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의 글로브 박스(Glove box for vehicles)
(19)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51) 。Int. Cl.
B60R 7/06 (2006.01)
(45) 공고일자
(11) 등록번호
(24) 등록일자
2006년03월14일
10-0558737
2006년03월02일
(21) 출원번호 10-2004-0047139 (65) 공개번호 10-2005-0122014
(22) 출원일자 2004년06월23일 (43) 공개일자 2005년12월28일
(73) 특허권자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231
(72) 발명자 장한주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개동 500-1 주공APT 504-501
(74) 대리인 맹선호
심사관 : 정용모
(54) 차량의 글로브 박스
요약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시에 조수석 탑승자의 무릎 상해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으로,
록킹유니트(111)가 구비되는 커버부(110)와, 이 커버부(110)를 지지하며 크래시 패드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인너하
우징(120)으로 구성되는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상기 인너하우징(120)에는 다수의 요홈(121)이 추가로 형성되어,
차량 충돌 시에 요홈을 따라 인너하우징이 파손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조수석 탑승자의 무릎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대표도
도 5
색인어
글로브 박스, 충돌, 완충, 인너하우징, 요홈, 노치부.
명세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크래시 패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글로브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
등록특허 10-0558737
- 1 -
도 4는 도 3의 B-B 선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글로브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C-C 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커버부 120 : 인너하우징
121 : 요홈 122 : 노치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충돌 시에 조수석 탑승자의 무릎 상해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크래시 패드 조립체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조수석 전방의 크래시 패드(10) 내에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박스 타입의 글로브 박스(20)가 구비된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종래의 승합 차량은 글로브 박스(20)가 위치하는 차량의 전방으로
공조유니트(30)와 대시패널(40)이 구비되며, 보닛 공간(50) 앞쪽으로 범퍼(60)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은 차량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그 충격은 범퍼(60), 보닛 공간(50), 대시패널(40), 공조유니
트(30), 및 글로브 박스(20)를 통해 조수석 탑승자에게 전달된다.
특히, 승합 차량의 경우에는 범퍼와 탑승자 사이의 거리가 짧으므로, 충격에 의해 글로브 박스가 크래시 패드(10)에서 탈
거되거나 스트라이커 고정부가 파손되어 글로브 박스가 개방될 수가 있으며, 개방된 글로브 박스는 조수석 탑승자의 무릎
과 충돌하여 심각한 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종래의 글로브 박스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종래의 글로브 박스는 커버부(31)와, 이 커버부(31)를 지지하며 크
래시 패드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인너하우징(32)으로 구성된다.
커버부(31)의 전면 상단에는 크래시 패드에 고정될 수 있도록 록킹유니트(33)가 구비된다.
도 4는 도 3의 B-B 선의 단면도로서, 인너하우징(32)의 상단 테두리에는 바깥으로 절곡된 플랜지(32a)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글로브 박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 글로브 박스를 통해 조수
석 탑승자의 무릎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인 예로써, 인너하우징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는 글로브 박스에 충격이 전달된 경우에 글로브 박스가
충격에 대해 강성 지지하므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조수석 탑승자의 무릎으로 충격을 그대로 전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글로브 박스는 차량 충돌 시에 글로브 박스로 전달되는 충격을 충분히 완충하지 못하고 조수석 탑승자의
무릎과 충돌하게 되므로, 탑승자 상해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등록특허 10-0558737
- 2 -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충돌 시에 글로브 박스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조수석 탑승자의 무릎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의 글로브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의 글로브 박스는 록킹유니트가 구비되는 커버부와, 이 커버부를 지지하며 크래시 패드에 회동 가능
하게 조립되는 인너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상기 인너하우징에는 다수의 요홈이 추가로 형성
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글로브 박스는 록킹유니트가 구비되는 커버부(110)와, 이 커버부(110)를 지지
하며 크래시 패드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인너하우징(120)으로 구성되는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상기 인너하우
징(120)에는 다수의 요홈(121)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부(110)의 전면 상단에는 크래시 패드에 고정될 수 있도록 록킹유니트(111)가 구비된다.
인너하우징(120)에는 장공의 요홈(121)이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강성이 약한 요홈(121)을 따라 인너하
우징(120)이 파손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인너하우징(120)에 형성되는 요홈(121)의 폭, 또는 형상이나 위치는 글로브 박스의 형상이나 크기에 적절히 결정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요홈(121)이 형성된 인너하우징(120)의 상단 테두리에는 경사 형성된 노치부(122)가 추가로 형성
되어, 외부 충격이 인가된 경우에 인너하우징 내측으로 요홈(121)을 따라 파단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인너하우징(120)의 상단 테두리는 종래와는 달리 플랜지부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글로브 박스는 차량 충돌이 발생하여 충격이 차량의 각 부품 등을 통해 글로브 박스로
전달되면, 인너하우징(120)에 형성된 요홈(121) 부분에서 파단이 이루어지면서 인너하우징(120)이 파손되어 충격을 흡수
한다.
또한, 인너하우징(120)이 먼저 파손되면서 글로브 박스의 커버부가 이탈되거나 록킹유니트가 해제되어 글로브 박스가 개
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수석 탑승자의 무릎 상해치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글로브 박스는 글로브 박스의 인너하우징 내에 일정 크기 이상의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파단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 충돌 시에 조수석 탑승자의 무릎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57)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록킹유니트가 구비되는 커버부와, 이 커버부를 지지하며 크래시 패드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인너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차량의 글로브 박스에 있어서,
상기 인너하우징에는 다수의 요홈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글로브 박스.
등록특허 10-0558737
- 3 -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이 형성된 인너하우징의 상단 테두리에는 경사 형성된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
량의 글로브 박스.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0558737
- 4 -
도면3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0558737
- 5 -
도면6
등록특허 10-0558737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