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절개 확장기(Alveolar-ridge cut and expansion tool for dental implant)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특허공보(B1)
(45) 공고일자 2010년06월10일
(11) 등록번호 10-0962166
(24) 등록일자 2010년06월01일
(51) Int. Cl.
A61C 8/02 (2006.01) A61C 8/00 (2006.01)
A61C 3/02 (2006.01)
(21) 출원번호 10-2009-0038894
(22) 출원일자 2009년05월04일
심사청구일자 2009년05월04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US20070099150 A1*
US20050003327 A1
US20060008771 A1
KR1020050081979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73) 특허권자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대전 대덕구 대화동 40-29
(72) 발명자
왕제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용산동 719번지 경남아너스빌
2단지아파트 201동 505호
(74) 대리인
송재욱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김종규
(54)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절개 확장기
(57) 요 약
본 발명은 원형막대형상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설치되며 손잡이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와, 상기 스토
퍼의 하부에 설치된 골절개 확장구로 구성되며, 상기 골절개 확장구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최하단은
날카롭고 뾰족하거나 원주모양의 날카로운 날이 설치된 구조로 된 원뿔형상의 확장기와, 상기 확장기의 외측면에
상하로 길게 설치된 외부로 날카롭게 형성된 다수의 날로 구성된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절개 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대 표 도 - 도1
등록특허 10-0962166
- 1 -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삭제
청구항 2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에 있어서,
원형막대형상의 손잡이(1)와, 상기 손잡이(1)의 하부에 설치되며 손잡이(1)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2)와, 상기
스토퍼(2)의 하부에 설치된 확장구(3-1)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구(3-1)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최하단은 날카롭고 뾰족하게 설치된 구조인 역 원뿔형상으
로 하부로 갈수록 일측은 직선이며, 다른 일측은 일측으로 경사진 형상의 확장기(32-1)와, 상기 확장기(32-1)
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날카롭게 형성된 두 개의 날(3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임
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날(31)은 톱니형상의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
명 세 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 술 분 야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시술기구의 일종인 치조골을 쪼개는 날(bone chisel)과 치조골을 확장시[0001]
켜주는 확장기(bone spreader osteotome)를 일체화한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절개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란 본래는 인체의 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0002]
만 치과에서 는 인공치아 이식을 의미한다.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으로 만든 인공치근을 이가[0003]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로
써,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의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위의 치아 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는 큰 장점이 있으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비슷하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비교
적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치조골(alveolar bone)에 임플란트를 시술할 경우 임플란트가 시술될 수 있는 치조골의 폭이 확보되[0004]
등록특허 10-0962166
- 2 -
어야만 하는데, 환자 중에 치조골의 폭이 좁아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없는 경우 끌로 치조골을 쪼갠 다음 쪼개
진 틈 사이에 스프레더나 오스테오톰을 이용하여 확장시킨 후, 임플란트를 시술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술을 끌과 스프레더와 오스테오톰과 같은 세가지의 시술기구 세트가 필요하여 시술시 두[0005]
가지 이상의 공정으로 시술해야 하는 불편과 큰 압력이 한 부위에 집중되기 쉬워 편측골편이 골절되어 확장에
실패하는 불편함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예를 들면,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07-0119628호에는 치아용 임플란트(1)와 그 관련 부품을 포함하[0006]
는 새로운 플랫폼으로서, 특징적으로 임플란트(1) 및 그 관련 부품은 감소된 직경을 가짐으로써, 특히 골 정점
의 세폭 영역을 치료하기 위한 소정의 용례에 적합하다. 세폭형이지만 여전히 튼튼하고 신뢰성 있는 치아용 임
플란트(1) 및 그 관련 부품을 얻기 위해, 치아용 임플란트(1) 및 그 관련 부품의 소정 특징 및 기하학적 형태를
재조정하거나 최적화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21074호에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시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부위의 절개된[0007]
골 조직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골조직 확장기에 있어서, 기기 몸체(10)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
되며 내주면에 나선홈(22)을 갖는 통공(24)이 형성되는 지지편(20)과, 상기 기기 몸체(10)에 수직 방향으로 형
성되며 중앙에 삽입 공간(32)이 형성되는 고정편(30)과, 상기 지지편(20)의 통공(24) 내부에 삽입되며 이 통공
(24) 내주면의 나선홈(22)과 나선 결합되는 나선홈(42)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스크류 드라이버(60)를 삽입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통공(24)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작동편(40)과, 상기 지지편(20)의 통공(24) 전방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편(40)과 연동되는 작동축(52)이 후방에 형성되며 고정편(30) 중앙의 삽입 공간(32)에 고정
편(30)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이동 확장편(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골조직 확장기
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630304호에는 골에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홀을 형성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의 직경[0008]
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절삭부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
기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절삭부의 상단 전면 중 외주를 포함하는 일면을 상향으로
융기시켜 형성되는 돌출면과; 상기 돌출면의 형성에 따라 돌출면과 반대로 절삭부의 상단 전면 중 일면이 함몰
되어 형성되는 시계 회전방향에 역 경사를 갖는 함몰면과;상기 단턱과 돌출면의 연결 부위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악동 점막과 접촉되더라도 수평의 선 접촉을 이루면서 힘이 고르게 분산되게 함으로써 상악동 점막
의 손상 없이 절삭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절삭모서리와;상기 절삭부 상단의 일면 즉 상기 돌출
면 및 함몰면 사이의 일정 부위에서 시작하여 절삭부의 하단에 조금 못 미치는 부위까지를 절단하여 형성되는
배출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확공기가 알려져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884211호에는 피조 메인장치의 핸드 피스에 일단이 삽입 고정되는 피조 몸체와, 상기[0009]
피조 몸체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며 선형 또는 절곡된 구조를 갖는 피조 폴과, 상기 피조 폴의 단부에 절삭을 진
행하기 위해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절삭날이 형성된 피조 팁으로 구성되는 상악동 수직 접근 시술용 피조톰에 있
어서,
상기 피조 팁(13)의 복수개의 절삭날(14)은 각각의 단부가 선단을 향해 모아지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0010]
피조톰(10)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피조 몸체(11)와 피조 폴(12) 및 피조 팁(13)을 관통하는 급수홀(15)이 형성
되고, 상기 피조 폴(12)의 외주면에는 잔존골의 두께에 따른 삽입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1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 시술용 피조톰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 하고자하는 과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임플란트가 시술되어 질수있는 치조골의 폭이 확보되어야만 하는데, 환자중에 치조[0011]
골의 폭이 좁아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 없는 경우 치조골을 확장하기 위해 끌로 치조골을 쪼갠다음, 쪼개진 틈
사이에 스프래더나 오스테오톰을 이용하여 확장 시킨후, 임플란트를 시술하여 왔으나, 상기와 같은 시술을 끌로
스프레더와 오스테오톰과 같은 세가지의 시술기구가 필요하며 여러 공정으로 시술해야 하는 불편함과 시술 중에
편측골편이 골절되어 치조골 확장을 실패하는 불편함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등록특허 10-0962166
- 3 -
과제 해결수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치과용 임플란트의 시술시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치조골을 쪼개[0012]
는 날과, 확장시키는 확장기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기구로 골을 쪼개면서, 동시에, 골조직을 확장 시켜주는
일체형 기구인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효 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치조골을 쪼개는 끌과, 확장기(스프레더 또는 오스테오톰)를 일체화한 장치로서 한[0013]
가지 기구만 사용하므로 경제적이며, 하나의 장치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시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골절개나 골편의 파절을 막을수 있어서, 임플란트의 시술 후 수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형막대형상의 손잡이(1)와, 상기 손잡이(1)의 하부에 설치되[0014]
며 손잡이(1)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2)와, 상기 스토퍼(2)의 하부에 설치된 확장구(3-4)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구(3-4)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최하단은 날카롭고 뾰족하게 설치된 구조인 역 원[0015]
뿔형상의 확장기(32-4)와, 상기 확장기(32-4)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날카롭게 형성된 날(31)로 구성된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임플란트용 골조직 확장기는 그 구조상 사용시 골조직을 이동 확장편을 합한 만큼의 두께가 삽입될 수[0016]
있도록 넓게 절개를 해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의 시술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절개된 골조직이 아
무는 데에도 회복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됨에 따라 최소한도의 골조직을 절개한 상태에서 시술하여 왔기 때문에,
임플란트가 시술될 수 있는 치조골의 폭이 확보되어야만 하는데, 환자중에 치조골의 폭이 좁아 임플란트를 시술[0017]
할 수 없는 경우 치조골을 확장하기 위하여 끌로 치조골을 쪼갠 다음, 쪼개진 틈 사이에 확장기(스프레더 또는
오스테오톰)를 이용하여 확장시킨 후, 임플란트를 시술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끌(날)과 확장기(스프레더 또는 오스테오톰)와 같은 두 가지의 시술기구가[0018]
필요하며, 시술시 두 가지 이상의 공정으로 시술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임플란트의 시술시 임
플란트를 시술하는 치조골을 쪼개는 끌과, 확장시키는 확장기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기구로 골을 쪼개면서 동시
에, 쪼갠 부위의 골조직을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는 일체형 기구인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를 개량한
것이다.
치아의 위치 및 치조골의 폭에 따라 [0019]
도1 및 도2는 하악 전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아래 앞니)로서, 하악전치 치조골은 폭이 가지런하고[0020]
골 경사가 적기 때문에 도1과 같은 형태가 바람직하며,
도3은 상악전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확장기(위 앞니)로 위앞니(윗니 중앙)의 치조골은 전방으로 튀어나온[0021]
형태의 치조골이 대부분이어서, 위앞니(윗니 중앙의 튀어나온) 치조골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약간 휘어진 원추
형상으로 제작한 도4와 같은 형태가 바람직하고,
도4는 상악구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위 어금니)으로,[0022]
상악동 거상과 동시에 치조골을 확장할 수 있으며, 기구의 끝에는 둥근 원형형태의 날이 있어서, 상악동 하부의[0023]
치밀골을 절단하며 거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상악구치치조골 상부에는 상악동이라는 동공이 있어 여기에
고름이 고일 경우 축농증 증상으로 호흡에 지장이 있는 중요한 코의 일부분임)
도5는 하악 구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확장기(아래어금니)로 치조골의 절단을 여러 방향으로 주어 확장을[0024]
점차적으로 한번에 시행되도록 하며 치조골에 압력을 분산시켜 안전한 확장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개량하였으
며, 단단한 치밀골의 파절(파손)을 막기 위해 6개의 날이 구비되어 있고,
도6은 단일치아 무치악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로서,[0025]
등록특허 10-0962166
- 4 -
시술하고자 하는 치조골의 폭이 주위의 치조골 보다 좁을 경우 사용하는 것으로 도6과 같은 형태가 바람직[0026]
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0027]
도1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 측[0028]
단면도, 도3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손잡이(1),
스토퍼(2), 확장구(3,3-1,3-2,3-3,3-4), 날(31), 확장기(32,32-1,32-2,32-3,32-4)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는 원형막대형[0029]
상의 손잡이(1)와, 상기 손잡이(1)의 하부에 설치되며 손잡이(1)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2)와, 상기 스토퍼(2)
의 하부에 설치된 확장구(3)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구(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최하단은 날카롭고 뾰족하게 설치된 구조인 역 원뿔형상의[0030]
확장기(32)와, 상기 확장기(32)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날카롭게 형성된 두 개의 날(31)로 구성된 하악
전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의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3은 상악전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확장기로서, 상기 도1 및 2와 동일하며 다만 확장구만 상이하며, 보다[0031]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형막대형상의 손잡이(1)와, 상기 손잡이(1)의 하부에 설치되며 손잡이(1)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2)와, 상기[0032]
스토퍼(2)의 하부에 설치된 확장구(3-1)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구(3-1)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최하단은 날카롭고 뾰족하게 설치된 구조인 역 원뿔형상으[0033]
로 하부로 갈수록 일측은 직선이며, 다른 일측은 일측으로 경사진 형상의 확장기(32-1)와,
상기 확장기(32-1)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날카롭게 형성된 두 개의 날(31)로 구성된 상악 전치 임플란트[0034]
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의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4는 상악 구치 임플란트용 일체형치조골 확장기를 나타낸 것으로, 원형막대형상의 손잡이(1)와, 상기[0035]
손잡이(1)의 하부에 설치되며 손잡이(1)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2)와, 상기 스토퍼(2)의 하부에 설치된
확장구(3-2)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구(3-2)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역원뿔형상이며 최하단은 중앙부는 홈형상이며 원형테두리[0036]
는 돌출된 칼날 형상의 확장기(32-2)와, 상기 확장기(32-2)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날카롭게 형성된 두
개의 날(31)로 구성된 상악 구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의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5는 하악구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로, [0037]
원형막대형상의 손잡이(1)와, 상기 손잡이(1)의 하부에 설치되며 손잡이(1)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2)와, 상기[0038]
스토퍼(2)의 하부에 설치된 확장구(3-3)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구(3-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최하단은 날카롭고 뾰족하게 설치된 구조인 역 원뿔형상[0039]
의 확장기(32-3)와, 상기 확장기(32-3)의 테두리에 설치되어 외부로 날카롭게 형성된 여섯 개의 날(31)로 구성
된 하악구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의 구조임을 알 수 있다.
[0040]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단일치아 무치악), 보다 구체적으로 설[0041]
명하면,
원형막대형상의 손잡이(1)와, 상기 손잡이(1)의 하부에 설치되며 손잡이(1)보다 직경이 큰 스토퍼(2)와, 상기[0042]
스토퍼(2)의 하부에 설치된 확장구(3-4)로 구성되며,
상기 확장구(3-4)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며 최하단은 날카롭고 뾰족하게 설치된 구조인 역 원뿔형상[0043]
의 확장기(32-4)와, 상기 확장기(32-4)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외부로 날카롭게 형성된 4 개의 날(31)로 구성된
등록특허 10-0962166
- 5 -
단일치아 무치악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의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7내지 도11은 날(31)이 직선상이 아니라, 톱니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0044]
[0045]
사용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치아가 제거된 후,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하는 폭이 좁은 치조골에 본[0046]
발명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를 손잡이(1)부에 손으로 잡고 위치시킨 다음, 손잡이(1)상부에 망치
로 쳐서 힘(압력)을 가하면, 하부에 설치된 확장구의 날(31)로 치조골을 갈라짐과 동시에,
확장구(3,3-1,3-2,3-3,3-4)의 확장기(32,32-1,32-2,32-3,32-4)에 의해 갈라진 치조골을 확장시켜, 일정폭으로[0047]
확장되면, 임플란트를 확장된 부분에 고정시키고, 주위에 다른 곳의 뼈를 이식하여 정리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 전체도[0048]
도2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 측단면도[0049]
도3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일체형 치조골 확장기 다른 예[0050]
도면의 부호설명[0051]
손잡이(1), 스토퍼(2), 확장구(3,3-1,3-2,3-3,3-4), 날(31), 확장기(32,32-1,32-2,32-3,32-4)[0052]
도면
도면1
도면2
등록특허 10-0962166
- 6 -
도면3
도면4
도면5
도면6
등록특허 10-0962166
- 7 -
도면7
도면8
도면9
도면10
등록특허 10-0962166
- 8 -
도면11
등록특허 10-0962166
-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