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Car Mat Using Plastic Line and Making Method thereof)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6년09월30일
(11) 등록번호 10-1661464
(24) 등록일자 2016년09월2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B60N 3/04 (2006.01) B29C 65/02 (2006.01)
B29C 70/30 (2006.01) B29D 99/00 (2010.01)
(52) CPC특허분류
B60N 3/04 (2013.01)
B29C 65/02 (2013.01)
(21) 출원번호 10-2015-0140890
(22) 출원일자 2015년10월07일
심사청구일자 2015년10월07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CA2688840 A1*
KR1020130058854 A*
KR2020130005547 U*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위엔씨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로281번길 96-20 (가
동, 나동)
(72) 발명자
김승주
서울특별시 강북구 오현로31길 85-7, 102동 1106
호(번동, 번동금호어울림)
(74) 대리인
김영식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최진환
(54) 발명의 명칭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배치되어 흙이나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되, 매트를 밟을 때 발생
하는 공기의 유동에 의해 매트 내부의 흙이나 먼지가 올라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언제든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청소가 용이한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 매트는 합성수지 재질의 합성수지사를 불규칙적으로 엉기게 적층하여 일체화한 합성수지사 매트(11)와, 내측
에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합성
수지사 매트(1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외형을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12)로 이루어진 상
부체(10)와;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체(21)의 가장자리 상면에 상기 테두리 부재
(1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10)와 일체화되는 하부체(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1661464
- 1 -
(52) CPC특허분류
B29C 70/30 (2013.01)
B29D 99/0057 (2013.01)
B60N 3/042 (2013.01)
B60N 3/044 (2013.01)
B60N 3/046 (2013.01)
등록특허 10-1661464
- 2 -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합성수지 재질의 합성수지사를 불규칙적으로 엉기게 적층하여 일체화한 합성수지사 매트(11)와, 내측에 상기 합
성수지사 매트(1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합성수지사 매
트(1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외형을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12)로 이루어진 상부체(1
0)와;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체(21)의 가장자리 상면에 상기 테두리 부재(1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10)와 일체화되는 하부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체(20)는 상부체(10)와의 사이에 일정한 여유 공간(23)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턱부(22)가 형
성되고,
상기 턱부(22)에 벨크로 부재(25)가 부착되며,
상기 바닥체(21)는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상면에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는 구
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26) 또는 다수의 지지돌기(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사 카
매트.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저면에 벨크로 부재(13)가 부착되어,
상기 상부체(10)와 하부체(20)가 벨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사 카 매트.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부재(12)는 상면부와 측면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재질의 테두리(12a)와 상기 하부체(20)의 턱부
(22)에 부착된 벨크로 부재(2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 부재로 이루어진 저면부(12b)가 일체로 이루
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사 카 매트.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외측면을 따라 고정용 측면
부재(14)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용 측면부재(14)는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측면부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사
카 매트.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범위로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범위로 형성되는 수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재가 적어도 3층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사 카 매트.
청구항 6
삭제
등록특허 10-1661464
- 3 -
청구항 7
삭제
청구항 8
삭제
청구항 9
합성수지 재질의 합성수지사를 불규칙적으로 엉기게 적층하여 일체화한 합성수지사 매트(11)와, 내측에 상기 합
성수지사 매트(1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합성수지사 매
트(1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외형을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12)로 이루어진 상부체(1
0)와,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체(21)의 가장자리 상면에 상기 테두리 부재(1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10)와 일체화되는 하부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체(20)는 상부체
(10)와의 사이에 일정한 여유 공간(23)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턱부(22)가 형성되고, 상기 턱부(22)에
벨크로 부재(25)가 부착되며, 상기 바닥체(21)는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상면
에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26) 또는 다수의 지지돌기(27)를 구비하는 합성수
지사 카 매트 제조방법으로서,
합성수지사 매트(11)를 형성한 후 그 가장자리에 테두리 부재(12)를 결합시켜 상부체(1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테두리 부재(1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체(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체(20)에 상부체(10)를 부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카 매트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체(10)를 형성하는 단계는 합성수지 원재료를 용융시키는 단계와, 용융된 원재료를 다수의 이동형 노
즐에 통과시켜 코일 형태의 합성수지사를 형성하고 이 합성수지사가 서로 엉키지 않은 상태에서 급속 냉각시키
는 단계와, 냉각된 합성수지사를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로 통과시켜 평면 형태의 합성수지사 매트(11)를 형성하
는 단계와, 평면 형태의 합성수지사 매트(11)를 재단한 후 그 가장자리에 테두리 부재(12)를 결합시켜 상부체
(10)를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사 카 매트 제조방법.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배치되는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합성수지사가 불규칙[0001]
적으로 엉겨서 형성된 합성수지사를 이용하여 매트를 형성함으로써 매트를 밟을 때 발생하는 공기의 유동에 의
해 매트 내부의 흙이나 먼지가 올라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청소가 용이한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바닥에는 직물로 직조된 바닥매트가 장착되어 실내바닥을 보호하고 외부의 소음을 차[0002]
단하는 방음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더불어 자동차의 실내바닥에는 실내를 아늑하게 유지시켜 탑승자가 보다 안락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0003]
탑승자의 신발에 묻어있는 이물질이 자동차매트로 떨어져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동차매트가 장착된
다.
그리고 종래의 자동차매트는 주로 직물로 직조된 직물매트를 사용하였으며, 직물매트는 부드러우나 유입되는 흙[0004]
이나 먼지 등이 직물매트의 내부로 쉽게 침투하게 되고, 직물매트의 내부로 침투한 흙이나 먼지 등은 쉽게 털어
내거나 세척할 수 없으며, 털어내거나 세척하더라도 이물질을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27098호(자동차 매트 제조방법)와 대한[0005]
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12100호(자동차용 매트)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
12101호(자동차용 매트)가 제시되었다.
등록특허 10-1661464
- 4 -
먼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27098호(자동차매트 제조방법)는 자동차용 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연질[0006]
의 기지체에 항균제를 배합하는 배합단계, 상기 배합된 원료를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된 원료를 소정폭
과 두께로 길게 판상으로 성형하는 카렌더링 단계, 상기 카렌더링된 판을 롤러 성형기로 성형하여 다수개의 돌
출요소가 몸체에 구비되는 원판을 성형하는 원판 성형단계, 상기 원판을 일정 규격으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상
기 절단된 원판을 열처리기에 의해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열처리단계는 절단된 원판을 열 가마
에 다단으로 적재하고 120˚내지 160˚의 온도로 150초 내지 500초 동안 가열하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다수개의 돌출요소가 상기 몸체에 구비되는 받침판을 성형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12100호(자동차용 매트)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0007]
20-2009-12101호(자동차용 매트)는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복수의 넓은 구멍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매
직테이프가 부착된 상부매트와, 상기 상부매트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구멍을 통하여 유입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복수의 좁은 오목홈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하부매트로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매트는 상부매트와 하부매트의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집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0008]
매트와 하부매트를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하부매트에 모여진 이물질이 자동차의 주행
중 발생하는 충격이나 사용자의 탑승시 상부로 배출되어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자동차용 매트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매트(1)의 관통공(1a)을 통해 유입되는 흙, 먼지 등[0009]
의 이물질(x)이 상기 상부매트(1)의 관통공(1a)과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하부매트(3)의 수용홈(3a)에 수용된 후
자동차의 주행이나 사용자의 충격에 따라 상기 하부매트(3)의 수용홈(3a)에 형성된 이물질이 관통공(1a)을 따라
상부로 배출되어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부가 개방된 수용홈(3a)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외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매트를 사람이 밟으면 상부매트와 하부매트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흐르면
서 이물질(x)은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그대로 배출되어서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0888호 [0010]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9088호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합성수지사가 불규칙적으로 엉겨서[0011]
형성된 합성수지사 카매트를 이용하여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매트의 내부에 남아 있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
도록 함과 아울러 매트를 밟을 때 발생하는 공기 유동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매트 외부로 빠져나와 실내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벨크로 구조를 이용하여 합성수지사 구조물을 바닥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으
로써 합성수지사 구조물의 이탈을 방지하고 청소가 용이한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이물질이 수용 및 적층되는 여유 공간이 형성하고 합성수지사의 복잡한[0012]
구조로 인하여 이물질이 매트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
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체를 구성하는 테두리 부재의 일부를 벨크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재료 사용량 및 중량을[0013]
감소시킬 수 있는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외곽 부분을 강화하여 합성수지사 매트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0014]
하고, 합성수지사 매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등록특허 10-1661464
- 5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는, 합성 수지 재질의 합성수지사를 불규칙적으로 엉[0015]
기게 적층하여 일체화한 합성수지사 매트와, 내측에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
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합성수지사 매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로 이루어진 상부체와;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체의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와 일체화되는 하부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 부재의 저면에 벨크로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하부체[0016]
의 가장자리 상면에도 벨크로 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상부체와 하부체가 벨크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테두리 부재는 상면부와 측면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재질[0017]
의 테두리와 상기 하부체의 가장자리 상면에 부착된 벨크로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 부재로 이루
어진 저면부가 일체로 이루어진 하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합성수지[0018]
사 매트의 외측면을 따라 고정용 측면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용 측면부재는 상기 테두리 부재의 측면부 내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는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범위로[0019]
형성되는 수평부재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범위로 형성되는 수직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재가
적어도 3층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하부체는 상부체와의 사이에 일정한 여유 공간이 형성되도록[0020]
가장자리를 따라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턱부에 벨크로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에 따르면, 상기 바닥체는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0021]
록 그 상면에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 또는 다수의 지지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는, 합성수지 재질의 합성수지사를 불규칙적으로 엉기게 적층하여 일체화한[0022]
합성수지사 매트와, 내측에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
면을 가지며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벨크로 부재로 이루어진 상부체와;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체(21)와, 내측에 상기 바닥체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바닥체의 가장자리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의 벨크로 부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 부재로 이루어진 하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 제조방법은, 합성수지사 매트를 형성한 후 그 가장자리에 테두리 부재를[0023]
결합시켜 상부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테두리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체에 상부체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카 매트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
부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원재료를 용융시키는 단계와, 용융된 원재료를 다수의 이동형 노즐에 통과시켜 코일 형
태의 합성수지사를 형성하고 이 합성수지사가 서로 엉키지 않은 상태에서 급속 냉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합성
수지사를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로 통과시켜 평면 형태의 합성수지사 매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평면 형태의 합성
수지사 매트를 재단한 후 그 가장자리에 테두리 부재를 결합시켜 상부체를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합성수지사 카 매트를 구비한 상부체가 하부체에 착탈[0024]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부체와 하부체를 분리하여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음은 물론,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구조
적 특성을 이용하여 합성수지사 카 매트 저부의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상측으로 빠
져나와 발생하는 실내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부체와 하부체가 벨크로 구조에 의해 벨크로 결[0025]
합되므로 상부체와 하부체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부체를 구성하는 테두리 부재의 일부가 벨크[0026]
로 구조로 형성되어 별도의 벨크로 부재를 부착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테두리 부재의 일부가 생략되어 재료가
절감되고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등록특허 10-1661464
- 6 -
또,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합성수지사 매트의 외측면을 따라 고정용 측면부[0027]
재가 설치되므로 매트의 외형이 유지되고 매트가 테두리 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합성수지사 매트가 다수의 수평부재와 수직부재[0028]
로 이루어져 쉽게 분리되지 않음은 물론 수평부재가 3회 이상 적층됨에 따라 매트 하부의 이물질이 매트의 상부
로 튀어나오지 않게 되고 일정한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하부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턱부로 인해[0029]
상부체와 하부체 사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어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내부로 유입된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수용 및 적층되므로 이물질이 매트의 상측으로 빠져나와 실내를 오염시키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하부체의 바닥체 상면에 지지리브 또는 지지돌[0030]
기가 형성되어 매트를 지지함에 따라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처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분해 사시도.[0031]
도 2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벨크로 부재의 부착 형태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두리 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사 카 매트와 테두리 부재의 결합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사 카 매트의 변형 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체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사 카 매트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10은 종래의 자동차용 매트에서 이물질이 배출되는 형태를 나타낸 참고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0032]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사 카 매트는 도 1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사가 불규칙적으로 엉겨서 형[0033]
성된 코일 형태를 갖는 합성수지사를 적층하여 일체화한 합성수지사 매트(11)와, 내측에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
(1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가장
자리에 결합되어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외형을 형성하는 테두리 부재(12)로 이루어진 상부체(10)와; 상기 합성
수지사 매트(11)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저면에 다수의 미끄럼 방지돌기(24)가 형성된 바닥체(21)의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 부재(1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부체(10)와 일체화되는 하부체(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체(10)를 형성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사 매트(11)에 테두리 부재(12)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합성수지[0034]
사 매트(11)의 가장자리를 봉재 방식이나 접착 방식 또는 기구적 결합 방법 등을 적용하여 합성수지사 매트(1
1)에 테두리 부재(12)를 결합시킨다.
상기 상부체(10)와 하부체(20)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는 이유는, 합성수지사 매트(11)가 다수의 합성수지사가[0035]
불규칙적으로 엉겨 있는 구조이므로, 차량 바닥에 설치하고 사용하게 되면, 합성수지사 매트(11) 하부에 안착된
흙이나 이물질을 뒤집어서 털어낼 경우에, 합성수지사에 걸려서 잘 빠지지 않고, 이로 인하여 불결한 상태로 계
속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청소의 편리성을 위하여 상부체(10)와 하부체(20)로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상부체(10)와 하부체(2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하나, 벨크로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0036]
즉, 도 2와 같이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저면에 벨크로 부재(13)가 부착되고 상기 하부체(20)의 가장자리 상면
에도 벨크로 부재(25)가 부착되어 상기 상부체(10)와 하부체(20)가 벨크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 2
의 (a)와 같이, 상기 하부체(2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에 상기 벨크로 부재(25)가 부착하거나 또
등록특허 10-1661464
- 7 -
는 도 2의 (b)와 같이 하부체(20)의 벨크로 부재(25)가 결합되는 부분에 돌출부를 만든 상태에서 부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부체(10)의 벨크로 부재(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안쪽으로 확장[0037]
된 다수의 확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체(20)의 벨크로 부재(25) 역시 이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확장부를 구비
한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벨크로 결합부의 면적 증대를 통해 상부체(10)와 하부체(20)가 견고하게 결
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의 (a)는 상부체(10)를 하부에서 본 형상이고, 도 3의 (b)는 이에 대응하는 하
부체(20)를 상부에서 본 형상이다.
이때,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저면에 벨크로 부재(13)를 부착하는 대신,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저면부(12b)[0038]
를 벨크로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4와 같이, 상면부와 측면부로 이루어진 합성수지 재질의 테두리
(12a)와 상기 하부체(20)의 가장자리 상면에 부착된 벨크로 부재(2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 부재로
이루어진 저면부(12b)가 일체화되어 상기 테두리 부재(12)를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테두리 부재
(12)에 벨크로 부재(13)를 부착하는 경우에 비해 테두리 부재(12)의 일부를 생략할 수 있어 재료비와 중량을 절
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도 5의 (a)와 같이 벨크로 부재(13)가 테두리 부재(12)의 하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5의 (b)에 도시된[0039]
바와 같이, 벨크로 부재(13)가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내측으로 측면에 테두리 부재(12)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벨크로 부재(13)는 테두리 부재(12)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짧은 길이
의 벨크로 부재(13)가 다수개 단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는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사를 불규칙적으로 엉기게 하여 완성되는[0040]
것으로서, 그 외형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고, 이로 인하여 결합 및 분리의 어려움 등의 곤란이 발생한다. 이에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 6과 같이,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외측면을 따라 고정
용 측면부재(14)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용 측면부재(14)는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측면부 내측에 위치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는 강성이 부족하므로 그 가장자리에 상기 테두리 부재(12)가 결합되
더라도 그 형상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 부재(12)의 측면부 내측에 고정용 측면부재(14)
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가 외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는 다양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PVC를 이용한다.[0041]
합성수지사 매트(11)는 실 형태의 합성수지사가 불규칙적으로 엉긴 상태에서 상하면이 평평하게 가공된 것을 의
미한다. 따라서 합성수지사 매트(11)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사는 도 5와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을 기준
으로 ±30도 범위로 형성되는 수평부재(11a)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30도 범위로 형성되는 수직부재(11b)가
서로 얽혀져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부재(11a)가 적어도 3층 이상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는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틈새로 유입된 흙이나 먼지가 반동에 의해 상측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합성수지사 카 매트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 부재(12)를 제외하고 구성할 수[0042]
도 있다. 즉, 합성수지 재질의 합성수지사를 불규칙적으로 엉기게 적층하여 일체화한 합성수지사 매트(11)와,
내측에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는 벨크로 부재(13')로 이루어진 상부체(10')와; 상기 합성수지사 매
트(1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바닥체(21)와, 내측에 상기 바닥체(21)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요홈부가 형성되도
록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바닥체(21)의 가장자리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의 벨크로
부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벨크로 부재(25');로 이루어진 하부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도 10과 같은 종래의 카 매트는 사람이 매트를 밟게 되면 그 반동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작용하는 공기흐[0043]
름이 세져서 상부 방향으로 흙이나 이물질이 반등하나,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사 카 매트는 합성수지사가 불
규칙적으로 엉킨 구조로서, 여러 방면으로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사람이 매트를 밟더라도 그
반동이 여러 방면의 공기통로로 작용하게 되므로 상부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등이 거의 없게 되므로 하부체에 안
착된 흙이나 이물질이 실내로 역류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또, 상기 하부체(20)는 상부체(10)와의 사이에 일정한 여유 공간(23)이 형성되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턱부(22)가[0044]
형성되고, 상기 턱부(22)에 벨크로 부재(25)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유 공간(23)은 합성수지사 매
트(11)를 통해 유입된 흙이나 먼지가 적층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를 밟았을 때 합성수
지사 매트(11)로부터 흙이나 먼지가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등록특허 10-1661464
- 8 -
이 경우 상기 여유 공간(23)으로 인해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와 바닥체(21)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합성수지[0045]
사 매트가 처질 수 있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체(21)는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상면에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는 구조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26) 또는 다수의 지지돌
기(2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리브(26)는 도 8의 (a)와 같이 경사진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돌기(27)는 도 8의 (b)와 같이 규칙적으로 형성하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사 카 매트 제조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사 매트(11)를 형성한[0046]
후 그 가장자리에 테두리 부재(12)를 결합시켜 상부체(1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테두리 부재(12)가 착탈 가
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체(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체(20)에 상부체(10)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일체
화함으로써 카 매트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체(10)를 형성하는 단계는 합성수지 원재료를 용융시키는 단계와, 용융된 원재료를 다수의 이[0047]
동형 노즐에 통과시켜 코일 형태의 합성수지사를 형성하고 이 합성수지사가 서로 엉키지 않은 상태에서 급속 냉
각시키는 단계와, 냉각된 합성수지사를 상부롤과 하부롤 사이로 통과시켜 평면 형태의 합성수지사 매트(11)를
형성하는 단계와, 평면 형태의 합성수지사 매트(11)를 원하는 형상으로 재단한 후 그 가장자리에 테두리 부재
(12)를 결합시켜 상부체(10)를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카 매트는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에 설치되어 운전자나 탑승객이 탑승하는 과정에[0048]
서 신발 등으로부터 떨어지는 흙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신발 등으로부터 떨어지는 흙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은 합성수지사 매트(11)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합성수지사[0049]
매트(11)의 하부로 유입되고, 다층 구조의 합성수지사 매트(11)로 인해 합성수지사 매트(11)의 상측으로 빠져나
오지 못하게 된다. 상기 합성수지사 매트(11)의 하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하부체(20)의 바닥체(21)와 합성수지사
매트(11)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 공간(23)에 수용 및 적층된 후, 매트 청소시 제거된다.
카 매트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하부체(20)로부터 상부체(10)를 분리하여 따로따로 세척하면 된다. 상기 상부체[0050]
(10)의 경우에는, 종래의 직물로 만든 매트와 달리, 합성수지사 매트(11)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
면 되고, 상기 하부체(20)의 경우에는 여유 공간(23)에 적층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바닥체(21)의 상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면 된다. 이후, 건조가 완료된 상부체(10)를 하부체(20)에 벨크로 결합 방식으로
부착함으로써 카 매트의 청소를 완료한다.
이상에서는 카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카 매트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학교 등에[0051]
서 출입문 앞쪽에 설치하는 각종 매트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0052]
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
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
이다.
부호의 설명
10, 10'...상부체[0053]
11...합성수지사 매트
12...테두리 부재
12a...테두리
12b...저면부
12c...하단부
13, 13'...벨크로 부재
14...고정용 측면부재
20, 20'...하부체
등록특허 10-1661464
- 9 -
21...바닥체
22...턱부
23...여유 공간
24....미끄럼 방지 돌기
25, 25'...벨크로 부재
26...지지리브
27...지지돌기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661464
- 10 -
도면2
등록특허 10-1661464
- 11 -
도면3
도면4
등록특허 10-1661464
- 12 -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1661464
- 13 -
도면7
도면8
등록특허 10-1661464
- 14 -
도면9
도면10
등록특허 10-1661464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