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Bullet)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9월28일
(11) 등록번호 10-1660887
(24) 등록일자 2016년09월22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F42B 10/38 (2006.01) C22C 22/00 (2006.01)
C22C 27/04 (2006.01) F42B 10/44 (2006.01)
F42B 10/46 (2006.01) F42B 33/00 (2006.01)
(52) CPC특허분류
F42B 10/38 (2013.01)
C22C 22/00 (2013.01)
(21) 출원번호 10-2016-0022349
(22) 출원일자 2016년02월25일
심사청구일자 2016년02월25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568319 B1*
KR101021055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두레텍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 산학연교육연구관
711호(궁동)
(72) 발명자
김준규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598, 402호(도룡동,
더포엠2)
김형세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598, 402호(도룡동,
더포엠2)
(74) 대리인
이문욱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정아람
(54) 발명의 명칭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
(57) 요 약
본 발명은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탄두에는 전방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1차버블
링홈(10), 2차버블링홈(20), 3차버블링홈(30)이 형성되고, 후미쪽에는 3개의 유체유도홈(40)이 원통형의 후미 및
후단면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1차버블링홈(10)과 2차버블링홈(20) 및 3차버블링홈(30)의 폭과 깊이는 상기 1차
버블링홈(10)으로부터 3차버블링홈(30)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체유도홈(40)은 각각 탄두 후단면
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해 동일한 방향과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유체유도홈(40)의 단부는 각각
탄두 후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공중 및 수중에서 더욱 정확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유효 사거리가 개선된 탄
두가 제공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660887
- 1 -
(52) CPC특허분류
C22C 27/04 (2013.01)
F42B 10/44 (2013.01)
F42B 10/46 (2013.01)
F42B 33/00 (2013.01)
등록특허 10-1660887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앞쪽 부분은 원추형이며 뒤쪽 부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탄두에 있어서,
탄두에는 전방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1차버블링홈(10), 2차버블링홈(20), 3차버블링홈(30)이 형성되고, 후미쪽에
는 3개의 유체유도홈(40)이 원통형의 후미 및 후단면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1차버블링홈(10)과 2차버블링홈(20) 및 3차버블링홈(30)의 폭과 깊이는 상기 1차버블링홈(10)으로부터 3차
버블링홈(30)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체유도홈(40)은 각각 탄두 후단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해 동일한 방향과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
되며, 상기 유체유도홈(40)의 단부는 각각 탄두 후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3개의 유체유도홈(40)과 탄두 후단면의 중심 사이에는 반구형의 홈(41)이 전방을 향해 내입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버블링홈(10)과 2차버블링홈(20) 사이의 수평거리(L)는 상기 1차버블링홈(10)의 직경(d)의 1∼2배에 해
당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
청구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 형상을 이루는 탄두 부분의 후미는 원통의 접선에 대해 외측으로 1∼5°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
청구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버블링홈(10)과 2차버블링홈(20) 및 3차버블링홈(30)의 단면 형상은 "V"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
청구항 6
원통 형상의 길이를 가지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의 전방 쪽에 형성되면서 원추 형상을 가지는 돌출
부(120)로 이루어지는 전방조립체(100)와;
내부 중앙에 상기 삽입부(110)가 관통되어 삽입되는 관통공(210)이 형성되며 앞쪽 부분은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뒤쪽 부분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방고정체(200);가 일체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등록특허 10-1660887
- 3 -
상기 돌출부(120)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쪽으로 차례로 1차버블링홈(121)과 2차버블링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고정체(200)의 길이방향으로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 3차버블링홈(220)이 형성되면서 상기 후방고정체
(200)의 후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복수 개의 유체유도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110)의 후단면에는 전방을 향해 고정공(111)이 내입 형성되고,
상기 전방조립체(100)와 후방고정체(200)는 상기 전방조립체(100)의 삽입부(110)를 상기 후방고정체(200)의 관
통공(210)에 삽입하여 상기 삽입부(110)가 상기 후방고정체(200)의 후방 쪽으로 돌출되도록 조립한 상태에서 상
기 고정공(111)을 가압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
청구항 7
삭제
청구항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방조립체(100)는 망간-몰리브덴 합금 또는 텅스텐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중률이 개
선된 다목적 탄두.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외주면에 복수 개의 버블링 홈이[0001]
형성됨으로써 공중 및 수중에서 목표물 타격에의 정확성(명중률)이 향상되는 동시에 유효 사거리를 개선할 수
있는 탄두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소총 등과 같은 발사체에 장전되어 발사되는 탄환은 폭발에 의해 발사에너지를 생성하는 화약과, 이 발사에너지[0002]
에 의해 목표물쪽으로 비행하는 탄두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탄두를 제조할 때는 일반적으로 먼저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진 탄자피를 단조 등의 기계적 가공을 통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추형으로 제작한 다음, 이 탄자피의
내부 공간에 노즐 등을 이용하여 납 등의 용융 상태의 금속을 주입하여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탄자피의 내부에 용융 상태의 금속을 주입하여 탄두를 제조하는 경우 용융상태의 금속을 주입하기[0003]
위한 노즐을 정확하게 제작하기가 쉽지 않고 또한 용융 상태의 금속을 미세하고 정확하게 조절하기가 쉽지 않으
며, 더욱이 탄자피의 내부에 주입된 납 등의 용융상태의 금속이 응고되면서 균일한 밀도를 가지도록 응고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이로 인해 탄두의 무게중심이 흐트러져 목표물 도착시 탄착군을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또한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진 탄자피의 내부에 그 보다 비중이 더 큰 납 등이 주입됨으로써 탄
두의 무게중심이 후방쪽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탄두가 공기 중을 비행하는 동안 세차운동이 커지게 되어 탄
두의 정확도(명중률)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탄두가 비행할 때 탄두의 공지 중에서의 저항을 줄임으로써 유효 사거리를 증대시키는 동시에 정확성을[0004]
높일 수 있도록 탄두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고, 탄두의 후면에는 내측으로 깊숙이 내입된 홈을 형성하여 이 홈
의 내부에 탄약이 충전되도록 한 구조의 탄두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구조의 탄두는 공기 중에서의 비행 중 탄
두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과 탄두의 후면에 형성된 홈의 작용에 의해 유효 사거리가 증대되면서 아울러 정확성이
개선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탄두를 수중 발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탄두의 후면에 형성된 깊숙한 홈이 과도한[0005]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수중에서의 관통력은 증대되지만 정확도는 상당히 떨어져 수중 발사용으로 사용하기가 곤
란하다.
그리고 내부에 납 등과 같은 무른 재질의 금속이 내부에 충전된 탄두에서는 탄약의 폭발력에 의해 내부에 충전[0006]
등록특허 10-1660887
- 4 -
된 납 등이 순간적으로 압축되면서 탄자피쪽으로 팽창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탄자피도 아울러 팽창되면서 총열과
탄두간의 접촉이 향상됨으로써 탄약의 폭발력이 탄두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되어 유효 사거리가 늘어나는 장점
은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탄두를 수중 발사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약의 폭발력이 탄두에 효과적으로 전달
되기는 하지만 탄두가 수중을 비행할 때에는 탄두의 전면에 가해지는 물의 압력에 의해 탄자피가 수축되면서 탄
자피의 내부에 충전된 납이 탄두의 후방쪽으로 밀려나면서 그 형상이 변하게 되어 정확도가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공기 중과 수중에서 그 구조적 건전성을 강건하게 유지함으로써 공기 중 및 수중에서도 높은 정확도와[0007]
유효 사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의 탄두 개발이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KR 10-2004-0004624 A [0008]
(특허문헌 0002) KR 10-2001-0035741 A
(특허문헌 0003) KR 10-1249770 B1
(특허문헌 0004) KR 10-0139880 B1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탄두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중 발사용 및 수중 발[0009]
사용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높은 정확도와 유효 사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탄두에 전방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1차버블링홈, 2차버블링홈, 3차버블링홈이 형[0010]
성되고, 후미쪽에는 3개의 유체유도홈이 원통형의 후미 및 후단면에 걸쳐 형성되며, 1차버블링홈과 2차버블링홈
및 3차버블링홈의 폭과 깊이는 1차버블링홈으로부터 3차버블링홈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며, 유체유도홈은
각각 탄두 후단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해 동일한 방향과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유체유도홈의 단부
는 각각 탄두 후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3개의 유체유도홈과 탄두 후단면의 중심 사이에는 반구형의 홈이 전방을 향해 내입되어 형성[0011]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차버블링홈과 2차버블링홈 사이의 수평거리는 1차버블링홈의 직경의 1∼2배에 해당하는 길이를[0012]
가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을 이루는 탄두 부분의 후미는 원통의 접선에 대해 외측으로 1∼5°만큼 경사지게[0013]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1차버블링홈과 2차버블링홈 및 3차버블링홈의 단면 형상은 "V"자 형상인 것을 또 다른[0014]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는 원통 형상의 길이를 가지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전방 쪽에 형성되면서 원추[0015]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전방조립체와; 내부 중앙에 삽입부가 관통되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앞쪽 부분은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뒤쪽 부분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후
방고정체가 일체로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돌출부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쪽으로 차례로 1차버블링홈과 2차버블링
홈이 형성되고, 후방고정체의 길이방향으로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 3차버블링홈이 형성되면서 후방고정체의 후단
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복수 개의 유체유도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
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삽입부의 후단면에는 전방을 향해 고정공이 내입 형성되고, 전방조립체와 후방고정체는 전방[0016]
등록특허 10-1660887
- 5 -
조립체의 삽입부를 후방고정체의 관통공에 삽입하여 삽입부가 후방고정체의 후방 쪽으로 돌출되도록 조립한 상
태에서 고정공을 가압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서로 결합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전방조립체가 망간-몰리브덴 합금 또는 텅스텐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0017]
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탄두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버블링홈을 형성함으로써 공중 및 수중에서 정확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유[0018]
효 사거리를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탄두의 후단면에 반구형의 홈이 전방을 향해 내입되어 형성됨으로써 목표물에의 타격 정확성[0019]
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을 이루는 탄두 부분의 후미는 원통의 접선에 대해 외측으로 1∼5°만큼 경사지게 형[0020]
성됨으로써 더욱 명중률이 향상되는 동시에 유효 사거리가 증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방조립체와 후방고정체를 단순히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탄두를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0021]
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탄종의 다양화를 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전방조립체를 구성하는 금속의 종류와 비중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탄두의[0022]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발사체에 적합한 탄두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전방조립체의 비중을 조절하여 탄
두의 편주각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비행 안정성과 정확도 및 유효사거리가 향상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의 예를 보인 사시도,[0023]
도 2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 2차버블링홈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4(a)는 경사가 형성되지 않은 탄두의 시험결과를 나타낸 표,
도 4(b)는 경사가 형성된 탄두의 시험결과를 나타낸 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조립체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후방고정체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가 비행할 때 받는 힘의 작용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0024]
본 발명은 명중률이 개선된 다목적 탄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탄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0025]
앞쪽 부분은 원추형이며 뒤쪽 부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탄두 형상의 본체(1)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본체(1)에는 그 전방 선단으로부터 차례로 1차 버블링홈(10), 2차 버블링홈(20), 3차 버블링홈(30) 및 유체유도
홈(40)이 형성된다.
본체(1)는 구리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면서 앞부분은 대략 원추형이며, 뒷부분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0026]
일반적인 탄두 형상을 가진다.
본체(1)의 선단 후방쪽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V"자 형상인 1차버블링홈(10)[0027]
과 2차버블링홈(20)이 차례로 형성되는데, 1차버블링홈(10)은 본체(1)의 최선단을 이루는 원추 형상(이하 이를
'선단부(A)'라 한다.)이 끝나는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이어지는 부분(이하 이를 '제1연장부(B)'라
한다.)의 직경이 선단부(A)가 끝나는 지점에서의 직경보다 작도록 제작함으로써 형성되고, 2차버블링홈(20)도
마찬가지로 제1연장부(B)에서 경사지게 이어지는 부분(이하 이를 '제2연장부(C)'라 한다.)의 직경이 제1연장부
(B)가 끝나는 지점에서의 직경보다 작도록 제작함으로써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탄두의 원추부에 1
등록특허 10-1660887
- 6 -
차버블링홈(10)과 2차버블링홈(20)을 형성하여 탄두가 공기 중 또는 수중을 비행할 때 이들 1, 2차버블링홈(10,
20)이 형성된 부분에서 와류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탄두의 비행 저항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피칭 및 롤링 현상
의 발생을 억제하여 유효 사거리를 늘이는 동시에 정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1차버블링홈(10)과 2차버블링홈(20) 사이의 수평거리(L)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버블링홈(10)의[0028]
직경(d)의 1∼2배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는데, 이는 실험결과 이 정도의 거리에서 정확성가 유효 사거리가 향
상된다는 것을 확인한데 따른 것이다.
탄두의 전방을 이루는 원추형의 후미에는 대략 원통형의 탄두가 이어지는데, 이 원통형의 길이방향으로 중간 부[0029]
분에도 1차버블링홈(10)과 2차버블링홈(20)과 마찬가지로 그 단면의 형상이 "V"자 형상인 3차버블링홈(30)이 탄
두의 원주방향를 따라 형성되며, 이때 1차버블링홈(10)과 2차버블링홈(20) 및 3차버블링홈(30)의 폭과 깊이는 1
차버블링홈(10)으로부터 3차버블링홈(30)으로 갈수록 커지는데, 이는 탄두의 후방으로 갈수록 탄두의 진행에 따
른 유체의 저항이 커지고,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1차버블링홈(10)으로부터 3차버블링홈(30)으로 갈수록 홈의
폭과 깊이를 커지게 함으로써 탄두 주위에 형성되는 버블링의 크기(직경)도 커지게 하여 유체의 저항을 줄이고
자 한데 따른 것이다.
그리고 탄두의 뒤쪽 부분을 이루는 원통형의 후미 및 후단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유체유도홈[0030]
(40)이 원통형의 후미 및 후단면을 걸쳐 형성되며, 이들 유체유도홈(40)은 각각 탄두 후단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에 대해 동일한 방향과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때 탄두 후단면에 위치하는 유체유도홈(40)의 단부는
각각 탄두 후단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유체유도홈(40)은 탄두가 공기
중 또는 수중을 비행할 때 유체의 흐름을 탄저의 중심부쪽으로 균일하게 유도함으로써 탄두의 흔들림을 방지하
여 공기 중 또는 수중에서 안정적인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탄두 후단면의 중심과 3개의 유체유도홈(40)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이 탄두 후단면[0031]
의 중심과 일치하는 반구형의 홈(41)이 탄두 전방을 향해 내입되어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탄두 후단
면의 중심에 반구형의 홈(41)을 형성하는 것은 격발에 의해 발사체 내에서 탄약이 폭발할 때 생성되는 고압의
가스가 반구형의 홈에 유입되면서 반구형의 홈의 정점에 몰리도록 함으로써 더욱 균일하면서도 강력한 추진력을
얻도록 한데 따른 것으로 실험결과 원형의 홈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유효 사거리가 증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 등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탄두를 제작하여 발사시험을 수행하여 관찰한 결[0032]
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두의 후미가 그 직경이 동일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총열과의 마찰에 의
해 생성되는 긁힌 부분이 원형통의 앞쪽 부분에만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곧 탄두에 탄약의 폭발력
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추측하여 본 발명자 등은 탄두의 총열과의 접촉을 개선할 수 있도록
원통형을 이루는 탄두의 후미를 원통의 접선에 대해 외측으로 약 1∼5°만큼 경사지도록 형성한 탄두를 제작한
다음 다시 발사시험을 행하였으며, 시험결과 도 4(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두의 후미에 경사부분이 형성되
지 않은 없는 탄두에 비해 경사부분이 형성된 탄두의 탄착군이 더욱 양호하게 형성되면서 순간 가속도가 증가되
어 탄속이 점점 빨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탄두의 후미에 경사부분을 형성하는 경우 탄두의 정확
성이 향상되면서 유효 사거리가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전차나 장갑차 등의 장갑을 관통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철갑탄의 탄환을 제작할 때에는 텅스텐 또는 텅스[0033]
텐 합금과 같은 경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탄(彈身)의 외주면에 구리로 이루어진 탄자피를 입혀 탄두를 제작하
며, 이때 탄두의 중심선 방향으로 탄신과 탄자피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탄두가 목표물을 타격하
게 되면 충격력에 의해 구리재의 탄자피가 벌어지면서 그 속에 위치하고 있던 탄신이 탄자피 밖으로 나와 전차
등의 장갑을 관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탄신과 탄자피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탄두가 총열이나 포열을
통과하는 동안 압축력을 받아 탄자피의 당초의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지 못하고 약간 압축되면서 변형되게 되며,
이로 인해 정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발사 시에 탄자피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자피를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하기도 하는데[0034]
이 경우 탄자피의 변형량은 줄어들지만 탄두의 전방쪽의 중량이 증가됨으로써 비행하는 동안 세차운동이 증가되
어 정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탄자피가 벌어지도록 하는 데에 더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어 탄신의 비행에너
지가 줄어들게 됨으로써 결국 탄신의 장갑에의 관통성능이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탄두의 관통성능을 높이는 동시에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0035]
와 같이 탄두를 전방조립체(100)와 후방고정체(200)를 서로 결합한 형태의 조립식으로 제작하는데, 이를 위해
등록특허 10-1660887
- 7 -
전방조립체(100)는 구리합금에 비해 비중이 커면서도 그 경도와 강도가 우수한 망간-몰리브덴 합금 또는 텅스텐
합금과 같은 경질의 금속으로 제작되며, 이에 의해 장갑 등의 목표물과 강하게 부딪히더라도 탄두의 선단이 손
상되지 않고 관통하게 되며,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두가 유체 속을 비행할 때 종래의 탄두에 비해
무게중심(CG1)이 탄두의 전방쪽 무게중심(CG2)로 이동하면서 압력중심(CP)과 무게중심(CG2) 간의 거리가 줄어들
게 되며, 이로 인해 세차운동을 발생시키는 편주각(CA)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탄두의 흔들림이 작아지는 동시에
저항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비행 안정성이 향상되면서 정확성이 향상되고, 이와 더불어 탄두의 회전력과 추력이
증대되어 파괴력과 유효 사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전방조립체(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고정체(2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원통[0036]
형상의 길이를 가지는 삽입부(110)와, 이 삽입부(110)의 전방 쪽에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원추 형상을 이루는
돌출부(120)로 이루어지고, 이 돌출부(120)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쪽으로 차례로 1차버블링홈(121)과 2차버블링
홈(122)이 형성되며, 이 2차버블링홈(122)의 후미에는 경사부분이 형성된다.
또한 삽입부(110)의 후단면에는 전방쪽으로 내입되는 고정공(111)이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전방조립체(100)가[0037]
후방고정체(200)의 관통공(210)에 삽입되어 후방고정체(200)의 후방 쪽으로 삽입부(110)가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나면 프레싱 공구 등을 이용하여 고정공(111)을 가압하여 이 고정공(111)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전방
조립체(100)와 후술하는 후방고정체(20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내부에 전방조립체(100)의 삽입부(110)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전방조립체(100)와 일체를 이루는 후방고정체[0038]
(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부분은 단면의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뒤쪽
부분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후방고정체(200)의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은 전방조립체(100)의
경사부분과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이 테이퍼부에 의해 전방조립체(100)와 후방고정체
(200)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전방조립체(100)와 후방고정체(200)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후방고정체(200)의 내부에는 후방고정체(200)의 선단과 후단을 관통하는 관통공(210)이 형성되며, 이 관[0039]
통공(210)에 전방조립체(100)의 삽입부(110)가 밀착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후방고정체(200)의 길이방향으로 중간 부분의 외주면에는 3차버블링홈(220)이 형[0040]
성되고, 후미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3개의 유체유도홈(230)이 형성된다.
이때 테이퍼부는 전방조립체(100)의 원추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120)와 자연스럽게 연장되는 경사를 가지도록[0041]
형성되어 있어 탄환이 매질을 관통할 때 더욱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유체유도홈(230)은 탄환이
발사되어 비행할 때 공기의 흐름을 탄저의 중심부쪽으로 균일하게 유도함으로써 탄환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
적인 비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난류를 형성함으로써 비행저항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두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버블링홈을 형성함으로써 공중 및 수중에서 정확[0042]
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유효 사거리를 개선할 수 있으며, 아울러 탄두를 조립식으로 제조함으로써 관통성능을 확
보할 수 있는 동시에 정확성과 유효 사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본체 10: 1차버블링홈[0043]
20: 2차버블링홈 30: 3차버블링홈
40: 유체유도홈 41: 홈
100: 전방조립체 110: 삽입부
111: 고정공 120: 돌출부
121: 1차버블링홈 122: 2차버블링홈
200: 후방고정체 210: 관통공
220: 3차버블링홈 230: 유체유도홈
A: 선단부 B: 제1연장부
C: 제2연장부 CA: 편주각
등록특허 10-1660887
- 8 -
CG1, CG2: 무게중심 CP: 압력중심
d: 직경 L: 수평거리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660887
- 9 -
도면2
도면3
등록특허 10-1660887
- 10 -
도면4
도면5
등록특허 10-1660887
- 11 -
도면6
도면7
등록특허 10-1660887
- 12 -
도면8
등록특허 10-1660887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