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절연판조립체(Insulation plate assembly)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4. 17. 21:05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4년04월01일
(11) 등록번호 10-1376332
(24) 등록일자 2014년03월1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60R 16/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138010
(22) 출원일자 2007년12월26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12월24일
(65) 공개번호 10-2009-0070118
(43) 공개일자 2009년07월0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200427631 Y1
KR200407670 Y1
JP09115558 A
(73) 특허권자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천광역시 연수구 갯벌로 38 (송도동)
(72) 발명자
윤창배
인천광역시 연수구 용담로 25, 113동 101호 (청학
동, 용담마을아파트)
(74) 대리인
특허법인남촌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박균성
(54) 발명의 명칭 절연판조립체
(57) 요 약
본 발명은 절연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절연판(20)의 적어도 일측 표
면에 와이어리브(22)에 의해 와이어채널(23)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채널(23)은 단선인 와이어가 안착되는 부분
이다. 상기 와이어채널(23)의 단부는 상기 절연판(20)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레그리브(24)가 구비된다. 상
기 레그리브(24)는 절연판(20)에 설치되는 부품(32)의 부품레그(35) 양면과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레그리브
(24)와 부품레그(35)에는 와이어(30)가 관통하는 와이어통공(28)과 와이어접속공(40)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
성되고, 상기 와이어통공(28) 및 와이어접속공(40)과 일단부가 연통되고 타단부가 레그리브(24)와 부품레그(35)
의 선단으로 개구되게 와이어슬릿(26)과 삽입슬릿(3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절연판조립체 및
이를 사용하는 제품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절연판조립체에 장착되는 부품의 동작신뢰성을 높일 수 있
게 되는 이점이 있다.
대 표 도 - 도2
등록특허 10-1376332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적어도 일측 표면에 와이어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채널의 단부에 연결되게 레그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절연판과,
상기 레그리브의 내부로 돌출되게 부품레그가 상기 절연판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절연판의 표면에 부품몸체가
안착되는 부품과,
상기 와이어채널에 안착되고 상기 부품의 부품레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품레그에는 상기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접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접속공과 대응되
는 상기 레그리브에는 와이어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판조립체.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판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2개 이상인 경
우에는 차례로 적층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판조립체.
청구항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리브와 부품레그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일단이 각각 상기 와이어통공과 와이어
접속공과 연통되고 타단이 각각 상기 레그리브와 부품레그의 선단으로 개구되는 와이어슬릿과 삽입슬릿이 형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판조립체.

청구항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리브의 와이어통공의 내경은 상기 와이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와이어를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판조립체.
청구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리브는 한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그 사이의 간격이 상기 부품레그의 두께와
같거나 작아 상기 부품레그의 양면에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판조립체.
청구항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채널과 상기 레그리브는 서로 직교하게 연결됨을 특
징으로 하는 절연판조립체.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절연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박스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종 부품사이의 전[0001]
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절연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등록특허 10-1376332
- 2 -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절연판조립체를 구비한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0002]
도면에 따르면, 정션박스의 골격을 형성하는 메인커버(1)에는 부품결합부(3)가 형성된다. 상기 부품결합부(3)에[0003]
는 아래에서 설명될 버스바(9)와 결합될 릴레이(15)나 퓨즈(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부품이 안착된다.
상기 메인커버(1)의 하부에 안착되도록 절연판조립체(5)가 구비된다. 상기 절연판조립체(5)는 다수개의 절연판[0004]
(7)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절연판(7)은 대략 장방형의 판상으로 대수개가 동일한 외곽형상을 가진다.
상기 절연판(7)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연판(7)에는 다수개의 관통공(도시되지 않
음)들이 형성된다. 이는 하부의 절연판(7) 상에 배치된 후술할 버스바(9)의 단자부(11)들이 관통하여 상부로 노
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버스바(9)는 상기 절연판(7)의 사이 사이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최상단의 절연판(7)의 상부로 직립되게 일부가[0005]
돌출된 단자부(11)가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단자부(11)에는 암터미널(13)이 장착된다. 상기 암터
미널(13)은 상기 버스바(9)와는 별개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일단에는 상기 단자부(11)가 삽입되고, 타단부
에는 릴레이(15)의 릴레이단자(16)가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릴레이(15)는 입력이 어떤 값에 도달하였을
때, 작동되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커버(1)의 하부에는 하부커버(18)가 장착되면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절연판조립체(5)가 위[0006]
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절연판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0007]
상기 릴레이(15)를 상기 절연판조립체(5)의 단자부(11)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상기 암터미널(13)을 사용하여야[0008]
한다. 따라서, 절연판조립체(5)와 릴레이(15)의 결합을 위한 부품수가 많아지고, 상기 정션박스의 높이방향으
로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릴레이와 같은 부품[0009]
이 직접 절연판에 장착된 절연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연판에 부품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0010]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과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확실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0011]
과제 해결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일측 표면에 와이어채널[0012]
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채널의 단부에 연결되게 레그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절연판과, 상기 레그리브의 내
부로 돌출되게 부품레그가 상기 절연판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절연판의 표면에 부품몸체가 안착되는 부품과, 상
기 와이어채널에 안착되고 상기 부품의 부품레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
품레그에는 상기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접속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접속공과 대응되는 상기
레그리브에는 와이어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판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차례로 적층[0013]
되어 결합된다.
상기 레그리브와 부품레그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일단이 각각 상기 와이어통공과 와이어접속공과 연통되고[0014]
타단이 각각 상기 레그리브와 부품레그의 선단으로 개구되는 와이어슬릿과 삽입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레그리브의 와이어통공의 내경은 상기 와이어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와이어를 고정한다.[0015]
상기 레그리브는 한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그 사이의 간격이 상기 부품레그의 두께와 같거나 작아 상기[0016]
부품레그의 양면에 밀착된다.
상기 와이어채널과 상기 레그리브는 서로 직교하게 연결된다.[0017]
등록특허 10-1376332
- 3 -
효 과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0018]
본 발명에서는 절연판에 릴레이와 같은 부품을 직접 장착하고,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와이어를 통해 이루어[0019]
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부품과 절연판의 와이어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절연판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
수가 최소화되고 절연판조립체 및 절연판조립체가 사용되는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절연판에 장착되는 부품의 부품레그를 절연판에 형성된 레그리브가 고정하므로 부품이 보다 견[0020]
고하게 절연판에 장착되어 부품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가 부품레그의 양단에서 레그리브의 와이어통공에 압입되어 고정되므로 와이어와[0021]
부품레그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보다 확실하게 되므로 부품의 동작신뢰성이 높일 수 있게 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절연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0022]
도 2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절연판(2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절연판(20)은 판형상[0023]
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형의 판이다. 상기 절연판(20)의 적어도 일면에는 와이어
리브(22)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리브(22)는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30)가 안착될 와이어채널(23)을 형성한
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리브(22)는 2개가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와이어리브(22)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어채널(23)의 끝부분중 일부에는 레그리브(24)가 형성된다. 상기 레[0024]
그리브(24)는 상기 와이어리브(22)와 같이 상기 절연판(20)의 표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와이어채널(23)과는 직교하게 만난다.
상기 레그리브(24)는 항상 한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레그리브(24)사이의 틈새는 아래에서 설명될[0025]
부품(32)의 부품레그(35)의 두께와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레그리브(24) 사이에는 절연판(20)을 상하
로 관통하게 레그통공(25)이 형성된다.
상기 레그리브(24)에는 그 중앙에서 선단을 향해 와이어슬릿(26)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슬릿(26)은 상기 레[0026]
그리브(24)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슬릿(26)은 상기 레그리브(24)의 선단에서 부터 시작해서 레그리
브(24)의 중앙까지 연장된다. 상기 레그리브(24)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와이어통공(28)이 형성된다. 상기 와
이어통공(28)은 상기 레그리브(24)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슬릿(26)의 폭보다 넓은 내경을 갖
는다. 하지만, 상기 와이어통공(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30)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져
와이어통공(28)에 삽입된 와이어(3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와이어리브(22)에 의해 형성되는 와이어채널(23)에는 와이어(30)가 위치된다. 상기 와이어(30)는 상기 와[0027]
이어채널(23)을 따라 위치되어 회로를 형성한다. 상기 와이어(3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
기 와이어(30)는 단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30)는 상기 와이어채널(23)에 배치되므로, 인접하는 것이 상
기 와이어리브(22)에 의해 구획되어 인접하는 것끼리 통전되지 않는다.
부품(32)은 부품몸체(33)의 일면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품레그(35)가 돌출되게 구비된 것이다. 실제로 도[0028]
시된 부품(32)은 릴레이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절연판조립체에는 반드시 릴레이만이 장착되는 것이 아니고,
퓨즈도 장착될 수 있다. 이들 부품(32)은 부품레그(35)의 형상이 동일하여야 절연판(20)에의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 부품레그(35)는 납작한 판상으로서 그 폭방향 양단에 걸이턱(37)이 형성된다. 상기 양단의 걸이턱(37) 사[0029]
이의 거리는 상기 레그통공(25)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부품레그(35)에는 삽입슬릿(38)이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슬릿(38)은 상기 부품레그(35)의 선단 중앙에서 시작하여 부품레그(35)의 중간부까지 연장된다. 상기
삽입슬릿(38)과 연통되게 와이어접속공(40)이 상기 부품레그(35)을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접
속공(40)의 내경은 상기 와이어(30)의 직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슬릿(38)의 폭은 상기
와이어(30)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부품레그(35)는 금속재질이므로 상기 레그리브(24)보
다 탄성변형이 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품레그(35)의 상기 삽입슬릿(38)과 와이어접속공(40)은 상기 레그리
브(24)의 와이어슬릿(26)과 와이어통공(28)보다 각각 조금씩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등록특허 10-1376332
- 4 -
한편, 본 발명의 절연판조립체는 다수개의 절연판(20)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최상층 혹은[0030]
최하층(이하, 이를 통칭하여 외층이라 한다)의 절연판(20)에 상기 부품(32)이 실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중간
층에 있는 절연판(20)에는 버스바(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절연판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0031]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절연판조립체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0032]
절연판(20)에 부품(32)을 장착한다. 상기 부품(32)의 부품레그(35)를 상기 절연판(20)의 레그통공(25)을 관통
하여 삽입한다.
이때, 상기 부품레그(35)의 폭방향 양단에 있는 걸이턱(37) 사이의 거리는 상기 레그통공(25)의 그것보다 크므[0033]
로, 상기 부품레그(35)가 레그통공(25)에 삽입되면 임의로 상기 부품레그(35)가 분리되지는 않는다. 상기 부품
레그(35)가 상기 레그통공(25)을 관통하여 절연판(20)의 반대쪽으로 돌출되면, 상기 레그리브(24)의 사이에 위
치된다. 상기 레그리브(24)의 사이는 상기 부품레그(35)의 두께보다 좁은 틈새를 가지므로 상기 부품레그(35)
는 상기 레그리브(24)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레그(35)는 상기 절연판(20)에서 외력에 의해 유동되지
않는다.
상기 부품(32)의 실장이 완료되면, 상기 와이어(30)를 와이어채널(23)에 설치한다. 상기 와이어(30)는 도전성[0034]
이 있는 금속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데, 쉽게 소성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채널(23)의 굴곡을
따라 와이어(30)를 소성변형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와이어채널(23)의 끝부분은 상기 레그리브(24)와 직교하게 되는데, 와이어(30)는 이 부분에서 상기 레그[0035]
리브(24)와 부품레그(35)를 관통하게 된다. 즉, 상기 레그리브(24)와 부품레그(35)의 와이어슬릿(26)과 삽입슬
릿(38)을 동시에 통과하여 상기 와이어통공(28)과 와이어접속공(40)에 위치된다. 상기 와이어통공(28)의 내경
은 상기 와이어(30)의 직경 및 와이어접속공(40)의 내경보다 작아 상기 와이어(30)는 상기 레그리브(24)에 의
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부품레그(35)와는 와이어접속공(40)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부품(32)이 실장되고, 와이어(30)에 의해 회로가 구성된 절연판(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0036]
수개가 적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레그리브(24)와 같이 돌출된 부분은 인접하여 적층되는 상대 절연판(2
0)의 관통부에 위치된다. 물론, 본 발명의 구성이 적용된 절연판조립체의 경우, 외층의 절연판(20)에만
부품(32)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절연판조립체의 내층 절연판(20)에는 버스바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절연판조립체는 정션박스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0037]
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
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와이어리브(22)는 절연판(20)의 양측 표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0038]
레그리브(24)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품레그(35)의 양면과 마주보게 한쌍이 형성되었으나, 양측의
레그리브(24)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부품레그(34)의 4면을 둘러싸도록 레그리브(24)가
형성되거나, 3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0039]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연판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0040]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0041]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부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004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043]
20: 절연판 22: 와이어리브[0044]
23: 와이어채널 24: 레그리브[0045]
26: 와이어슬릿 28: 와이어통공[0046]
등록특허 10-1376332
- 5 -
30: 와이어 32: 부품[0047]
33: 부품몸체 35: 부품레그[0048]
37: 걸이턱 38: 삽입슬릿[0049]
30: 와이어접속공 [0050]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376332
- 6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376332
- 7 -
도면4
【심사관 직권보정사항】
【직권보정 1】
【보정항목】명세서
【보정세부항목】식별번호 26
【변경전】
레그리브(26)
【변경후】
레그리브(24)
등록특허 10-1376332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