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실 및 이것을 사용하는 방법(SEAL USED FOR ELECTRIC CONNECTO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4. 2. 21:02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9월20일
(11) 등록번호 10-1658158
(24) 등록일자 2016년09월09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H01R 13/52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0181394
(22) 출원일자 2014년12월16일
심사청구일자 2014년12월16일
(65) 공개번호 10-2015-0073849
(43) 공개일자 2015년07월01일
(30) 우선권주장
JP-P-2013-264075 2013년12월20일 일본(JP)
(뒷면에 계속)
(56) 선행기술조사문헌
JP2007127206 A*
JP2011054394 A*
JP2012114052 A*
JP2013197084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일본국, 교토 612-8024, 교토-시, 후시미-쿠, 모
모야마-쵸, 네고로, 12-4
(72) 발명자
엔도 타카요시
일본 4200857 시즈오카 시즈오카시 아오이쿠 미유
키초 11-30 엑셀워드 시즈오카 빌딩 10층 다이-이
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내
진노우치 쇼고
일본 8160912 후쿠오카 오노조시 미카사가와
6-4-1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내
하마치 히사시
일본 8160912 후쿠오카 오노조시 미카사가와
6-4-1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내
(74) 대리인
송봉식, 정삼영
전체 청구항 수 : 총 9 항 심사관 : 진수영
(54) 발명의 명칭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실 및 이것을 사용하는 방법
(57) 요 약
케이싱(30)의 벽(321)에 형성된 제1 개구(31)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한 파트(11)를 갖는 전기 커넥터(1)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파트(11)의 외면과 제1 개구(3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는 실(40)로서, 상기 제1 개
구(31)의 내부 가장자리와 형상이 전체 또는 일부가 동일한 내부 에지를 갖는 제2 개구(41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개구(41b)가 상기 제1 개구(31)와 겹쳐지도록 상기 벽 위에 놓인 평면부(41); 및 상기 평면부(41)로부
터 뻗고 상기 파트(11)의 외면과 상기 제1 개구(31)의 내면과 밀착된 패킹부(42)를 포함하는 실(40).
대 표 도
등록특허 10-1658158
- 1 -
(30) 우선권주장
JP-P-2013-264180 2013년12월20일 일본(JP)
JP-P-2014-004432 2014년01월14일 일본(JP)
등록특허 10-1658158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케이싱(30)의 벽(321)에 형성된 제1 개구(31)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한 파트(11)를 갖는 전기 커넥터(1)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파트(11)의 외면과 제1 개구(3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는 실(40)로서,
상기 제1 개구(31)의 내부 가장자리와 형상이 전체 또는 일부가 동일한 내부 에지를 갖는 제2 개구(41b)가 형성
되어 있고, 상기 제2 개구(41b)가 상기 제1 개구(31)와 겹쳐지도록 상기 벽(321) 위에 놓인 평면부(41); 및
상기 평면부(41)로부터 뻗고 상기 파트(11)의 외면과 상기 제1 개구(31)의 내면과 밀착된 패킹부(42)를 포함하
고,
상기 제2 개구(41b)의 내부 가장자리에 오목부(41da, 41db) 또는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트(11)가 상기 벽(321)의 상기 제1 개구(31)로 끼워맞춰질 때 상기 파트(11)가 상기 벽(321)의 상기 제1 개구
(31)로 끼워맞춤되는 방향으로 상기 파트(11)를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오목부(41da, 41db) 또는 돌출부는, 상기
파트(11)에 형성되고 상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선형으로 뻗은 돌출부 또는 선형으로 뻗은 오목부와 끼워맞춰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41)로부터 상기 패킹부(42) 내로 뻗은 코어(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실.
청구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43)는 전체가 상기 패킹부(42)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청구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43)는 일부가 상기 패킹부(42)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청구항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41) 및 상기 코어(43)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청구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41) 및 상기 코어(43)는 수지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청구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41)에는 상기 제1 개구(31)의 주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차부(33b)에 상응하는 단
차부(41e)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청구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42)는 패킹부(42)가 상기 파트(11)의 외면 및 상기 제1 개구(31)의 내면과 접촉하
는 웨이브 또는 주름진 표면(42a)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청구항 9
제1항의 실(40)을 케이싱(30)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 개구(41b)가 상기 제1 개구(31)와 겹치고 상기 패킹부(42)가 외면에서 상기 제1 개구(31)의 내면과 접
등록특허 10-1658158
- 3 -
촉하도록 상기 평면부(41)를 상기 벽(321) 위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커넥터(1)의 파트(11)를 상기 제1 개구(31)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을 케
이싱에 부착하는 방법.
청구항 10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케이싱의 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는 파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실에 관[0001]
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은 상기 파트의 외면과 상기 개구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운다. 또한, 본 발명
은 이러한 실을 상기 케이싱에 부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부 전기 커넥터는 벽에 개구가 형성된 케이싱에 수용되어 있고, 그 파트는 이러한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0002]
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는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한 파트를 통해 제2 전기 커넥터에 기계적으로 그
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특히, 자동차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는 방수를 향상시키기 위해 이러한 파트
와 개구 사이에 샌드위치된 실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10a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09-9845에 제안된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0b는 이러한 전기 커넥[0003]
터의 단면도이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000)는 케이싱(1001)안에 고정된 회로 기판(1002)에 장착되어 있고,[0004]
케이싱(1001)의 벽에 형성된 개구(1003)를 통해 제2 전기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
로 접속되어 있다.
커버(1004)는 개구(1003)를 통해 케이싱(1001)에 부착되어 있다. 커버(1004)는 원통형부(1008), 원통형부[0005]
(1008)의 에지로부터 외측으로 뻗은 플랜지부(1010), 및 플랜지부(1010)와 케이싱(1001) 사이에 샌드위치된 실
(1009)을 포함하고 있다. 전기 커넥터(1000)가 제2 전기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접촉부(1005)를 안에 유지하고 있는 전기 절연 하우징(1006)(도 10a 참조)은 실(1007)이 사이에 샌드위치된 상
태로 원통형부(1008) 내에 삽입되어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1000)는 실(1007, 1009)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실(1007)은 원[0006]
통형부(1008)와 이러한 원통형부(1008) 내에 삽입된 하우징(1006)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고, 실(1009)은 플
랜지부(1010)와 케이싱(100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운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 커넥터(100)는 방수를 위해 2개의 실(1007, 10007)을 포함해야 해서, 전기 커넥터(1000)의[0007]
부품의 수가 증가되는 것이 불가피하고, 최종 전기 커넥터(1000)는 높은 제조 비용의 문제를 갖고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상술된 문제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히 방수를 보장할 수 있고, 부품의 수를 감소[0008]
시킬 수 있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서, 케이싱의 벽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한 파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0009]
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파트의 외면과 제1 개구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우는 실로서, 상기 제1 개구의
내부 가장자리와 형상이 전체 또는 일부가 동일한 내부 에지를 갖는 제2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개구
가 상기 제1 개구와 겹쳐지도록 상기 벽 위에 놓인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로부터 뻗고 상기 파트의 외면과 상
기 제1 개구의 내면과 밀착된 패킹부를 포함하는 실이 제공된다.
등록특허 10-1658158
- 4 -
케이싱의 벽을 덮는 평면부 및, 전기 커넥터의 파트의 외면과 제1 개구의 내면 모두와 밀착하는 패킹부가 실로[0010]
서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부는 전기 커넥터의 파트가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1 개구의 주변 영
역을 방수하고, 동시에, 패킹부는 전기 커넥터를 방수한다. 따라서, 케이싱에 고정된 전기 커넥터는 단일 실에
의해 방수될 수 있다.
실은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패킹부 내로 뻗은 코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1]
상기 코어에 의해 패킹부는 전기 커넥터의 파트의 외면과 제1 개구의 내면 모두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전기[0012]
커넥터의 파트가 제1 개구에 삽입될 때, 패킹부는 앞 가장자리에서, 패킹부와 접촉하는 전기 커넥터에 의해 구
부러질 수 있다. 상기 코어는 패킹부를 지지하여 패킹부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패킹부는 전기
커넥터와 제1 개구 모두와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코어는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패킹부의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0013]
상기 평면부 및 상기 코어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평면부 및 상기 코[0014]
어는 수지로 되어 있다.
상기 평면부에는 상기 제1 개구의 주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차부에 상응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0015]
람직하다.
평면부의 단차부에 의해, 실의 패킹부가 제1 개구에 삽입될 때 전기 커넥터에 대해 실을 위치지정하여 전기 커[0016]
넥터와 케이싱 사이에 완전한 방수를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패킹부는 패킹부가 상기 파트의 외면 및 상기 제1 개구의 내면과 접촉하는 웨이브 또는 주름진 표면을 갖[0017]
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부는 그 웨이브 또는 주름진 표면에 의해서 전기 커넥터와 제1 개구와 강하게 밀착될 수 있어서, 제1[0018]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는 전기 커넥터의 파트 주변에서 강화된 방수를 보장한다.
상기 제2 개구의 내부 가장자리에 오목부 또는 돌출부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9]
상기 전기 커넥터의 파트에는 상기 파트가 케이싱의 제1 개구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뻗은 선형 돌출부 또는 오목[0020]
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 실이 먼저 제1 개구에 부착된 다음에 전기 커넥터가 제1 개구에 삽입될
때, 전기 커넥터는 상기 평면부의 제2 개구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 맞물리는 전기 커넥터의 오목부 또
는 돌출부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목부 또는 돌출부에 의해 전기 커넥터를 제1 개구에 일직
선으로 삽입할 수 있어서, 실이 그 위치가 일탈되지 않고 제1 개구와 접촉할 수 있고 패킹부가 손상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서, 상술된 실을 케이싱에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제1 개구와 겹치[0021]
고 상기 패킹부가 외면에서 상기 제1 개구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평면부를 상기 벽 위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 커넥터의 파트를 상기 제1 개구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을 케이싱에 부착하는 방법이 제공된
다.
먼저 실을 케이싱에 부착한 다음 전기 커넥터의 파트를 케이싱의 제1 개구에 삽입함으로써, 전기 커넥터가 고정[0022]
되는 케이싱은 단일 실에 의해 방수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장점은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0023]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라, 전기 커넥터가 고정되는 케이싱은 단일 실에 의해 방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분한[0024]
방수, 부품 수의 감소 및 제조 비용의 감소를 제공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인쇄 회로 기판 위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 실 및 전기 커넥터가 수용된 케이싱의 분해 사시도이다. [0025]
도 2는 인쇄 회로 기판 위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인쇄 회로 기판 위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 실 및 전기 커넥터가 수용된 케이싱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등록특허 10-1658158
- 5 -
도 4는 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전기 커넥터, 케이싱 및 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실을 케이싱에 부착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전기 커넥터, 케이싱, 및 실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실을 케이싱에 부착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전기 커넥터, 케이싱, 및 실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이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 명세서에서, 전기 커넥터의[0026]
"앞"은 전기 커넥터가 제2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측을 가리키고, 전기 커넥터의 "뒤"는 이러한
"앞"의 반대측을 가리키고, "아래"는 전기 커넥터로부터 케이싱의 바닥으로의 방향을 가리키고, "위"는 이러한
"아래"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0)는 인쇄 회로 기판(20) 위에 장착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0027]
(1)는 인쇄 회로 기판(20)과 함께 케이싱(30)에 수용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10)는 전선이 접속되는 제2 전기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케이싱(30)은 상자의 형태를 갖고 있
다(그 덮개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케이싱(30)에는 개구(31)가 전벽(321)에 형성되어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실(40)이 개구[0028]
(31)의 내면과 전기 커넥터(1)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채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는 전기 커넥터(10)가 제2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끼워맞춤[0029]
부(11)(청구항 1에는 "파트"로 정의되어 있다), 본체(12), 및 제2 전기 커넥터의 암 커넥터 단자와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수 커넥터 단자(13)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끼워맞춤부(11)는 본체(12)
의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부(11) 및 본체(12)는 수지 성형 공정에 의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부(11)는 모두 케이싱(30)의 폭방향 F1(도 1 참조)으로 또는 전벽(321)의 길[0030]
이방향으로 배열된 제1 끼워맞춤부(111) 및 제2 끼워맞춤부(11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및 제2 끼워맞춤부
(111, 112) 모두는 중공 내부 공간(113)을 갖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 단자(13)는 내부
공간(113)에 뻗어 있다. 제1 끼워맞춤부(111)는 제2 끼워맞춤부(112)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설계
되어 있다.
제1 끼워맞춤부(111)의 상면, 하면 및 제2 끼워맞춤부(112)로 향하는 측면에는 제1 끼워맞춤부(11)가 개구(31)[0031]
에 삽입되는 X1 방향으로 선형으로 뻗은 돌출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 위에 형성된 돌출부(11a)는 X1 방
향으로 측정된 상면의 길이의 거의 절반인 길이를 갖고 있고,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1a)는 X1 방향의 상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제2 끼워맞춤부(112)의 제1 끼워맞춤부(111)로 향하지 않는 상면 및 측면에
는 X1 방향으로 선형으로 뻗은 돌출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b)는 X1 방향의 상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본체(12)는 단자 지지부(12a) 및 스커트부(12b)를 포함하고 있다. [0032]
단자 지지부(12a)는 코너가 둥근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있다. 끼워맞춤부(11)는 내부 공간(113)이 전방으로 향[0033]
하도록 단자 지지부(12a) 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 단자(13)는 단자 지지부
(12a)에 일부 매립됨으로써 단자 지지부(12a)에 의해 지지된다. 스커트부(12b)는 단자 지지부(12a)로부터 후방
으로 뻗어 수 커넥터 단자(13)를 위한 보호 덮개로서 기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부(12b)의 F1
방향(도 1 참조)의 양단부에는 본체(12)가 케이싱(30)에 나사결합되는 연장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 단자(13)의 각각은 본체(12)로부터 제1 및 제2 끼워맞춤부(111, 112)의 내[0034]
등록특허 10-1658158
- 6 -
부 공간(113) 내로 전방으로 선형으로 뻗고 핀의 형태를 갖는 제1 부분(131), 본체(12)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
(20)쪽으로 후방으로 뻗고 L 형상을 갖는 제2 부분(132) 및 본체(12)에 매립되어 있고 제1 및 제2 부분(131,
132)을 서로 접속하는 제3 부분(133)을 포함하고 있다.
제1 부분(131)은 끼워맞춤부(11)에 끼워맞추어진 제2 전기 커넥터의 암 커넥터 단자 내에 삽입되어 전기 접촉된[0035]
다. 제2 부분(132)은 그 말단부에서, 인쇄 회로 기판(20)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 내로 삽입되어 있어서
인쇄 회로 기판(20) 위에 장착된 전기 부품(도시되지 않음)에 전기 접속되어 있다. 제3 부분(133)은 본체(12)
에 매립되어 있어 제1 및 제2 부분(131, 132)이 본체(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커넥터 단자(13)는 제1 끼워맞춤부(111)의 내부 공간(113) 안으로 뻗도록 행렬[0036]
(5x10 행)로 배열되어 있고, 제2 끼워맞춤부(112)의 내부 공간(113) 안으로 뻗도록 행렬(5x5 행)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20)은 거의 직사각형이고, 전기 커넥터(1)가 케이싱(30)에 수용되는[0037]
공간이 존재하도록 나사에 의해 케이싱(30)에 고정되어 있다. 인쇄 회로 기판(20)에는 수 커넥터 단자(13)의
제2 부분(132)이 삽입되는 관통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0)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제품이고, 직육면체 상자의 형태를 갖[0038]
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케이싱(30)의 전벽(321)에는 전기 커넥터(1)의 끼워맞춤부(11)가 케이싱(30)의 외
측으로 돌출하는 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31)는 코너가 둥근 직사각형이다.
케이싱(30)은 전벽(321)에 고정 부착되거나 일체로 형성된 후판(33)을 더 포함하고 있다. 후판(33)에는 도 3에[0039]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41ba, 41b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끼워맞춤부(111)는 개구(41ba)에
끼워맞춤가능하고, 제2 끼워맞춤부(112)는 개구(41bb)에 끼워맞춤가능하다. 개구(41ba, 41bb)는 파티션(41c)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후판(33)의 개구(41ba, 41bb)는 개구(31)가 후판(33)을 통해 뻗는 것처럼 개구(31)
와 정렬되어 있다. 후판(33)의 4개의 코너에는 실(40)을 후판(33)에 나사결합시키기 위한 나사 구멍(33a)이 형
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판(33)의 내면에 개구(31)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부(33b)가 형성되
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30)의 안에는 인쇄 회로 기판(20)이 나사결합되는 4개의 다리(34) 및[0040]
인쇄 회로 기판(20)이 인쇄 회로 기판(20) 위에 장착된 전기 커넥터(1)와 함께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기둥(35)
이 포함되어 있다.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40)은 개구(41ba, 41bb)가 개구(31)와 겹치도록 개구(31)의 외부[0041]
가장자리로서 외부 가장자리를 갖고 있고 전벽(321)에 바싹 부착된 개구(41ba, 41bb)가 형성된 평면부(41), 평
면부(41)로부터 개구(31)쪽으로 뻗고 끼워맞춤부(11)의 외면과 개구(31)의 내면 모두와 밀착하는 패킹부(42)
및, 평면부(41)에 형성되고 패킹부(42) 내로 뻗어 패킹부(42)를 지지하는 코어(43)를 포함하고 있다.
실(40)을 규정하는 평면부(41), 패킹부(42) 및 코어(43)는 단일 제품으로서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평면[0042]
부(41) 및 코어(43)는 접합선 없이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41)는 후판(33)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평면부(41)의 4개의 코너에는 나사(44)에 의해 실(40)이[0043]
후판(33)의 나사 구멍(33a)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41ba)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돌출부(11a)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목부[0044]
(41da)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41bb)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돌출부(11b)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오목부
(41db)가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41)에는 후판(33)에 형성된 단차부(33b)와 맞물리는 단차부(41e)가 형성되어 있다. [0045]
패킹부(42)는 패킹부(42)가 전기 커넥터(1)와 케이싱(30)의 개구(31)와 그 사이에서 밀착하도록 고무로 만들어[0046]
져 있다.
패킹부(42)는 케이싱(30)의 개구와 동일한 외부 가장자리를 갖고 있다. [0047]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42)는 패킹부(42)가 끼워맞춤부(11)의 외면과 개구(31)의 내면과 접촉하는 웨[0048]
이브 또는 주름진 표면(42a)을 갖고 있다.
패킹부(42)가 먼저 제조된 다음, 코어(43)가 패킹부(42) 안에 삽입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코어(43)는 먼저[0049]
등록특허 10-1658158
- 7 -
평면부(41)에 형성된 다음, 패킹부(42)가 경화 접합 공정에 의해 코어(43)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코어(43)는 개구(31) 둘레 전체에 형성되어 있다. 코어(43)가 평면부(41)로부터 개구(31)쪽으로 뻗어 있고 패[0050]
킹부(42)를 관통하여 패킹부(42)를 지지한다. 코어(43)가 패킹부(42)를 충분히 지지한다면, 코어(43)는 개구
(31) 둘레에 일부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구조를 갖는 전기 커넥터(1)를 케이싱(30)에 설치하는 공정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어 있다.[0051]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40)은 개구(31)가 형성된 전벽(321)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평면부(41)[0052]
는 패킹부(42)가 개구(31)에 삽입되고 고정 구멍(41a)이 후판(33)(도 3 참조)의 나사 구멍(33a)과 정렬되도록
전벽(321) 위에 놓여 있다. 그다음, 나사(44)는 고정 구멍(41a)을 통해 나사 구멍(33a)으로 나사결합된다. 따
라서, 실(40)은 케이싱(30)에 고정된다.
전기 커넥터(1)가 케이싱(30)에 아직 고정되어 있기 않기 때문에, 실(40)은 전벽(321) 위에 그리고 개구(31) 안[0053]
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평면부(41)에 형성된 단차부(41e)가 개구(31)에 형성된 단차부(33b)와 맞
물려있기 때문에, 실(40)은 케이싱(30)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지정될 수 있다.
그다음,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의 끼워맞춤부(11)는 개구(31)쪽으로 나아간다. 본체(12)가[0054]
실(40)의 패킹부(42)와 접촉하기 전에, 제1 및 제2 끼워맞춤부(111, 112)는 실(40)의 개구(41ba, 41bb)에 각각
삽입되기 시작한다.
제1 및 제2 끼워맞춤부(111, 112)가 개구(41ba, 41bb)에 삽입될 때, 돌출부(11a, 11b)는 오목부(41da, 41db)를[0055]
각각 관통하고, 끼워맞춤부(11)는 개구(31)쪽으로 나아간 다음 개구(31)를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1)가 개구(31)로 일직선으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1)가 위치 일탈 없이 실(40)과
접촉할 수 있다.
그다음, 인쇄 회로 기판(20)이 케이싱(30)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1)는 케이싱(30)에 고정된다.[0056]
상술된 과정에서, 실(40)은 먼저 케이싱(30)에 부착된 다음, 전기 커넥터(1)가 케이싱(30)에 고정된다. [0057]
반대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 커넥터(1000)에서, 실(1007)을 포함하는 하우징(1006)이 먼저[0058]
케이싱(1001)에 고정된 다음, 실(1009)을 포함하는 커버(1004)가 케이싱(1001)에 고정된다. 이것은 실(1007,
1009)이 서로 별개의 부품이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4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된 평면부(41) 및 패킹부(42)를 포함하고 있고, 케이싱(30)의 외측[0059]
으로부터 케이싱(30)에 부착된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1)가 케이싱(30)에 먼저 고정되는 경우에, 실(40)이 케
이싱(30)에 부착될 때, 패킹부(42)는 개구(31)와 본체(12)의 단자 지지부(12a)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야 한다. 따라서, 패킹부(42)를 이러한 공간에 삽입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실(40)이 먼저 케이싱(30)에 부착되는 경우에, 전기 커넥터(1)가 나아가 패킹부(42)의 내면과 미끄럼[0060]
접촉하여서, X1 방향으로 진행되는 전기 커넥터(1)에 의해 패킹부(42)가 그 말단부에서 구부러져 패킹부(42)와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코어(43)가 패킹부(42)를 지지하여서 패킹부(42)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
서, 패킹부(42)는 구부러지지 않고 전기 커넥터(1)와 개구(31)와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제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40)에서, 케이싱(30)의 전벽(321)에 부착된 평면부(41) 및 개[0061]
구(31)의 내면과 끼워맞춤부(11) 사이에 샌드위치된 패킹부(42)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평면부(41)는
전벽(321)의 개구(31) 둘레의 영역을 방수하고, 패킹부(42)는 끼워맞춤부(11) 둘레의 영역을 방수한다.
따라서, 케이싱(30)에 고정된 전기 커넥터(1)는 단일 실(40)에 의해 방수될 수 있어서, 전기 커넥터(1)의 부품[0062]
의 수를 감소시켜 전기 커넥터(1)의 제조 비용을 낮춤과 동시에 전기 커넥터(1)에 대한 충분한 방수를
보장한다.
또한, 평면부(41) 및 코어(43)가 서로 일체로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부(42)는 코어(43)에 의[0063]
해 충분히 지지된다.
실(40)의 평면부(41)에 개구(3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차부(33b)와 맞물리는 단차부(41e)가 형성되어 있기 때[0064]
문에, 평면부(41)는 실(40)이 케이싱(30)에 부착될 때 개구(31)에 대해 용이하게 위치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등록특허 10-1658158
- 8 -
패킹부(42)는 케이싱(30)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지정될 수 있어서, 전기 커넥터(1)에 대한 완전한 방수를 보장한
다.
또한, 패킹부(42)의 표면(42a)이 웨이브 또는 주름지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42a)의 상승부는 패킹부[0065]
(420가 전기 커넥터(1) 및 개구(31)과 접촉할 때 눌려져서, 패킹부(42a)는 전기 커넥터(1) 및 개구(31)와 밀착
될 수 있어서, 패킹부(42)가 본체(12) 및 개구(31)의 내면을 방수시킬 수 있도록 보장한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평면부(41) 및 코어(43)는 경화 수지로 만들어지고, 패킹부(42)는 고무로 만들어져 있다.[0066]
즉, 평면부(41), 코어(43) 및 패킹부(42)는 서로 상이한 재료로 되어 있고,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평면
부(41) 및 패킹부(42)는 2-색 성형 공정에 의해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41) 및 패킹부(42)는
서로 별개로 제조된 다음, 단일 부품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끼워맞춤부(111, 112)에는 돌출부(11a, 11b)가 형성되어 있고, 평면부(41)에는[0067]
오목부(41da, 41db)가 형성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제1 및 제2 끼워맞춤부(111, 112)에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
고, 평면부(41)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실(40)이 먼저 케이싱(30)에 고정된 다음, 전기 커넥터(1)가 케이싱(30)에 고정된다. 패킹[0068]
부(42)가 본체(12)의 단자 지지부(12a)와 개구(3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면, 전기 커넥터(1)는
먼저 케이싱(30)에 고정된 다음 실(40)이 케이싱(30)에 고정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실은 침수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는 전기 회로가 수용되는 케이싱에 고정되고 방수가 필요한[0069]
전기 커넥터에 적절하다. 특히, 실은 급격하게 변하는 환경에 채용되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에 적절
하다.
등록특허 10-1658158
- 9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658158
- 10 -
도면2
등록특허 10-1658158
- 11 -
도면3
등록특허 10-1658158
- 12 -
도면4
등록특허 10-1658158
- 13 -
도면5
등록특허 10-1658158
- 14 -
도면6
등록특허 10-1658158
- 15 -
도면7
등록특허 10-1658158
- 16 -
도면8
등록특허 10-1658158
- 17 -
도면9a
등록특허 10-1658158
- 18 -
도면9b
도면10a
등록특허 10-1658158
- 19 -
도면10b
등록특허 10-1658158
-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