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고분자 화합물, 레지스트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Polymer, Resist Composition and Patterning Process)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2. 27. 07:29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7
G03F 7/027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5년07월18일
10-0501600
2005년07월06일
(21) 출원번호 10-2000-0067373 (65) 공개번호 10-2001-0051670
(22) 출원일자 2000년11월14일 (43) 공개일자 2001년06월25일
(30) 우선권주장 99-324702 1999년11월15일 일본(JP)
(73) 특허권자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일본 도꾜도 지요다꾸 오떼마치 2쪼메 6방 1고
(72) 발명자 니시,쯔네히로
일본니이가따껭나까구비끼군구비끼무라오아자니시후꾸지마28-1신에
쓰가가꾸고교가부시끼가이샤고오세이기쥬쯔겡뀨쇼내
와따나베,다께루
일본니이가따껭나까구비끼군구비끼무라오아자니시후꾸지마28-1신에
쓰가가꾸고교가부시끼가이샤고오세이기쥬쯔겡뀨쇼내
하따께야마,준
일본니이가따껭나까구비끼군구비끼무라오아자니시후꾸지마28-1신에
쓰가가꾸고교가부시끼가이샤고오세이기쥬쯔겡뀨쇼내
긴쇼,다께시
일본니이가따껭나까구비끼군구비끼무라오아자니시후꾸지마28-1신에
쓰가가꾸고교가부시끼가이샤고오세이기쥬쯔겡뀨쇼내
하세가와,고지
일본니이가따껭나까구비끼군구비끼무라오아자니시후꾸지마28-1신에
쓰가가꾸고교가부시끼가이샤고오세이기쥬쯔겡뀨쇼내
다찌바나,세이이찌로
일본니이가따껭나까구비끼군구비끼무라오아자니시후꾸지마28-1신에
쓰가가꾸고교가부시끼가이샤고오세이기쥬쯔겡뀨쇼내
(74) 대리인 장수길
구영창
심사관 : 이재형
(54) 고분자 화합물, 레지스트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
요약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내지 500,000의 고분자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10-0501600
- 1 -
화학식 1

화학식 2
식 중, R1은 산불안정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Z는 탄소수 2 내지 10의 4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k는 0 또는 1이다.
또한, 본 발명의 레지스트 재료는 고에너지선에 감응하고, 감도, 해상성, 에칭 내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전자선이나 원자
외선에 의한 미세 가공에 유용하다. 특히 ArF 엑시머 레이저, KrF 엑시머 레이저의 노광 파장에서의 흡수가 작기 때문에,
미세하고 나아가 기판에 대하여 수직인 패턴을 쉽게 형성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색인어
고분자 화합물, 레지스트 재료, 패턴 형성 방법, 기판, 미세가공
명세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1) 특정한 산불안정성 부여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2) 이 고분자 화합물을 베이스 수지로서 함유하고,
노광 전후에서 높은 용해 콘트라스트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초 LSI 제조용 미세 패턴 형성 재료로서 적합한 레지스트 재
료, 및 (3) 이 레지스트 재료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LSI의 고집적화와 고속도화에 따라 패턴 룰의 미세화가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차세대 미세 가공 기술로서 원자외
선 리소그래피가 유망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KrF 엑시머 레이저광, ArF 엑시머 레이저광을 광원으로 한 포토리소그래
피는 0.3 μm 이하의 초미세 가공에 불가결한 기술로서 그 실현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엑시머 레이저광, 특히 파장 193 nm의 ArF 엑시머 레이저광을 광원으로 한 포토리소그래피에서 사용되는 레지스트 재
료에 대해서는, 상기 파장에서의 높은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박막화에 대응할 수 있는 높은 에칭 내성, 고가의 광
학계 재료에 부담을 주지 않는 높은 감도, 그리고 무엇보다도 미세한 패턴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는 높은 해상 성능을 겸
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들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고투명성, 고강직성 동시에 고반응성의 베이스 수지의 개발
이 불가피하지만, 현재 알려져 있는 고분자 화합물 중에는 이들 특성을 모두 구비한 것이 없으며, 아직 실용화하기에 충분
한 레지스트 재료를 얻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었다.
고투명성 수지로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 유도체의 공중합체, 노르보르넨 유도체 유래의 지방족 환상 화합물을 주
쇄에 함유하는 고분자 화합물 등이 알려져 있지만, 그 모두가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아크릴산 또는 메타
크릴산 유도체의 공중합체는 고반응성 단량체의 도입이나 산불안정 단위의 증량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성
을 높이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주쇄의 구조상 강직성을 높이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한편, 지방족 환상 화합물을 주쇄
에 함유하는 고분자 화합물에 있어서는 강직성은 허용 범위 내에 있었지만, 주쇄의 구조상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보다 산
에 대한 반응성이 둔하고, 또한 중합의 자유도도 낮기 때문에 반응성을 쉽게는 높일 수 없었다. 따라서, 이들 고분자 화합
물을 베이스 수지로서 레지스트 재료를 제조하는 경우, 감도와 해상성은 만족하더라도 에칭에는 견딜 수 없거나, 또는 높
은 에칭 내성을 가지고 있어도 저감도, 저해상성으로 실용적이지 않다는 결과에 빠지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501600
- 2 -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1) 반응성과 강직성이 우수한 고분자 화합물, (2) 이 고분자 화합물을
베이스 수지로서 함유하고, 종래 제품을 크게 상회하는 감도, 해상성 및 에칭 내성을 실현하는 레지스트 재료 및 (3) 상기
레지스트 재료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내지 500,000의 고분자 화합물이 높은 강직성과 반응성을 겸비하고, 이 고분자 화합물을 베이스
수지로서 사용한 레지스트 재료가 고감도, 고해상성 및 고에칭내성을 가지며, 또한 이 레지스트 재료가 정밀한 미세 가공
에 매우 유효한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고분자 화합물, 레지스트 재료 및 패턴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I]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내지 500,000의 고분자 화합물.
<화학식 1>

<화학식 2>

식 중, R1은 산불안정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Z는 탄소수 2 내지 10의 4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k는 0 또는 1이다.
[II]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3 내지 6으로 표시되는 단위 중 1종 또
는 2종 이상을 갖는 [I]에 기재한 고분자 화합물.

화학식 3

등록특허 10-0501600
- 3 -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식 중, R1, R2, k는 상기와 동일하고, z1 내지 z3은 0 내지 4의 정수이다.
[III]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 또한 하기 화학식 7 내지 15로 표시되는 단위 중 1
종 또는 2종 이상을 갖는 [I] 또는 [II]에 기재한 고분자 화합물.

화학식 7

등록특허 10-0501600
- 4 -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화학식 12

등록특허 10-0501600
- 5 -
화학식 13

화학식 14

화학식 15
식 중, k는 상기와 동일하고, R3 내지 R6 중 하나 이상은 탄소수 1 내지 15의 카르복시기 또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
기를 나타내고, R3 내지 R6은 서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R3 내지 R6 중 하나 이상은 탄소수 1 내지 15의 카르
복시기 또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7 내지 R10 중 하나 이상은 탄소수 2 내지 15의 -CO2- 부분 구
조를 함유하는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
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7 내지 R10은 서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R7 내지 R10 중 하나 이상은 탄
소수 1 내지 15의 -CO2- 부분 구조를 함유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11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CO2R 13 을 나타내
고, R12는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CH2CO2R13을 나타내고, R13은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를 나타내고, R14는 탄소수 7 내지 15의 다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다환식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15
는 산불안정기를 나타내고, X는 CH2 또는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IV] [I] 내지 [III]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고분자 화합물을 베이스 수지로서 함유하는 레지스트 재료.
[V] [IV]에 기재한 레지스트 재료를 기판상에 도포하는 공정과, 가열 처리 후 포토마스크를 통하여 고에너지선 또는 전
자선으로 노광하는 공정과, 필요에 따라 가열 처리한 후, 현상액을 이용하여 현상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패턴 형성 방법.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단위에 있어서는, 1개의 축합환 골격에 대하여 2개의 산불안정성 보호화 카르복실산
부위를 갖고 있다. 이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은 보호화 카르복실산 1개의 단위를 이용한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탈보호
화 상태에서의 알칼리 현상액 용해 속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이 단위를 이용함으로써 그 밖의 특성 부여 단위 (예를 들면
기판 밀착성 부여 단위)를 높은 비율로 도입해도 탈보호화 상태에서 충분한 용해 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높은 용해 콘
트라스트와 높은 기판 밀착성 모두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고분자 화합물을 베이스 수지로서 배합한 레지스
트 재료는 고감도, 고해상성 및 고에칭내성이 되며, 미세 패턴의 해상 불량이나 박리, 에칭 후의 패턴 소실이라는 종래 제
품의 결점 모두를 해소한 것이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내지 500,000의 것이
다.
<화학식 1>
등록특허 10-0501600
- 6 -

<화학식 2>

또한, 상기 식에 있어서 k는 0 또는 1이며, 따라서 화학식 1 및 2는 하기 화학식 16 내지 19로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16

화학식 17

화학식 18

화학식 19
등록특허 10-0501600
- 7 -
여기에서, R1은 산불안정기를 나타낸다.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를 나타내
고,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Z는
탄소수 2 내지 10의 4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단위로서는, 특히 하기 화학식 3 내지 6으로 표시되는 단위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3>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여기에서, R1, R2, k는 상기와 동일하다. z1 내지 z3은 0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의
정수이다.
R1의 산불안정기로서는 여러가지를 선택할 수 있지만,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20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기, 탄소수 4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의 3급 알킬기, 각 알킬기가 각각 탄소수 1 내지 6의 트리알킬실릴기, 탄소수 4 내지 20
의 옥소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등록특허 10-0501600
- 8 -

화학식 20

화학식 21

화학식 22

화학식 23
식 중, RL01, RL0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
클로헥실기, 2-에틸헥실기, n-옥틸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RL03은 탄소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산소 원
자 등의 헤테로 원자를 가질 수도 있는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알킬기, 이들 수소 원자 중
일부가 수산기, 알콕시기, 옥소기, 아미노기, 알킬아미노기 등으로 치환된 것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치환
알킬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RL01과 RL02, RL01과 RL03, RL02와 RL03은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환을 형성하는 경우 RL01, RL02, RL03은 각각 탄소수
1 내지 18,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L04는 탄소수 4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의 3급 알킬기, 각 알킬기가 각각 탄소수 1 내지 6의 트리알킬실릴기,
탄소수 4 내지 20의 옥소알킬기 또는 상기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3급 알킬기로서는 구체적으로 tert-부
틸기, tert-아밀기, 1,1-디에틸프로필기, 1-에틸시클로펜틸기, 1-부틸시클로펜틸기, 1-에틸시클로헥실기, 1-부틸시클
로헥실기, 1-에틸-2-시클로펜테닐기, 1-에틸-2-시클로헥세닐기, 2-메틸-2-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고, 트리알킬실릴
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트리메틸실릴기, 트리에틸실릴기, 디메틸-tert-부틸실릴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옥소알킬기로서는 구
체적으로 3-옥소시클로헥실기, 4-메틸-2-옥소옥산-4-일기, 5-메틸-5-옥소옥솔란-4-일기 등을 들 수 있다. a는 0 내
지 6의 정수이다.
RL05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치환될 수도 있는 아릴기를 나타
내고,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알킬기로서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tert-아밀기, n-펜틸기, n-헥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펜틸메틸기, 시클로펜틸에틸기, 시클
등록특허 10-0501600
- 9 -
로헥실메틸기, 시클로헥실에틸기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치환될 수도 있는 아릴기로서 구체적으로는 페닐기, 메틸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피레닐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m은 0 또는 1, n은 0, 1, 2, 3 중 어느 하나이고, 2m n=2
또는 3을 만족하는 수이다.
RL06은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치환될 수도 있는 아릴기를 나타
내고, 구체적으로는 RL05와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RL07 내지 RL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는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tert-아밀기, n-펜틸기, n-헥실기, n-옥틸기, n-노닐기, n-데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
기, 시클로펜틸메틸기, 시클로펜틸에틸기, 시클로펜틸부틸기, 시클로헥실메틸기, 시클로헥실에틸기, 시클로헥실부틸기 등
의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알킬기, 이들 수소 원자 중 일부가 수산기, 알콕시기, 카르복시기, 알콕시카르보닐기, 옥소기, 아
미노기, 알킬아미노기, 시아노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술포기 등에 치환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RL07 내지 RL16은 서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RL07 과 RL08, RL07과 RL09, RL08과 RL10, RL09와 RL10, RL11과 RL12, RL13과 RL14 등),
이 경우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1가의 탄화수소기
에서 예시한 것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1개 제외한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RL07 내지 RL16은 인접하는 탄소에 결합하
는 것들이 직접 결합하여 이중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RL07과 RL09, RL09와 R L15, RL13과 RL15 등).
상기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산불안정기 중,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 하기의 기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산불안정기 중, 환상의 것으로서는 구체적으로테트라히드로푸란-2-일기, 2-메틸테트라
히드로푸란-2-일기, 테트라히드로피란-2-일기, 2-메틸테트라히드로피란-2-일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1의 산불안정기로서는 구체적으로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기, tert-아밀옥시카
르보닐기, tert-아밀옥시카르보닐메틸기, 1,1-디에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기, 1,1-디에틸프로필옥시카르보닐메틸기, 1-
에틸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기, 1-에틸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메틸기, 1-에틸-2-시클로펜테닐옥시카르보닐기, 1-에
틸-2-시클로펜테닐옥시카르보닐메틸기, 1-에톡시에톡시카르보닐메틸기, 2-테트라히드로피라닐옥시카르보닐메틸기,
2-테트라히드로푸라닐옥시카르보닐메틸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2의 산불안정기로서는 구체적으로 1-메틸시클로펜틸, 1-에틸시클로펜틸, 1-n-프로필시클로펜틸, 1-이
소프로필시클로펜틸, 1-n-부틸시클로펜틸, 1-sec-부틸시클로펜틸, 1-메틸시클로헥실, 1-에틸시클로헥실, 3-메틸-1-
시클로펜텐 -3-일, 3-에틸-1-시클로펜텐-3-일, 3-메틸-1-시클로헥센-3-일, 3-에틸-1-시클로헥센-3-일 등을 예시
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3의 산불안정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하기의 기를 예시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0501600
- 10 -

또한, R1의 산불안정기의 3급 알킬기, 트리알킬실릴기, 옥소알킬기로서는 앞서 예시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R1의 산불안정기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복수종의 산불안정기를 사용함으로
써 패턴 프로파일의 미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은, 또한 하기 화학식 7 내지 15로 표시되는 단위 중 1
종 또는 2종 이상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

<화학식 11>
등록특허 10-0501600
- 11 -

<화학식 12>

<화학식 13>

<화학식 14>

<화학식 15>

여기에서 k는 상기와 동일하다. R3 내지 R6 중 하나 이상은 탄소수 1 내지 15의 카르복시기 또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1가
의 탄화수소기 (바람직하게는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내지 15의 카르복시기 또는 수산기를 함유
하는 1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구체적으로 카르복시, 카르복시메틸, 카르복시에틸, 카르복시부틸, 히드록시메틸, 히드록시
에틸, 히드록시부틸, 2-카르복시에톡시카르보닐, 4-카르복시부톡시카르보닐, 2-히드록시에톡시카르보닐, 4-히드록시부
톡시카르보닐, 카르복시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 카르복시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 카르복시노르보르닐옥시카르보닐,
카르복시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 히드록시시클로펜틸옥시카르보닐, 히드록시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 히드록시노르보르
닐옥시카르보닐, 히드록시아마단틸옥시카르보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알킬기
로서는 구체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tert-아밀기, n-펜틸
기, n-헥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에틸시클로펜틸기, 부틸시클로펜틸기, 에틸시클로헥실기, 부틸시클로헥실기,
아다만틸기, 에틸아다만틸기, 부틸아다만틸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R3 내지 R6은 서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R3 내지 R6 중 하나 이상은 탄소수 1 내지 15의 카르복시기 또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2가의 탄화수소기 (바람직하게는 직
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
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내지 15의 카르복시기 또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2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카르복시기 또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1가의 탄화수소기에서 예시한 것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1개 제외한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알킬렌기로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수 1 내지 15의
등록특허 10-0501600
- 12 -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알킬기에서 예시한 것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1개 제외한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R7 내지 R10 중
하나 이상은 탄소수 2 내지 15의 -CO2- 부분 구조를 함유하는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2 내지 15의 -CO2- 부분 구
조를 함유하는 1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구체적으로 2-옥소옥솔란-3-일옥시카르보닐, 4,4-디메틸-2-옥소옥솔란-3-일
옥시카르보닐, 4-메틸-2-옥소옥산-4-일옥시카르보닐, 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옥시카르보닐, 5-메틸-2-옥소
옥솔란-5-일옥시카르보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알킬기로서는 구체적으로 R3
내지 R6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R7 내지 R10은 서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R 7 내지 R10
중 하나 이상은 탄소수 1 내지 15의 -CO2- 부분 구조를 함유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
로 단일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내지 15의 -CO2- 부분
구조를 함유하는 2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구체적으로 1-옥소-2-옥사프로판-1,3-디일, 1,3-디옥소-2-옥사프로판-
1,3-디일, 1-옥소-2-옥사부탄-1,4-디일, 1,3-디옥소-2-옥사부탄-1,4-디일 등 외에, 상기 -CO2- 부분 구조를 함유하
는 1가의 탄화수소기에서 예시한 것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1개 제외한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
상, 분지상, 환상의 알킬렌기로서는 구체적으로 R3 내지 R6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R11은 수소 원
자, 메틸기 또는 CO2R13을 나타낸다. R12는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CH2CO2 R13을 나타낸다. R13은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R3 내지 R6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R14는 탄소수 7 내지 15의 다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다환식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노르
보르닐, 비시클로[3.3.1]노닐, 트리시클로[5.2.1.02,6]데실, 아다만틸, 에틸아다만틸, 부틸아다만틸, 노르보르닐메틸, 아
다만틸메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R15는 산불안정기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R1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R15의 산불안정기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복수종의 산불안정기를 사용함으로
써, 패턴 프로파일의 미세 조정을 행할 수 있다. X는 CH2 또는 산소 원자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 내지 6으로 표시되
는 단위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제조는, 하기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1 단량체로, 또는
화학식 25 및 2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제1 또는 제2 이후의 단량체로, 하기 화학식 27 내지 3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그 이후의 단량체로 사용하여 공중합 반응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화학식 24

화학식 25

화학식 26
등록특허 10-0501600
- 13 -

화학식 27

화학식 28

화학식 29

화학식 30

화학식 31
식 중, R1 내지 R15는 상기와 동일하다.
공중합 반응은 상기 화학식 24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화학식 25 및 2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1종 또는 2종 이상 및
상기 화학식 27 내지 3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반응율을 고려한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고, 또는
필요에 따라 용제에 용해하고, 그 때 적당한 중합 개시제 또는 촉매를 공존시켜 적당한 온도 조건하에서 적당한 반응 시간
을 두어 행한다. 공중합 반응으로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채용되지만, 구체적으로는 라디칼 중합, 음이온 중합 또는 배위 중
합 등을 들 수 있다.
등록특허 10-0501600
- 14 -
라디칼 중합 반응의 반응 조건은 (가) 용제로서 벤젠 등의 탄화수소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에탄올 등의 알
코올류, 또는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를 사용하고, (나)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의 아
조 화합물, 또는 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등의 과산화물을 사용하고, (다) 반응 온도를 0 내지 100 ℃ 정도로 유지하
고, (라) 반응 시간을 0.5 내지 48시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음이온 중합 반응의 반응 조건은 (가) 용제로서 벤젠 등의 탄화수소류,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또는 액체 암모
니아를 사용하고, (나) 중합 개시제로서 나트륨, 칼륨 등의 금속, n-부틸리튬, sec-부틸리튬 등의 알킬 금속, 케틸, 또는 그
리나드 반응제를 사용하고, (다) 반응 온도를 -78 ℃ 내지 0 ℃ 정도로 유지하고, (라) 반응 시간을 0.5 내지 48시간 정도로
하고, (마) 정지제로서 메탄올 등의 프로톤 공여성 화합물, 요오드화메틸 등의 할로겐화물, 그 밖에 구전자성 물질을 사용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배위 중합의 반응 조건은 (가) 용제로서 n-헵탄,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류를 사용하고, (나) 촉매로서 티탄 등의 전이 금속
과 알킬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지글러-나타 촉매, 크롬 및 니켈 화합물을 금속 산화물에 담지한 필립스 촉매, 텅스텐 및
레늄 혼합 촉매로 대표되는 올레핀-메타세시스 혼합 촉매 등을 사용하고, (다) 반응 온도를 0 내지 100 ℃ 정도로 유지하
고, (라) 반응 시간을 0.5 내지 48시간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공중합 반응에 있어서는 각 단량체의 존재 비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레지스트 재료로 사용했을 때 바람직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고분자 화합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3 내지 6
으로 표시되는 단위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갖는 고분자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500,000, 바람직하게
는 3,000 내지 100,000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에칭 내성이 극단적으로 저하하거나, 노광 전후의 용해 속도 차이를 확보
할 수 없게 되어 해상성이 저하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재료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을 베이스 수지로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재료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단위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 외에, 고에너지선 또는 전자선
에 감응하여 산을 발생하는 화합물 (이하, 산발생제)과 유기 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발생제로서는,
i. 하기 화학식 32의 오늄염 (P1a-1), 화학식 33의 오늄염 (P1a-2) 또는 화학식 34의 오늄염 (P1b),
ii. 하기 화학식 35의 디아조메탄 유도체 (P2),
iii. 하기 화학식 36의 글리옥심 유도체 (P3),
iv. 하기 화학식 37의 비스술폰 유도체 (P4),
v. 하기 화학식 38의 N-히드록시이미드 화합물의 술폰산 에스테르 (P5),
vi. β-케토술폰산 유도체,
vii. 디술폰 유도체,
viii. 니트로벤질술포네이트 유도체,
ix. 술폰산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2

화학식 33
등록특허 10-0501600
- 15 -
식 중, R101a, R101b, R101c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알케닐기, 옥소알킬기 또는
옥소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랄킬기 또는 아릴옥소알킬기를 나타내고, 이들 기
의 수소 원자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알콕시기 등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으며, 또한, R101b와 R101c는 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환을 형성하는 경우 R101b, R 101c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K-는 비구핵성 대향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R101a, R101b, R101c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알킬기로서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
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
클로헵틸기, 시클로프로필메틸기, 4-메틸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헥실메틸기, 노르보르닐기,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알케닐기로서는 비닐기, 알릴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헥세닐기, 시클로헥세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옥소알킬기로서는 2-
옥소시클로펜틸기, 2-옥소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2-옥소프로필기, 2-시클로펜틸-2-옥소에틸기, 2-시클로헥실-
2-옥소에틸기, 2-(4-메틸시클로헥실)-2-옥소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등이나, p-메톡시
페닐기, m-메톡시페닐기, o-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p-tert-부톡시페닐기, m-tert-부톡시페닐기 등의 알콕시페닐
기,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에틸페닐기, 4-tert-부틸페닐기, 4-부틸페닐기, 디메틸페닐기 등의 알
킬페닐기, 메틸나프틸기, 에틸나프틸기 등의 알킬나프틸기, 메톡시나프틸기, 에톡시나프틸기 등의 알콕시나프틸기, 디메
틸나프틸기, 디에틸나프틸기 등의 디알킬나프틸기, 디메톡시나프틸기, 디에톡시나프틸기 등의 디알콕시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랄킬기로서는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옥소알킬기로서는 2-페닐-2-옥소에틸기,
2-(1-나프틸)-2-옥소에틸기, 2-(2-나프틸)-2-옥소에틸기 등의 2-아릴-2-옥소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K-의 비구핵성
대향 이온으로서는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등의 할라이드 이온, 트리플레이트, 1,1,1-트리플루오로에탄술포네이트,
노나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등의 플루오로알킬술포네이트, 토실레이트, 벤젠술포네이트, 4-플루오로벤젠술포네이트,
1,2,3,4,5-펜타플루오로벤젠술포네이트 등의 아릴술포네이트, 머실레이트, 부탄술포네이트 등의 알킬술포네이트를 들 수
있다.

화학식 34
식 중, R102a, R102b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103은 탄소수 1 내지 10
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104a, R104b는 각각 탄소수 3 내지 7의 2-옥소알킬기를 나타내며,
K -는 비구핵성 대향 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R102a, R102b로서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
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프로필메틸기, 4-메틸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헥실메틸
기 등을 들 수 있다. R103으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헵틸렌기, 옥틸렌기,
노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1,2-시클로헥실렌기, 1,3-시클로펜틸렌기, 1,4-시클로옥틸렌기, 1,4-시클로헥산디메틸
렌기 등을 들 수 있다. R104a, R104b로서는 2-옥소프로필기, 2-옥소시클로펜틸기, 2-옥소시클로헥실기, 2-옥소시클로헵
틸기 등을 들 수 있다. K-는 화학식 32 및 3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5
식 중, R105, R106은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화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랄킬기를 나타낸다.
R105, R106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
기, 헵틸기, 옥틸기, 아밀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노르보르닐기,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
겐화 알킬기로서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 1,1,1-트리플루오로에틸기, 1,1,1-트리클로로에틸기, 노나플루오로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p-메톡시페닐기, m-메톡시페닐기, o-메톡시페닐기, 에톡시페닐기, p-tert-부톡시페
닐기, m-tert-부톡시페닐기 등의 알콕시페닐기,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에틸페닐기, 4-tert-부틸
페닐기, 4-부틸페닐기, 디메틸페닐기 등의 알킬페닐기를 들 수 있다. 할로겐화 아릴기로서는 플루오로페닐기, 클로로페닐
기, 1,2,3,4,5-펜타플루오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랄킬기로서는 벤질기, 페네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6
등록특허 10-0501600
- 16 -
식 중, R107, R108, R109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화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할로겐화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랄킬기를 나타내고, R108, R109는 서로 결합하여 환상 구
조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환상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R108, R109는 각각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상, 분지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R107, R108, R109의 알킬기, 할로겐화 알킬기, 아릴기, 할로겐화 아릴기, 아랄킬기로서는 R105, R106에서 설명한 것과 동
일한 기를 들 수 있다. 또한, R108 , R109의 알킬렌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헥실렌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37
식 중, R101a 및 R101b는 상기와 동일하다.

화학식 38
식 중, R110은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알케닐렌기를 나타내
고, 이들 기의 수소 원자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또한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니트로
기, 아세틸기, 또는 페닐기로 치환될 수도 있으며, R111은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치환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콕시알킬기,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이들 기의 수소 원자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또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아세틸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닐기; 탄소수
3 내지 5의 헤테로 방향족기; 또는 염소 원자, 불소 원자로 치환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R110의 아릴렌기로서는 1,2-페닐렌기, 1,8-나프틸렌기 등을, 알킬렌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
기, 테트라메틸렌기, 1-페닐-에틸렌기, 노르보르난-2,3-디일기 등을, 알케닐렌기로서는 1,2-비닐렌기, 1-페닐-1,2-비
닐렌기, 5-노르보르넨-2,3-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R111의 알킬기로서는 R101a 내지 R 101c와 동일한 것을, 알케닐기로
서는 비닐기, 1-프로페닐기, 알릴기, 1-부테닐기, 3-부테닐기, 이소푸레닐기, 1-펜테닐기, 3-펜테닐기, 4-펜테닐기, 디
메틸알릴기, 1-헥세닐기, 3-헥세닐기, 5-헥세닐기, 1-헵테닐기, 3-헵테닐기, 6-헵테닐기, 7-옥테닐기 등을, 알콕시알킬
기로서는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 프로폭시메틸기, 부톡시메틸기, 펜틸옥시메틸기, 헥실옥시메틸기, 헵틸옥시메틸
기, 메톡시에틸기, 에톡시에틸기, 프로폭시에틸기, 부톡시에틸기, 펜틸옥시에틸기, 헥실옥시에틸기, 메톡시프로필기, 에톡
시프로필기, 프로폭시프로필기, 부톡시프로필기, 메톡시부틸기, 에톡시부틸기, 프로폭시부틸기, 메톡시펜틸기, 에톡시펜
틸기, 메톡시헥실기, 메톡시헵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될 수도 있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
기, tert-부틸기 등을,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알콕시기, 니트로기 또는 아세틸기로 치환될 수도 있는 페
닐기로서는 페닐기, 톨릴기, p-tert-부톡시페닐기, p-아세틸페닐기, p-니트로페닐기 등을, 탄소수 3 내지 5의 헤테로 방
향족기로서는 피리딜기, 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디페닐요오드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페닐
요오드늄, p-톨루엔술폰산 디페닐요오드늄, p-톨루엔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페닐요오드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
산 트리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디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비스(p-tert-
부톡시페닐)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스(p-tert-부톡시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트리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디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비스(p-tert-부톡시페닐)페닐술포늄, p-톨루엔술
폰산 트리스(p-tert-부톡시페닐)술포늄, 노나플루오로부탄술폰산 트리페닐술포늄, 부탄술폰산 트리페닐술포늄, 트리플
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메틸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트리메틸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시클로헥실메틸 (2-옥소
시클로헥실)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시클로헥실메틸 (2-옥소시클로헥실)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디메틸페닐술
포늄, p-톨루엔술폰산 디메틸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디시클로헥실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디시클로
헥실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나프틸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시클로헥실메틸 (2-옥소시클로헥
실)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2-노르보닐)메틸 (2-옥소시클로헥실)술포늄, 에틸렌 비스[메틸(2-옥소시클로펜틸)
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2'-나프틸카르보닐메틸 테트라히드로티오페늄 트리플레이트 등의 오늄염, 비스
(벤젠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p-톨루엔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크실렌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헥실술포닐)디
아조메탄, 비스(시클로펜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n-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
(sec-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n-프로필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프로필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tert-부틸술
포닐)디아조메탄, 비스(n-아밀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아밀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sec-아밀술포닐)디아조메탄,
등록특허 10-0501600
- 17 -
비스(tert-아밀술포닐)디아조메탄, 1-시클로헥실술포닐-1-(tert-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1-시클로헥실술포닐-1-
(tert-아밀술포닐)디아조메탄, 1-tert-아밀술포닐-1-(tert-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등의 디아조메탄 유도체, 비스-0-
(p-톨루엔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0-(p-톨루엔술포닐)-α-디페닐글리옥심, 비스-0-(p-톨루엔술포닐)-α-디
시클로헥실글리옥심, 비스-O-(p-톨루엔술포닐)-2,3-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O-(p-톨루엔술포닐)-2-메틸-3,4-펜탄
디온글리옥심, 비스-O-(n-부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n-부탄술포닐)-α-디페닐글리옥심, 비스-O-(n-부
탄술포닐)-α-디시클로헥실글리옥심, 비스-O-(n-부탄술포닐)-2,3-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O-(n-부탄술포닐)-2-메틸
-3,4-펜탄디온글리옥심, 비스-0-(메탄술포닐)-α -디메틸글리옥심, 비스-0-(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
심, 비스-0-(1,1,1-트리플루오로에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tert-부탄술포닐)- 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
-0-(퍼플루오로옥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0-(시클로헥산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0-(벤젠술포
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0-(p-플루오로벤젠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p-tert-부틸벤젠술포닐)-α-디
메틸글리옥심, 비스-0-(크실렌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0-(캄파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등의 글리옥심 유도
체, 비스나프틸술포닐메탄,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메탄, 비스메틸술포닐메탄, 비스에틸술포닐메탄, 비스프로필술포
닐메탄, 비스이소프로필술포닐메탄, 비스-p-톨루엔술포닐메탄, 비스벤젠술포닐 메탄 등의 비스술폰 유도체, 2-시클로헥
실카르보닐-2-(p-톨루엔술포닐)프로판, 2-이소프로필카르보닐-2-(p-톨루엔술포닐)프로판 등의 β-케토술폰 유도체,
디페닐디술폰, 디시클로헥실디술폰 등의 디술폰 유도체, p-톨루엔술폰산 2,6-디니트로벤질, p-톨루엔술폰산 2,4-디니
트로벤질 등의 니트로벤질술포네이트 유도체, 1,2,3-트리스(메탄술포닐옥시)벤젠, 1,2,3-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
닐옥시)벤젠, 1,2,3-트리스(p-톨루엔술포닐옥시)벤젠 등의 술폰산 에스테르 유도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에탄술폰산 에스테르, N-
히드록시숙신이미드 1-프로판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2-프로판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
드 1-펜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옥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p-톨루엔술폰산 에
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p-메톡시벤젠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2-클로로에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벤젠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2,4,6-트리메틸벤젠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1-나프탈렌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2-나프탈렌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2-페닐숙신
이미드 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말레이미드 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말레이미드 에탄술폰산 에스테
르, N-히드록시-2-페닐말레이미드 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글루탈이미드 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글
루탈이미드 벤젠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벤젠술폰산 에스
테르,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프탈이미드 p-톨루엔술폰산 에스테르, N-
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 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 벤젠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
-2,3-디카르복시이미드 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트리플루오로메탄술
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p-톨루엔술폰산 에스테르 등의 N-히드록시이미드 화
합물의 술폰산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 디페닐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스(p-tert-부톡시페닐) 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트리
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p-tert-부톡시페닐) 디페닐술포늄, p-톨루엔술폰산 트리스(p-tert-부톡시페닐) 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트리나프틸술포늄,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 시클로헥실메틸 (2-옥소시클로헥실) 술포늄, 트리
플루오로메탄술폰산 (2-노르보닐)메틸 (2-옥소시클로헥실) 술포늄, 1,2'-나프틸카르보닐메틸 테트라히드로티오페늄 트
리플레이트 등의 오늄염, 비스(벤젠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p-톨루엔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시클로헥실술포닐)디아조
메탄, 비스(n-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sec-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n-프로
필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이소프로필술포닐)디아조메탄, 비스(tert-부틸술포닐)디아조메탄 등의 디아조메탄 유도체, 비
스-0-(p-톨루엔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비스-O-(n-부탄술포닐)-α-디메틸글리옥심 등의 글리옥심 유도체, 비스나
프틸술포닐메탄 등의 비스술폰 유도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트리플루오
로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프로판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2-프로판술폰산 에스
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펜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p-톨루엔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나
프탈이미드 메탄술폰산 에스테르, N-히드록시나프탈이미드 벤젠술폰산 에스테르 등의 N-히드록시이미드 화합물의 술폰
산 에스테르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산발생제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오늄염은 구형성 향상 효과가 우수하고, 디아조메탄 유도체 및 글리옥심 유도체는 정재파 저감 효과가 우수하기 때
문에, 양자를 조합함으로써 프로파일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발생제의 첨가량은 베이스 수지 100 부 (중량부, 이하 동일)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부, 보다 바람직하게
는 0.5 내지 8 부이다. 0.1 부보다 적으면 감도가 나쁜 경우가 있고, 15 부보다 많으면 투명성이 낮아져 해상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기 용제로서는 베이스 수지, 산발생제, 그 밖의 첨가제 등을 용해할 수 있는 유기 용제라면 어떠
한 것이든 좋다. 이러한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헥사논, 메틸-2-n-아밀케톤 등의 케톤류, 3-메톡시부탄올, 3-
메틸-3-메톡시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1-에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틸에
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
틸에테르 아세테이트, 젖산 에틸, 피루브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3-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아
세트산 tert-부틸, 프로피온산 tert-부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tert-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
고, 이들의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이
들 유기 용제 중에서도 레지스트 성분 중의 산발생제의 용해성이 가장 우수한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나 1-에톡시-
2-프로판올 외에 안전 용제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그의 혼합 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유기 용제의 사용량은 베이스 수지 100 부에 대하여 200 내지 1,000 부, 특히 400 내지 800 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재료에는, 본 발명의 고분자 화합물과는 별도의 고분자 화합물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 화합물과는 별도의 고분자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하기 화학식 39 내지 51 및(또는) 하기 화학식
52 내지 56으로 표시되는 단위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내지 500,000,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0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10-0501600
- 18 -
화학식 39

화학식 40

화학식 41

화학식 42

화학식 43

화학식 44

등록특허 10-0501600
- 19 -
화학식 45

화학식 46

화학식 47

화학식 48

화학식 49

등록특허 10-0501600
- 20 -
화학식 50

화학식 51

화학식 52

화학식 53

화학식 54

화학식 55

등록특허 10-0501600
- 21 -
화학식 56
식 중, R001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CH2CO2R003을 나타내고, R002는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CO2R003을 나타내고,
R003은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00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카르복시기 또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005 내지 R008 중 하나 이상은 탄소수 1 내지 15의 카
르복시기 또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
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005 내지 R008은 서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R005
내지 R008 중 하나 이상은 탄소수 1 내지 15의 카르복시기 또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나머지
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환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009는 탄소수 3 내
지 15의 -CO2- 부분 구조를 함유하는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010 내지 R013 중 하나 이상은 탄소수 2 내지 15의
-C02- 부분 구조를 함유하는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5
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010 내지 R013은 서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R010 내지
R013 중 하나 이상은 탄소수 1 내지 15의 -CO2 - 부분 구조를 함유하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각각 독
립적으로 단 결합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014는 탄소수 7 내지 15의
다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다환식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015는 산불안정기를 나타내고, R016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나타내고, R017은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는 CH2 또는 산
소 원자를 나타내고, k'는 0 또는 1이며, a1', a2', a3', b1', b2', b3', c1', c2', c3', d1', d2', d3', e'는 0 이상 1 미만의 수이
고, a1' a2' a3' b1' b2' b3' c1' c2' c3' d1' d2' d3' e'=1을 만족하고, f', g', h', i', j'는 0 이상 1 미만의 수이
고, f' g' h' i' j'=1를 만족한다.
또한, 각각의 기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R1 내지 R1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 화합물과는 별도의 고분자 화합물의 배합 비율은 10:90 내지 90:10, 특히 20:80 내지 80:20의 중량비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 화합물의 배합비가 이보다 적으면, 레지스트 재료로서 바람직한 성
능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배합 비율을 적절히 변화시킴으로써 레지스트 재료의 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1종으로 한정되지 않고, 2종 이상을 첨가할 수 있다. 복수종의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함으로
써 레지스트 재료의 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지스트 재료에는 용해 제어제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용해 제어제로서는 평균 분자량이 100 내지 1,000, 바람
직하게는 150 내지 800이고, 동시에 분자 내에 페놀성 수산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의 상기 페놀성 수산기의 수소 원자
를 산불안정기에 의해 전체적으로 평균 0 내지 100 몰%의 비율로 치환한 화합물, 또는 분자 내에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
물의 상기 카르복시기의 수소 원자를 산불안정기에 의해 전체적으로 평균 50 내지 100 몰%의 비율로 치환한 화합물을 배
합한다.
또한, 페놀성 수산기의 수소 원자의 산불안정기에 의한 치환율은 평균적으로 페놀성 수산기 전체의 0 몰% 이상, 바람직
하게는 30 몰% 이상이고, 그 상한은 10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몰%이다. 카르복시기의 수소 원자의 산불안정기에
의한 치환율은 평균적으로 카르복시기 전체의 5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몰% 이상이고, 그 상한은 100 몰%이다.
이 경우, 이러한 페놀성 수산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화학식 57 내지 70
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57

등록특허 10-0501600
- 22 -
화학식 58

화학식 59

화학식 60

화학식 61

화학식 62

화학식 63

화학식 64

화학식 65

등록특허 10-0501600
- 23 -
화학식 66

화학식 67

화학식 68

화학식 69

화학식 70
단, 식 중 R201, R20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20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또는 -(R207)hCOOH를 나타내고,
R204는 -(CH2)i-(i=2 내지 10),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카르보닐기, 술포닐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R205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카르보닐기, 술포닐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
타내고, R206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각각 수산기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207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208은 수소 원자 또
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j는 O 내지 5의 정수이고, u, h는 0 또는 1이며, s, t, s', t', s'', t''는 각각 s t=8, s' t'=5, s''
t''=4를 만족하고, 동시에 각 페닐 골격 중에 하나 이상을 수산기를 갖는 수이고, α는 화학식 64 및 65의 화합물의 분자량
을 100 내지 1,000으로 하는 수이다.
상기 식 중 R201, R202로서는 예를 들면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프로필기, 에티닐기, 시클로헥실기, R203으로
서는 예를 들면 R201, R202와 동일한 것, 또는 -COOH, -CH2COOH, R204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기, 페닐렌기, 카르보닐
기, 술포닐기, 산소 원자, 황 원자 등, R205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렌기, 또는 R204와 동일한 것, R206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
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프로필기, 에티닐기, 시클로헥실기, 각각 수산기로 치환된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용해 제어제의 산불안정기로서는 하기 화학식 20 내지 23으로 표시되는 기, 탄소수 4 내지 20의 3급 알킬기,
각 알킬기의 탄소수가 각각 1 내지 6의 트리알킬실릴기, 탄소수 4 내지 20의 옥소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0>

등록특허 10-0501600
- 24 -
<화학식 21>

<화학식 22>

<화학식 23>

식 중, RL01, RL0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8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L03은 탄소수
1 내지 18의 산소 원자 등의 헤테로 원자를 가질 수도 있는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L01과 RL02, RL01과 RL03,
RL02와 RL03은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환을 형성하는 경우 RL01, RL02, RL03은 각각 탄소수 1 내지 18의 직쇄상 또는 분
지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L04는 탄소수 4 내지 20의 3급 알킬기, 각 알킬기가 각각 탄소수 1 내지 6의 트리알킬실릴
기, 탄소수 4 내지 20의 옥소알킬기 또는 상기 화학식 20으로 표시되는 기를 나타내고, RL05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치환될 수도 있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RL06은 탄소수 1 내지 8의 직
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치환될 수도 있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RL07 내지 RL1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15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는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L07 내지
RL16은 서로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탄소수 1 내지 15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할 수도 있는 2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또한, RL07 내지 RL16은 인접하는 탄소에 결합하는 것들이 직접 결합하여 이중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a는
0 내지 6의 정수이고, m은 0 또는 1, n은 0, 1, 2, 3 중 어느 하나이고, 2m n=2 또는 3을 만족하는 수이다.
상기 용해 제어제의 배합량은 베이스 수지 100 부에 대하여 0 내지 50 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부, 보다 바람직하게
는 10 내지 30 부이고,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배합량이 5 부 미만이면 해상성이 향상하지 않
는 경우가 있고, 50 부를 넘으면 패턴의 막 감소가 발생하여 해상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용해 제어제는 페놀성 수산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화합물에 대하여, 유기 화학적 처방을 이용하여
산불안정기를 도입함으로써 합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레지스트 재료에는 염기성 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산발생제로부터 발생하는 산이 레지스트막으로 확산될 때의 확산 속도를 억제할 수 있는 화합물이
적합하다. 염기성 화합물의 배합에 의해, 레지스트막에서의 산의 확산 속도가 억제되어 해상도가 향상되고, 노광 후의 감
도 변화를 억제하거나, 기판이나 환경 의존성을 적게 하여 노광 여유도나 패턴 프로파일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염기성 화합물로서는 1급, 2급, 3급의 지방족 아민류, 혼성 아민류, 방향족 아민류, 복소환 아민류, 카르복시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술포닐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수산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히드록시페닐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알코올성 질소 함유 화합물, 아미드 유도체, 이미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급 지방족 아민류로서 암모니아, 메틸아민, 에틸아민, n-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이소
부틸아민, sec-부틸아민, tert-부틸아민, 펜틸아민, tert-아밀아민, 시클로펜틸아민, 헥실아민, 시클로헥실아민, 헵틸아
민, 옥틸아민, 노닐아민, 데실아민, 도데실아민, 세틸아민, 메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등이 예시되
고, 2급 지방족 아민류로서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디-n-프로필아민, 디이소프로필아민, 디-n-부틸아민, 디이소부틸아
민, 디-sec-부틸아민, 디펜틸아민, 디시클로펜틸아민, 디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디헵틸아민, 디옥틸아민, 디노닐아
민, 디데실아민, 디도데실아민, 디세틸아민, N,N-디메틸메틸렌디아민,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N,N-디메틸테트라에틸
렌펜타민 등이 예시되고, 3급 지방족 아민류로서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프로필아민, 트리이소프로필아민,
트리-n-부틸아민, 트리이소부틸아민, 트리-sec-부틸아민, 트리펜틸아민, 트리시클로펜틸아민, 트리헥실아민, 트리시클
로헥실아민, 트리헵틸아민, 트리옥틸아민, 트리노닐아민, 트리데실아민, 트리도데실아민, 트리세틸아민, N,N,N',N'-테트
라메틸메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테트라에틸렌펜타민 등이 예시된다.
등록특허 10-0501600
- 25 -
또한, 혼성 아민류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에틸아민, 메틸에틸프로필아민, 벤질아민, 페네틸아민, 벤질디메틸아민 등이
예시된다. 방향족 아민류 및 복소환 아민류의 구체예로서는 아닐린 유도체 (예를 들면 아닐린, N-메틸아닐린, N-에틸아닐
린, N-프로필아닐린, N,N-디메틸아닐린, 2-메틸아닐린, 3-메틸아닐린, 4-메틸아닐린, 에틸아닐린, 프로필아닐린, 트리
메틸아닐린, 2-니트로아닐린, 3-니트로아닐린, 4-니트로아닐린, 2,4-디니트로아닐린, 2,6-디니트로아닐린, 3,5-디니트
로아닐린, N,N-디메틸톨루이딘 등), 디페닐(p-톨릴)아민, 메틸디페닐아민, 트리페닐아민, 페닐렌디아민, 나프틸아민, 디
아미노나프탈렌, 피롤 유도체 (예를 들면 피롤, 2H-피롤, 1-메틸피롤, 2,4-디메틸피롤, 2,5-디메틸피롤, N-메틸피롤
등), 옥사졸 유도체 (예를 들면 옥사졸, 이소옥사졸 등), 티아졸 유도체 (예를 들면 티아졸, 이소티아졸 등), 이미다졸 유도
체 (예를 들면 이미다졸, 4-메틸이미다졸, 4-메틸-2-페닐이미다졸 등), 피라졸 유도체, 푸라잔 유도체, 피롤린 유도체 (예
를 들면 피롤린, 2-메틸-1-피롤린 등), 피롤리딘 유도체 (예를 들면 피롤리딘, N-메틸피롤리딘, 피롤리디논, N-메틸피롤
리돈 등), 이미다졸린 유도체, 이미다졸리딘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 (예를 들면 피리딘, 메틸피리딘, 에틸피리딘, 프로필피
리딘, 부틸피리딘, 4-(1-부틸펜틸)피리딘, 디메틸피리딘, 트리메틸피리딘, 트리에틸피리딘, 페닐피리딘, 3-메틸-2-페닐
피리딘, 4-tert-부틸피리딘, 디페닐피리딘, 벤질피리딘, 메톡시피리딘, 부톡시피리딘, 디메톡시피리딘, 1-메틸-2-피리
딘, 4-피롤리디노피리딘, 1-메틸-4-페닐피리딘, 2-(1-에틸프로필)피리딘, 아미노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 피리
다진 유도체, 피리미딘 유도체, 피라진 유도체, 피라졸린 유도체, 피라졸리딘 유도체, 피페리딘 유도체, 피페라진 유도체,
모르폴린 유도체, 인돌 유도체, 이소인돌 유도체, 1H-인다졸 유도체, 인돌린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 (예를 들면 퀴놀린, 3-
퀴놀린카르보니트릴 등), 이소퀴놀린 유도체, 신놀린 유도체, 퀴나졸린 유도체, 퀴녹살린 유도체, 프탈라진 유도체, 푸린
유도체, 프테리딘 유도체, 카르바졸 유도체, 페난트리딘 유도체, 아크리딘 유도체, 페나딘 유도체, 1,10-페난트롤린 유도
체, 아데닌 유도체, 아데노신 유도체, 구아닌 유도체, 구아노신 유도체, 우라실 유도체, 우리딘 유도체 등이 예시된다.
또한, 카르복시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벤조산, 인돌카르복실산, 아미노산 유도체 (예를 들면
니코틴산,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로이신, 글리실로이신, 로이신, 메틸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리진, 3-아미노피라진-2-카르복실산, 메톡시알라닌) 등이 예시되고, 술포닐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로서 3-피리딘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피리디늄 등이 예시되며, 수산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히드록시페닐기
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알코올성 질소 함유 화합물로서는 2-히드록시피리딘, 아미노크레졸, 2,4-퀴놀린디올, 3-인돌
메탄올히드레이트,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N,N-디에틸에탄올아민, 트리
이소프로판올아민, 2,2'-이미노디에탄올, 2-아미노에탄올, 3-아미노-1-프로판올, 4-아미노-1-부탄올, 4-(2-히드록시
에틸)모르폴린, 2-(2-히드록시에틸)피리딘, 1-(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 1-[2-.2-히드록시에톡시)에틸]피페라진, 피
페리딘에탄올, 1-(2-히드록시에틸)피롤리딘, 1-(2-히드록시에틸)-2-피롤리디논, 3-피페리디노-1,2-프로판디올, 3-피
롤리디노-1,2-프로판디올, 8-히드록시유로리진, 3-퀴누클리딘올, 3-트로판올, 1-메틸-2-피롤리딘에탄올, 1-아지리딘
에탄올, N-(2-히드록시에틸)프탈이미드, N-(2-히드록시에틸)이소니코틴아미드 등이 예시된다. 아미드 유도체로서는 포
름아미드, N-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트아미드, N-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프로피온아미드, 벤즈아미드 등이 예시된다. 이미드 유도체로서는 프탈이미드, 숙신이미드, 말레이미드 등이 예시된다.
또한, 하기 화학식 71 내지 76으로 표시되는 염기성 화합물을 배합할 수도 있다.

화학식 71

화학식 72

화학식 73

화학식 74
등록특허 10-0501600
- 26 -

화학식 75

화학식 76
식 중, R301, R302, R303, R307, R308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렌기를 나
타내고, R304, R305, R306, R309 , R3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
기 또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R304와 R305, R304와 R306, R305 와 R306, R304와 R305와 R306, R309와 R310은 각각 결합하
여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R304, R305, R 306, R309, R310은 상기 조건의 기로부터 수소 원자를 1개 또는 2개 제
외한 2가 또는 3가의 기를 나타내고, S, T, U는 각각 0 내지 20의 정수이며, 단 S, T, U=0일 때 R304, R305, R306 , R309,
R310은 수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고, R31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312는 각각 독립적
으로 -(C=O)-, -(C=O)O- 또는 -O(C=O)O-의 부분 구조 중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분지
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13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
내고, R3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0-, -
(C=0)-, -(C=0)0- 또는 -0(C=0)0-의 부분 구조 중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고, R312끼리, R312와 R313, R314끼
리, R313과 R314는 각각 결합하여 환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R312, R313, R314는 상기 조건의 기로부터 수소 원자
를 1개 또는 2개 제외한 2가 또는 3가의 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R301, R302, R303, R307, R308의 알킬렌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
는 1 내지 8의 것이고, 이들은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틸렌, 에틸렌, n-프로
필렌, 이소프로필렌, n-부틸렌, 이소부틸렌, n-펜틸렌, 이소펜틸렌, 헥실렌, 노닐렌, 데실렌, 시클로펜틸렌, 시클로헥실렌
등을 들 수 있다.
R304, R305, R306, R309, R310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의
것이고, 이들은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
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n-펜틸, 이소펜틸, 헥실, 노닐, 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을 들 수 있
다. R304와 R305, R304와 R 306, R305와 R306, R304와 R305와 R306, R309와 R310이 환을 형성하는 경우, 그 환의 탄소수는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이고, 이들 환에는 탄소수 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의 알킬기가 현수될 수도 있다.
S, T, U는 각각 0 내지 20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의 정수이다.
R311의 알킬렌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의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메틸렌, 에틸렌, n-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n-부틸렌, 이소부틸렌, n-펜틸렌, 이소펜틸렌 등을 들 수 있다.
R312의 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포르밀, 아세틸, 피발로일,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메톡시
카르보닐메틸, 에톡시카르보닐메틸, 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 2-옥소옥솔란-3-일, 2-옥소-5-메틸옥솔란-5-일, 2-옥
소-1, 3-디옥솔란-4-일메틸 등을 들 수 있다.
R313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의 것이고, 이들은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R304, R305, R306, R309, R310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R314의 알킬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의 것이고, 이들은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R304, R305, R306, R309, R310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R314
는 -O-, -(C=O)-, -(C=O)O- 또는 -O(C=O)O-의 부분 구조 중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의 R314로서
는 구체적으로 메톡시메틸, 1-에톡시에틸, 테트라히드로피란-2-일, 포르밀, 아세틸, 피발로일,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
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메톡시카르보닐메틸, 에톡시카르보닐메틸, tert-부톡시카르보닐메틸, 2-옥소옥솔란-3-
일, 2-옥소-5-메틸옥솔란-5-일, 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 등을 들 수 있다.
등록특허 10-0501600
- 27 -
R312끼리, R312와 R313, R314끼리, R313과 R314 가 환을 형성하는 경우, 그 환의 탄소수는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 내
지 8,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이고, 이들 환에는 탄소수 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의 알킬기가 현수될 수도 있
다.
상기 화학식 71 내지 76의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 트리스(2-메톡시메톡시에틸)아민, 트리스{2-(2-메톡시에톡시)에
틸}아민, 트리스{2-(2-메톡시에톡시메톡시)에틸}아민, 트리스{2-(1-메톡시에톡시)에틸}아민, 트리스{2-(1-에톡시에
톡시)에틸}아민, 트리스{2-(1-에톡시프로폭시)에틸}아민, 트리스[2-{2-(2-히드록시에톡시)에톡시}에틸]아민,
4,7,13,16,21,24-헥사옥사-1,10-디아자비시클로[8.8.8]헥사코산, 4,7,13,18-테트라옥사-1,10-디아자비시클로
[8.5.5]에이코산, 1,4,10,13-테트라옥사 -7,16-디아자비시클로옥타데칸, 1-아자-12-크라운-4, 1-아자-15-크라운-5,
1-아자-18-크라운-6, 트리스(2-포르밀옥시에틸)아민, 트리스(2-아세톡시에틸)아민, 트리스(2-에틸카르보닐에틸)아민,
트리스(2-피발로일옥시에틸)아민, 트리스(2-메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아민, 트리스(2-에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아민, 트
리스(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아민, 트리스(2-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에틸)아민, 트리스(2-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
메톡시에틸)아민, 트리스(2-메톡시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에틸)아민, 트리스{2-(1-에톡시에톡시카르보닐메톡시)에틸}아
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기성 화합물 중, 특히 3급 아민, 아닐린 유도체, 피롤리딘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 퀴놀린 유도체, 아미노산 유도
체, 수산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히드록시페닐기를 갖는 질소 함유 화합물, 알코올성 질소 함유 화합물, 아미드 유도
체, 이미드 유도체, 트리스(2-메톡시메톡시에틸)아민, 트리스{2-(2-메톡시에톡시)에틸}아민, 트리스{2-(2-메톡시에톡
시메톡시)에틸}아민, 트리스(2-아세톡시에틸)아민, 1-아자-15-크라운-5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기성 화합물의 배합량은 산발생제 1 부에 대하여 0.001 내지 10 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부이다. 배합량이
0.001 부 미만이면 첨가제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10 부를 넘으면 해상도나 감도가 저하하는 경우
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지스트 재료에는 분자 내에 ≡C-COOH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
분자내에 ≡C-COOH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I 군 및 II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
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성분의 배합에 의해 레지스트의 PED 안정성이 향상되고,
질화막 기판상에서의 엣지 거칠기가 개선되는 것이다.
[I 군]
하기 화학식 77 내지 8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페놀성 수산기의 수소 원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R401-COOH (R401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에 의해 치환하여 이루어지고, 동시에 분자 중의 페놀성 수산기 (C)와
≡C-COOH로 표시되는 기 (D)와의 몰 비율이 C/(C D)=0.1 내지 1.0인 화합물.
[II 군]
하기 화학식 87 내지 9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77

화학식 78

화학식 79

등록특허 10-0501600
- 28 -
화학식 80

화학식 81

화학식 82

화학식 83

화학식 84

화학식 85

화학식 86
단, 식 중 R408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02, R403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R40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또는 -(R409)h-COOR'기 (R'는 수소 원자 또는 -R409-COOH)을 나타내고, R405는 -(CH2)i- (i=2 내지 10), 탄
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카르보닐기, 술포닐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R406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렌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렌기, 카르보닐기, 술포닐기, 산소 원자 또는 황 원자를 나타내고, R407은 수소 원자 또는 탄
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알케닐기, 각각 수산기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를 나타내고, R409
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R410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또
는 분지상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 또는 -R411-COOH기를 나타내고, R411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j는 0 내지 5의 정수이고, u, h는 0 또는 1이며, s1, t1, s2, t2, s3, t3, s4, t4는 각각 s1 t1=8,
s2 t2=5, s3 t3=4, s4 t4=6를 만족하고, 동시에 각 페닐 골격 중에 하나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수이고, κ는 화학식 82
의 화합물을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내지 5,000으로 하는 수이고, λ는 화학식 83의 화합물을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내
지 10,O00으로 하는 수이다.
등록특허 10-0501600
- 29 -

화학식 87

화학식 88

화학식 89

화학식 90

화학식 91
R402, R403, R41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고, R412는 수소 원자 또는 수산기를 나타내고, s5, t5는 s5≥0, t5≥0이
며, s5 t5=5를 만족하는 수이고, h'는 0 또는 1이다.
본 성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92 내지 105 및 106 내지 1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92

화학식 93

화학식 94
등록특허 10-0501600
- 30 -

화학식 95

화학식 96

화학식 97

화학식 98

화학식 99

화학식 100

화학식 101

화학식 102

등록특허 10-0501600
- 31 -
화학식 103

화학식 104

화학식 105
R''는 수소 원자 또는 CH2COOH기를 나타내고, 각 화합물에 있어서 R''의 10 내지 100 몰%는 CH2COOH기이고, α, κ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화학식 106

화학식 107

화학식 108

화학식 109

화학식 110

화학식 111

등록특허 10-0501600
- 32 -
화학식 112

화학식 113

화학식 114

화학식 115
또한, 상기 분자 내에 ≡C-COOH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자 내에 ≡C-COOH로 표시되는 기를 갖는 화합물의 첨가량은 베이스 수지 100 부에 대하여 0 내지 5 부, 바람직
하게는 0.1 내지 5 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 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 부이다. 5 부보다 많으면 레지스
트 재료의 해상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지스트 재료에는 첨가제로서 아세틸렌알코올 유도체를 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존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아세틸렌알코올 유도체로서는 하기 화학식 116 및 117로 표시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16

화학식 117
식 중, R501, R502, R503, R504, R505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직쇄상, 분지상 또는 환상의 알킬기이고,
X, Y는 0 또는 양수를 나타내며 0≤X≤30, 0≤Y≤30, 0≤X Y≤40의 식을 만족한다.
아세틸렌알코올 유도체로서 바람직하게는 서피놀 61, 서피놀 82, 서피놀 104, 서피놀 104E, 서피놀 104H, 서피놀
104A, 서피놀 TG, 서피놀 PC, 서피놀 440, 서피놀 465, 서피놀 485 (에어 프로덕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