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평상과 테이블 변환이 가능한 가변형 벤치(Transformative Bench)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4. 2. 20:59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9월28일
(11) 등록번호 10-1660789
(24) 등록일자 2016년09월22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47B 85/00 (2006.01) A47B 37/04 (2006.01)
A47B 85/06 (2006.01)
(21) 출원번호 10-2014-0187327
(22) 출원일자 2014년12월23일
심사청구일자 2014년12월23일
(65) 공개번호 10-2016-0076806
(43) 공개일자 2016년07월01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421236 B1*
KR101470402 B1*
KR1020120076837 A
KR2020110000279 U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김주석
강원도 춘천시 충열로 29, 106동 1003호 (우두동)
(72) 발명자
김주석
강원도 춘천시 충열로 29, 106동 1003호 (우두동)
(74) 대리인
오위환, 정기택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이승진
(54) 발명의 명칭 평상과 테이블 변환이 가능한 가변형 벤치
(57) 요 약
본 발명은 평상과 테이블 변환이 가능한 가변형 벤치에 관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여러 명이 눕거나 앉을 수 있
도록 넓은 평상으로 이용하다가도 테이블과 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테이블과 벤치가 조합된 형태로 쉽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앙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부를 구비한 둥근 용기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둘레부 상
단을 따라 설치된 링 형상의 벤치와;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승하면 상기 벤치보다
높게 위치하여 테이블로서 활용 가능하고, 하강하면 상기 벤치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벤치와 함께 평상
으로서 활용 가능한 승강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4
등록특허 10-1660789
- 1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상단부로 갈수록 넓은 폭을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부를 구비한 둥근 용기 형
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둘레부 상단을 따라 설치된 링 형상의 벤치와;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서 승강 가능하
도록 설치되어 상승하면 상기 벤치보다 높게 위치하여 테이블로서 활용 가능하고, 하강하면 상기 벤치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벤치와 함께 평상으로서 활용 가능한 승강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형 벤치의 승강동작을 위하여 상기 본체의 수용부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암나사 형성된 승강너트
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 테이블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승강너트에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는 수나사 형성된 승강볼
트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 테이블이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배수
구 중 일부에는 상기 수용부 내부로 외부 공기를 송풍하면서 모기의 흡혈활동을 방해하는 모기 퇴출팬이 설치되
고, 상기 복수의 배수구 중 다른 일부에는 상기 모기 퇴출팬에 대응하여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이 설치되며, 상기 모기 퇴출팬은 하나에 배수구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된 제1모기 퇴출팬 및 제2모기 퇴
출팬으로 구비되어 송풍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벤치.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테이블의 상면 둘레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승강 테이블을 회전시킬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핸들링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벤치.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가변형 다목적 벤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에 따라 여러 명이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넓은 평상으[0001]
로 이용하다가도 테이블과 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테이블과 벤치가 조합된 형태로 쉽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한
평상과 테이블 변환이 가능한 가변형 벤치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공원, 놀이시설, 약수터 등에 설치되는 야외용 벤치는 대부분 사용자들이 잠시 쉬면서 차를 마시거[0002]
나 대화를 나누는 등 휴식(休息)을 취할 수 있는 휴양시설로 사용된다.
등록특허 10-1660789
- 2 -
이같은 야외용 벤치는 통상 좌석과 등받이를 구비한 전통적인 형태의 것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테이블[0003]
등의 기능을 접목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을 도모한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공보 제2012-
0008126호에는 테이블로 변환 가능한 벤치가 개시되었다. 도 1 및 도 2에는 공개특허공보 제2012-0008126호의
테이블로 변환 가능한 벤치가 도시되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종래기술에 의한 벤치는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두 개의 수직부(11)와 그 상단을 일[0004]
체로 연결하는 수평부(12)로 구성되되 그 내부는 비어 있는 수 개의 지지프레임(1)이 일정간격으로 입설되어 있
고, 인접한 지지프레임(1)의 사이에 각각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좌석(2)과 회동좌석(3)으로 구성되었다.
이같은 야외용 벤치는 회동좌석(3)을 회전시켜 테이블로 변환하여 활용하는 장점이 있었으나 전통적인 벤치의[0005]
형태를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변화의 폭이 적고 테이블 이용시 좌석의 수가 줄어드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사용자들이 편하게 누울 수 있는 평상으로서의 역할은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야외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필요에 따라 평상으로, 혹은 테이블과 벤치가 조합된 형태로 이용할 수[0006]
있도록 하는 가변형 벤치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08126호(2012.01.30) [0007]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필요[0008]
에 따라 여러 명이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넓은 평상으로 이용하다가도 테이블과 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테이
블과 벤치가 조합된 형태로 쉽게 가변할 수 있도록 한 평상과 테이블 변환이 가능한 가변형 벤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가변형 벤치는, 중앙부에 상측으로 개방된[0009]
수용부를 구비한 둥근 용기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둘레부 상단을 따라 설치된 링 형상의 벤치와; 상기 본
체의 수용부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승하면 상기 벤치보다 높게 위치하여 테이블로서 활용 가능하고,
하강하면 상기 벤치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벤치와 함께 평상으로서 활용 가능한 승강 테이블을 포함하
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형 벤치의 승강동작을 위하여 상기 본체의 수용부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암나사 형성된[0010]
승강너트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 테이블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승강너트에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는 수나사 형성
된 승강볼트가 설치되어, 상기 승강 테이블이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테이블의 상면 둘레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승강 테이블을 회전시킬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핸들링[0011]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0012]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수구 중 일부에는 상기 수용부 내부로 외부 공기를 송풍하면서 모기의 흡혈활동을 방해하[0013]
는 모기 퇴출팬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배수구 중 다른 일부에는 상기 모기 퇴출팬에 대응하여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660789
- 3 -
또한, 상기 모기 퇴출팬은 하나에 배수구에 대하여 직렬로 배치된 제1모기 퇴출팬 및 제2모기 퇴출팬으로 구비[0014]
되어 송풍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평상과 테이블 변환이 가능한 가변형 벤치는 승강하는 테이블에 의해 필요에 따라 여러 명이 눕[0015]
거나 앉을 수 있도록 넓은 평상으로 이용하다가도 테이블과 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테이블과 벤치가 조합된 형
태로 쉽게 가변할 수 있으므로 특히 공원 등의 야외에서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면이 살아 있는 둥근 구조물 형태의 외형으로 주변 경관의 멋스러움을 살려주며 승강 테이블[0016]
의 승강동작이 자체 회전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재미있는 기능 및 작동방식에 의해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제공
하는 장점도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가변형 벤치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0017]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의 사용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0018]
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
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
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0019]
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의 사용상태도이다. [0020]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는 승강 테이블의 승강동작에 의해 필요에 따라 넓은[0021]
평상의 형태로 혹은 벤치와 테이블이 조합된 형태로 변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사용자가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승강시킬 수 있[0022]
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가운데 전체적으로 둥근 원형 구조물의 형태로 이루어져 공원 등의 야외 경관과
조화를 이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002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의 구[0024]
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의 사용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등록특허 10-1660789
- 4 -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변형 벤치는, 둥근 용기 형상의 본체(110)와, 벤치(120)와, 승강[0025]
테이블(130) 및 상기 승강 테이블(13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10)는 중앙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부(110a)를 구비한 둥근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0026]
기 본체(110)의 수용부(110a)는 상기 승강 테이블(130)이 승강 가능하도록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상기
승강 테이블(130)이 상승하였을 때 다수의 사용자들이 벤치(120)에 앉아 다리는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
하기도 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넉넉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외주면은 상단부로 갈수록 넓어
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미적 감각과 안정성을 살린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배수구(111)가 형성되어 상[0027]
기 수용부(110a) 바닥에 빗물이 고이지 않고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배수구(111) 중 일부에
는 수용부(110a) 내부로 외부 공기를 송풍하는 모기 퇴출팬(150a,150b)이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에는 상기 모기
퇴출팬(150a,150b)에 대응하여 수용부(110a)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팬(16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모기 퇴출팬(150a,150b)의 경우 하나에 배수구(111)에서 직렬로 배치된 제1모기 퇴출팬(150a) 및 제2모기
퇴출팬(150b)으로 구비되어 송풍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처럼 모기 퇴출팬(150a,150b)과 배기팬(160)이
설치되면 모기의 흡혈 활동을 방해할 수 있으며 여름철과 같이 기온이 높은 때에 사용자들의 하체에 신선한 공
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모기 퇴출팬
(150a,150b)과 배기팬(160)의 경우 별도의 설치공간 없이 배수구(111)를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절
약할 수 있다.
상기 벤치(120)는 상기 본체(110)의 둘레부 상단을 따라 링 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벤치(120)의 경우 상기 본[0028]
체(110)와 별도의 개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벤치(120)는 상면의 외
측 모서리 부위와 내측 모서리 부위를 각진 형태가 아닌 둥근 형태로 형성시켜 사용자들이 걸터앉는데 불편하지
않도록 한다. 이같은 상기 벤치(12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승강 테이블(130)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사용
자들이 걸터앉을 수 있는 벤치(120)로 활용되고, 상기 승강 테이블(130)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테이블
(130)과 함께 조합된 형태의 넓은 평상으로 활용되어 사용자들이 눕거나 보다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승강 테이블(130)은 원판형의 테이블로서 상기 본체(110)의 수용부(110a)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0029]
이를 위해 상기 승강 테이블(130)은 승강부재(140)에 의해 지지된다. 이같은 상기 승강 테이블(13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승하면 상기 벤치(120)보다 높게 위치하여 테이블로서 활용 가능하고, 하강하면 상기 벤치
(120)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여 상기 벤치(120)와 함께 평상으로서 활용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 테이블
(130)은 하강하였을 때 그 둘레부가 상기 벤치(120)의 내측 둘레부와 정교하게 부합된 형태로 연결되어 전체적
으로 평판 형태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상기 승강 테이블(130)의 상면 둘레부 일지점에는 사용자가 손
의 일부를 삽입한 상태로 걸어서 승강 테이블(1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핸들링 홈(131)이 형성된다. 이로
써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상기 핸들링 홈(131)을 이용하여 승강 테이블(130)을 회전시키면서 승강 테
이블(1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140)는 상기 승강 테이블(130)을 지지하면서 승강시키는 역할을 겸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부[0030]
재(140)는 상기 본체(110)의 수용부(110a)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암나사 형성된 승강너트(141)와,
상기 승강 테이블(130)의 하부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너트(141)에 대응하여 나사결합
되는 수나사 형성된 승강볼트(142)로 이루어진다. 이같은 승강부재(140)는 승강너트(141)와 승강볼트(142)의 비
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모터와 같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승강 테이블(130)의 승강동작을 이룰 수 있
도록 해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0031]
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부호의 설명
등록특허 10-1660789
- 5 -
110 : 본체 110a : 수용부[0032]
111 : 배수구 120 : 벤치
130 : 승강 테이블 131 : 핸들링 홈
140 : 승강부재 141 : 승강너트
142 : 승강볼트 150a, 150b : 모기 퇴출팬
160 : 배기팬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1660789
- 6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660789
- 7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660789
-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