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방법 및 그 직조기(WEAVING METHOD OF 3LAYER FABRICS FOR TEXTILE BLINDS AND LOOM THEREOF)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09년09월30일
(11) 등록번호 10-0919112
(24) 등록일자 2009년09월21일
(51) Int. Cl.
D03D 11/00 (2006.01) D03D 23/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07-0102772
(22) 출원일자 2007년10월11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10월11일
(65) 공개번호 10-2009-0037229
(43) 공개일자 2009년04월1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05287635 A
JP2006336146 A
JP2001172841 A
US20060157136 A1
(73) 특허권자
오세진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 350 성서삼성한국형아
파트 112-702
(72) 발명자
오세진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 350 성서삼성한국형아
파트 112-702
(74) 대리인
백홍기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박세영
(54)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방법 및 그 직조기
(57) 요 약
본 발명은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방법 및 그 직조기에 관한 것으로, 경사의 풀림과 장력을 제어하는 2개의
권취롤러A, B(110)(120)를 구성하여 각각 서보모터A, B(112)(122)에 의해 독립 제어 구동되도록 구성된 직물블라
인드용 3단원단 직조기(100)를 통하여, 제1, 제2, 제3경사(14)(16)(18)와 위사(12)를 정해진 순서대로 직조하여
앞뒤 나란한 전, 후면통풍지(4)(8) 사이에 중간차광지(6)가 일체화 연결되도록 한꺼번에 직조하여 직물블라인드
용 3단원단(2)을 구성함으로써,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을 훨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 표 도 - 도2
- 1 -
등록특허 10-0919112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방법에 있어서,
제1, 제2, 제3경사(14)(16)(18)와 위사(12)를 이용해 정해진 순서대로 직조하여 앞뒤 나란한 전, 후면통풍지
(4)(8) 사이에 중간차광지(6)가 일체화 연결된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2)을 형성하되,
제1경사(14)와 제2경사(16)가 함께 한 경사와 저데니어 위사(12)를 사용하여 한 칸의 전면통풍지(4)를 직조한
후에,
제1,2경사(14)(16)를 따로 분리하여 제1경사(14)는 저데니어 위사(12)와 직조하여 다른 한 칸의 전면통풍지(4)
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경사(16)로는 고데니어 위사(12)와 직조하여 중간차광지(6)의 한 칸을 형성하고,
이어서 제2경사(16)와 제3경사(18)가 함께 한 경사와 저데니어 위사(12)를 사용하여 후면통풍지(8)의 한 칸을
직조한 후에,
제2,3경사(16)(18)를 따로 분리하여 제3경사(18)는 저데니어 위사(12)와 직조하여 다른 한 칸의 후면통풍지(8)
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경사(16)는 고데니어 위사(12)와 직조하여 중간차광지(6)의 한 칸을 직조하며,
상기의 직조 과정들을 반복하여서 3단원단이 완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방법.
청구항 2
직조기에 있어서,
각 경사빔(104)(106)(108)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제2,제3경사(14)(16)(18)들이 위사와 제직시 풀림과 장력을 제
어하는 2개의 권취롤러A,B(110)(120)에 연결되어 각각 서보모터A, B(112)(122)에 의해 독립 제어 구동되도록 하
되, 상기 권취롤러B(120)는 서보모터B(122)의 구동 제어로부터 제1경사(14)와 제2경사(16)가 동시에 풀림과 장
력이 제어되게 하고, 권취롤러A(110)는 서보모터A(112)의 구동 제어로부터 제2경사(16)와 제3경사(18)가 동시에
풀림과 장력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2경사(16)는 권취롤러A(110)의 서보모터A(112)와 권취롤러B(120)의
서보모터B(122)에 의하여 모두 구동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기.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러A, B(110)(120) 및 상기 제1, 제3경사빔(104)(108)은 각각 상하로 높이 차이를 두어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기.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직물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후면통풍지와 중간차광지가 일체화 구성된 직물블라인드용 3<1>
단원단을 한번에 직조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방법 및 그 직조기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블라인드(blind)는 베니션 블라인드(venetion blind)를 일컫는 것으로, 창이나 문의 전면에 설치하<2>
여 주로 차광, 통풍, 보온, 방음 및 사생활 보호(외부 시선 차단) 등의 용도로 사용한다.
통상적인 블라인드는 얇고 좁은 금속판, 나무판, 플라스틱판을 일정간격으로 길게 늘어뜨려 제조한 것이다. 이<3>
러한 블라인드는 권취봉의 하부로 펼쳐지는 양 조절이 가능하고 빛의 유입량과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므
로, 기존의 커튼(curtain)과 달리 태양광과 바람이 실내로 들어오는 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근래에는 블라인드가 폴리에스테르 등 천이나 종이로도 제조되어서 사무실이나 가정 등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되<4>
- 2 -
등록특허 10-0919112
고 있는데, 특히 직물블라인드는 세탁이 가능하여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좋고, 원단의 조직, 패턴 및 색상에 따
라 그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어 인테리어 하기에도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직물블라인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통풍을 주목적으로 하는 전, 후면부분 원단과 차광을 주목적으로<5>
하는 중간부분 원단을 각각 직조(weaving)하고, 이들을 접착이나 재봉 등의 방법으로 연결 구성하는 과정을 거
쳐야 하였다. 따라서,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고가의 제품이 될 수밖에 없고 통상의
커튼과는 다른 여러 장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 특허출원 제10-2006-0117059호에서, 원사를 이용하여 블라인드 원단으로 제직하되 전면 망사형 커튼<6>
지와 후면 망사형 커튼지 및 차광 커튼지를 각각으로 형성하고 상기 각 커튼지는 전방 연결 매듭 및 후방 연결
매듭과 일체로 제직되는 제직 연결 위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경사 및 위사의 연결방법으로 제직되는 블라인
드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 특허는, 제직 연결 위사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서 이 제직 연결 위사를 작업자가 일일이<7>
절단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결국, 전면 및 후면 망사형 커튼지와 차광 커튼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더라도 그 후에 일일이 제직 연결 위사를 잘라주어야 하는 작업이 생산성 향상에
걸림돌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블라인드의 전,후면통풍지와 중간차광지를 한 번의 직조과정을 통하여 한꺼번에 일체화<8>
되게 신속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생산성 및 가격경쟁력을 현격히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직물블라
인드용 3단원단의 직조방법 및 그 직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물블라인드의 전,후통풍지와 중간차광지 각각의 색상이나 패턴 등을 통하여 디자인을<9>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의 직조방법 및 그 직
조기를 제공함에 있다.
과제 해결수단
이에, 본 발명은,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방법에 있어서, 제1, 제2, 제3경사(14)(16)(18)와 위사(12)를 이<10>
용해 정해진 순서대로 직조하여 앞뒤 나란한 전, 후면통풍지(4)(8) 사이에 중간차광지(6)가 일체화 연결된 직물
블라인드용 3단원단(2)을 형성하되, 제1경사(14)와 제2경사(16)가 함께 한 경사와 저데니어 위사(12)를 사용하
여 한 칸의 전면통풍지(4)를 직조한 후에, 제1,2경사(14)(16)를 따로 분리하여 제1경사(14)는 저데니어 위사
(12)와 직조하여 다른 한 칸의 전면통풍지(4)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경사(16)로는 고데니어 위사(12)와 직조하
여 중간차광지(6)의 한 칸을 형성하고, 이어서 제2경사(16)와 제3경사(18)가 함께 한 경사와 저데니어 위사(1
2)를 사용하여 후면통풍지(8)의 한 칸을 직조한 후에, 제2,3경사(16)(18)를 따로 분리하여 제3경사(18)는 저데
니어 위사(12)와 직조하여 다른 한 칸의 후면통풍지(8)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2경사(16)는 고데니어 위사(12)와
직조하여 중간차광지(6)의 한 칸을 직조하며, 상기의 직조 과정들을 반복하여서 3단원단이 완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직조기에 있어서, 각 경사빔(104)(106)(108)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제2,제3경사<11>
(14)(16)(18)들이 위사와 제직시 풀림과 장력을 제어하는 2개의 권취롤러A,B(110)(120)에 연결되어 각각 서보모
터A, B(112)(122)에 의해 독립 제어 구동되도록 하되, 상기 권취롤러B(120)는 서보모터B(122)의 구동 제어로부
터 제1경사(14)와 제2경사(16)가 동시에 풀림과 장력이 제어되게 하고, 권취롤러A(110)는 서보모터A(112)의 구
동 제어로부터 제2경사(16)와 제3경사(18)가 동시에 풀림과 장력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2경사(16)는
권취롤러A(110)의 서보모터A(112)와 권취롤러B(120)의 서보모터B(122)에 의하여 모두 구동제어될 수 있도록 구
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효 과
본 발명은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을 한꺼번에 신속 용이하게 직조할 수 있어 그 생산성 및 상품성을 높일 수<12>
있는 효과를 갖는다.
- 3 -
등록특허 10-0919112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은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기(100)를 통하여서 전면통풍지(4)와 중간차광지(6)와 후면통풍지(8)가<13>
일체화된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2)을 한꺼번에 신속 용이하게 직조하는 방법 및 그 직조기에 구성적 요부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14>
을 갖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의 직조방<15>
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기의 간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2)은 제1, 제2, 제3경사(14)(16)(18)와 위사(12)를 정해진 순서대로 연결 직<16>
조하여서 전면통풍지(4)와 중간차광지(6)와 후면통풍지(8) 각각이 일체화되게 한꺼번에 직조 구성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뒤로 나란하게 위<17>
치하는 전면통풍지(4)와 후면통풍지(8), 그리고 전,후면통풍지(4)(8) 사이에 중간차광지(6)를 전,후면통풍지
(4)(8)의 수직방향으로 일체화 연결 형성하되, 이 같은 구성을 반복하여서 전체 3단원단(2)을 형성한한다.
이때, 상기 전, 후면통풍지(4)(8)는 직물블라인드(200)의 원활한 통풍을 위하여 주로 저데니어의 위사(12)와 제<18>
1,제2,제3경사(14)(16)(18)를 사용하여 망사형으로 형성하고, 중간차광지(6)의 경우는 직물블라인드(200)의 효
과적인 차광 등을 위하여 고데니어의 위사(12)와 제2경사(16)를 사용하여 고밀도 짜임으로 직조 함으로써 3단원
단(2)이 제직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2)을 직조함에 있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경사(14)에<19>
제2경사(16)를 함께 한 경사와 망사형 저데니어 위사(12)를 사용하여 소정의 폭과 길이의 전면통풍지(4)의 한
칸(section)을 직조한다(도 2의 ①).
그 후 계속하여서 제1경사(14)와 제2경사(16)를 따로 분리 사용하여 전면통풍지(4)와 중간차광지(6) 각 한 칸을
직조하되, 따로 분리된 제1경사(14)와 망사형 저데니어 위사(12)로 다른 한 칸의 전면통풍지(4)를 직조하며(도
2의 ②), 동시에 제2경사(16)와 차광용 고데니어 위사(12)로 중간차광지(6) 한 칸을 직조한다(도 2의 ②′). 이
때, 저데니어 위사(12)와 고데니어 위사(12)는 전면통풍지(4)와 중간차광지(6)의 동시 제직을 위해 교호적으로
공급된다.
도 2의 ②, ②′에서 따로 분리된 제1경사(14)의 전면통풍지(4)와 따로 분리된 제2경사(16)의 중간차광지(6)를<20>
직조한 후, 제2경사(16)와 제3경사(18)가 함께 한 경사와 망사형 저데니어 위사(12)를 사용하여 전면통풍지(4)
의 한 칸과 동일한 크기(폭×길이)의 후면통풍지(8) 한 칸을 직조한다(도 2의 ③).
그런 후에 제3경사(18)와 제2경사(16)를 따로 분리 사용하여 후면통풍지(8)와 중간차광지(6) 각 한 칸을 직조하
되, 따로 분리된 제3경사(18)와 망사형 저데니어 위사(12)로 다른 한 칸의 후면통풍지(8)를 직조하며(도 2의
④), 동시에 제2경사(16)와 차광용 고데니어 위사(12)로 중간차광지(6) 한 칸을 직조한다(도 2의 ④′). 이때,
저데니어 위사(12)와 고데니어 위사(12)는 후면통풍지(8)와 중간차광지(6)의 동시 제직을 위해 교호적으로 공급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도 2의 ①→②,②′→③→④,④′)을 반복하게 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물블<21>
라인드용 3단원단(2)이 제직 완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따로 분리된 각 제1경사(14)와 제3경사(18)가 한 칸씩 번갈아 직조되는 전, 후면통풍지(4)(8)에<22>
서 그 경사 굵기 차이가 눈으로 인식할 정도로 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면통풍지(4)와 중간차광지(6)와 후면통풍
지(8) 각각의 크기를 포함하여 원단두께, 원사종류, 짜임새(조직), 패턴 등은 설치하는 장소나 창, 문, 그리고
사용목적, 사용자의 취향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직조방법으로 된 블라인드용 3단원단(2)은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기(100)를 통하<23>
여서 용이하게 직조 가능한 것인 바,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기(100)의 요부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기(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제1, 제2, 제3경사빔<24>
(104)(106)(108)으로부터 제1, 제2, 제3경사(14)(16)(18)가 제공되며 바디(140)를 통과하면서 투입 위사와 함
께 직조되는 것이다.
- 4 -
등록특허 10-0919112
그리고, 제1, 제2, 제3경사(14)(16)(18)를 각각 제어하여 당겨주고 장력(tension)을 조절하는 2개의 권취롤러<25>
A,B(110)(120)를 구비하되 2개의 권취롤러A,B(110)(120)는 각 서보모터A(112), 서보모터B(122)에 의해 독립 제
어 구동되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권취롤러A,B(110)(120) 및 제1,제3경사빔(104)(108)은 각각 상하로 높이 차이를 두어서<26>
구성하며, 권취롤러B(120)에 연결된 서보모터B(122)는 제1경사(14)와 제2경사(16)의 동시에 풀림(twirl)과 장력
등을 제어하고,권취롤러A(110)에 연결된 서보모터A(112)는 제2경사(16)와 제3경사(18)의 풀림과 장력 등을 제어
한다. 그러므로 제2경사(16)는 권취롤러A(110)의 서보모터A(112)와 권취롤러B(120)의 서보모터B(122)에 모두 구
동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기(100)는 권취롤러A,B(100)(120)에 대응하는 서보모
터A,B(112)(122)를 통해 번갈아 가면서 구동제어되어서 제1경사(14)와 제3경사(18)가 순차적으로 공급되어지며
또 제2경사(16)는 구동제어되고 있는 해당 권취롤러A,B(110)(120)에 의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진다.
또한, 상기 서보모터A, B(112)(122)가 블라인드용 3단원단(2)의 직조 순서(sequence) 및 작동(motion)을 정밀<27>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controler)(도면에 미도시)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의 본 발명 블라인드용 3단
원단 직조기(100)의 다른 구성부는 통상의 직조기와 유사 동일하게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직물블라인드 차광 시의 사시도 및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의 부분 확대도<28>
이고, 도 5는 도 4의 직물블라인드의 통풍 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2)으로써 도 4 및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권취작동부(도면에 미도시)를 갖<29>
도록 직물블라인드(200)를 구성한다.
따라서,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2) 전체를 상하로 감아 오르내릴 수 있고, 전면통풍지(4)나 후면통풍지(8)를<30>
중간차광지(6)의 길이 범위 내에서 오르내려서 중간차광지(6)의 차광 정도를 조절하여서 사용한다. 즉, 전, 후
면통풍지(8)의 오르내림을 조절하여 중간차광지(6)를 180° 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함으로써, 도 4에서처럼 직물
블라인드용 3단원단(2)이 겹쳐 차광이 많이 되도록 하거나, 도 5에서처럼 전, 후면통풍지(8) 사이 간격이 벌어
져서 차광은 덜되나 통풍이 잘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30)은 ‘가이드롤러 ’이고, (142)는 ‘북’이며, (150)은 ‘텐션롤러’이다.<31>
산업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2)을 한 번에 직조할 수 있어 직물블라인드(200)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으<32>
므로 직물블라인드(200)의 제조산업에 널리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의 사시도.<33>
도 2는 본 발명의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의 직조방법을 보여주는 도면.<34>
도 3은 본 발명의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기의 간략 구성도.<35>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직물블라인드 차광 시의 사시도 및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의 부분 확대<36>
도.
도 5는 도 4의 직물블라인드의 통풍 시의 사시도.<37>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38>
(2) ―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4) ― 전면통풍지<39>
(6) ― 중간차광지 (8) ― 후면통풍지<40>
(12) ― 위사 (14) ― 제1경사<41>
(16) ― 제2경사 (18) ― 제3경사<42>
(100) ―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기<43>
- 5 -
등록특허 10-0919112
(104) ― 제1경사빔 (106) ― 제2경사빔<44>
(108) ― 제3경사빔 (110) ― 권취롤러A<45>
(112) ― 서보모터A (120) ― 권취롤러B<46>
(122) ― 서보모터B (200) ― 직물블라인드<47>
도면
도면1
- 6 -
등록특허 10-0919112
도면2
도면3
- 7 -
등록특허 10-0919112
도면4
- 8 -
등록특허 10-0919112
도면5
- 9 -
등록특허 10-0919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