 평평한 형상의 제3 안착부(53)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착부(51)들은 "L" 자 형상으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미리 정한[0044]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안착부(52)와 제3 안착부(53)도 "T" 자 형상으로 서로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100)의 베이스층(20)은 상기 안착부들(51, 52, 53)에 배치되어 공지의 접착제로 부[0045]
등록특허 10-1560371
- 7 -
착된다.
상기 유리 기판(9)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놓인 상태로 상기 용기(50)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0046]
유리 기판(9)의 코너부 모서리가 상기 탄성체층(10)에 접촉하도록 수납된다.
한편, 상기 유리 기판(9)이 상기 용기(50)의 내부에 수납된 이후에는, 상기 용기(50)와 동일한 재질인 발포성[0047]
폴리스티렌(EPS)으로 형성된 뚜껑(60)을 상기 용기(50)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용기(50)의 개구된 상단부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유리 기판(9)의 수납이 완료된다.
상술한 구성의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10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층으로서 미리 정한 탄성 계수를 가지며 일[0048]
면이 상기 유리 기판(9)에 접촉하는 탄성체층(10)과, 상기 탄성체층(10)의 타면에 배치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층
으로서, 상기 용기(50)의 내부에 장착되는 베이스층(2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층(10)과 상기 베이스층(20)이
이중사출(Dual Injection)공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므로, 유리 기판(9)의 운송 중이나 수납 및 인출시 이물
질의 발생이 없고, 상기 탄성체층(10)에 의하여 수납된 유리 기판(9)의 파손 위험도 감소하며,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탄성체층(10)과 베이스층(20)을 접착하는 공정이 필요 없고, 상기 탄성체층(10)이 상기 베이스층
(2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종래와 같은 패드의 절단 공정이나 접착제가 불필요하여 버(burr)가 발생
하지 않으며, 이중사출로 인하여 두께 평활도 두께 정밀도 및 형상 정밀도가 상승하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100)는, 상기 탄성체층(10)이 정전기 방지를 위한 대전방지물질을 포함하고[0049]
있으므로, 유리 기판(9)의 운송 중이나 수납 및 인출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100)는, 상기 대전방지물질이,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CNT)로 이루어진 군으[0050]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므로, 상기 탄성체층(10)의 표면저항을 10
4
내지 10
10
Ω/sq로 용이하게 유
지할 수 있으며, 고가의 탄소나노튜브(CNT)만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적절한 대전방지력을 확보할 수 있어 전체적
인 제조 단가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100)는, 상기 탄성체층(10)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포함하고 있으므[0051]
로,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고온에서 가소화되어 플라스틱 성형기로 다양한 성형 가공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고무 제조에 비해 제조시 사용되는 에너지가 감소 되고,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상
기 탄성체층(10)이 열가소성이므로 스크랩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100)는, 상기 탄성체층(10)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가, 열가소성 우레탄[0052]
수지(TPU) 85 내지 98 중량부와 대전방지물질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므로, 내구성 및 내마소성이 우수하
고 유리 기판(9)의 운송 중이나 수납 및 인출시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100)는, 상기 베이스층(20)이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ABS수지 재[0053]
질의 층이므로, 외력에 의하여 쉽게 휘어지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유리 기판(9)의 운송 중이나 수
납 및 인출시, 상기 탄성체층(10)을 견고하게 받쳐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탄성체층(10)이 상기 베이스층(20)
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층(10)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천연고무[0054]
(NR),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이소프렌 고무(I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에틸렌 프로필렌 코폴리머
고무(EPDM), 폴리우레탄 고무(PU)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층(10)이,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TPU)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포[0055]
함하고 있으나, 열가소성 가황물질(thermoplastic vulcanisate; TPV)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가황물질(TPV)은, 연속적인 열가소성 상과 여기에 분산된 가황화 엘라스토머의 상으로 구성된 배[0056]
합물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일부 특징과 함께 가교된 고무의 다수의 바람직한 특징을 조합한다. 상기 열
가소성 가황물질(TPV)는 동적 가황화 또는 동적 가교라 불리우는 공정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고, 이러한 공정은,
엘라스토머 성분을 가황시키는 작용을 하는 가교제의 존재하에서, 열가소성 성분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전단
하에 열가소성 성분을 가황가능한 엘라스토머 성분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층(10)이, 열가소성 우레탄 수지(TPU) 85 내지 98 중량부, 정전기 방지를 위한 대전방[0057]
지물질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으나, 열가소성 폴리프로필렌(PP) 수지 30 내지 80 중량부, 에틸렌 프
등록특허 10-1560371
- 8 -
로필렌 코폴리머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 10 내지 80 중량부, 대전방지물질 0.5 내지 10 중량
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체층(10)의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어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 가[0058]
공을 통하여 상기 탄성체층(10)의 표면에 다수 개의 엠보싱 홈(11)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체층(10)의 표면에 다수 개의 격자형 홈(12)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상기 홈
(11, 12)들을 형성하게 되면, 실내외 온도 차이에 의하여 결로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생성된 결로들이 상기 홈
(11, 12)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결로에 의한 유리 기판(9)의 오염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0059]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
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부호의 설명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0060]
100 : 유리 기판 보호용 패드 10 : 탄성체층
11 : 엠보싱 홈 12 : 격자형 홈
20 : 베이스층 50 : 용기
60 : 뚜껑 9 : 유리 기판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560371
- 9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560371
- 10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560371
- 11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560371
- 12 -
도면8
도면9
도면10
도면11
등록특허 10-1560371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