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인드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웨이트장치, 그리고 차양 장치(A weight device for a blind and the shade comprising the same)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공개특허공보(A)
(11) 공개번호 10-2016-0059686
(43) 공개일자 2016년05월27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E06B 9/42 (2006.01) E06B 9/38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0161497
(22) 출원일자 2014년11월19일
심사청구일자 없음
(71) 출원인
(주)테라솔라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15, 한국환경산업기술
원 환경벤처센타 (불광동)
(72) 발명자
정태락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2로 77, 206동 501호 (진
관동, 은평뉴타운 우물골)
(74) 대리인
김윤배
전체 청구항 수 : 총 9 항
(54) 발명의 명칭 블라인드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웨이트장치, 그리고 차양 장치
(57) 요 약
본 발명은 블라인드지의 일 측은 회전하는 권취봉에 타단은 권취봉을 지지하는 레일부재에 고정되어 블라인드지
의 중앙부가 아래로 늘어뜨려져 권취봉을 회전시켜 상하로 걷거나 펼칠 때 블라인드지의 전면과 후면이 상하 교
차하도록 두 겹을 형성하고 교차하는 전면과 후면이 상하방향으로 팽팽해지도록 블라인드지의 하단 전면 및 후면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3
공개특허 10-2016-0059686
- 1 -
사이에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원통 내지 원형 막대형상의 몸체를 가진 프리중량체가 포함되는 롤 블라인드에서,
상기 프리중량체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는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블라인드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는, 블라인드용 프리중량체(1)의 블라
인드지(3)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로서, 상기 블라인드지(3)의 하단 전면 및 후면 사이에 삽
입되는 소정길이의 막대형상의 프리중량체(1)의 단부에 장착되되, 상기 프리중량체(1)의 단부에 직접 접촉되는
결합몸체(11b)를 포함하는 억류캡(11, 11'); 및 상기 억류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 또는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소정 무게를 가진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 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개특허 10-2016-0059686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블라인드용 프리중량체(1)의 블라인드지(3)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로서,
상기 블라인드지(3)의 하단 전면 및 후면 사이에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막대형상의 프리중량체(1)의 단부에 장착
되되,
상기 프리중량체(1)의 단부에 직접 접촉되는 결합몸체(11b)를 포함하는 억류캡(11, 11'); 및
상기 억류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ㄷ’자 또는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소정 무게를 가진 자유회동이
탈방지부재(12, 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는 돌출된 축회전부재(12b)를 포함하고, 상기 억류캡(11)의 결합몸체(11b)는 상
기 축회전부재에 대해 자유회동 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결합수단(11b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는 몸체(12a)에 상기 축회전부재(12b)와 나란히 돌출되는 이탈방지부재(12c)가
있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
청구항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억류캡(11')은 돌출된 축회전부재(11c')를 포함하고, 상기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의 몸체(12a)에는 상
기 축회전부재에 대해 자유회동 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결합수단(1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
청구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는 몸체(12a)에 상기 몸체와 직각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부재(12c)가 있어 전체
적으로 'ㄴ'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
청구항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회전부재(12b, 11c')의 자유 단부에는 걸림턱(12b1, 11c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
드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
청구항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억류캡(11, 11')에는 원판(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
치.
공개특허 10-2016-0059686
- 3 -
청구항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 및
상기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가 양 단부에 결합된 프리중량체(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웨이트장치.
청구항 9
제 8 항의 블라인드용 웨이트장치를 블라인드지 하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블라인드지의 일 측은 회전하는 권취봉에 타단은 권취봉을 지지하는 레일부재에 고정되어 블라인드지[0001]
의 중앙부가 아래로 늘어뜨려져 권취봉을 회전시켜 상하로 걷거나 펼칠 때 블라인드지의 전면과 후면이 상하 교
차하도록 두 겹을 형성하고 교차하는 전면과 후면이 상하방향으로 팽팽해지도록 블라인드지의 하단 전면 및 후
면 사이에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원통 내지 원형 막대형상의 몸체를 가진 프리중량체가 포함되는 블라인드에서,
상기 프리중량체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는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웨이트장치, 그리
고 차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블라인드는 창문의 내 측에 설치되어 빛이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내부의 빛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0002]
을 차단하고 더불어 실내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롤 블라인드는 블라인드지의 일 측은 회전하는 권취봉에, 타단은 권취봉을 지지하는 레일부재에 고정되어 블라
인드지의 중앙부가 아래로 늘어뜨려져 권취봉을 회전시켜 상하로 걷거나 펼칠 때 블라인드지의 전면과 후면이
상하 교차하도록 두 겹을 형성하고 상호 교차하는 전면과 후면이 상하방향으로 팽팽해지도록 블라인드지의 하단
전면 및 후면 사이에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원통 내지 원형 막대형상의 몸체를 가진 프리중량체가 포함되는 것으
로서, 통상적으로는 업계에서는‘콤비 블라인드’라 칭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콤비 블라인드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다양한 웨이트 장치의 분해사시도로[0003]
서, 먼저 콤비블라인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지(3)의 일 측은 회전하는 권취봉(2)에 타단은 권
취봉(2)을 지지하는 레일부재(4)에 고정되어 블라인드지(3)의 중앙부가 아래로 늘어뜨려져 권취봉(2)을 회전시
켜 상하로 걷거나 펼칠 때 블라인드지(3)의 전면과 후면이 상하 교차하도록 두 겹을 형성하고 교차하는 전면과
후면이 상하방향으로 팽팽해지도록 블라인드지(3)의 하단 전면 및 후면 사이에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원통 내지
원형 막대형상의 몸체를 가진 프리중량체(1)가 구비되는 웨이트 장치가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콤비 블라인드의
블라인드지는 투명층과 불투명이 교차로 제직되어 있어 권취봉의 회전에 따라 양면이 상하로 교차하면서 개폐를
하는 원리를 가지며 필수적으로 회동하는 프리중량체(1)가 구비된다.
한편, 이러한 프리중량체(1)를 포함하는 웨이트 장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데, 도 2의 (a)에 도시한 것처럼[0004]
양 끝단에 블라인드지의 좌우 양 끝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원판을 포함하는 프리중량체(1)로만 구성되는 웨이트
장치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블라인드 작동과정에서 통째로 프리중량체(1)가 이탈할 수 있으므로 그 개선책으로,
도 (b)와 같이 프리중량체(1)와 대응되도록 동일한 길이의 ‘U’자형 고정 하단 바를 추가한 한 후에 그 양 끝
단에 단단히 결합되어지되 프리중량체(1)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개선한 조립식 웨이트 장치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2004-0020094호로 개시되었으나, 프리중량체(1)와 고정하단바 사이에 블라인드지(3)을 끼우
고 고정캡 2 개를 나사못을 이용하여 양쪽을 결합하는 과정이 매우 불편하고 생산성이 저하되어, 이를 개선하고
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0936호로 개선된 토글식 결합기술이 개시된바, 이는 도 2의 (C)에 도시한 바
와 같이, 고정하단바의 양끝에 축이 삽입되면 자유로이 회동 가능한 구멍을 가진 양 끝단 고정캡을 먼저 결합한
후에, 블라인드지(3)에 삽입된 프리중량체(1)에 일 측단이 고정 삽입되고 내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전진 후진
이 자유로운 토글 축 지지부재가 타단에 형성된 토글식 웨이트장치를 통해 고정캡의 구멍에 축지지부재를 결합
시키는 개선된 방식이다.
그러나 블라인드지(3)를 사이에 두고 고정하단바와 고정캡 또는 고정하단바 및 고정캡에 토글식 축지지부재를[0005]
더 포함하는 웨이트장치를 프리중량체(1)에 결합시킴으로써 온전한 폐쇄방식으로 블라인드지(3)의 이탈을 막고
공개특허 10-2016-0059686
- 4 -
있으나 이와 같은 방식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고정하단바가 없이 양 끝에 원반을 가진 프리중량체(1)만을 사용하는 웨이트 장치는 통째로 블라인드지[0006]
(3)에서 이탈될 위험이 있었다.(도 2의 a참조)
둘째, 고정하단바는 통상적으로 금속부재이므로 상당한 제조원가 부담이 추가되었으며, 그 부피와 무게로 인하[0007]
여 물류비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도 2의 b,c 참조)
셋째, 고정하단바와 고정캡을 나사못을 통해 고정해야 하는 관계로 조립에 있어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0008]
소요된다.(도 2의 b,c 참조)
넷째, 블라인드지(3)가 도 2의 (a)와 같은 원반을 가진 프리중량체(1)의 외주면을 감싸므로 블라인드지(3)의 심[0009]
미성을 고정하단바가 해치며, 블라인드지(3)와의 색상을 맞추기 위해 심미성을 저해하고도 고정하단바의 표면에
도색해야하는 등 추가적인 제작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다양한 색상을 가진 원단별로 다양한
색상으로 도색된 고정하단바가 준비되어야 하는 관계로 재고부담이 늘고 이는 결과적으로 제조원가를 대폭 상승
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도 2의 b,c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65028호 (높이 및 밝기조절타입 블라인드) [0010]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0936호 (롤블라인드용 웨이트 지지장치)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블라인[0011]
드지의 일 측은 회전하는 권취봉에 타단은 권취봉을 지지하는 레일부재에 고정되어 블라인드지의 중앙부가 아래
로 늘어뜨려져 권취봉을 회전시켜 상하로 걷거나 펼칠 때 블라인드지의 전면과 후면이 상하 교차하도록 두 겹을
형성하고 교차하는 전면과 후면이 상하방향으로 팽팽해지도록 블라인드지의 하단 전면 및 후면 사이에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원통 내지 원형 막대형상의 몸체를 가진 프리중량체가 포함되는 롤 블라인드에서, 프리중량체의 일
측면 내부로 삽입 내지 부착되고 소정 내경과 길이를 가지며 결합수단을 구비한 원통형 결합몸체와 프리중량체
의 외주 면을 타고 돌아 지나가는 블라인드지의 좌우 양 끝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몸체의 일 측면 소정위치
에 결합 내지 일체 형성되는 원판을 포함하는 억류캡; 및 상기 억류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대략 ‘ㄷ’또
는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소정 무게를 가진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프리중량체의
양 단부에 결합되어 블라인드지의 좌우 양면이 상하로 교차하면서 프리중량체를 구르게 할 때, 자유회동이탈방
지부재가 자중에 의해 억류캡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채로 ‘ㄷ’혹은 ‘ㄴ’의 형상하단부가 하방으로
자유회동하면서 하방 고정위치로 수렴하게 함과 동시에 구름회전하거나 정지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프리중
량체가 블라인드지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프리중량체의 양단부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는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웨이트장치와 차양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블라인드용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는, 블라인드용 프[0012]
리중량체(1)의 블라인드지(3)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로서, 상기 블라인드지(3)의 하단 전
면 및 후면 사이에 삽입되는 소정길이의 막대형상의 프리중량체(1)의 단부에 장착되되, 상기 프리중량체(1)의
단부에 직접 접촉되는 결합몸체(11b)를 포함하는 억류캡(11, 11'); 및 상기 억류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
ㄷ’자 또는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소정 무게를 가진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 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는 돌출된 축회전부재(12b)를 포함하고, 상기 억류캡(11)의 결합[0013]
몸체(11b)는 상기 축회전부재에 대해 자유회동 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결합수단(11b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공개특허 10-2016-0059686
- 5 -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는 몸체(12a)에 상기 축회전부재(12b)와 나란히 돌출되는 이[0014]
탈방지부재(12c)가 있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억류캡(11')은 돌출된 축회전부재(11c')를 포함하고, 상기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0015]
2')의 몸체(12a)에는 상기 축회전부재에 대해 자유회동 가능하게 축결합하는 결합수단(1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는 몸체(12a)에 상기 몸체와 직각으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부[0016]
재(12c)가 있어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축회전부재(12b, 11c')의 자유 단부에는 걸림턱(12b1, 11c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0017]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억류캡(11, 11')에는 원판(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18]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블라인드용 웨이트장치는, 상기 프리중량체의 이[0019]
탈방지장치; 및 상기 프리중량체의 이탈방지장치가 양 단부에 결합된 프리중량체(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더욱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블라인드용 웨이트장치를 블라인드[0020]
지 하단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장치가 제안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웨이트장치와 차양은, 프리중량체의 양측 단에 각각 1[0021]
개씩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를 먼저 독립적으로 조립되고,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의 일부 혹은 전체가 모두
결합된 프리중량체 통째로 양면으로 이루어진 블라인드지의 하단 중간에 삽입 내지 분해가 가능하므로 조립이
매우 용이한 특징이 있으며, 프리중량체의 고정하단바가 필요 없어 제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프리중량체
외주면의 대부분에서 블라인드지가 노출되고 양 끝단이 깔끔하게 마감 처리되기 때문에 심미적으로도 커다란 개
선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프리중량체 양끝 단에 각각 1개씩의 그 일 구성인 억류캡 만을 조립한 채로 블라인드
지에 삽입한 후에 소비자에게 배송한 후에, 별도로 공급하는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를 소비자나 설치자가 블라인
드 설치현장에서 간단하게 추가 결합가능하기 때문에 배송할 때에 물류인력의 취급 부주의나 물류자동차 내부의
적재함 내에서의 흔들림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문제를 개선하는 커다란 효과도 추가로 얻을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콤비 블라인드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0022]
도 2는 종래의 다양한 웨이트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로 구성하는 웨이트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의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0023]
(제1 실시예)[0024]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의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0025]
른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로 구성하는 웨이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10)는, 블라인드지(3, 도 1[0026]
공개특허 10-2016-0059686
- 6 -
참조)의 일 측은 회전하는 권취봉(2, 도 1 참조)에 타단은 권취봉(2, 도 1 참조)을 지지하는 레일부재(4, 도 1
참조)에 고정되어 블라인드지(3, 도 1 참조)의 중앙부가 아래로 늘어뜨려져 권취봉(2, 도 1 참조)을 회전시켜
상하로 걷거나 펼칠 때 블라인드지(3, 도 1 참조)의 전면과 후면이 상하 교차하도록 두 겹을 형성하고 교차하는
전면과 후면이 상하방향으로 팽팽해지도록 블라인드지(3, 도 1 참조)의 하단 전면 및 후면 사이에 삽입되는 소
정길이의 원통 내지 원형 막대형상의 몸체를 가진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가 포함되는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의 일 측면 내부로 삽입 내지 부착되고 소정 내경과 길이를 가지며 결합수단[0027]
(11b1)을 구비한 원통형 결합몸체(11b)와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의 외주 면을 타고 돌아 지나가는 블라인드
지(3, 도 1 참조)의 좌우 양 끝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몸체(11b)의 일 측면 소정위치에 결합 내지 일체 형성
되는 원판(11a)을 포함하는 억류캡(11); 상기 억류캡(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대략 ‘ㄷ’또는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소정 무게를 가진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프리중량체(1, 도 1 참
조)의 양 단부에 결합되어 블라인드지(3, 도 1 참조)의 좌우 양면이 상하로 교차하면서 프리중량체(1, 도 1 참
조)를 구르게 할 때,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가 자중에 의해 억류캡(11)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채로
‘ㄷ’혹은 ‘ㄴ’의 형상하단부가 하방으로 자유회동하면서 하방 고정위치로 수렴하게 함과 동시에 구름회전하
거나 정지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가 블라인드지(3, 도 1 참조)로부터 이탈하지 않
도록 하는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
며 상기 억류캡(11)과 회동 결합 가능하도록 소정길이와 직경을 가진 돌출된 바 형태로서 그 끝단에는 걸림턱
(12b1)이 형성되는 축회전부재(12b)가 몸체(12a)의 상단에 구비되어 ‘ㄷ’자 상단을 구성하며, 역시 축회전부
재(12b)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하단에 돌출된 바 형태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12c)가 몸체(12a)에 구비되어 ‘
ㄷ’자 하단을 구성하는데 그 길이는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의 이탈을 방지하는 길이면 충분하나, 본 제1 실
시예에서는 원통형 결합몸체(11b)보다 대략 2 ~ 3배 이상 길이로 구비되는데 플라스틱 소재로 일괄 사출하여 마
련한다.
또한, 억류캡(11)은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의 구성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0028]
에서는 결합몸체(11b)의 일 측면에 원판(11a)을 일체로 형성하되, 결합몸체(11b)의 외경보다 원판(11a)이 크게
구비하는데 플라스틱 소재로 일괄 사출하여 마련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10)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웨이트[0029]
장치와 그 조립방법을 설명하자면, 먼저 한 가지 방법으로는, 프리중량체(1)의 양쪽 끝단에 각각 하나씩 억류캡
(11)만을 단독으로 압입하여 빠지지 않도록 먼저 별도로 결합시켜 마련하며, 블라인드지(3) 중앙 양면 사이에
이를 집어넣고 블라인드지(3) 좌우 양 끝단에서 이탈방지부재(12c)의 몸체(12a)를 잡은 상태에서 축회전부재
(12b)를 억류캡(11)의 원판(11a)측 내경에서부터 삽입하여 축회전부재(12b)의 걸림턱(12b1)이 결합몸체(11b) 밖
으로 돌출되도록 밀어 넣어 걸림턱(12b1)과 결합수단(11b1)에 의해 종국에는 빠지지 않도록 결합하여 구비한다.
이때 블라인드지(3)는 당연히 이탈방지부재(12c)의 축회전부재(12b)와 이탈방지부재(12c) 사이에 놓이도록 조립
하여 구비하는데, 같은 방법으로 프리중량체(1)의 타단도 설치되므로 프리중량체(1)는 블라인드지(3)를 구겨 빼
지 않는 한 이탈되지 않도록 조립 마련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먼저 억류캡(11)에 먼저 이탈방지부재(12c)의 몸체(12a)를 잡고 축회전부재(12b)를 억류캡[0030]
(11)의 원판(11a)측 내경에서부터 삽입하여 축회전부재(12b)의 걸림턱(12b1)이 결합몸체(11b) 밖으로 돌출되도
록 밀어 넣어 걸림턱(12b1)과 결합수단(11b1)에 의해 종국에는 빠지지 않도록 결합하여 좌우 각각 2개씩 마련한
다. 이후, 프리중량체(1)의 양쪽 끝단에 각각 하나씩 억류캡(11)을 압입하여 밀어 넣고 통째로 콤비블라인드의
블라인드지(3) 중앙 양면 사이에 이를 집어넣고 좌우 양 끝단에서 블라인드지(3)를 구겨 넣어서 억류캡(11)과
이탈방지부재(12c) 사이에 놓이도록 조립한다.
이하, 전체 콤비 블라인드의 작동관계는 당업자가 쉽게 이해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리중[0031]
량체 이탈방지장치(10) 및 이를 사용하여 조립된 웨이트장치에 국한하여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구동에 따라 블라인드지(3)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면 블라인드지[0032]
(3)가 프리중량체(1)의 외주면에서 미끄러지거나 마찰력에 의해 프리중량체(1)가 구르게 되는데, 이때 프리중량
체(1)에 단단히 결합된 억류캡(11)의 원판(11a)에 의해 블라인드지(3)는 이탈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억류캡(1
1)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탈방지부재(12c)는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프리중량체
(1)는 하중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이므로 한 블라인드지(3)와 이탈방지부재(12c)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값비싼 고정하단바가 필요 없게 되며, 고정하단바의 준비에 필요한[0033]
공개특허 10-2016-0059686
- 7 -
나사못 체결 공정도 없어지고, 고정하단바의 도색 때문에 발생하는 과도한 분량의 고정하단바 재고도 없어지게
되는 큰 비용절감 효과는 물론 심미적으로도 매우 아름다운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데, 축회전부재(12b)를 대신할 수 있는 회동결합이[0034]
되는 수단이면 모두 가능하고 그 일예로써 걸림턱 대신에 숫나사 혹은 암나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삽입 후에 외
력에 의해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또 다른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고, 플라스틱 사출 대신 금속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는 소정 직경의 철사선을 이용하는 와이어 포밍 방법으로도 ‘ㄷ’자 형
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 예로서는 이탈방지부재(12c)에 임의의 걸림턱을 더 포함하여 형성하거나 압입하는 방식으로 도[0035]
시하지 않은 장식부재나‘U’자형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몸체(12a)의 외주경이 억류캡
(11)의 원판(11a)보다 크거나 혹은 억류캡(11)의 원판(11a) 외주경을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의 외주경에 맞
도록 작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려니와 이들의 4가지 조합도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2 실시예)[0036]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의 도면이다.[0037]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10‘)는 블라인드지(3, 도 1[0038]
참조)의 일 측은 회전하는 권취봉(2, 도 1 참조)에 타단은 권취봉(2, 도 1 참조)을 지지하는 레일부재(4, 도 1
참조)에 고정되어 블라인드지(3, 도 1 참조)의 중앙부가 아래로 늘어뜨려져 권취봉(2, 도 1 참조)을 회전시켜
상하로 걷거나 펼칠 때 블라인드지(3, 도 1 참조)의 전면과 후면이 상하 교차하도록 두 겹을 형성하고 교차하는
전면과 후면이 상하방향으로 팽팽해지도록 블라인드지(3, 도 1 참조)의 하단 전면 및 후면 사이에 삽입되는 소
정길이의 원통 내지 원형 막대형상의 몸체를 가진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가 포함되는 롤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의 일 측면 내부로 삽입 내지 부착되는 원통형 결합몸체(11b’)와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의 외주 면을 타고 돌아 지나가는 블라인드지(3, 도 1 참조)의 좌우 양 끝단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
몸체(11b‘)의 일 측면 소정위치에 결합 내지 일체 형성되는 원판(11a)을 포함하는 억류캡(11’); 상기 억류캡
(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대략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소정 무게를 가진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제2 실시예가 제1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축회전부재(11c')가 억류캡(11')에 돌출 형성되며, 이와 자유회동[0039]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소정 크기의 내경을 갖는 결합수단(12b')이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의 몸체(12a)에 형
성된다는 점이다. 다만, 제2 실시예의 이탈방지부재(10') 역시, 전체적으로는, 제1 실시예의 이탈방지부재(10)
와 거의 동일한 형상이 된다.
부가하면,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의 양 단부에 결합되어 블라인드지(3, 도 1 참조)의 좌우 양면이 상하로 이[0040]
동하면서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를 구르게 할 때,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가 자중에 의해 억류캡(11‘)
에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채로 ‘ㄷ’혹은 ‘ㄴ’의 형상하단부가 하방으로 자유회동하면서 하방 고정위
치로 수렴하게 함과 동시에 구름회전하거나 정지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가 블라인
드지(3, 도 1 참조)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
(12‘)는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대략 ‘ㄴ’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억류캡(11‘)의 축회전부대(11c’)와
회동 결합 가능하도록 회동구멍으로 형성되는 결합수단(12b‘)이 몸체(12a)의 상단에 구비되어 ‘ㄴ’자 상단을
구성하며, 역시 결합수단(12b‘)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하단에 돌출된 바 형태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12c)가
몸체(12a)에 구비되어 ‘ㄴ’자 하단을 구성하는 것이며, 그 길이는 프리중량체(1, 도 1 참조)의 이탈을 방지하
는 길이면 충분하나, 본 제2 실시예에서는 결합몸체(11b’)보다 대략 2 ~ 3배 이상 길이로 구비되는데 플라스틱
소재로 일괄 사출하여 마련한다.
또한, 억류캡(11‘)은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의 구성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2 실[0041]
시예에서는 결합몸체(11b‘)의 일 측면에 원판(11a)을 일체로 형성하되, 결합몸체(11b’)의 외경보다 원판(11
a)이 크게 구비하고 제1 실시예와는 다르게 원판(11a)의 반대측 밖에 걸림턱(11c1’)을 갖는 축회전부재(11c')
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소재로 일괄 사출하여 마련한다.
이하, 전체 콤비 블라인드의 작동관계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리중량체 이탈방지장치(10‘) 및 이를[0042]
공개특허 10-2016-0059686
- 8 -
사용하여 조립된 웨이트장치는 제1 실시예와 작동관계와 그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하여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도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데, 축회전부재 및 결합수단(11c', 12b')을 대신할[0043]
수 있는 회동결합이 되는 수단이면 모두 가능하고 그 일예로써 개고 된 구멍 형상할 수도 있으며, 플라스틱 사
출 대신 금속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고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12‘)는 소정 직경의 철사선을 이용하는 와이어 포
밍 방법으로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 예로서는 제1 실시예의 변형 예와 마찬가지로 이탈방지부재(12c)에 임의의 걸림턱을 더 포함하[0044]
여 형성하거나 압입하는 방식으로 도시하지 않은 장식부재나‘U’자형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
이고, 몸체(12a)의 외주경이 억류캡(11‘)의 원판(11a)보다 크거나 혹은 억류캡(11’)의 원판(11a) 외주경을 프
리중량체(1, 도 1 참조)의 외주경에 맞도록 작게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려니와 이들의 4가지 조합도 당업자에
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 프리중량체 2 : 권취봉[0045]
3 : 블라인드지 4 : 레일부재
10 : 제1 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 11 : 억류 캡
11a : 원판 11b : 결합몸체
11b1 : 결합수단
12 :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 12a : 몸체
12b : 축회전부재 12b1 : 걸림턱
12c : 이탈방지부재
10' : 제2 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 11' : 억류 캡
11b' : 결합몸체 11c' : 축회전부재
11c1' : 걸림턱
12' : 자유회동이탈방지부재 12b' : 결합수단
공개특허 10-2016-0059686
- 9 -
도면
도면1
도면2
공개특허 10-2016-0059686
- 10 -
도면3
도면4
공개특허 10-2016-0059686
- 11 -
도면5
공개특허 10-2016-0059686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