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의 급기 습윤장치(DEVICE OF SUPPLING AIR AND MOISTENING OF GARBAGE DISPOSAL)

갈때까지가는거야 2018. 2. 22. 16:08

(19) 대한민국특허청(KR)
(12) 등록실용신안공보(Y1)
(45) 공고일자 2007년12월17일
(11) 등록번호 20-0437624
(24) 등록일자 2007년12월06일
(51) Int. Cl.

B09B 3/00 (2006.01)
(21) 출원번호 20-2007-0000503
(22) 출원일자 2007년01월11일
심사청구일자 2007년01월11일
(73) 실용신안권자
문선길
경기 부천시 소사구 송내동 385-8번지 지엠텍크
3층
이성학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송내동 385-5번지 지엠텍
크 3층
(72) 고안자
문선길
경기 부천시 소사구 송내동 385-8번지 지엠텍크
3층
이성학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송내동 385-5번지 지엠텍
크 3층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정기주
(54)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의 급기 습윤장치
(57) 요 약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의 급기습윤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멸조(1)에 교반기(2)와, 투입구(3)를 밀봉하
는 덮개(4), 송풍기(F)가 관접된 급기관(5), 배기관(6),및 탈취기(7) 등이 구비된 소멸기(A)에 있어서, 급기관
(5) 내부에 나선형으로 꼬인 좁고 긴 유도편(8)을 설치하고 소멸조(1)의 상단 내주면에 흡습성 수지밴드(9)를
장착하여 소멸조를 습윤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소멸기(A)의 배기관(6)에 관접된 탈취기(7)에 과부하를 주지 않도록 설정된 약한 유속(流速)의 공기를 유도편
(8)에 의한 회오리 분사작용으로 소멸조의 음식물 쓰레기의 표면에 접촉되게 공급이 가능하여, 호기성 주기(好
氣性 週期)나, 혐기성 주기(嫌氣性 週期)에도 분해물질을 포함하는 증발된 수분을 거의 균일하게 배출시키어
소멸작용을 높일 수 있다. 또 수분증발에 의해 소멸조(1)가 건조상태로 되면 흡습성 수지밴드(9)의 습윤에 의
해 미생물의 사멸을 방지하고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의 기능을 유효하게 지속할 수 있다.
대표도 - 도1
- 1 -
등록실용신안 20-0437624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소멸조(1)에 교반기(2)와, 투입구(3)를 밀봉하는 덮개(4), 송풍기(F)가 관접된 공기의 급기관(5), 배기관(6),
및 탈취기(7) 등이 구비된 소멸기(A)에 있어서, 급기관(5) 내부에 나선형으로 꼬인 좁고 긴 유도편(8)을 회오
리 분사로 급기 할 수 있게 설치하고 소멸기(A)의 소멸조(1)의 상단 내주면에 수분의 흡수와, 배출의 가역동
작을 하는 흡습성 수지밴드(9)를 부착하여 습윤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
의 급기 습윤장치
명 세 서
고안의 상세한 설명
고안의 목적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의 급기 습윤장치에 관한 것이다.<7>
종래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는 소멸조의 하부에 교반기가 설치되고 소멸조의 상부측에 급기관과 배기관이 마주<8>
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배기관에는 탈취기가 관접되어 있다.
소멸조에 음식물 쓰레기를 미생물과 함께 투입하고 설정된 급기량으로 공기를 공급하면서 교반기를 간헐적으<9>
로 작동시키어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는 동시 분해물질은 수분과 함께 증발되어 공기의 이송
에 의해 배기관을 통하여 탈취기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고 음식물은 소멸된다.
특히, 소멸기는 5분정도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는 호기성(好氣性) 주기(週期)와, 25분정도 교반동작을 정지<10>
하는 혐기성(嫌氣性) 주기(週期)를 반복하여 소멸시키는데. 호기성 주기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되기 때
문에 처리물에 포함된 분해물질이 활발하게 발산되어 악취가스를 포함하는 수분과 함께 증발량이 급증하며,
탈취기는 이 조건에서 탈취 가능한 능력을 갖도록 배려되어 있고 공기의 급기량도 탈취기의 능력에 맞추어 적
합한 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만약 급기량이 지나치게 많게 되면 배기량의 폭주로 인하여 탈취기가 과부하로
되어, 악취가 탈취되지 못하고 외부로 방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탈취기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급기량과 배기량이 배런스를 이루도록 약한 유속(流速)으로 적량<11>
급기되고 있다.
한편, 급기관으로 급기되는 공기는 지름길을 통하여 배기관으로 배기될 뿐 공기의 유속이 약하기 때문에 소멸<12>
조의 아래쪽에 위치한 음식물 쓰레기에 거의 접촉되지 못하여, 분해물질의 배출량이 높지 못한 미비점이 있었
다.
또 음식물 쓰레기가 소멸된 후 장시간에 걸쳐 재투입이 없는 경우에는 수분이 증발되어 소멸조가 건조상태로<13>
되어 미생물이 사멸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소멸조에 교반기와, 투입구를 밀봉하는 덮개, 송풍기가 관접된<14>
급기관, 배기관, 및 탈취기 등이 구비된 소멸기에 있어서, 급기관 내부에 공기의 회오리 분사가 가능하도록
나선형으로 꼬인 좁고 긴 유도편을 설치하고 소멸조의 상단 내주면에 흡습성 수지밴드를 설치하여 습윤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소멸기는 급기관에 분사가 가능하도록 나선형의 유도편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소<15>
멸과정에서 약한 유속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도편에 의한 회오리 분사작용으로 소멸조 하부측의 음식물 쓰레
기의 표면에 접촉되게 공급이 가능하다.
따라서 호기성 주기에서는 분해물질과 수분의 증발이 활발하여 공기에 의하여 배기관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고<16>
혐기성 주기에서도 공기의 접촉에 의한 수분증발을 촉진하여 악취를 포함하는 증발된 수분을 보다 용이하게
배출하게 되어 특별히 급기압력을 높이지 않고도 소멸조의 배출기능을 거의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음식물
- 2 -
등록실용신안 20-0437624
쓰레기의 소멸작용을 높일 수 있다.
또 소멸조가 수분 증발에 의해 건조상태로 되어도 흡습성 수지밴드에 흡수되어 있던 수분으로 소멸기 내부의<17>
공기 습도가 약 50∼80%로 유지되어 소멸조에서 미생물의 사멸을 방지하여,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의 기능을
유효하게 지속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개소가 거의 없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
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소멸조(1)에 교반기(2)와, 투입구(3)를 밀봉하는 덮개(4), 송풍기(F)가 관접된 공기<18>
의 급기관(5), 분해물질이 배기되는 배기관(6), 및 탈취기(7) 등이 구비된 소멸기(A)에 있어서, 급기관(5) 내
부에 나선형으로 꼬인 좁고 긴 유도편(8)을 설치하여 공기가 회오리분사 할 수 있게 한다. 또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소멸기(A)의 소멸조(1)의 상단 내주면에 수분의 흡수와, 배출의 가역동작을 하는 흡습성 수지밴드
(9)를 부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 있어, 유도판(8) 대신 통상의 분사노즐을 대체할 수 있다. 또 상기 흡습성 수지밴드(9)는<19>
다양한 종류 중에서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으며 코롱 유화(주)에서 시판하는 GE-1020(상품명)의 흡습성 수
지가 적합하다.
이와 같은 된 본 고안은, 소멸기(A)의 소멸조(1)에 음식물 쓰레기와 지정된 미생물을 투입하고 급기관(5)을<20>
통하여 송풍기(F)의 가동에 의하여 설정된 공기량을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급기하면서 약 5분간 교반기(2)를
교반하는 호기성 주기와, 약 25분간 교반기(2)의 가동을 정지하는 혐기성 주기를 반복하면, 미생물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된 유기물질과 수증기가 증발되고 급기된 공기에 이송되어 배기관(6)을 통하여 탈취기
(7)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배기가스에 포함된 악취는 탈취기(7)에 의해 탈취되며, 소멸조(1)의 수분
중 일부는 흡습성 수지밴드(9)에 흡수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급기관(5)에 설치된 나선형 유도편(8)에 의해 설정된 약한 유속의 공기가 회오리 분사작용으로<21>
소멸조 하부측의 음식물 쓰레기의 표면에 접촉가능하게 급기할 수 있기 때문에 혐기성 주기에서도 공기 접촉
에 의하여 분해물질이 포함된 수분증발을 증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작용을 보다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호기성 주기 및 혐기성 주기에서 분해물질을 포함하는 수분의 증발과 배출량을 거의 균일하게 유지할<22>
수 있다.
또 소멸조(1)의 상부 내주면에 장착된 흡습성 수지밴드(9)에 의하여 수분의 증발로 소멸조(1)가 건조상태가<23>
되어도 흡습성 수지밴드(9)에서 수분이 방출되어 50 ∼80%의 습윤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소멸조에 투입된
미생물의 사멸을 방지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재투입하면 소멸작용을 지속할 수 있다.
고안의 효과
본 고안은 소멸기의 급기관에 나선상의 유도편을 설치하여, 설정된 약한 유속의 공기가 회오리 분사작용에 의<24>
해 소멸조 하부측의 음식물 쓰레기의 표면에 접촉가능하게 급기할 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혐기성 주기에
서도 공기 접촉에 의하여 분해물질이 포함된 수분증발을 증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작용을 보다 촉진하여
호기성 주기 및 혐기성 주기의 분해물질을 포함하는 수분의 증발과 배출량을 거의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소멸작용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소멸조의 상부 내주면에 흡습성 수지밴드를 장착하였기 때문에 수분의 증발로 소멸조가 건조상태가 되어도<25>
흡습성 수지밴드에 의해 습윤상태가 유지되어 미생물의 사멸을 방지하고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의 기능을 지속
할 수 있다.
또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26>
가지 효과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1>
도2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2>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3>
- 3 -
등록실용신안 20-0437624
1 : 소멸조 2 : 교반기 3 : 투입구 4 : 덮개<4>
5 : 급기관 6 : 배기관 7 : 탈취기 8 : 유도편<5>
9 : 흡습성 수지밴드 A : 소멸기<6>
도면
도면1
도면2
- 4 -
등록실용신안 20-0437624