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조립식 평행봉(prefabricated parallel bars)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3. 31. 16:31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3년10월10일
(11) 등록번호 10-1316754
(24) 등록일자 2013년10월02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A63B 3/00 (2006.01)
(21) 출원번호 10-2012-0106147
(22) 출원일자 2012년09월24일
심사청구일자 2012년09월24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US5169362 A
KR2020110010959 U
JP03375106 B
KR2020080000998 U
(73) 특허권자
김태화
인천광역시 부평구 원적로269번길 15 , 101동
1803호(산곡동, 현대아파트)
(72) 발명자
김태화
인천광역시 부평구 원적로269번길 15 , 101동
1803호(산곡동, 현대아파트)
(74) 대리인
김국진
전체 청구항 수 : 총 7 항 심사관 : 박성호
(54) 발명의 명칭 조립식 평행봉
(57) 요 약
본 발명은 조립식 평행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서 높낮이를 조절하여 신체조건이 다
른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조립식
평행봉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2상부부재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2하부부재와, 상기 제1,2상부부재와 제1,2하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2상부부재
는 하부로 갈수록 양단부의 폭이 넓어지고, 상기 제1,2하부부재는 상부로 갈수록 양단부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3
등록특허 10-1316754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2상부부재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2하부부재와,
상기 제1,2상부부재와 제1,2하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행봉.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상부부재는 하부로 갈수록 양단부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행봉.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하부부재는 상부로 갈수록 양단부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행봉.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부재와 제2상부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제1하부부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연결부재에 의
해 결합되고,
상기 제1상부부재와 제2상부부재의 타측 단부에는 제2하부부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연결부재에 의
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행봉.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고정볼트가 구비되어 제1,2상부부재 및 제1,2하부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행봉.
청구항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에는 분할볼트가 삽입 고정되어, 제1,2상부부재의 하단 및 제1,2하부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행봉.
청구항 7
등록특허 10-1316754
- 2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연결부재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평행봉.
명 세 서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조립식 평행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서 높낮이를 조절하여 신체조건이 다[0001]
른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조립
식 평행봉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평행봉은 일정 높이를 갖는 두 쌍의 철재 또는 목재 기둥을 대지나 고정 프레임 등에 일정간격을 두[0002]
고 고정 설치하고 각 쌍의 기둥 상단부에 각각 횡목을 평행하게 고정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평행봉을 이용하여 운동을 실시하게 되면, 상체 각 관절의 조절능력과 평행감각 향상은[0003]
물론 협조성과 평행감각에 좋으며, 인체의 흉근(가슴근육)과 삼각근(어깨근육) 및 삼두근(팔 뒤쪽) 등의 발달은
물론 근력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어깨와 팔꿈치 및 손목관절의 기능성 장애의 회복에도 도움이 된
다.
이러한 평행봉은 일반 운동장이나 그린 공원 등지는 물론 개천 주변이나 산책로 등 다양한 장소에 널리설치되어[0004]
남녀노소에 무관하게 누구라도 쉽게 사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평행봉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무관하게 일정한 높이와 폭이 정해진 형태로 대지 등에 고정[0005]
설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서 해당 평행봉을 이용하여 운동할 수도 있고, 그렇지 못할 경우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높이와 폭의 평행봉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6]
0054259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대지나 고정 프레임(1)에 저단부가 고정 설치된 두
쌍의 기둥(2) 상단부에 2개의 횡목(3)을 평행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된 평행봉에 있어서, 상기 기둥(2)은 저단부
가 대지나 고정 프레임(1)에 직접 고정되는 긴 파이프(21)와,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형태에서 저부는 상
기 긴 파이프에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는 횡목(3)이 고정 설치되는 환봉(22)으로 구성하고, 상
기 긴 파이프(21)의 상단부와 환봉(22)의 외주면 사이에는 환봉(22)의 높이 조절을 통한 평행봉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높이조절수단(4)은 개구부에 지지편(411)이 일체로 절곡
형성된 구성을 갖고 상기 긴 파이프(21)의 상단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어 손잡이 바(45)와 연결된
편심 캠(44)과 환봉 고정바(42)를 축지 및 지지해 주는 브라켓(41)과 상단 일측부로는 환봉(22)의 주연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등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개의 걸림홈(23) 중 어느 한 걸림홈(23)에 끼워져 걸려지는 환봉 고정구
(43)가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하단부가 축을 통해 상기 브라켓(41)의 지지편(411) 저
부에 축지되어 환봉(22)의 승,하강을 제한하는 환봉 고정바(42)와 주연부가 상기 환봉 고정바(42)의 외측면 중
간부와 면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41)의 지지편(411)에 축(441)을 통해 편심되게 축지되어 환봉
고정바(42)의 회동을 방지하는 편심 캠(44)과 상기 편심 캠(44)의 주연부에 일단부가 고정된 형태를 갖고 사용
자가 편심 캠(44)을 회전시켜 환봉 고정바(42)를 통한 환봉(22)의 승,하강에 따른 구속 여부를 결정짓도록 하는
손잡이 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54259호에 기재된 기술은 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0007]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견고하지 못하며, 부피가 크기 때문에 실내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내용
등록특허 10-1316754
- 3 -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행봉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0008]
상부부재와 제2상부부재, 그리고 하부를 형성하는 제1하부부재와 제2하부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2상부부재와
제1,2하부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연결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각 관통공에 분할볼트를 삽입 고정함으로써, 제1,2상부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적
절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조립식 평행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부를 형성하는 제1,2상부부재와 하부를 형성하는 제1,2하부부재를 각각 'ㄷ'[0009]
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고정 결합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부재를 분리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조립식 평행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0010]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2상부부재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2하부부재와, 상기 제1,2상부부재와[0011]
제1,2하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상부부재는 하부로 갈수록 양단부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12]
또한, 상기 제1,2하부부재는 상부로 갈수록 양단부의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13]
이때, 상기 제1상부부재와 제2상부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제1하부부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연결부재[0014]
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상부부재와 제2상부부재의 타측 단부에는 제2하부부재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각각 연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0015]
통공에는 고정볼트가 구비되어 제1,2상부부재 및 제1,2하부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에는 분할볼트가 삽입 고정되어, 제1,2상부부재의 하단 및 제1,2하부부재의 상단을 지지하[0016]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연결부재의 양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0017]
발명의 효과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평행봉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1상부부재와 제2상부부재, 그리고 하부를 형성하[0018]
는 제1하부부재와 제2하부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2상부부재와 제1,2하부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이루
어지되, 연결부재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각 관통공에 분할볼트를 삽입 고정함으로써, 제
1,2상부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적절하게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를 형성하는 제1,2상부부재와 하부를 형성하는 제1,2하부부재를 각각 'ㄷ'자 형상으로[0019]
형성하고,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고정 결합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부재를 분리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평행봉의 사시도이다.[0020]
도 2는 종래의 평행봉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행봉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행봉의 분리 사시도이다.
등록특허 10-1316754
- 4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행봉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행봉의 높이 조절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평행봉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0021]
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
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행봉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행봉의 분리 사시도이고,[002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행봉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평행봉의 높이 조절을 보여
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평행봉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 평행봉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평행봉의 상부를 형성하[0023]
는 제1상부부재(510)와 제2상부부재(520), 그리고, 평행봉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하부부재(610)와 제2하부부재
(620), 그리고, 상기 제1,2상부부재(510,520)와 제1,2하부부재(610,62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00)로 이루어진
다.
여기서, 상기 제1상부부재(510)와 제2상부부재(5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양단부의 폭이[0024]
넓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부재(610)와 제2하부부재(62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로 갈수록 양
단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부재(51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하부부재(61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연결부재(700)에 의[0025]
해 결합고정되고, 상기 제1상부부재(51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하부부재(62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연결부재
(700)에 의해 결합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2상부부재(520)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하부부재(610)의 제1상부부재(510)와 연결된 단부의 타측[0026]
단부와 상기 연결부재(700)에 의해 결합고정되고, 상기 제2상부부재(52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제2하부부재(62
0)의 제1상부부재(510)와 연결된 단부의 타측 단부와 상기 연결부재(700)에 의해 결합고정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제1,2상부부재(510,520)는 본 발명인 조립식 평행봉의 양측에 설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양단부의[0027]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인 조립식 평행봉은 상부보다 하부가 전후로 길게 형성되게 되고, 상
기 제1,2하부부재(610,620)는 본 발명인 조립식 평행봉의 전후에 설치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
성되기 때문에, 상부보다 하부의 양측 폭이 넓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1,2상부부재(510,520)의 중심부를
파지하여 다양한 형태의 평행봉 운동을 하게 되더라도, 조립식 평행봉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0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경이 상기 제1,2상부부재(510,520)와 제1,2하부부[0028]
재(610,6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정도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700)의 상부로는 제1,2상부부재(510,520)의 양
측 단부가 삽입되고, 연결부재(700)의 하부로는 제1,2하부부재(610,620)의 양측 단부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70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관통공(71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710)에는 분[0029]
할볼트(720)가 삽입되어, 제1,2상부부재(510,520)가 연결부재(700)의 상부로 삽입될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상기 분할볼트(720)에 지지되어 더 이상 하부로 이동되지 않게 되며, 제1,2하부부재(610,620)가 연결부재
(700)의 하부로 삽입될 때, 분할볼트(720)에 지지되어 더 이상 상부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상기 분할볼트(720)를 하나만 삽입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700)의 중심부에 형[0030]
성된 관통공(710)에 삽입고정하면 제1,2상부부재(510,520)와 제1,2하부부재(610,620)는 서로 거의 맞닫도록 되
어 조립식 평행봉의 상하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두개의 분할볼트(720)를 사용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분할볼트(720)을 이격시킨 거리만큼 조립식 평행봉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분할볼트
(720)를 사용하여, 자신의 신체 특성에 맞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00)에서 분할볼트(720)가 삽입된 관통공(71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조임볼트(730)를[0031]
등록특허 10-1316754
- 5 -
삽입하여, 연결부재(700)의 내부로 삽입된 제1,2상부부재(510,520) 또는 제1,2하부부재(610,620)의 외주면을 가
압하게 되어, 제1,2상부부재(510,520) 또는 제1,2하부부재(610,62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상부부재(510,520)와 제1,2하부부재(610,620)[0032]
를 연결부재(700')를 사용하여 연결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부재(70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관통공
(7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710)은 연결부재(700')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게 된다.[0033]
그래서, 상기 관통공(710)에 분할볼트(720)를 삽입할 때, 대응되는 관통공(710)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함으로써,[0034]
분할볼트(720)의 양측단부가 관통공(71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제1,2상부부재(510,520)와
제1,2하부부재(610,620)를 지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나머지 구성들은 전술한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0035]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0036]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
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
능한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조립식 평행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서 높낮이를 조절하여 신체조건이 다[0037]
른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여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조립
식 평행봉에 관한 것이다.
부호의 설명
510 : 제1상부부재 520 : 제2상부부재[0038]
610 : 제1하부부재 620 : 제2하부부재
700,700' : 연결부재 710 : 관통공
720 : 분할볼트 730 : 조임볼트
등록특허 10-1316754
- 6 -
도면
도면1
등록특허 10-1316754
- 7 -
도면2
등록특허 10-1316754
- 8 -
도면3
등록특허 10-1316754
- 9 -
도면4
등록특허 10-1316754
- 10 -
도면5
등록특허 10-1316754
- 11 -
도면6
등록특허 10-1316754
- 12 -
도면7
등록특허 10-1316754
-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