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냉장고의 트레이장치(Tray apparatus for refrigerator)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5. 3. 15:48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F25D 25/02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5년03월17일
10-0476450
2005년03월03일
(21) 출원번호 10-2002-0014195 (65) 공개번호 10-2003-0075088
(22) 출원일자 2002년03월15일 (43) 공개일자 2003년09월22일
(73) 특허권자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0번지
(72) 발명자 김한효
경상남도창원시상남동성원아파트306-2103
김문원
경상남도창원시가음정동391-2엘지생활관B동214호
(74) 대리인 특허법인우린
심사관 : 김은래
(54) 냉장고의 트레이장치
요약
본 발명은 냉장고의 트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레이장치는 저장공간의 천장(c)에 트레이(50)가 탄성
부재(9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트레이(50)는 링크기구를 구성하는 지지링크(60)에 의
해 그 양단 전후가 지지되고, 상기 트레이(50)의 단부의 전후를 지지하는 지지링크(60)는 결과적으로 연동링크(80)
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링크기구는 저장공간의 천장(c)에 홀더(100)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넓은 바닥면을 가지는 보관물(b)을 저장공간의 천장에 보관할 수 있게 되
어 잘 사용되지 않던 저장공간의 천장(c)부근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전체적으로 저장공간의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대표도
도 2
색인어
저장공간, 천장, 트레이, 보관물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트레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 실시예의 트레이가 저장공간의 천정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구성도.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의 트레이가 하부로 최대로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면구성도.
등록특허 10-0476450
- 1 -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트레이의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링크의 측면도.
도 4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링크의 정면도.
도 4d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링크의 측면도.
도 4e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동링크의 정면도.
도 4f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홀더의 평면도.
도 4g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홀더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트레이에 보관물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트레이 52: 회전중심관
54: 하향경사부 60: 지지링크
62: 연결후크 64: 회전축부
66: 연결후크 70: 연결링크
72: 고정관 73: 삽입통공
75: 연결후크 80: 연동링크
82: 연결공 84: 연결편
90: 탄성부재 100: 홀더
102: 걸이후크 104: 링크안착부
106: 지지리브 107: 링크통공
c: 저장공간 천장 b: 보관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물이 장착될 때만 필요한 만큼 공간을 차지하여 냉장고 내부
의 저장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트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냉장고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1)의 내부에는
보관물이 보관되는 저장공간인 냉동실(3)과 냉장실(5)이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3)과 냉장실(5)은 베리어(7)에 의
해 구획되고, 그 내부 온도가 다르게 설정되어 보관물의 특성에 따라 분리하여 보관하도록 한다.
상기 냉동실(3)과 냉장실(5)에는 그 높이방향으로 선반(8)이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
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냉동실(3)과 냉장실(5)은 각각 도어(9)에 외부와 차폐되고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상기 도
어(9)의 내면에는 보관물의 저장을 위한 바스켓(11)이 구비된다. 도면 부호 5'는 냉장실(5)의 하부에 별도로 구획되
어 야채나 과일이 보관되는 야채실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냉장고에서는 상기 냉동실(3)과 냉장실(5)에 보관물을 보관하게 된다. 상기 보관물은 그
종류나 크기 등에 따라 냉동실(3)과 냉장실(5)의 바닥이나 상기 선반(8) 또는 바스켓(11)에 놓여져 보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0476450
- 2 -
일반적으로 상기 냉동실(3)과 냉장실(5)에 보관물이 놓여 질 수 있는 면적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보관물이
보관될 때에는 보관물을 적층하기도 한다. 하지만 적층된 보관물중 하부의 것을 꺼내기 위해서는 상부에 적층된 것
을 모두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바닥이 넓은 보관물, 예를 들면, 피자박스나 납작하게 생긴 보관물 등의 경우에는 저장공간의 면적을 많이 차
지하면서 그 상부는 빈공간으로 남게 하여 공간사용의 효율성을 떨어뜨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피자박스나 납
작하게 생긴 보관물의 상면에 다른 보관물을 얹을 수는 있지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자박스 등을 꺼낼 때 매
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특히 저장공간의 천정(예를 들면 냉동실(3)과 냉장실(5)의 천정, 그리고 선반(8)의 하면 근
처 등) 부근은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보관물의 높이가 대부분의 경우 선반(8)과 선반(8) 사이 그
리고 선반(8)과 천정사이보다 낮기 때문이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고의 저장공간 내부에
바닥면적이 넓은 보관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장공간 상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관물이 얹어지는 트레이와, 상기 트
레이를 저장공간의 천장과 그 하부 사이에서 승강되게 양단을 지지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저장공
간의 천장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홀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
되고 그 일단부에 상기 트레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링크와, 상기 지지링크 사이를 연결하여 상
기 트레이와 연결된 지지링크의 선단부가 서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동되게 하는 연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
기 링크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홀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동링크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트레이가 저장공간의 천장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을 받는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보관물이 얹어지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저장공간의 천장과 그 하부
사이에서 승강되게 양단을 지지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저장공간의 천장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홀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부에 상기 트레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링크와, 상기 지지링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트레이와 연결된 지지링크의 선단부
가 서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동되게 하는 연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지지링크의 회전중
심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트레이가 저장공간의 천장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을 받는다.
상기 트레이가 일단부에 지지되는 지지링크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링크의 길이방향 연장선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
루도록 연결링크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크의 단부에는 상기 연동링크의 양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트레이의 선단부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향경사부가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와 연결된 링크기구가 구비되는 홀더는 냉동실의 천정, 냉장실의 천정, 선반의 하면중 어느 하나에 장착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트레이장치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바닥면이 넓은 보관물을 저장
공간의 바닥면을 사용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냉장고의 저장공간 천장근처를 이용하여 냉장고의 저
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트레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트레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
시된 바에 따르면, 트레이(50)는 대략 사각형의 판상으로 다수개의 와이어를 격자형상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상
기 트레이(50)의 상면에는 보관물(b)이 안착된다. 이와 같은 트레이(5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
면 투명한 플라스틱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50)의 하면 양단 전후에는 각각 회전중심관(52)이 설치된
다. 상기 회전중심관(52)은 양단의 것이 하나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50)의 선단은 하부를 향해 소정의 경
사지게 절곡된 하향경사부(54)를 형성한다. 상기 하향경사부(54)는 상기 트레이(50)가 저장공간의 천장(c)에 밀착
되었을 때, 천장(c)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트레이(50)를 하부로 용이하게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등록특허 10-0476450
- 3 -
상기 트레이(50)는 상기 저장공간의 천장(c)에 링크기구에 의해 승강되게 지지된다. 먼저, 상기 트레이(50)의 회전
중심관(52)과 일단부가 연결되게 지지링크(6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링크(60)는 본 실시예에서 총 4개가 사용된
다.
상기 지지링크(60)는, 도 4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 지지링크(6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
출되게 연결후크(6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후크(62)는 상기 트레이(50)의 회전중심관(5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다. 이때 상기 연결후크(62)는 그 형상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삽입되어 임의로 상기 회전중심관(52)에서 탈거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링크(60)의 타단부에는 상기 연결후크(62)의 형성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회전축부(64)가 형성된
다. 상기 회전축부(64)는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100) 내에 지지되어 지지링크(60)가 회전되는 중심이 된다. 상기 회
전축부(64)의 선단에는 연결후크(66)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후크(66)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링크(70)에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링크(60)의 연결후크(66)에는 연결링크(7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링크(70)는 상기 지지링크(60)의
길이방향의 가상의 연장선에 대해 그 연장선이 소정 각도를 두고 만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링크(60)와
연결링크(70)는 상대적인 회전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링크(60)와 연결링크(70)는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
다.
상기 연결링크(70)의 일단에는 고정관(7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관(72)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후크(66)가 삽입되어
연결링크(70)와 지지링크(60)가 서로 체결되게 하는 삽입통공(7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통공(73)의 단면은 사각형
으로 된다. 상기 연결링크(70)의 타단에는 연결후크(75)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후크(75)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링
크(80)과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연동링크(80)는 트레이(50)의 일단을 지지하는 2개의 지지링크(60)가 서로 동일한 각도만큼 씩 함께 회전되도록 하
는 것으로 각각 상기 연결링크(70)와 연결된다. 상기 연동링크(80)의 양단에는 연결공(82)이 형성되어 각각 상기 연
결링크(70)의 연결후크(75)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연동링크(80)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
(90)의 일단부가 걸어지는 연결편(84)이 형성된다.
탄성부재(90)는 상기 링크기구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기 링크기구에 의해 승강되는 트레이(50)가 항상 저장공간
의 천장(c)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탄성부재(90)의 일단은 상기 연결편(84)에 연결되고, 타
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홀더(100)의 일측 등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부분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
(90)로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링크(60)의 회전축부(64)를 중심으로
지지링크(6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토션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링크기구는 저장공간의 천장(c)에 홀더(1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홀더(100)는 상기 트레이(50)의 양
단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도 4f 및 도 4g에 그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홀더(100)에는 천
장(c)에의 고정을 위한 걸이후크(102)와 체결나사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103)이 양단에 형성된다. 상기 홀더(100)
의 내부에는 링크안착부(104)가 형성된다. 상기 링크안착부(104)는 상기 홀더(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간
으로 상기 연동링크(80)와 탄성부재(90) 등이 위치된다.
상기 홀더(100)의 내부 양단 길이방향 중앙으로 지지리브(106)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106) 및 그와 대응되는
홀더(100)의 외면에는 링크통공(107)이 천공된다. 상기 지지리브(106) 및 홀더(100)의 외면을 관통하는 링크통공
(107)에는 상기 지지링크(60)의 회전축부(64)가 끼워져 지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 실시예의 트레이장치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링크기구가 조립된 상기 홀더(100)는 저장공간
의 천장(c)에 장착된다. 상기 홀더(100)는 저장공간의 전후 방향 양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링크기구중 지지링크(60)는 상기 링크통공(107)을 통해 상기 홀더(100)의 내부로 상기 회전축부(64)가 끼워
지고, 연결후크(66)에 연결링크(70)가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양단의 연결링크(70)가 상기 연동링크(80)에 의
해 연결되고, 상기 연동링크(80)는 상기 탄성부재(9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지지링크(60)가 저장공간의 천장(c)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링크기구의 지지링크(60) 하단부에 트레이(50)가 연결된다. 상기 트레이(50)는 상기 지지링크(60)에 의
해 그 양단이 지지되는데, 상기 양단의 홀더(100)의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지지링크(60)의 연결후크
(62)가 상기 트레이(50)의 양단 전후에 구비된 회전중심관(5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50)가 상기 지지링크(60)의 하단부에 설치되면, 상기 트레이(50)는 상기 탄성부재(90)의 탄성
력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의 천장(c)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지지링크(60)도 함께 회전되어 저
장공간의 천장(c)에 밀착되므로 상기 지지링크(60)의 타단부에 연결된 연결링크(70)는 도 3a에서와 같이, 화살표방
향으로 회전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은 상기 탄성부재(90)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연동링
크(80)는 도면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여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50)를 하부로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트레이(50)의 선단에 구비된 하향경사부(54)를 사용자
가 손으로 잡고 하부 후방으로 이동되게 힘을 가하면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트레이(50)에 힘을 가하면 상기 탄성
부재(9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트레이(50)를 지지하고 있는 링크기구(60)가 회동된다.
등록특허 10-0476450
- 4 -
즉, 상기 지지링크(60)와 연결링크(70)가 일체로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상기 회전축부(64)를 중심으로 회
전하고, 상기 연동링크(80)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트레이(50)가 완전히 하방향으로
내려간 상태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50) 상에 보관물(b)이 보관되는 것을 설명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50)를 하부
로 내린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50) 상에 보관물(b), 예를 들면 납작한 육면체의 피자박스를 위치시키고, 상기 트레
이(50)를 잡아주던 손을 놓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9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링크기구의 지지링크(60)와 연결링크
(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한다.
상기 트레이(50)의 상승은 상기 트레이(50) 상면에 안착된 상기 보관물(b)의 상면이 저장공간의 천장(c)에 닿게 될
때까지 진행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보관물(b)은 상기 트레이(50)와 저장공간의 천
장(c) 사이에 탄성부재(90)의 탄성력으로 밀착된 상태로 보관된다.
한편, 본 발명 실시예의 트레이장치가 설치되는 저장공간의 천장(c)은 냉장실의 천장, 냉동실의 천장, 그리고 냉장
실과 냉동실을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선반의 하면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
다.
발명의 효과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트레이장치는 저장공간의 천장에 트레이가 밀착되는 방
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링크기구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대적으로 넓은 바
닥면을 가지는 보관물을 저장공간의 천장에 별도로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
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평소에 잘 사용되지 않는 저장공간의 천장 근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고, 트레이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트레이가 저장공간의 천장에
밀착되어 있어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되는 이점도 있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삭제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보관물이 얹어지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저장공간의 천장과 그 하부 사이에서 승강되게 양단을 지지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저장공간의 천장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홀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부에 상기 트레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링크와,
상기 지지링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트레이와 연결된 지지링크의 선단부가 서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동되게 하는
연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는 일단부가 상기 홀더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연동링크에 연결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
에 의해 상기 트레이가 저장공간의 천장에 밀착되도록 하는 힘을 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트레이장치.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보관물이 얹어지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저장공간의 천장과 그 하부 사이에서 승강되게 양단을 지지하는 링크기구와,
등록특허 10-0476450
- 5 -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저장공간의 천장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홀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부에 상기 트레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링크와,
상기 지지링크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트레이와 연결된 지지링크의 선단부가 서로 동일한 각도만큼 회동되게 하는
연동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지지링크의 회전중심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기 트레이가 저장공간의 천장에 밀착
되도록 하는 힘을 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트레이장치.
청구항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일단부에 지지되는 지지링크의 타단부에는 상기 지지링크의 길이방
향 연장선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링크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크의 단부에는 상기 연동링크의 양단부
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트레이장치.
청구항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선단부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향경사부가 구비됨을 특징으
로 하는 트레이장치.
청구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와 연결된 링크기구가 구비되는 홀더는 냉동실의 천정, 냉장실의 천정, 선반의 하면중
어느 하나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장치.
도면
등록특허 10-0476450
- 6 -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0476450
- 7 -
도면3a
도면3b
도면4a
등록특허 10-0476450
- 8 -
도면4b
도면4c
도면4d
도면4e
등록특허 10-0476450
- 9 -
도면4f
도면4g
도면5
등록특허 10-0476450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