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The lighting circuit of module LED)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31. 16:32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1년07월28일
(11) 등록번호 10-1052668
(24) 등록일자 2011년07월22일
(51) Int. Cl.

H05B 37/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10-0061491
(22) 출원일자 2010년06월28일
심사청구일자 2010년06월28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WO2003075019 A1
(73) 특허권자
(주) 세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474, 301호, 302호,
303호
(72) 발명자
이병석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4동 서면대림이편한세
상 103-3004
조용재
부산 수영구 광안1동 123-10
(74) 대리인
김홍길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유창훈
(54)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
(57) 요 약
본 발명은 발열소자(트랜스포머, 전해 컨덴서)를 사용하지 않고 집적화(IC)가 가능하며, 입력전원의 전압 및 주
파수의 변동에도 항시 일정한 밝기가 유지되며, 돌입전류와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아 발광다이오드의 안정된 점등
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일정한 수명을 갖는 전해 컨덴서의 제거로 인한 자체 전력소비의 최소화는 물론,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점
등회로에 포함되는 저항의 열화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입력전압이 순간 이상 전압이 공급되더라도 발광다
이오드 모듈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전압이 지속적으로 240V 이상이 공급되어도 펄
스 폭 변조방식을 이용한 정전압회로를 통하여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
등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류 AC 220V 상용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류회로의 일측단에는 비교기에 기준전압(ref1)
을 인가하는 제1기준전압발생부가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는 LED 모듈에 점등전원을 공급하는 정전류
회로가 연결되고, 상기 LED 모듈의 출력단에는 저항이 상기 비교기의 타측단자와 병렬 접속되어 이루어진 발광다
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에 있어서, 전원공급 시 일정한 주기의 톱니파를 출력하는 톱니파발생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전원을 저항으로 분압하여 비교전압(com)을 출력하는 비교전압발생부와,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전원으
로 기준전압(ref2)을 발생하며 제1정전류회로 및 제너다이오드가 직렬 접속되어 이루어진 제2기준전압발생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비교전압발생부의 출력단은 제1비교기 및 변조기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비교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기준전압발생부의 출력단은 제1비교기의 타측단에 접속되어 기준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톱니
파발생회로의 출력단은 변조기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톱니파를 인가하고, 상기 제1비교기 및 변조기의 각 출력단
은 두 입력 파형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앤드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앤드회로의 출력단은 트랜지스터를 통해 정전
류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류회로의 일측에는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다이오드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등록특허 10-1052668
- 1 -
대 표 도
등록특허 10-1052668
- 2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교류 AC 220V 상용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류회로(10)의 일측단에는 비교기(20)에 기준전압(ref1)을
인가하는 제1기준전압발생부(60)가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20)의 출력단에는 LED 모듈(200)에 점등전원을 공급
하는 정전류회로(30)가 연결되고, 상기 LED 모듈(200)의 출력단에는 저항(70)이 상기 비교기(20)의 타측단자와
병렬 접속되어 이루어진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에 있어서,
전원공급 시 일정한 주기의 톱니파를 출력하는 톱니파발생회로(80)와,
상기 정류회로(10)의 출력전원을 저항(41)(42)으로 분압하여 비교전압(com)을 출력하는 비교전압발생부(61)와,
상기 정류회로(10)의 출력전원으로 기준전압(ref2)을 발생하며 제1정전류회로(31) 및 제너다이오드(51)가 직렬
접속되어 이루어진 제2기준전압발생부(6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비교전압발생부(61)의 출력단은 제1비교기(21) 및 변조기(22)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비교전압(com)을 인가
하고,
상기 제2기준전압발생부(62)의 출력단은 제1비교기(21)의 타측단에 접속되어 기준전압(ref2)을 인가하고,
상기 톱니파발생회로(80)의 출력단은 변조기(22)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톱니파를 인가하고,
상기 제1비교기(21) 및 변조기(22)의 각 출력단은 두 입력 파형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앤드회로(23)에 접속되고,
상기 앤드회로(23)의 출력단은 트랜지스터(Q3)를 통해 정전류회로(30)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류회로(30)의 일측에는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다이오드(63)가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회로(30)의 일측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다이오드(63)를 2~3개 병렬 접속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를 집적화하여 원 칩(One Chip)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발열소자(트랜스포머, 전해 컨덴서)를 사용하지 않고 집적화(IC)가 가능하며, 입력전원의 전압 및 주[0001]
파수의 변동에도 항시 일정한 밝기가 유지되며, 돌입전류와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아 발광다이오드의 안정된 점
등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일정한 수명을 갖는 전해 컨덴서의 제거로 인한 자체 전력소비의 최소화는 물론, 수
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다이오드 모
듈 점등회로에 포함되는 저항의 열화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입력전압이 순간 이상 전압이 공급되더라도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전압이 지속적으로 240V 이상이 공급되
어도 펄스 폭 변조방식을 이용한 정전압회로를 통하여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 모
듈의 점등회로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는 스위칭 전원으로 정류회로로 직류로 교환한 후, 다시 정전류회로를[0002]
통해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스위칭 전원의 손실과 정전류 회로에서
의 손실로 인하여 실제 일반 형광등 보다 높지 않으며, 스위칭 전원부에 포함되는 전해 전해 컨덴서의 지속적인
충방전에 따른 전해액이 건조로 실제 전해 컨덴서의 수명이 발광다이오드 보다 짧게 되어 스위칭 전원부의 수명
등록특허 10-1052668
- 3 -
단축이 곧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수명 단축으로 이어지는 문제점 있으며, 또한 스위칭 전원부에 포함되는 평활용
전해 컨덴서로 인해 돌입전류가 발생되어 시스템 전체의 수명이 현저히 단축됨으로서 돌입전류의 대책이 필요하
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도 1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49392호(등록일자:2010년03월[0003]
17일)에서와 같이 발열소자(트랜스포머, 전해 컨덴서)를 사용하지 않고 집적화(IC)가 가능하며, 입력전원의 전
압 및 주파수의 변동에도 항시 일정한 밝기가 유지되며, 돌입전류와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아 발광다이오드의 안
정된 점등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일정한 수명을 갖는 전해 컨덴서의 제거로 인한 자체 전력소비의 최소화는 물
론,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하는 LED 모듈의 점등회로를 제안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제안한 종래 기술은 입력전압이 상승하게 되면 발광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0004]
게 되는데 LED 모듈(200)에 직렬로 저항(70)을 연결하여 일정 이상의 전류가 흐르게 되면 정전류회로(30)에 의
해 전압이 차단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정전류를 발광다이오드에 제공하여 높은 입력전압이 인가될 경우 내부 저
항(70)의 열화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가 상승하는데 정전류회로(30)가 차단되어 저항(70)의 열화가
식기 전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턴 온(turn on)을 하게 되므로 저항(70)의 열화는 계속 상승할 수밖
에 없게 되므로 저항(70)의 열화로 인한 소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저항(70)의 열화로 인
한 소손은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은 정전류방식의 회로를 구현하기 위해 제1기준전압발생부(60)의 전압과 전류를 전압의[0005]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저항(70)을 연결하였고, 이 저항(70)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전압 값으로 변환되어 이 전
압이 제1기준전압발생부(60)의 전압보다 높게 되면 비교기(20)가 동작하여 정전류공급부(30)를 차단하게 되는데
입력전압이 높아지게 되면 그 입력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저항(70)의 열화는 피할 수 없게 되며,
특히 출력 쪽에 단락이 생길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속한 소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종래 기술에 있어 도 2c의 (가)는 과전류가 입력되지 않거나 부하에 문제가 없을 경우에 나타나는[0006]
파형이고, 도 2c의 (나)는 순간 이상 전압이 인가될 경우에 나타나는 파형이며, 도 2c의 (다)는 240V 이상의 전
압이 계속 인가될 경우에 발생하는 파형이나, 도면상으로는 3회 정도만 스위칭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수
십 회 이상 반복되며, 이는 발열의 요인이 되어 수명 저하와 소비전력 상승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 등록한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광다이오드 모듈 점등회로[0007]
에 포함되는 저항의 열화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입력전압이 순간 이상 전압이 공급되더라도 발광다이오
드 모듈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전압이 지속적으로 240V 이상이 공급되어도 펄스
폭 변조방식을 이용한 정전압회로를 통하여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정전류의 효과를 얻기
위해 정전류다이오드(CRD)를 추가하는 한편, 발열소자(트랜스포머, 전해 컨덴서)를 사용하지 않아 집적화(IC)가
가능하며, 입력전원의 전압 및 주파수의 변동에도 항시 일정한 밝기가 유지되며, 돌입전류와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아 발광다이오드의 안정된 점등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일정한 수명을 갖는 전해 컨덴서의 제거로 인한 자체
전력소비의 최소화는 물론,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에 관한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은 교류 AC 220V 상용전원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류회로의 일측단에는 비교기에 기준전압(ref[0008]
1)을 인가하는 제1기준전압발생부가 연결되고,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는 LED 모듈에 점등전원을 공급하는 정전
류회로가 연결되고, 상기 LED 모듈의 출력단에는 저항이 상기 비교기의 타측단자와 병렬 접속되어 이루어진 발
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에 있어서, 전원공급 시 일정한 주기의 톱니파를 출력하는 톱니파발생회로와,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전원을 저항으로 분압하여 비교전압(com)을 출력하는 비교전압발생부와, 상기 정류회로의 출력
전원으로 기준전압(ref2)을 발생하며 제1정전류회로 및 제너다이오드가 직렬 접속되어 이루어진 제2기준전압발
생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비교전압발생부의 출력단은 제1비교기 및 변조기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비교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기준전압발생부의 출력단은 제1비교기의 타측단에 접속되어 기준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톱니
파발생회로의 출력단은 변조기의 타측단에 연결되어 톱니파를 인가하고, 상기 제1비교기 및 변조기의 각 출력단
은 두 입력 파형을 조합하여 출력하는 앤드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앤드회로의 출력단은 트랜지스터를 통해 정전
등록특허 10-1052668
- 4 -
류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류회로의 일측에는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다이오드가 접속되어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정전류회로의 일측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다이오드를 2~3개 병렬 접[0009]
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를 집적화하여 원 칩(One Chip)화 한 것을 특징[0010]
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발열소자(트랜스포머, 전해 컨덴서)를 사용하지 않고 집적화(IC)가 가능하며, 입력전원의 전압 및 주[0011]
파수의 변동에도 항시 일정한 밝기가 유지되며, 돌입전류와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아 발광다이오드의 안정된 점
등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일정한 수명을 갖는 전해 컨덴서의 제거로 인한 자체 전력소비의 최소화는 물론, 수
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하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에 있어서, 발광다이오드 모듈 점등회로에 포함되는
저항의 열화를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입력전압이 순간 이상 전압이 공급되더라도 발광다이오드 모듈에 안
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력전압이 지속적으로 240V 이상이 공급되어도 펄스 폭 변조방식
을 이용한 정전압회로를 통하여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도.[0012]
도 2a 및 도 2b는 종래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에 있어 저항의 열화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 2c는 종래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에 있어 각단의 출력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에 있어 각단의 출력파형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4b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0013]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모듈 점등회로도로서, AC 220V 상용전원단에는 교류(AC) 전원을 직류(DC)[0014]
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류회로(10)가 연결되고, 이 정류회로(10)의 일측단에는 전류제한저항(40)과 제너다이오
드(50)가 직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제1기준전압발생부(60)를 통해 비교기(20)의 일측 입력단에 연결되고, 이
비교기(20)의 출력단에는 저항(43)을 통해 두개의 트랜지스터(Q1)(Q2)가 직렬 연결되어 이루어진 정전류회로
(30)에 연결되고, 상기 정전류회로(30)의 출력단에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가 하나의 패케이지 안에 직렬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모듈(200)에 연결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200)의 출력단에는 비교기(20)의 타측단과
저항(70)이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원공급 시 일정한 주기의 톱니파를 출력하는 톱니파발생회로(80)와, 두개의 저항(41)(42)이 직렬 접속[0015]
되어 분압에 의해 비교전압을 출력하는 비교전압발생부(61)와, 제1정전류회로(31) 및 제너다이오드(51)가 직렬
접속되어 기준전압을 출력하는 제2기준전압발생부(6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비교전압발생부(61)의 출력단은 제1비교기(21) 및 변조기(22)의 일측단에 연결되고, 제2기준전압발생부[0016]
(62)의 출력단은 제1비교기(21)의 타측단에 접속되며, 상기 톱니파발생회로(80)의 출력단은 변조기(22)의 타측
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1비교기(21) 및 변조기(22)의 각 출력단에는 앤드회로(23)에 연결되고, 이 앤드회로(23)의 출력단에는[0017]
트랜지스터(Q3)를 통해 정전류회로(30)에 접속되며, 상기 정전류회로(30)의 일측에는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다이오드(63)가 연결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정전류회로(30)의 일측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는 정전류다이오드(63)를 2~3개[0018]
병렬 접속하여 하나의 정전류다이오드(63) 파손될 경우 병렬 접속된 다른 정전류다이오드가 대체 작동하여 LED
모듈(200)에 보다 안정적인 정전류를 공급하도록 한다.
등록특허 10-1052668
- 5 -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에 있어 각단의 출력파형도이다.[0019]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발광다이오드 모듈 점등회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002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점등회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220V 상[0021]
용전원이 정류회로(10)를 경유함에 따라 DC 전원으로 변환 출력되며, 이 변환된 DC 전원은 전류제한저항(40)과
제너다이오드(50)가 직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진 제1기준전압발생부(60)에 공급되어 비교기(20)의 비반전단자( )
에 기준전압(ref1)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정류회로(10)를 경유한 DC전원은 비교전압발생부(61)의 저항(41)(42)에 의해 분압되어 설정된[0022]
"c"부분의 전압(도 4a의 (나))은 제1비교기(21)와 변조기(22)의 비반전단자( )에 비교전압(com)으로 각각 인가
된다.
상기 제2기준전압발생부(62)의 제1정전류회로(31)와 제너다이오드(51)에 의해 설정된 일정한 레벨의 "e"부분 전[0023]
압(도 4a의 (라))은 제1비교기(21)의 반전단자(-)에 비교전압(com)으로 각각 인가되며, 또한 톱니파발생회로
(80)로부터 출력되는 "b"부분의 톱니파 파형(도 4a의 (가))은 변조기(22)의 반전단자(-)에 각각 인가된다.
이때, 초기 구동시에는 LED 모듈(2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음에 따라 비교기(20)의 반전단자(-)에는 비교 전원[0024]
이 인가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비교기(20)의 비반전단자( )에 인가되는 기준전압(ref1)에 의해 정전류회로
(30)를 구동함에 따라 정류회로(10)의 DC 출력전원을 발광다이오드 모듈(200)에 공급하게 되어 다수의 발광다이
오드(LED)가 모두 동시에 점등된다.
이 후, 상기 LED 모듈(200)을 경유한 DC 전원은 비교기(20)의 반전단자(-)에 인가됨으로써 상기 비교기(20)는[0025]
전류제한저항(40)과 제너다이오드(50)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ref1)과 LED 모듈(200)을 경유한 DC 전원을 서로
비교하여 LED 모듈(200)을 경유한 전압이 기준전압 보다 높을 경우 정전류회로(30)를 차단하여 LED 모듈(200)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이어서 정상적인 전압이 유지되면 정전류회로(30)를 구동함으로써 정류회로(10)로부
터 과도전압이 출력될 경우에도 LED 모듈(200)에 안정적인 전원을 모듈(200)에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변조기(22)는 비교전압발생부(61)의 저항(41)(42)에 의해 분압되어 설정된 "c"부분의 비교전압(com)[0026]
파형(도 4a의 (나))과 제2기준전압발생부(62)의 제1정전류회로(31)와 제너다이오드(51)에 의해 설정된 일정한
레벨의 기준전압(ref2)의"e"부분 파형(도 4a의 (라))과 비교하여 제2기준전압발생부(62)의 기준전압(ref2) 보다
낮은 부분을 커팅하여 "f"부분의 파형(도 4a의 (라))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변조기(22)는 비교전압발생부(61)의 저항(41)(42)에 의해 분압되어 설정된 "c"부분의 비교전[0027]
압(com) 파형(도 4a의 (나))과 톱니파발생회로(80)로부터 출력되는 "b"부분 전압(도 4a의 (가))을 비교하여 "
d"부분 파형(도 4a의 (다))과 같은 펄스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1비교기(21)로부터 출력되는 "f"부분의 파형(도 4a의 (라))과, 변조기(22)로부터 출력되는 "d"부분 파형[0028]
(도 4a의 (다))은 앤드회로(23)에 인가되어 조합됨으로써 도 4a의 (마)에서와 같이 "f"파형 및 "d"파형이 겹치
는 부분에서 "g"부분과 같은 펄스가 출력되며, 상기 앤드회로(23)의 출력 펄스는 트랜지스터(Q3)에 의해 "h"부
분의 파형(도 4b의 (바))과 같이 위상이 반전된 펄스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앤드회로(23)로부터 출력되는 도 4a의 (바)와 같은 "h"부분의 펄스에 의해 트랜지스터(Q3)가 오프[0029]
(off) 상태를 유지할 경우 정전류회로(30)가 구동하여 LED 모듈(200)에 점등전원을 공급하게 되나, 도 4b의
(사)에서와 같이 정전류다이오드(63)를 경유한 "m"부분의 전류파형과 도 4b의 (바)와 같은 "h"부분의 펄스에 의
해 도 4b의 (아)에서와 같이 "h"부분의 펄스 보다 높은 "m"부분의 전류파형에서는 LED 모듈(200)에 공급되는 전
원이 차단되는 "k"부분의 파형이 출력된다.
즉, 도 4b의 (아)도 도시된 정전류회로(30)의 출력파형인 "k"부분 파형의 의미는 LED 모듈(200)에 과도한 전압[0030]
이 공급될 경우 매우 순간적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며, 이는 결국 전압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게 됨으로써 입
력전압이 지속적으로 240V 이상이 공급되어도 펄스 폭 변조방식에 의한 정전압회로를 통하여 LED 모듈(200)에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발열소자(트랜스포머, 전해 컨덴서)를 사용하지 않아 집적화(IC)가 가능하고, 입력전원의[0031]
전압 및 주파수의 변동에도 항시 일정한 밝기가 유지되며, 돌입전류와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아 LED 모듈의 안정
된 점등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일정한 수명을 갖는 전해 컨덴서의 제거로 인한 자체 전력소비의 최소화는
물론,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발열소자(트랜스포머, 전해 컨덴서)를 사용하지 않아 집적화(IC)가
등록특허 10-1052668
- 6 -
가능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 정류회로 20 : 비교기[0032]
21 : 제1비교기 22 : 변조기
23 : 앤드회로 30 : 정전류회로
31 : 제1정전류회로 40 ~ 43, 70 : 저항
50, 51 : 제너다이오드 60 : 제1기준전압발생부
61 : 비교전압발생부 62 : 제2기준전압발생부
80 : 톱니파발생회로 200 : LED 모듈
도면
도면1
도면2a
등록특허 10-1052668
- 7 -
도면2b
도면2c
등록특허 10-1052668
- 8 -
도면3
등록특허 10-1052668
- 9 -
도면4a
등록특허 10-1052668
- 10 -
도면4b
등록특허 10-1052668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